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13:01:56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1932년에 개최된 하계 올림픽}}}에 대한 내용은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1984년에 개최된 하계 올림픽}}}에 대한 내용은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1932년에 개최된 하계 올림픽: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1984년에 개최된 하계 올림픽: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202020,#DFDFDF> 1회 2회 3회 4회 5회
[[그리스 왕국|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파일:영국 국기.svg
]]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1896
아테네
1900
파리
1908
런던
<rowcolor=#202020,#DFDFDF> 6회 7회 8회 9회 10회
[[벨기에|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1924
파리
<rowcolor=#202020,#DFDFDF>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나치 독일|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
1936
베를린
1948
런던
1952
헬싱키
<rowcolor=#202020,#DFDFDF>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호주 자치령|
파일:호주 국기.svg
]]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서독|
파일:독일 국기.svg
]]
1956
멜버른
1960
로마
1964
도쿄
1972
뮌헨
<rowcolor=#202020,#DFDFDF>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캐나다 자치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소련|
파일:소련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1988
서울
<rowcolor=#202020,#DFDFDF>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2000
시드니
2004
아테네
2008
베이징
2012
런던
31회 32회 33회 34회 35회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2020
도쿄
(연기)
2024
파리
<rowcolor=#202020,#DFDFDF> 36회 37회 38회 39회 40회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2036
미정
2040
미정
2044
미정
2048
미정
2052
미정
역대 동계올림픽 / 역대 하계패럴림픽 / 역대 동계패럴림픽
Citius, Altius, Fortius! - Communiter 더 빠르게, 더 높게, 더 힘차게! - 다 함께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svg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_White.svg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00ff52,#00ff52> 주요 정보 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개회식 · 폐회식) · 대한민국 대표팀 · 논란 및 사건 사고 · 평가
개별 종목 야구축구
마스코트
- ·
주경기장
- ·
패럴림픽
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
개회 선언자
- ·
성화 점화자
-
{{{#!wiki style="margin: -5px -5px"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_White.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로고.svg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로고_White.svg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00ff52,#00ff52> 주요 정보 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대표팀
개별 종목 -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 ·
주경기장
- ·
올림픽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
개회 선언자
- ·
성화 점화자
-
{{{#!wiki style="margin: -5px -5px"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로고_White.svg-
}}}||}}}}}}}}} ||
<colbgcolor=#000><colcolor=#00ff52>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제34회 올림픽 대회
Games of the XXXIV Olympiad™ Los Angeles 2028
Jeux de la XXXIVe Olympiade™ Los Angeles 2028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svg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_White.svg
대회 기간 2028년 7월 14일 ~ 7월 30일
개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슬로건 -
마스코트 -
주제가 -
참가국 -
참가 선수 -
경기 종목 31개 종목, 351개 세부 종목
개회 선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선수 선서 -
심판 선서 -
코치 선서 -
성화 점화 -
개·폐회식장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소파이 스타디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 파일:Giphy 아이콘.svg
<rowcolor=#00ff52>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개막까지
D[dday(2028-07-14)]
1. 개요2. 유치 선정3. 대회 상징
3.1. 엠블럼3.2. 마스코트
4. 경기종목5. 경기장6. 개막식7. 폐막식8.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
8.1. 단체 구기 종목별 진출 현황
8.1.1. 진출 확정8.1.2. 미정8.1.3. 진출 실패
9. 여담

1. 개요

<colbgcolor=#000><colcolor=#00ff52>
Welcome to LA28
<colbgcolor=#000><colcolor=#00ff52>
LA28 소개 영상
2028년 개최 예정인 제34회 하계올림픽.

1996 애틀랜타 올림픽 이후 32년 만에 미국에서 개최되는 하계 올림픽으로 동계올림픽까지 포함할 경우 2002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 이후 26년 만에 개최되는 올림픽이다. 미국에서 5번째로 개최되는 하계 올림픽임과 동시에 동계올림픽까지 포함할 경우 미국에서 9번째로 열리는 올림픽이다.[1] 이는 세계 최다 개최 기록에 해당한다.

2. 유치 선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 파리 올림픽/유치 선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4 파리 올림픽/유치 선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4 파리 올림픽/유치 선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7년 7월 12일 스위스 로잔 IOC 2024 파리 올림픽과 함께 선정되었다. 원래는 시기상 2021년에 열리는 IOC총회에서 결정되지만 2024 파리 올림픽 개최지를 결정할 때 파리와 합의를 통해 2024년 올림픽은 올림픽 개최 100주년이 되는 파리에 양보하는 대신, 2028년 올림픽 개최권을 갖는 것으로 합의했다.

3. 대회 상징

3.1. 엠블럼

<colbgcolor=#000><colcolor=#00ff52>
LA28 Emblem Debut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svg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_White.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로고.svg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로고_White.svg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엠블럼 중 하나[2] 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엠블럼 중 하나
<colbgcolor=#000><colcolor=#00ff52>
2025 LA28 Emblem Lineup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1.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2.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3.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4.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5.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6.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7.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8.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9.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10.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11.svg
파일: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 델타항공.svg
<colbgcolor=#000><colcolor=#00ff52> 파일:LA28파리엠블럼.png
2024 파리 올림픽 기념 특별 엠블럼
2028 LA 올림픽의 엠블럼은 하나가 아니다. LA 올림픽은 올림픽 사상 최초로 변화하는, 정해지지 않은 디자인을 택했다. 'LA28'이라는 영단어에서 A 부분이 자유롭게 변화하는 형식이다.

엠블럼의 디자이너인 geoff engelhardt에 의하면 보통 올림픽의 엠블럼들은 세계의 각 도시만의 고유한 특징을 제대로 알려줘야 하는 것이 특징인데 LA는 다양성의 도시라는 점을 부각하기 위해 일부러 단 하나의 엠블럼을 택하지 않기로 했으며 LA출신 연예인들, 스포츠 선수들이 다수 참가한 프로젝트다.

2020년 9월과 10월에 걸쳐 여러 버전의 엠블럼을 공개했으며, 각각의 엠블럼은 다양성, 자연환경, 예술, 문화, 평등, 스포츠 등 LA의 여러 상징을 담고 있다.[3]

3.2. 마스코트

2026년 쯤에 공개될 예정으로, 이번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마스코트는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의 마스코트였던 샘과 연관되거나[4], 다른 동물로 마스코트를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5]

4. 경기종목

5. 경기장

일부 종목의 경기장만 정해졌다. 축구, 비치발리볼 등 몇몇 구기 종목 경기장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황.

6. 개막식

7. 폐막식

8.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대한민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대한민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대한민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1. 단체 구기 종목별 진출 현황

대한민국은 단체 구기 종목 22개 중[8] N개 종목에서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진출을 확정했다.

단체 구기 종목의 예선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취소선 걸린 종목은 탈락 확정, 볼드체는 진출 확정.)

8.1.1. 진출 확정

8.1.2. 미정

8.1.3. 진출 실패

9. 여담


[1] 로스앤젤레스는 1932년 10회 및 1984년 23회 하계 올림픽을 개최했고, 44년 만에 다시 로스앤젤레스에서 하계 올림픽을 개최하게 되었다. 또한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이후 12년 만에 아메리카 대륙에서 열리는 하계 올림픽이다(2016년 올림픽 유치전 당시 시카고가 개최지 후보였지만 1차 투표 만에 떨어져서 탈락했다). 동·하계 올림픽 전체로는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후 18년 만에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열리는 올림픽이다.[2]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엠블럼을 오마쥬했다. 이외에도 1980 모스크바 올림픽 엠블럼을 오마쥬한 로고도 있다.[3] #1, #2, #3, #4, #5, #6, #7[4]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마스코트 수호랑과 반다비1988 서울 올림픽의 호돌이와 곰두리를 연관 지었고,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빙둔둔은 2008 베이징 올림픽의 마스코트 푸와 중 하나인 징징과 연관된 적이 있었다.[5] 참고로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공식 측에서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의 마스코트 티나와 밀로를 보고 우리는 이 마스코트를 벌써 사랑한다.라는 반응을 보였다.[6] 장애물 경주는 일본 TBS 방송 SASUKE와 이 방송의 해외 수출판인 각국의 닌자 워리어 시리즈 포맷에서 따온 닌자 스포츠를 뜻한다. 한국의 출발 드림팀 종합 장애물 경기와도 비슷하다.[7] 로스앤젤레스와의 직선거리가 무려 2000km가까이 된다. 미국의 엄청난 땅 크기가 와닿는 부분.[8] 야구/소프트볼, 남/여 축구, 남/여 농구, 남/여 배구, 남/여 핸드볼, 남/여 럭비, 남/여 필드 하키, 남/여 수구, 남/여 플래그 풋볼, 남/여 라크로스, 남/여 크리켓[9] 1908년, 1948년, 2012년 개최.[10] 1900년, 1924년, 2024년 개최.[11] 육상 마라톤의 김은배와 권태하, 복싱 남자 라이트급의 황을수.[12] 이 대회 이전까지만 해도 한국은 1976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양정모레슬링에서 딴 금메달 1개가 전부였다.[13] 끝자리 모든 해 개최가 가능한 나라로는 일본이 있다. 일본은 끝자리 6 올림픽 개최 경험이 없다. 2020 도쿄 올림픽이 있었지만 코로나19로 2021년에 열린 대회이기는 했으나 대회명은 2020 도쿄 올림픽으로 0으로 끝나는 해에 열리는 것이나 마찬가지다.[14] 1904 세인트루이스 올림픽,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1932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 1960 스쿼밸리 동계올림픽,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1996 애틀랜타 올림픽,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등.[15] 1988년 서울(하계, 대한민국) - 1998년 나가노(동계, 일본) - 2008년 베이징(하계, 중국) - 2018년 평창(동계, 대한민국)[16] 그 당시에는 동독과 분단되어서 서독이였다.[17] 동계 올림픽을 포함하면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이 이미 개최된 적이 있다.[18] 영어를 쓰는 영국이나 호주가 있기는 한데, 영국은 3번 개최했지만 20번대 회차에 올림픽 개최 경험이 없으며 호주 역시 3번 개최했지만 1번대 올림픽 개최 경험이 없다.[19] 단적으로 JTBC는 자사 스포츠 채널인 JTBC GOLF&SPORTSK리그, 대학배구 지방 대회, 컬링 중계 및 더 메달리스트 등 매거진 프로그램 외에는 전부 골프 중계로 채우면서 사실상 JTBC GOLF 2로 만들어 버렸다. JTBC GOLF&SPORTS는 그나마 2025년 들어 K리그 자체 중계를 포기하고 골프 중계의 비중도 줄이고 과거 올림픽 영상과 뭉찬 재방송 위주로 돌리는 등 사실상 운영을 포기하려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20] 더욱이 월드컵, 올림픽같은 경우에는 중계권이 정식으로 있지 않으면 관련 뉴스 영상을 온라인으로 업로드 하는 것조차도 제한적으로 될수밖에 없다. 2010년 당시 월드컵, 올림픽 관련 뉴스 영상을 MBC와 KBS에서 다시볼 수 없는게 바로 그 때문이다.[21]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일어나는 시간은 오전 6~7시로 미국 서부 시간으로 오후 2~3시가 된다. 쉽게 얘기하자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서부지구 낮 경기가 이 시간대에 진행이 된다고 보면 된다.[22] JTBC가 지상파 3사에 올림픽 중계권을 재판매한다고 가정하면 이 기간 아침 방송의 경우 9시~10시 무렵에 방송하는 일반뉴스와 각종 교양 프로그램은 무조건 결방이고, 메인급 아침뉴스인 MBC 뉴스투데이, SBS 모닝와이드, KBS 뉴스광장, JTBC 뉴스 아침&의 경우 축소 방송될 것으로 보인다.[23] 1908년, 1948년 영국 수도 런던, 1928년 네덜란드 수도 암스테르담, 1968년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 1988년 대한민국 수도 서울, 2008년 중국 수도 베이징.[24] 어찌 보면 기념과 양보가 둘 다 있는데, 2004년 그리스의 수도 아테네가 올림픽의 발상지라는 명목으로 100주년 기념이 아니었으면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렸을 수도 있었고, 2024년 프랑스의 수도 파리가 1924년 이후 100년 만의 개최로 기념을 위한 게 아니었다면 개최지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였을 것이다.[25]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는 행정수도라 개최지 선정이 안 되기는 한다지만 로스앤젤레스까지의 거리가 4,300km에 육박한다.[26] 만약 로스앤젤레스가 개최지에서 탈락했다면 1924년부터 2024년까지 5회 동안 수도 개최 기록이 계속될 뻔했다.[27] 1900 파리(프랑스), 1912 스톡홀룸(스웨덴), 1924 파리(프랑스), 1936 베를린(동독), 1948 런던(영국), 1960 로마(이탈리아), 1972 뮌헨(서독)으로 유럽 국가의 개최가 지속되었다.[28] 야구/소프트볼, 남/여 축구, 남/여 농구, 남/여 배구, 남/여 핸드볼, 남/여 럭비, 남/여 필드 하키, 남/여 수구, 남/여 플래그 풋볼, 남/여 라크로스, 남/여 크리켓[29] 1932 찰스 커티스(부통령. 당시 대통령은 허버트 후버), 1984 로널드 레이건, 2028 도널드 트럼프.[30] 프랑스는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이후 38년 만이고, 미국은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이후 32년 만이라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서 개최권 주기에 맞춰 했다는 평가다.[31] 1920 안트베르펀 올림픽부터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까지 미국이 4회 연속 1위를 기록한 것이 최다 기록이였다.[32] 1932년 대회는 당시 소련이 IOC 비회원국이었던 관계로, 1984년 대회는 직전 대회였던 1980 모스크바 올림픽 보이콧을 미국이 주도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불참했다.[33] 미국에서 열린 동하계 대회 전체를 통틀어서 보자면 1904 세인트루이스 올림픽러일전쟁의 영향으로 불참, 1960 스쿼밸리 동계올림픽,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 1996 애틀랜타 올림픽,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까지는 참가했다.[34] 차기 위원장이 첫 참석하는 동계올림픽은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이다.[35]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1996 애틀랜타 올림픽은 7월에 열려 8월에 끝났다.[36] 로스앤젤레스는 끔찍한 스프롤 현상으로 인해 커진 도시 규모로 인해 이동 시 자가용 의존도가 너무 높아져서 자연스럽게 도로 위의 차량 숫자가 많아졌고, 그래서 교통 체증이 심하기에 현직 로스앤젤레스 시장인 캐런 배스가 내건 공약이다. 올림픽 기간 중 버스 3천 대를 투입하고 기업들에게 재택근무를 의무화하여 시민들의 유동 인구를 최소로 줄이고, 사방에 지하철도를 설치하여 올림픽 기간 관광객들을 쾌적한 환경에서 LA 각지로 실어나를 계획이다.[37] 20세기였던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캐나다가 1976년 몬트리올과 1988년 캘거리를 앞세워 동·하계 올림픽을 개최한 적이 있으며 미국은 전에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올림픽을 개최해 연속해서 동계올림픽과 하계올림픽을 개최한 적이 있고,1990년대와 2000년대에 애틀랜타와 솔트레이크시티를 앞세워 동·하계 올림픽을 개최한 경험이 있기는 한다. 그러나 21세기에 10년도 안되어서 동·하계 올림픽을 개최한 국가는 없고 중국이 수도 베이징을 앞세워 2008년 하계 올림픽과 2022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한 적은 있다.[38] 만일 일본이 삿포로 같은 지역을 2038년 동계 올림픽 개최후보로 나와서 개최지로 선정한다면 2020년대와 2030년대 동·하계 올림픽을 개최한 3번째로 남게 되기는 한 상태다.[39] 올림픽은 아주 중요한 대규모 스포츠 대회이므로 절대 완전 무시할 수 없다.[40] FIFA 월드컵은 1930년부터 열리고있는데 1930년에는 우루과이에서 1회 FIFA 월드컵이 열렸고 1982년에 스페인에서 12회 FIFA 올림픽 열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유럽에서 개최된 월드컵 후 올림픽였다. 1994년 자국에서 15회 FIFA 월드컵이 열렸고 2026년 자국 포함 캐나다 맥시코와 함께 23회 FIFA 월드컵이 열린다. 참고로 호주가 하계 올림픽을 개최하면 FIFA 월드컵은 유럽에서 열린다는 법칙도 있다. 물론 2030년 FIFA월드컵은 3대륙 공동개최 이기는 하지만 주 개최국은 스페인과 포르투갈, 모로코이다.[41] 2024 파리 올림픽에서는 야구가 종목으로 채택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