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행 중인 시즌에 대한 내용은 하나은행 K리그 2024 문서 참고하십시오.
야구 | 축구 | 농구 | 배구 |
KBO 리그 | K리그 | 프로농구 | V-리그 |
▼ 2군 리그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colbgcolor=#001c48><rowcolor=#fff> 구분 | 대회 | 리그 | 단계 | |
<colcolor=#fff> 남자 | <colbgcolor=#001c48><colcolor=#fff> 프로 | K리그 | K리그1 | 1부 리그 | |
K리그2 | 2부 리그 | ||||
세미프로 | K3·4리그 | K3리그 | 3부 리그 | ||
K4리그 | 4부 리그 | ||||
아마추어 | K5·6·7리그 | K5리그 | 5부 리그 | ||
K6리그 | 6부 리그 | ||||
K7리그 | 7부 리그 | ||||
지역별 (시도)리그 | 인천(시도) / 대구(시도) 광주(시도) | 8부 이하 -2020년도 대회/리그 -JoinKFA 등록 기준 | |||
지역별 (시군구)리그 | 부산금정구 / 경북울진군 광주북구 / 경북김천시 강원삼척시 / 경북영주시 경북안동시 / 충남홍성군 울산남구 / 세종 전북전주시(5개 리그) | ||||
U-23 | U리그 | U리그1 | 대학 리그 1부 | ||
U리그2 | 대학 리그 2부 | ||||
R리그 | 프로 2군 리그 | ||||
U-18 |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 전국고등축구리그 | 고등 리그 | ||
K리그 주니어 | K리그 주니어 U-18 | ||||
K리그 주니어 U-17 | |||||
i리그 | i리그 U-18 | ||||
U-15 |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 전국중등축구리그 | 중등 리그 | ||
K리그 주니어 | K리그 주니어 U-15 | ||||
K리그 주니어 U-14 | |||||
i리그 | i리그 U-15 | ||||
U-12 |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 전국초등축구리그 | 초등 리그 | ||
i리그 | I리그 U-12 | ||||
U-10 | i리그 U-10 | ||||
U-8 | i리그 U-8 | ||||
여자 | 세미프로 | WK리그 | 1부 리그 | ||
아마추어 | 춘계한국여자축구연맹전 / 추계한국여자축구연맹전 | 초·중·고·대학 리그 | |||
U-22 | 렛츠플레이 여대생축구클럽리그 | 대학 리그 | |||
폐지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 2부 리그 | |||
내셔널리그 | 3부 리그 | ||||
K3리그(2007~2019) | K3리그 어드밴스 | 4부 리그 | |||
K3리그 베이직 | 5부 리그 | }}}}}}}}} |
<colbgcolor=#001c48> K리그 K League | ||
정식 명칭 | 국문: K리그 | |
영문: K League | ||
종목 | 축구 | |
창설 | K리그1 | 1983년 5월 8일 ([age(1983-05-08)]주년) |
K리그2 | 2013년 3월 16일 ([age(2013-03-16)]주년)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운영 주체 | 한국프로축구연맹 | |
최근 우승 구단 | K리그1 | 울산 HD FC (2024) |
K리그2 | FC 안양 (2024) | |
최다 우승 구단 | K리그1 | 전북 현대 모터스 (9회) |
K리그2 | 광주 FC 상주 상무 FC 김천 상무 FC (2회) | |
AFC 리그 랭킹 | 3위 | |
웹사이트 | 홈페이지 데이터 포털 통합 스토어 | |
소셜 미디어 | | | | | |
[clearfix]
1. 개요
Dynamic Pitch|K리그 New BI & Emblem |
Dynamic Pitch[1]
역동과 감동[2]
축구, 그 이상의 낭만을![3]
한국프로축구연맹 산하의 대한민국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다. 1983년 슈퍼리그라는 명칭으로 출범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현재까지 ACLE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한 리그이다. 국내 일부 언론에서는 K리그를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 리그로 보도하기도 하였지만,# AFC에서는 1908년에 출범한 홍콩 1부 리그를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 리그로 간주하고 있다.#본디 단일 리그였으나 2012년 승강제를 도입하고 2013년 2부 리그를 창설하면서 1부 리그 K리그1과 2부 리그 K리그2의 2개 디비전을 보유하게 되었다.[4] 이로 인해, 넓은 의미의 K리그는 두 개의 리그를 포괄하여, 한국 프로축구 리그 전체를 가리키고 있다. 그리고 더 넓은 의미의 K리그는, K리그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공식 약칭이기 때문에, 한국프로축구연맹과 한국 프로축구 리그를 망라한 한국 프로축구 전반을 가리키는 것이기도 하다. K리그의 포맷은 스코티시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SPFL)와 유사하며[5], 춘추제로 운영되고 있다.
K리그는 1부 12개 구단, 2부 13개 구단 총 25개 구단이 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에서 프로 리그가 시행되는 종목 중 가장 많은 수의 구단이 참가하고 있는 리그다. 참가 구단은 시민 구단 14팀, 기업 구단 10팀, 군경 구단 1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경 구단은 국군체육부대 산하의 김천 상무다. 참가 구단이 많아 한국에서 어느 종목이든 프로 스포츠단이 있으면서 프로 축구단만 없는 도시는 고양시(남자 농구단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와 의정부시(남자 배구단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가 있다.
그리고 1983년의 K리그 출범은 1986년부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FIFA 월드컵에서 10회 연속으로 본선 진출을 기록하게 될 정도로 아시아 최정상급의 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든 한국 축구의 초석이 되었고, 아시아 최정상급 전력으로 발돋움할 수 있게 되는 본격적인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K리그는 2023년 기준 평균 관중 10,726명으로 튀르키예 1부, 인도 1부, 포르투갈 1부 리그에 이어 세계 20위에 위치해있는 리그이기도 하다. 다른 나라들이 무료 관중도 집계할 때 K리그는 유료 관중만 집계한다는것을 생각해 보면 실제 입장객 수는 더 높다.
2. 명칭
한국 프로축구 리그가 1983년 처음 출범할 당시의 공식 명칭은 슈퍼리그였다. 그러나 1984년 정부가 명칭에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이 심하다고 지적하며, 슈퍼리그라는 명칭 대신 축구대제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지시하였다. 이로 인해 공식 명칭은 한 해만에 축구대제전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부명칭으로 슈퍼리그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다 1987년 대한축구협회에서 프로축구위원회가 발족하여 프로 리그 운영에 관한 사무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고, 이전 해까지 실업 구단과 프로 구단이 함께 참가했던 리그를 이번 해부터 오직 프로 구단만 참가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꾸면서, 리그의 공식 명칭을 한국프로축구대회로 변경하였다. 한국프로축구대회라는 공식 명칭은 1987년부터 1993년까지 사용되다가, 1994년부터 코리안리그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코리안리그라는 명칭은 1994년과 1995년 두 해만 사용되고, 1996년과 1997년 두 해는 다시 한국프로축구대회라는 명칭이 사용되는 등 오락가락한 행보가 이어졌다. 그러다 1998년 공식 명칭을 K-리그로 변경했고, 2010년부터 가운데의 하이픈(-)을 빼고 K리그로 다듬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므로 K리그는 코리안리그라는 공식 명칭의 공식 약칭이 아닌 그 자체로 공식 명칭이다. 특이한 것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공식 약칭도 K리그다. 반면 일본 J리그의 공식 명칭은 일본프로축구리그이며, J리그는 공식 약칭이다. K리그의 공식 표기법은 한글은 K리그, 영문은 K League로 사용해야 한다.리그의 공식 명칭을 한국프로축구대회에서 코리안리그로 변경한 1994년 당시, 대한축구협회에서 코리안리그를 K리그라고 약칭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이듬해 한국에서 리그의 공식 명칭을 한국프로축구대회에서 코리안리그로 변경하자, 당시 국내 매체에서는 코리안리그라는 같은 명칭을 갖고 있어 축구 코리안리그와 농구 코리안리그라 불리던 프로축구와 실업농구를 축구 K리그와 농구 K리그라 줄여 불렀다.#1#2
한편, K를 대한민국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수식어의 명명법은 1980년대 국군에서 각종 국산 제식무기와 장비에다 Korea의 앞 철자 K를 붙여 명명하기 시작하면서 국내에서도 그렇게 낯선 명명법은 아니었다.[6] 한국프로축구연맹은 1998년 언론의 보도 편의와 여론을 반영하여 K리그를 새로운 리그 명칭으로 수용을 하면서 현재 우리에게 잘 알려진 K리그가 된 것이다.
단일 리그였던 K리그는 2012년 승강제를 도입하고 2013년 2부 리그를 창설하면서, 두 개의 디비전을 보유하게 되었다. 디비전이 두 개가 됨에 따라 한국프로축구연맹은 1부 리그와 2부 리그의 새 명칭을 공모하였다. 공모된 명칭을 바탕으로 의견 취합을 거친 결과, 전통 유지 차원에서 K리그라는 명칭은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고, 대신 1부 리그를 K리그 클래식, 2부 리그를 K리그라고 명명하기로 하였다. 상위 리그 또는 하위 리그 신설 과정에서 최상위 리그의 명칭을 새로 짓고 기존 명칭을 하위 리그에 넘겨주는 방식은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방식이었지만[7], 이렇게 되면 1부 리그를 K리그로 줄여 부를 수 없어 혼란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결국 연맹은 이를 받아들여, 개막전 전까지 2부 리그의 명칭을 새로 정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2013년 3월 11일, 2부 리그의 새 명칭이 K리그 챌린지로 확정되었다. 새로 바뀐 K리그 챌린지라는 명칭은 유소년 리그인 K리그 U-18 챌린지 리그와 명칭의 충돌이 있었는데, 유소년 리그는 팬 투표를 통해 K리그 주니어라는 다른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 1부 리그와 2부 리그의 공식 명칭인 K리그 클래식과 K리그 챌린지가 각각 K리그1과 K리그2라는 명칭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K리그1과 K리그2라는 명칭은 대한축구협회에서 구축하고 있는 프로 리그(K리그1, K리그2)-세미프로 리그(K3리그, K4리그)-아마추어 리그(K5리그, K6리그, K7리그)를 연결하는 K리그 디비전 시스템을 위한 것으로서, 리그의 명칭에 디비전 숫자를 넣어 한국 축구의 디비전 시스템을 직관적이고 명료하게 나타내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다.
3. 역사
자세한 내용은 K리그/역사 문서 참고하십시오.4. 참가 구단
역대 참가 구단에 대한 내용은 K리그/역사 문서 참고하십시오.
5. 시상
리그 | 분류 | 부문 | 상금 | 비고 |
K리그1 2024 | 단체상 | 우승 | 5억 원 | |
준우승 | 2억 원 | |||
페어 플레이 | 1000만 원 | 페어 플레이 점수를 산정하여 가장 점수가 높은 팀에게 시상한다. | ||
개인상 | MVP | 1000만 |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시상한다. | |
최다 득점상 | 500만 원 | |||
최다 도움상 | 300만 원 | |||
영플레이어상 | 500만 | K리그 출장 햇수 3년 이내, 해당 시즌 1/2 이상 출장한 만 23세 이하의 대한민국 국적 선수 중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시상한다. | ||
감독상 | - | 지휘하는 팀의 성적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인상적인 감독에게 시상한다. | ||
베스트 일레븐 | 골키퍼 | - | 리그에서 포지션별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뛰어난 골키퍼 1명, 수비수 4명, 미드필더 4명, 공격수 2명을 선정하여 시상한다. | |
수비수 | ||||
미드필더 | ||||
공격수 | ||||
K리그2 2024 | 단체상 | 우승 | 1억 원 | |
개인상 | MVP | - |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시상한다. | |
최다 득점상 | 300만 원 | |||
최다 도움상 | 150만 원 | |||
영플레이어상 | - | K리그 출장 햇수 3년 이내, 해당 시즌 1/2 이상 출장한 만 23세 이하의 대한민국 국적 선수 중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시상한다. | ||
감독상 | - | 지휘하는 팀의 성적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인상적인 감독에게 시상한다. | ||
베스트 일레븐 | 골키퍼 | - | 리그에서 포지션별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뛰어난 골키퍼 1명, 수비수 4명, 미드필더 4명, 공격수 2명을 선정하여 시상한다. | |
수비수 | ||||
미드필더 | ||||
공격수 |
부문별 역대 수상자에 대한 내용은 K리그 대상 문서 참고하십시오.
2011 시즌까지 K리그의 우승 상금은 3억 원이었으나 2012 시즌부터 5억 원으로 67% 인상되었다. 준우승 상금도 1억 5천만 원에서 2억 원으로 인상되었다. 이것은 2006 시즌에 2억 원에서 3억 원으로 인상되고 난 후 6년 만의 인상이다. 참고로 대한축구협회 FA컵의 우승 상금은 3억 원이다. (적은 편이다)다만 우승 상금이 2024년 현재도 5억 원밖에 안되는지라 리그의 위상을 생각하면 너무 적은 액수가 아니냐는 지적은 계속되어 왔다. 문제는 K리그의 우승 상금은 전적으로 메인 스폰서에게 의지하고 있는데, 2017년까지는 한국프로축구연맹 회장의 회사인 현대중공업에서 떠안았고, 2018년부터는 하나은행에서 지급하고 있다. 1983년 프로축구 원년 우승 상금이 1억 원이었다. 2019년 우승 상금은 5억 원인데, 이는 2019년 기준 전북 현대 모터스의 이동국이 수령한 연봉 10억 2772만 원의 절반보다도 적다.
2010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부터는 대회에 차출된 선수의 수와 차출 기간에 비례하여 FIFA에서 일종의 차출 보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2018년도 대회에서 3명이 차출된 전북은 보상금으로 리그 우승 상금의 2배가 넘는 10억여 원을 받았다. 심지어 1명만 차출된 대구, 제주, 성남, 수원 등도 리그 우승 상금의 절반에 육박하는 보상금을 받으면서, K리그의 우승 상금이 너무 적다는 문제가 더 커지고 있다.
대상과 별개로 K리그에는 매달 수여하는 개인상이 있는데, EA 스포츠 이달의 선수상, 현대오일뱅크 KAZEN 이달의 감독상, 레모나 이달의 영플레이어상, 게토레이 G MOMENT AWARD, 대자연의 동원샘물 이달의 골 등이 있다. 이달의 선수상, 이달의 영플레이어상, G MOMENT AWARD는 K리그1 소속 선수에게만 시상하고, 이달의 감독상은 K리그1 혹은 K리그2 소속 감독에게 시상한다.
6. 명예의 전당
자세한 내용은 K리그 명예의 전당 문서 참고하십시오.7. 우승 트로피
K리그1 우승 트로피 |
K리그2 우승 트로피 |
2007년까지의 K리그 우승컵은 동네 체육사에서 파는 저가에 급조된 느낌의 우승컵이었고, 그나마도 거의 매년 바뀌어서 우승컵의 위엄과 전통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2007년부터 리그의 정통성과 통일성을 확립하기 위해 1여 년에 걸친 기획 끝에, 2008년 K리그 25주년을 맞아 현재의 우승 트로피가 완성되었다. 우승 트로피의 재질은 24K 도금에 높이는 50cm, 무게는 7kg으로 되어있다.
리그 우승팀은 우승 트로피 하단에 우승 시즌과 클럽명이 새겨지며, 1년간 보관 및 관리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게 된다. 다음 시즌 리그 우승팀이 결정되면, 진품 트로피는 반납되고 동일한 크기의 복제 트로피가 주어진다. 연속 우승의 경우에는 진품을 반납하지 않고 이전 시즌 우승에 대한 복제 트로피를 또 수여받는다. 우승 트로피가 현재의 모습으로 바뀐 첫 시즌이었던 2008 시즌, 새 우승컵의 주인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였다.
2012년 승강제 도입으로 2013년부터 K리그가 1부와 2부로 나뉘게 되자, 우승 트로피 또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1부 리그인 K리그1은 K리그를 그대로 승계하기 때문에 기존의 우승 트로피를 사용하고, 2부 리그인 K리그2는 새로 창설되기 때문에 우승 트로피를 새로 만들었다.
8. 패치
역대 리그 패치에 대한 내용은 K리그/패치 문서 참고하십시오.
챔피언 패치 | K리그1 패치 | K리그2 패치 |
9. 시즌별 일람
K리그 |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K리그1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K리그2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10. 디비전
10.1. K리그1
자세한 내용은 K리그1 문서 참고하십시오.10.2. K리그2
자세한 내용은 K리그2 문서 참고하십시오.11. 기타 대회 및 특별 경기
11.1. 코리아컵
자세한 내용은 코리아컵(축구) 문서 참고하십시오.11.2. 리그컵
자세한 내용은 리그컵(대한민국) 문서 참고하십시오.11.3. 슈퍼컵
자세한 내용은 슈퍼컵(대한민국) 문서 참고하십시오.11.4. R리그
자세한 내용은 R리그 문서 참고하십시오.11.5. 올스타전
자세한 내용은 K리그 올스타전 문서 참고하십시오.12. 특징
자세한 내용은 K리그/특징 문서 참고하십시오.13. 더비 매치
자세한 내용은 더비 매치/구단/대한민국 문서 참고하십시오.14. 외국인 선수
자세한 내용은 K리그/외국인 선수 문서 참고하십시오.15. 유소년
구단 | U-15 | U-18 |
강원 FC | 주문진중학교 | 강릉제일고등학교 |
경남 FC | 군북중학교 | 진주고등학교 |
광주 FC | 광주 FC U-15 | 금호고등학교 |
김천 상무 FC | 김천문성중학교 | 경북미용예술고등학교 |
김포 FC | 김포 FC U-15 | 김포 FC U-18 |
대구 FC | 율원중학교 | 현풍고등학교 |
대전 하나 시티즌 | 대전 하나 시티즌 U-15 |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
부산 아이파크 | 부산낙동중학교 | 개성고등학교 |
부천 FC 1995 | 부천 FC 1995 U-15 | 부천 FC 1995 U-18 |
FC 서울 | 서울오산중학교 | 서울오산고등학교 |
서울 이랜드 FC | 서울 이랜드 U-15 | 서울 이랜드 U-18 |
성남 FC | 성남 FC U-15 | 풍생고등학교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 삼성 블루윙즈 U-15 | 매탄고등학교 |
수원 FC | 수원 FC U-15 | 수원 FC U-18 |
안산 그리너스 FC | 안산 그리너스 U-15 | 안산 그리너스 U-18 |
FC 안양 | FC 안양 U-15 | 안양공업고등학교 |
울산 HD FC | 울산현대중학교 | 현대고등학교 |
인천 유나이티드 FC | 인천광성중학교 | 인천대건고등학교 |
전남 드래곤즈 | 광양제철중학교 | 광양제철고등학교 |
전북 현대 모터스 | 김제금산중학교 | 전주영생고등학교 |
제주 유나이티드 FC | 제주중학교 | 제주 유나이티드 U-18 |
천안 시티 FC | 천안 시티 FC U-15 | 천안공업고등학교 |
충남 아산 FC | 충남 아산 FC U-15 | 충남 아산 FC U-18 |
충북 청주 FC | 충북 청주 FC U-15 | 운호고등학교 |
포항 스틸러스 | 포항제철중학교 | 포항제철고등학교 |
유소년 리그에 대한 내용은 K리그 주니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유소년 컵 대회에 대한 내용은 K리그 유스 챔피언십 문서 참고하십시오.
신인 선수의 계약에 대한 내용은 K리그/신인 선수 계약 문서 참고하십시오.
16. 마스코트
구단 | 마스코트 |
강원 FC | 강웅이 |
경남 FC | 군함이, 경남이 |
광주 FC | 보니, 화니 |
김천 상무 FC | 슈웅 |
김포 FC | 포수, 포미 |
대구 FC | 빅토, 리카 |
대전 하나 시티즌 | 대전이, 자주, 사랑이 |
부산 아이파크 | 똑디, 해라 |
부천 FC 1995 | 헤르, 보라 |
FC 서울 | 씨드 |
서울 이랜드 FC | 레울, 레냥 |
성남 FC | 까오, 까비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아길레온 |
수원 FC | 화서장군, 장안장군, 팔달장군, 창룡장군 |
안산 그리너스 FC | 다니, 로니 |
FC 안양 | 바티, 나리 |
울산 HD FC | 미타 |
인천 유나이티드 FC | 등대리, 버미, 꼬미, 유티, 애이니 |
전남 드래곤즈 | 철룡이 , 주주 |
전북 현대 모터스 | 나이티, 써치 |
제주 유나이티드 FC | 감규리, 한라할방, 백록이 |
천안 시티 FC | 호람이 |
충남 아산 FC | 붱붱이, 티티 |
충북 청주 FC | 차바, 레오니 |
포항 스틸러스 | 쇠돌이, 쇠순이 |
17. 공식 파트너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 | K리그 공식 파트너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타이틀 스폰서 | ||||||||
스폰서 | |||||||||
라이선시 | |||||||||
파니니 | |||||||||
18. 홍보 대사
연도 | 이름 | 직업 |
2005 | 클론 | 가수 |
2006 | 노브레인 | 가수 |
2012 | 안정환 | 축구인 |
2013 | 정준호 | 배우 |
신태용, 유상철, 이운재, 송종국 | 축구인 | |
2014 | 윤두준 | 가수 |
2015 | 로보카 폴리 | 애니메이션 캐릭터 |
윤두준 | 가수 | |
2016 | 박재정 | 가수 |
김병지, 김태영 | 축구인 | |
2017 | 박재정, 러블리즈 | 가수 |
2018 | 감스트 | 인터넷 방송인 |
2019[8] | 강은비, 감스트, 릴카, 박문성, 이주헌 | 인터넷 방송인 |
2021 | 황선홍, 최용수, 조원희 | 축구인 |
배성재 | 방송인 | |
민호 | 가수 | |
2022 | 김학범 | 축구인 |
2023 | 윤정환 | 축구인 |
19. 다이나믹 포인트
자세한 내용은 다이나믹 포인트 문서 참고하십시오.20. 문제점
자세한 내용은 K리그/문제점 문서 참고하십시오.21. 사건·사고
자세한 내용은 K리그/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22. 여담
자세한 내용은 K리그/여담 문서 참고하십시오.23. 관련 문서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e3224> 대한민국 축구 | <colbgcolor=#0067ac> 대한축구협회 | 한국프로축구연맹 | 대한민국 축구 리그 |
규정 | 외국인 선수 | 아시아 쿼터제 | 드래프트 제도 | 자유 계약 제도 | 준프로 | 우선 지명 | 먼데이나이트 풋볼 | 승강제 (승강 플레이오프, K리그2 플레이오프) | |
역사 | 역사 | 전조선축구대회 | 전국축구선수권대회 | 과거 참가 구단 | 사건·사고 | 개인 수상 | 월간 수상 | 라운드 베스트팀 | 베스트 일레븐 | 구단 수상 | 명예의 전당 | |
리그 | K리그1 | K리그2 | |
유소년 대회 | K리그 주니어 | K리그 유스 챔피언십 | |
관련 프로그램 | 히든풋볼 | 비바 K리그 | 오! K리그 | 풋볼매거진골 | 원투펀치 | 옐로우카드 | |
기타 | 기록 | 특색 | 여담 | 구단 별명 | 구단 통칭 | K리그 올스타전 | K리그 마스코트 반장선거 | 다이나믹 포인트 | 팬 서비스 |
[1] K리그의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2] K리그의 중계 슬로건.[3] IB SPORTS의 K리그 중계 슬로건.[4] 기본적인 대표색은 K리그1이 빨간색, K리그2가 파란색으로 태극기의 색을 대입한 것이다. 이는 3부 리그격인 K3리그와 K4리그도 동일한데 팬들은 3/4부와 승강 디비전으로 편입된다면 이들에게는 대표색으로 삼태극의 노란색 혹은 태극기의 검은색과 하얀색이 부여될 확률이 높다고 예상하고 있다.[5] SPFL은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스코티시 챔피언십 - 스코티시 리그 1 - 스코티시 리그 2로 구성되어 있다. 최상위 리그인 스코티시 프리미어십에서는 12팀이 3라운드 로빈으로 정규 라운드 33라운드를 치른 뒤, 상위 6팀과 하위 6팀으로 나뉘어 스플릿 라운드 5라운드를 치른다. 스플릿 라운드 후 최종 1위가 우승을 차지하고, 최종 12위가 2부 리그로 자동 강등된다. 2부 리그인 스코티시 챔피언십에서는 10팀이 4라운드 로빈으로 정규 라운드 36라운드를 치른다. 최종 1위가 우승을 차지하며 1부 리그로 자동 승격되고, 최종 10위가 3부 리그로 자동 강등된다. 그리고 최종 2~4위는 4위부터 시작하는 1, 2차전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후의 승리 팀이 1부 리그 최종 11위 팀과 1, 2차전 승강전을 갖는다. 승강전 최종 승리 팀은 1부 리그로 가고, 패배 팀은 2부 리그로 간다. 3부와 4부 리그도 2부 리그와 리그 방식이 유사하다. 스코티시 프리미어십의 리그 방식은 K리그1, 스코티시 챔피언십 이하의 리그 방식은 K리그2와 동일하다. 다만 K리그의 승강 플레이오프 방식은 단판제와 홈 앤 어웨이를 혼합한 방식인데 반해, SPFL의 승강 플레이오프 방식은 전부 홈 앤 어웨이 방식인 것이 차이점이다.[6] 국군은 1982년에 K1A 기관단총, 1983년에 K-1 방독면, 1985년에 K2 소총, 1986년에 K-55 자주포, 1987년에 K-1 전차를 해당 명칭으로 예하 부대에 보급하기 시작했다.[7] 터키 프로축구 1부 리그의 명칭은 2000-01 시즌까지 TFF 1. 리그였지만, 2001-02 시즌에 리그 체계를 개편하면서 1부 리그의 명칭을 쉬페르리그로 변경하고 TFF 1. 리그라는 명칭은 2부 리그로 넘겨주었다.[8] 아프리카TV와 상호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릴카와 강은비는 K리그 스타터, 박문성과 이주헌은 K리그 스토리텔러로 선정되었으며, 감스트는 2018년에 이어 2년 연속 홍보 대사로 K리그와 함께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