본 계획은 취소 또는 무산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Model 1940 Smith & Wesson Model 1940 Light Rifle 스미스 & 웨슨 모델 1940 경량 소총 | |||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반자동소총 | ||
원산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40년 | ||
개발 | 에드워드 S. 포머로이 | ||
개발년도 | 1939년~1940년 | ||
생산 | 스미스 & 웨슨 | ||
세부사항 | |||
탄약 | 9×19mm 파라벨룸 | ||
급탄 | 2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 블로우백 오픈 볼트 | ||
총열길이 | 247.65mm (9.75인치) | ||
전장 | 812.8mm (32인치) | ||
중량 | 약 4kg (9파운드) | ||
유효사거리 | 약 100m로 추정[1] | }}}}}}}}} |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리뷰 |
제2차 세계 대전에 반자동 총기의 필요성을 느낀 영국군이 약 1백만달러를 지원하면서 제작되었는데 기존 S&W에서 1939년 6월 28일에 특허로 등록했던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특이하게도 탄환에 비해 가로 길이가 긴 탄창처럼 보이는 부품이 부착되었는데 이 부품의 정체는 길쭉한 맥웰이며 # 이는 원활한 탄피 수거를 위한 것이다. #
그러나 정작 원래 요청했던 영국군에서는 반응이 긍정적이지 않았는데 1000발 격발해도 총몸에 금이 갔다. 이 때문에 5000발 이상 격발해도 문제 없어야 한다는 영국군의 요구를 받아들여 총몸을 더 두껍게 만든 Mk.2를 제작했지만 이번에는 무겁기만 하고 쓸모 없다는 평을 받아 전후 폐기처리가 되었다.
이후 S&W에서는 이번에 미군에 판매하는 계획을 잡았지만 미군을 비롯한 미국에서는 9mm 탄환을 사용하는 총기를 제식 채용하거나 사용한 적이 없어서 실패했다.[2]
2.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3. 참고 자료
4.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903, M1917, M70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M3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 |||||
기관단총 | M1928A1, M1, M1A1, | |||||
산탄총 | M97, M12, M520, M620, M37, M10, M31, M11, M720 | |||||
권총 | 자동권총 | M1903, | ||||
리볼버 | S&W M&P, M1909, M1917, M1927 | |||||
단발식 권총 | FP45, SAC-46 | |||||
조명탄 권총 | M2, AN-M8, Mk.III, M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18, M1917A1, M1919A4/A6, M1941, M2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 I, M1, M9, M18, M20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 |||||
박격포 | M1, M2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No.75 | ||||
총류탄 | M1, M2, M7, M8 | |||||
화학탄 | M18, M7A3, M14, M25 | |||||
지뢰 | 대인지뢰 | M2, M3 | ||||
대전차지뢰 | M1, M5 | |||||
폭약 | M1, M1, M1A1, M2A3, M37, M039 | |||||
도검 | 단검 및 총검 | M1905, M1, M1917, M1918, M3 | ||||
예도 | M1902* | |||||
※ ※ * : 몇몇 자료에서는 M1907이라고 표기함.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377e> 스미스 & 웨슨의 제품 라인업 | ||
리볼버 | <colbgcolor=#00377e> 상부꺾임 방식 | M1 · No.2 아미 · M1 1/2 | |
탑 브레이크 방식 | M2 · M3 · 세이프티 해머리스 | ||
I 프레임 | M30 · M32 · M34 | ||
J 프레임 | 센테니얼 · M36 (M60 · M360) | ||
K 프레임 | M10 (M64) · M15 · M19 · M53 | ||
L 프레임 | M586 · M69 | ||
M 프레임 | 레이디스미스 | ||
N 프레임 | 트리플 락 (M1917) · M27 (M327 · M327 TRR8) · M29 · M57 · M610 | ||
X 프레임 | M500 · M460 | ||
Z 프레임 | 거버너 | ||
자동권총 | M1913 · M39 (Mk.22) · M41 · M52 · M59 (M459 · M469) · M645 · M5906 · M6904 · M1006 · M4006 · CS45 · 시그마 · M&P · 보디가드 380 · CSX | ||
소총 | M320 · M1940 · M&P15 · M1854 | ||
기관단총 | M76 | ||
산탄총 | M916 · M1000 · M3000 · M&P 12 · AS | ||
탄환 | .357 매그넘 · .38 스페셜 · .40 S&W · .44 매그넘 | ||
관련 인물: 호러스 스미스 · 대니얼 B. 웨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