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02020,#DFDFD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그리스 왕국|]] | [[프랑스 제3공화국|]] | [[미국|]]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스웨덴|]] | |
1896 아테네 | 1900 파리 | 1908 런던 | |||
<rowcolor=#202020,#DFDFD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벨기에|]] | [[프랑스 제3공화국|]] | [[네덜란드|]] | [[미국|]] | ||
1924 파리 | |||||
<rowcolor=#202020,#DFDFD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나치 독일|]] | [[영국|]] | [[핀란드|]] | |||
1936 베를린 | 1948 런던 | 1952 헬싱키 | |||
<rowcolor=#202020,#DFDFDF>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호주 자치령|]] | [[이탈리아|]] | [[일본|]] | [[멕시코|]] | [[서독|]] | |
1956 멜버른 | 1960 로마 | 1964 도쿄 | 1972 뮌헨 | ||
<rowcolor=#202020,#DFDFDF>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캐나다 자치령|]] | [[소련|]] | [[미국|]] | [[대한민국|]] | [[스페인|]] | |
1988 서울 | |||||
<rowcolor=#202020,#DFDFDF>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미국|]] | [[호주|]] | [[그리스|]] | [[중국|]] | [[영국|]] | |
2000 시드니 | 2004 아테네 | 2008 베이징 | 2012 런던 |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
[[브라질|]] | [[일본|]] | [[프랑스|]] | [[미국|]] | [[호주|]] | |
2020 도쿄(연기) | 2024 파리 | ||||
<rowcolor=#202020,#DFDFDF>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
2036 미정 | 2040 미정 | 2044 미정 | 2048 미정 | 2052 미정 | |
역대 동계올림픽 / 역대 하계패럴림픽 / 역대 동계패럴림픽 | |||||
Citius, Altius, Fortius! - Communiter 더 빠르게, 더 높게, 더 힘차게! - 다 함께 | }}}}}}}}} |
<colcolor=#ffffff> 1960 로마 올림픽 | |
<colbgcolor=#9c9c9c> 제17회 올림픽 경기대회 Giochi della XVII Olimpiade Giochi Olimpici estivi del 1960 1960 로마 올림픽 경기대회 Games of the XVII Olympiad™ Rome 1960 | |
대회기간 | 1960년 8월 25일 ~ 9월 11일 |
개최국 | [[틀:깃발|로마 | ]][[틀:깃발| ]][[이탈리아| ]]
참가국 | 83개국 |
참가선수 | 5,338명[1] |
경기종목 | 17개 종목, 150개 세부 종목 |
개회선언 | 조반니 그론키 이탈리아 대통령 |
선수 선서 | 아돌포 콘솔리니 |
성화 점화 | 잔카를로 페리스 |
개·폐회식장 | 스타디오 올림피코 |
[clearfix]
1. 개요
1960년 8월 25일부터 9월 11일까지 이탈리아 로마에서 개최된 제17회 하계올림픽.본디 1908년 올림픽은 로마에서 개최하기로 되어있었으나, 1906년에 베수비오 화산이 활동하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개최권을 런던에게 넘겨서 1908 런던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그 후 52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뒤에야 가까스로 올림픽 개최권을 다시 얻어서 개최한 올림픽 게임이다. 경쟁도시로는 스위스의 로잔과 미국의 디트로이트 등이 있었다.
2. 유치 과정
<rowcolor=#ffffff> 국가 | 도시 | 1차 | 2차 | 3차 |
이탈리아 | 로마 | 15 | 26 | 35 |
스위스 | 로잔 | 14 | 21 | 24 |
미국 | 디트로이트 | 6 | 11 | - |
헝가리 | 부다페스트 | 8 | 1 | - |
벨기에 | 브뤼셀 | 6 | - | - |
멕시코 | 멕시코시티 | 6 | - | - |
일본 | 도쿄도 | 4 | - | - |
3. 특징
최초로 올림픽이 북미 TV에서 방영되었다. 미국 CBS, 캐나다 CBC, 멕시코 텔레비사가 독점 중계권을 획득했는데, 통신 인공위성과 녹화 카메라인 VCR이 나오지 않았던 터라 로마에서 영화용 필름으로 촬영한 다음 제트기에 실어 뉴욕에 보내야 했다. 이러한 방식은 1936 베를린 올림픽에서 처음 쓰인 방식으로 비단 북미만 그런게 아니라 1960년 당시까지만 해도 전세계가 다 그랬다. 인공위성이 발사된지 고작 3년밖에 안되던 시절이었다. 이는 다음 올림픽인 1964 도쿄 올림픽에 와서야 해결되었다.소련에서 여자 체조선수들이 18개의 메달중에서 총 15개를 쓸어가는 기염을 토해냈다.[2] 남자부까지 합친다면 소련이 체조에서 메달을 총 26개(금 10, 은 8, 동 8)를 쓸어가버려서[3][4] 체조에서 소련이 강하다는 것을 입증시켜주었다.
또 하나의 진기한 기록이 있었는데,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에티오피아의 아베베 비킬라는 맨발로 완주하여 금메달을 차지한 것으로 유명하다. 아프리카 흑인 최초로 메달을 딴 선수이기 때문에 에티오피아에서 나중에 영웅으로 추앙받았었다.[5] 아베베는 이 다음 대회인 1964 도쿄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차지했고, 그 다음 올림픽인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에도 출전했는데 이 때는 페이스 메이커로 출전했다. 멕시코 올림픽 당시 다른 마라토너들은 당연히 올림픽 마라톤 2연패의 아베베를 의식하지 않고 달릴 순 없었는데, 실은 이때 아베베의 컨디션이 좋지 못해 에티오피아는 마모 웰데를 우승주자로 밀고 있었고, 아베베는 다른 선수들을 낚기 위해 출전했던 것이었으며 결국 에티오피아는 올림픽 마라톤을 3연패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기는 국가가 된다.
이 대회의 복싱 라이트헤비급에서 금메달을 딴 캐시어스 마셸러스 클레이 2세는 나중에 무하마드 알리로 개명을 하여서 활동하게 된다. 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뒤에 바로 프로로 데뷔를 했다고 한다.
차기 대회 개최국이던 일본은 금메달 4개 은메달 7개 동메달 7개를 따내며 종합 8위를 기록, 다음 대회에서의 선전을 예고하였다.
또한 이 올림픽부터 메달에 끈을 달아서 목에 걸 수 있도록 메달을 제작하였다. 그 전까지는 전용 상자에 메달을 담아서 선수들에게 주는 형태였다.
그리스의 마지막 왕인 콘스탄티노스 2세가 왕태자 시절에 요트 종목에서 금메달을 땄었다.
4. 경기 종목
- 근대 5종
- 농구
- 레슬링 - 그레코로만형, 자유형
- 복싱
- 사격
- 사이클 - 도로, 트랙
- 수영 - 경영, 다이빙, 수구
- 승마 - 마장마술, 장애물, 종합마술
- 역도
- 요트
- 육상
- 조정
- 체조 - 기계체조
- 축구
- 카누 - 스프린트
- 펜싱
- 필드 하키
5. 대한민국 선수단
- 대한민국 참가 현황 : 임원 31명, 선수 36명 참가[6]
- 레슬링: 강정호, 봉창원, 임광재, 최명종
- 복싱: 강춘원, 김기수, 김득봉, 송순천, 이광주, 정신조
- 사격: 심명희, 심문섭, 안재송
- 사이클: 노도천, 박종현, 이승훈, 조재현
- 수영: 이필중[7]
- 승마: 김동규, 민관기
- 역도: 고영창, 김해남, 유인호, 이종섭, 진오현, 황호동
- 육상: 김연범, 김종철, 서영주, 송삼섭, 이상철, 이창훈, 이학자
- 체조: 김상국, 유명자
- 대한민국 참가 성적 : 메달 없음.
대한민국 대표팀도 9개 종목에 36명의 선수단을 내보내며 참가를 하였지만 이 대회에서는 단 1개의 메달도 따내지 못하고 참가하는 데만 의의를 둔 대회였다. 그나마 메달을 기대할 만한 종목이었던 마라톤과 복싱에서의 부진이 매우 컸다. 레슬링 자유형 라이트급의 봉창원과 역도 페더급의 김해남이 4위로 아쉽게 메달을 목에 걸지 못하면서 한국 대표팀은 이 대회를 노메달로 마감했다. 이 대회는 독립 이후 1948 런던 올림픽에 첫 출전한 이래 대한민국 대표팀이 유일하게 단 1개의 메달도 따지 못한 대회로 기록되어 있다.[8]
당시 단장으로 선수단을 이끌었던 손기정 옹이 사죄의 의미로 머리를 삭발하고 귀국하였다. 메달을 못딴 원인으로는 선수선발과 관리감독을 두고 대한체육회 vs 학교체육회 vs 대한올림픽위원회 3자간에 내분이 일어나면서 제대로 준비가 되지 않았던 것이 꼽힌다. 결국 이 대회 이후 대한체육회가 학교체육회를 흡수하고 대한올림픽위원장이 체육회장을 겸임하면서 사실상 조직을 통합하게된다. 또한 4.19 혁명으로 인한 국내 정치의 후유증도 선수들이 대회에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한 원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다행히도 북한이 이 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해서 비교당하는 일은 없었다. 북한의 첫 하계 올림픽 참가는 1972 뮌헨 올림픽이다.[9]
6. 주요국 메달 집계
1960 로마 올림픽 메달 집계 최종 집계 | |||||
<rowcolor=#121212,#ffffff> 순위 | 국가 | 메달 | 합계 | ||
금 | 은 | 동 | |||
1 | [[소련|]] 소련 | 43 | 29 | 31 | 103 |
2 | [[미국|]] 미국 | 34 | 21 | 16 | 71 |
3 | [[이탈리아|]] 이탈리아 | 13 | 10 | 13 | 36 |
4 | [[독일|]] 독일 단일팀 | 12 | 19 | 11 | 42 |
5 | [[호주 자치령|]] 호주 | 8 | 8 | 6 | 22 |
6 | [[튀르키예|]] 터키 | 7 | 2 | 0 | 9 |
7 | [[헝가리 인민공화국|]] 헝가리 | 6 | 8 | 7 | 21 |
8 | [[일본|]] 일본 | 4 | 7 | 7 | 18 |
9 | [[폴란드 인민공화국|]] 폴란드 | 4 | 6 | 11 | 21 |
10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 3 | 2 | 3 | 8 |
11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루마니아 | 3 | 1 | 6 | 10 |
12 | [[영국|]] 영국 | 2 | 6 | 12 | 20 |
13 | [[덴마크|]] 덴마크 | 2 | 3 | 1 | 6 |
14 | [[뉴질랜드|]] 뉴질랜드 | 2 | 0 | 1 | 3 |
15 |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불가리아 | 1 | 3 | 3 | 7 |
16 | [[스웨덴|]] 스웨덴 | 1 | 2 | 3 | 6 |
17 | [[핀란드|]] 핀란드 | 1 | 1 | 3 | 5 |
18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 1 | 1 | 0 | 2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 |||||
20 | [[파키스탄|]] 파키스탄 | 1 | 0 | 1 | 2 |
21 | [[에티오피아 제국|]] 에티오피아 | 1 | 0 | 0 | 1 |
[[그리스 왕국|]] 그리스 | |||||
[[노르웨이|]] 노르웨이 | |||||
24 | [[스위스|]] 스위스 | 0 | 3 | 3 | 6 |
25 | [[프랑스|]] 프랑스 | 0 | 2 | 3 | 5 |
26 | [[벨기에|]] 벨기에 | 0 | 2 | 2 | 4 |
27 | [[팔라비 왕조|]] 이란 | 0 | 1 | 3 | 4 |
28 | [[네덜란드|]] 네덜란드 | 0 | 1 | 2 | 3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 | |||||
30 |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 0 | 1 | 1 | 2 |
[[아랍 연합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 | |||||
32 | [[캐나다 자치령|]] 캐나다 | 0 | 1 | 0 | 1 |
[[대만|]] 대만 | |||||
[[가나|]] 가나 | |||||
[[인도|]] 인도 | |||||
[[모로코|]] 모로코 | |||||
[[포르투갈 제2공화국|]] 포르투갈 | |||||
[[싱가포르 식민지|]] 싱가포르 | |||||
39 | [[브라질 제4공화국|]] 브라질 | 0 | 0 | 2 | 2 |
[[서인도 연방|]] 서인도 연방 | |||||
41 | [[이라크 제1공화국|]] 이라크 | 0 | 0 | 1 | 1 |
[[멕시코|]] 멕시코 | |||||
[[프랑코 정권|]] 스페인 | |||||
[[베네수엘라 제4공화국|]] 베네수엘라 |
[1] 남자: 4,727명 / 여자: 611명[2] 어마어마한 수치다. 단체전은 1개국 1팀이니까 메달 2개는 못 따는 거고, 그거 빼고 나면 딱 한 개를 체코슬로바키아에 내줬는데 그 한 개가 바로 금메달이었다. 결국 소련이 금메달 싹쓸이는 못했다.[3] 이 수치는 당시 소련 총 메달 수(103개)의 1/5이 넘어가는 수치이다. 남자부 금메달은 일본과 소련이 하나 빼고 정확히 나눠가졌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핀란드가. 단, 공동 1위가 있어서 실제 금메달 수는 세부종목 수보다 많았다.[4] 김승우의 승승장구에서 손연재이 말하기를 러시아 부모들이 소녀들에게 체조를 시키는건 한국 부모들이 자식들에게 태권도를 시키는것과 같은 수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말했다.[5] 당시 마라톤 골인 지점은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이었는데, 아프리카인으로는 로마 시대 때부터 포로나 노예로만 통과할 수 밖에 없었던 개선문에서 흑인 선수가 당당히 승리자로 개선하는 모습을 연출해 에티오파아인들에게는 더욱 극적으로 비쳐졌었다. 특히 에티오피아는 무솔리니에 의해 침공당한 적이 있어 그 감회는 더욱 남달랐을 것이다.[6] 출처 국제스포츠정보센터[7] 다이빙[8] 공교롭게도 FIFA 월드컵에서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첫 승점을 획득했던 1986년 대회 이후 유일하게 승점을 기록하지 못한 대회도 같은 이탈리아에서 열린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가 유일하다.[9] 그리고 첫 참가부터 사격의 리호준이 금메달을 획득하여 1945년 해방 이후 남북한 통틀어 첫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