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21:31:48

화성시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화성시"><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12px -0px"<tablebordercolor=#164194><tablewidth=260><tablebg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용인시|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고양시|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화성시|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성남시|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부천시|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남양주시|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안산시|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평택시|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안양시|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시흥시|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파주시|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김포시|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북부청사|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광주시|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하남시|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광명시|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군포시|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양주시|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오산시|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이천시|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안성시|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구리시|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의왕시|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포천시| 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여주시|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동두천시|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과천시|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가평군|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연천군|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틀 분리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a5200>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ff5200 21%, #ff5200); font-size: 1em"

남양읍
본청

봉담읍
본청

우정읍
본청

향남읍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본청

마도면
본청

매송면
본청

비봉면
본청

서신면
본청

송산면
본청

양감면
본청

장안면
동부

정남면
본청

팔탄면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부

기배동
동부

기안동
동부

배양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1동
동탄

석우동
동탄

반송동 ,(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탄

동탄2동
동탄

반송동 ,(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3동
동부]
동탄

능동 ,(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4동
동탄

청계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5동
동탄

영천동
동탄

중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2b3e88 21%, #2b3e88); font-size: 1em"

동탄6동
동탄

금곡동
동탄

방교동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2b3e88 21%, #2b3e88); font-size: 1em"

오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탄

동탄7동
동탄

산척동
동탄

송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8동
동탄

장지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9동
동탄

목동
동탄

신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부

반월동
동부

반월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부

병점1동
동부

병점동
동부

병점2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본청

새솔동
본청

새솔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19ae48 21%, #19ae48); font-size: 1em"

진안동
동부

기산동
동부
동탄

능동 ,(일부),
동부

반정동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19ae48 21%, #19ae48); font-size: 1em"

진안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부

화산동
동부

송산동
동부

안녕동
동부

황계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본청

화성시청 관할
동부

동부 출장소 관할
동탄

동탄 출장소 관할
}}}
}}}}}}
경기도특례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華城市
Hwaseong City
}}}
<colbgcolor=#FF5E00><colcolor=#fff> 시청 소재지 남양읍 시청로 159 (남양리)
상위 행정구역 경기도
하위 행정구역 4 9 16[1][2]
면적 700.64㎢[3][4]
인구 976,655명[5][외국인]
인구 밀도 1,387.06명/㎢[7]
시장
파일:zsdkl3gasdg.svg
정명근 (초선)
시의회
파일:zsdkl3gasdg.svg
13석[8]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1석[9]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1석[10]
도의원
파일:zsdkl3gasdg.svg
6석[11]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12]

1석[13]
국회의원
<colbgcolor=#FF5E00><colcolor=#fff>
파일:zsdkl3gasdg.svg
송옥주 (3선)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이준석 (초선)

파일:zsdkl3gasdg.svg
권칠승 (3선)

파일:zsdkl3gasdg.svg
전용기 (재선)
상징 시화 목백일홍
시목 소나무
시조 도요새
지역번호 03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
3.1. 지명 문제
4. 지리
4.1. 자연지리4.2. 도시구조
5. 인구6. 도시행정7. 교통8. 경제
8.1. 특산물 및 산업8.2. 상권8.3. 금융
9. 관광10. 생활문화
10.1. 교육
10.1.1. 심각한 고등학교 과밀 현상
10.2. 도서관10.3. 영화관(멀티플렉스)10.4. 의료기관10.5. 언어10.6. 스포츠
11. 정치12. 군사13. 행정구역
13.1. 행정구역 개편 논의
13.1.1. 수원 통합 논의13.1.2. 4개구 분구(확정)
14. 사건 사고15. 자매결연 도시16. 여담17. 출신 인물18. 둘러보기

1. 개요

특별한 시민, 빛나는 도시
2025년 화성시 비전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특례시. 경기도에서 가장 빠르게 인구가 증가하는 지역이며, 꾸준한 인구증가로 2019년 9월에 인구 80만, 2022년 9월에 인구 90만을 돌파했고 2023년 12월에 외국인 포함 100만을 달성해 2025년 1월 1일에 특례시로 지정[14]되었다. 또한 인구가 내국인 기준 90만이 넘는데도 구가 설치되지 않아서 설치를 추진 중이다.[15] 북쪽으로는 수원시, 안산시, 시흥시[16]와 접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남쪽으로는 오산시평택시와 붙어있다.

서울특별시의 약 1.14배에 달하는 광활한 면적과 동서 지역이 중앙의 좁은 태안회랑을 따라 한눈에 구분되는 특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17] 또한 중앙의 태안회랑을 기준으로 동서격차가 심해 서부 지역과 동부 지역의 풍경이 같은 지자체라고 믿기 힘들 정도로 다른 모습이다. 원래부터 이랬던 것은 아니고 그 위 아래로 수원시오산시가 차례로 떨어져 나가면서부터 이런 형태가 되었다.

서부 지역[18]은 대부분 전형적인 농어촌 지역의 모습을 볼 수 있고, 새솔동을 제외하면 행정구역이 대부분 읍면이다. 남양호 주변에서 생산되는 경기미가 유명하고, 송산면의 포도가 유명하다. 서해를 따라 긴 해안선이 있어서 어업 또한 발달했으며, 제부도 등의 관광지도 있다. 최근 남양읍향남읍, 봉담읍의 택지개발로 다핵도시로서 각자의 생활권을 형성해나가고 있다. 셋 다 분동 기준인 5만명보다 많고 특히 향남, 봉담은 8만명이 넘게 성장했다. 자연지리 문단에 나오듯 간척으로 면적이 더 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본다면 수원시의 하위 호환 느낌이지만 동부 지역[19]에서는 어디에 쉽게 꿀리지 않을 만한 대도시의 면모도 볼 수 있다. 수원에서 멀지 않은 위치인 정 가운데 회랑 즈음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융건릉이 있으며, 동탄신도시에는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메타폴리스가 있다. 이 메타폴리스는 인근 수원시나 오산시, 용인시 등지에서도 그냥 보일만큼 동탄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다.

재정자립도경기도에서는 1위, 전국 4위, CNN 선정 앞으로 부유해질 도시에 충청남도 아산시와 함께 4, 5위를 차지했다.

2. 상징

화성시의 CI
파일:화성시 CI.svg
사방으로 뻗어져 나가는 형상을 통해 화성시가 커지고 성장함을 나타내며 사통팔달의 도시로서, 서해안 시대의 핵심 거점으로서, 화성시가 사방으로 활발한 교역을 이루는 모습을 표현하였고, 활짝 펼쳐지고 열려있는 창을 통해 미래가 열려 있는 곳, 기회가 열려 있는 곳, 가능성이 열려 있는 곳으로서의 화성을 상징화 하였고, 퍼져나가고 커져가는 움직임의 잔상을 통해 화성시가 정체되어 있지 않는 경제 활성의 도시(booming city)임을 나타내며 세계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빠르게 대처하는 화성의 다변성을 상징하였다. 시각 프레임은 창이면서 화성의 행정구역을 상징하기도 한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휘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1c1d1f> 파일:화성군 CI.svg
연도미상[20]~2001년 3월 20일
"ㅎ"으로서 화성군의 '화'자를 도시하고, "ㅅ"과 "ㅇ"으로 도시하므로써 화성의 '성'자를 표현하였다. 또한, 화성군의 고전적 유래를 상징하기 위해 명승고적의 성곽을 도시하고 서해로 뻗은 남양과 삼괴의 양반도가 도심부를 향하여 발전 증대함으로서 약진군민의 단합을 상징하였다.
파일:화성시 CI(2001-2008).svg
2001년 3월 21일~2008년
광활한 대지와 천혜의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수도권의 핵심도시로 도약하려는 화성시와 화성시민의 의지를 산과 바다를 상징하는 역동적인 도형과 황금빛 원으로 표현해 수도권의 중심도시이자 기분좋은 화성시의 21세기를 나타내었다. 지금은 쓰이지 않지만, 일부 원도심에서는 맨홀뚜껑 등의 로고로 볼수 있다. }}}}}}}}}}}}}}}
화성시의 시정 슬로건
파일:민선8기 시정구호 활용형.svg
정명근 시정 8기 화성시정 슬로건.
화성시의 브랜드 슬로건[21]
파일:화성_특례시_BI.png
화성만의 VIBE를 완성하다.
브랜드 핵심가치 바이브(V.I.B.E.)를 전달하는 요소로 화성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정체성과 가치를 담았습니다.[22]
곡선 형태의 글씨체는 '성곽과 기와', '반도체 회로', '사통팔달 연결되는 길'을 형상화하였고, U자 모양의 도형은 자석과도 같아 사람을 끌어들이는 힘, 시민들의 강한 결속력을 표현합니다.
화성시의 마스코트
파일:화성시코리요.png
현 경기도 화성시의 마스코트(좌측부터) 코리요·달콩이·알콩이·티렉스
화성시를 상징하는 공룡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의 이미지를 귀엽고 친근감있게 표현하여 코리요가 탄생하였습니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역사#|]][[화성시/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탄신도시를 필두로 한 택지개발사업으로 현재 인구가 아주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30대 위주로 젊은 층이 많아서 출산율도 비교적 높은 편이며, 젊은 층 전입인구가 많아서 아이들이 많다. 화성은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통틀어 가장 공장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화성시는 군 시절에도 인구가 15만 명 밑으로 떨어진 적이 없던 나름 규모있는 지역이었다. 그러다 2000년대 이후 화성시의 노른자 땅이었던 동부지역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2003년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 개통 이후 병점지역의 태안지구가 2004년부터 입주를 시작해 인구가 몰리면서 2006년 태안읍이 폐지되고 여러 동[23]으로 분동되었다. 이후 2006년부터 동탄1신도시가 입주를 시작해 2007년을 시작으로 동탄면 일부가 여러 동[24]으로 분동되고, 2015년부터는 동탄2신도시가 입주를 시작하여 동탄면의 나머지 지역도 여러 동[25]으로 분동되었다.

서부 지역은 비교적 적게 인구가 늘고 있다. 화성시청이 있는 남양읍은 시 승격과 함께 화성시 최초로 으로 전환되었지만, 그당시 남양읍은 완전 시골이었고 주민들도 농어촌특례를 잃기 싫어 읍으로의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 그래서 2014년 전국 최초로 에서 으로 전환됐다. 남쪽의 향남읍과 수원과 가까운 봉담읍은 택지개발로 각각 인구가 8만, 9만에 이르렀다. 2040 화성시 장기발전계획에 따르면 이들 향남읍봉담읍은 2025년 일반구 분구 이후 기능 고도화 기간인 2020년대 중반 이내에 으로 전환될 계획이 있다.

2021년 정부의 3기 신도시 계획으로 진안신도시가 발표되었다.

3.1. 지명 문제

현재의 화성시 일대는 예전에 수원군의 일부였는데, 수원군의 핵심 지역인 수원읍이 수원군으로부터 분리되어 수원부(현재 수원시)로 승격되면서, 수원읍이 분리되고 남은 수원군 지역은 지명을 화성군으로 변경했다. 이 화성이란 이름은 다름 아닌 수원시(구 수원읍)에 있는 세계문화유산수원화성(水原華城)에서 따 왔기 때문에, 한자도 같다. 수원군청의 이름 역시 화성군청으로 바뀌어 1970년 오산읍으로 이전할 때까지 수원시 내에 남아있었다.[26] 1995년 도농통합 대상에서 배제되어 수원시와 통합되지 않았고, 2001년 화성시로 승격되면서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이것 때문에 화성시라는 명칭과 달리 화성이 화성시가 아닌 수원시에 있어서 헷갈려 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정작 당사자들인 수원시민 및 화성시민 대부분은 이에 대해 별 신경을 쓰지 않는 듯 하다. 타 지역에서 출신 지역을 소개할 때 화성시 동부 지역, 특히 진안동이나 병점동 주민들의 경우 같은 이유로 그냥 '수원에 산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남수원이라는 이름을 쓰는 시설들이 종종 보일 정도. 그리고 동탄신도시 주민들은 수원도 화성도 아닌 '동탄에 산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된 이유는 옛 수원군 수원읍이 1949년 수원부→수원시로 분리 승격될 때, 시와 군이 분리되면 둘 중 하나의 명칭을 바꿨던 당시의 관행에 따라 수원군의 잔여 지역을 수원의 전통적인 상징이자 옛 명칭인 화성에서 이름을 따와 화성군으로 개칭한 것에서 출발한다. 수원화성 축조 이후 수원유수부를 화성유수부로 개칭되어 지명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후에 다시 수원부로 격하되었다가 1895년 갑오개혁으로 인해 23부제가 실시될 때 수원군으로 개편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1963년 수원시의 행정 구역이 대대적으로 확장되기 전까지만 해도, 당시의 화성군은 화성 성곽에 좀 더 근접한 곳(정자동, 송죽동, 조원동, 매탄동, 권선동[27] 등)까지 관할하고 있었다. 즉, 그때만 해도 화성군에서 화성 성곽을 관할하진 않았지만 그래도 볼 수는 있었다. 이것이 시 승격 이후에도 현재까지 화성시란 이름으로 이어진 것이다.

다만, 역사적으로 수원화성이 축조되기 전의 수원읍성[28]은 현재 융건릉이 조성된 화성시 안녕동 일대에 위치[29]했는데, 조선 정조가 구 수원읍치를 헐고 조성한 것이 바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융릉)이며, 당시 구 수원읍치에 살던 주민들을 이주시키기 위해 당시 수원읍치의 북동쪽이던 팔달산 자락에 수원화성을 축조하여 이를 새 수원읍치로 삼았다. 이 때문에 오늘날 수원화성은 수원시에 있고, 구 수원읍성은 화성시에 위치하게 된 아이러니한 상황이다.[30]

화성시의 명칭이 시흥시마냥 껍데기라고만 볼 수 없는 것이, 사실은 수원화성의 '화'의 유래는 현재 화성시 소재의 화산(華山/花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원시가 화성시로, 화성시가 수원시로 이름을 바꾸면 깔끔하고 알맞게 역사에 부합하게 되겠지만 이미 오랜시간 동안 현재의 이름이 정착했고, 각 도시의 시민들도 이런 내력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바뀔 가능성은 거의 없다.

한편, 이러한 '수원시=화성군(시)'의 명칭 부여 방식과 유사한 사례는 국내에 몇 곳 더 있다. 여러 지역에서 비슷한 형태가 존재했는데, 대부분 1995년 도농통합으로 인해 일부 지역(익산군, 통영군, 거제군 등)을 제외하면 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4. 지리

4.1. 자연지리

넓은 서부와 가는 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서쪽에 여러 곳 있었지만 간척으로 육지화되어 면적이 더욱 넓어지고 있다.

동고서저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동쪽 경계는 무봉산-병봉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용인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반면, 서쪽으로 낮아지면서 황해와 만난다.

서쪽 해안가는 갯벌리아스식 해안이 복잡하게 펼쳐 있었지만, 한국의 만성적인 영토부족 때문에 계속된 간척으로 지금은 제부도 등에만 약간 남고 대부분 육지화 및 직선화됐다. 시화방조제로 인한 시화호, 화성방조제로 인한 화성호가 조성되었으며 농지 또는 산업용지나 송산지구, 화옹지구 간척 개발로 시의 면적이 꽤나 늘어났다. 이 탓에 비교적 활발했던 어업이 크게 위축되었으며, 궁평항과 전곡항 등 일부에서만 어항으로서의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 지역은 조석 간만의 차가 굉장히 크다. 썰물 때 갯벌이 광활하게 펼쳐진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시화호 시화방조제에서 조력 발전이 가능할 정도다.

경기도 내에서 서해바다를 끼는 몇 안되는 도시[33]임에도 동쪽의 동탄에 집중적인 개발이 이루어지는 데다 서쪽이 국내에서 알아주는 갯벌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보니 해안도시 느낌은 거의 안 든다. 오히려 한강을 끼고 있지만 분류상으로는 엄연히 내륙도시 취급받는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하남시 등이 한강의 압도적인 폭 때문에 약간 해안도시같은 정서가 있다.

파일:국가지질공원사무국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color: #000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word-break: keep-all"
제주도 울릉·독도 부산 청송
한탄강 백령·대청 진안·무주 단양
무등산권 의성 고군산군도 화성
각 등재 지역의 세부 장소는 국가지질공원 문서 참조. }}}}}}}}}

한편 공룡알 화석이 나오는 등 자연유산이 꽤 있어서 2024년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됐다. #

4.2. 도시구조

파일:2023년 화성시 도시구조.png
2023년 6월 기준. 주황색은 읍면, 회색은 동 지역이다.
동탄의 규모가 압도적이긴 하나 읍면 인구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다만 각 읍면이 각개약진하듯 성장하다보니 도시의 구심점이 없고 소생활권이 분산되어 있는 전형적인 다핵도시다. 전체적으로 놓고 보면 동부는 동부대로 개별 읍면은 읍면대로 발전한 다핵도시지만, 동부 지역만 놓고 보면 다핵도시의 형태는 아니고 주로 서부 지역에서 이런 경향이 강하다. 이 문제는 구 설치안이 발표됐을 때에도 서부지역 내 갈등의 단초가 되었다. 분산된 도시구조의 양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기도 광주시, 남양주시, 용인시와 마찬가지로 스프롤 현상이 매우 심하다. 특히 수원시를 비롯한 대도시권의 영향으로 인해 인접지역인 수지구기흥구같은 서부지역에 인구가 밀집해 있고 나머지 읍면동이 처인구에 몰려있는 용인시의 동서를 뒤집은것과 정확히 일치하는 상황이다. 화성시에서 신도시를 제외한 지역은 대부분 공장이 많은 구도심 지역과 농사(주로 , 포도[38])를 짓는 시골 지역이 뒤죽박죽 섞여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화성군 시절부터 살아온 토박이들을 제외하면 '화성시민' 내지는 '화성 사람'으로서의 정체감이나 연대감이 매우 미약한데, 수원군에서 분리되기 전까지 '화성'이라는 이름의 기성 도시가 없었던 점, 택지개발로 유입된 외지인이 시민의 대부분인 점, 화성의 동서로 긴 지리적 여건[39]과 그로 인한 지역 간 이질성, 동부를 제외한 각 택지지구 간의 미흡한 교통 여건[40] 등의 요인에 의한 것이다. 실생활에서 화성시민들이 자신들의 지역을 '화성'으로 표현하는 경우는 아예 없다고 봐도 좋으며, 남양, 봉담, 향남(발안), 병점, 반월, 1동탄, 2동탄 등의 동네 지명이 쓰인다. '화성'은 선거철이나 행정 서비스를 받을 때 접하게 되는 지명 정도로 여길 정도니 말 다했다. 그나마 연담화된 동부의 병점-동탄1신도시-동탄2신도시 라인조차도 '화성시민'으로서의 소속감이 매우 약하며, 지역에 따라서는 수원이나 용인과 더 가까운 생활권을 중심으로 살아가곤 한다. 따라서 화성시민, 특히 동부지역 사람이 '화성'이라고 하면 주로 시청이 위치한 서부 지역을 지칭하는 표현일 확률이 매우 높다.[41]

도시가 형성된 지 20년도 안 되었고, 아직도 개발 중이라서 동부지역의 지명이 중구난방이다. 동부지역은 크게 옛 태안읍(현 병점)지역과 동탄면(현 동탄)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2001년 시 승격때 옛 태안읍의 중심지인 병점(진안동)에 화성시 동출장소가 설치되어 태안읍, 동탄면 지역을 관할했었다. 그러나 2018년 동탄2신도시 오산동에 옛 동탄면 지역을 관할하는 화성시 동출장소가 설치되어 현재 이곳에는 옛 태안읍 지역을 관할하는 동부출장소와 옛 동탄면 지역을 관할하는 동탄출장소가 있다. 그러나 동탄이 점차 커져가는 과정에서 태안/동탄지역의 경찰서명이 화성시 동경찰서에서 화성시 동경찰서로 개칭되어 신설되는 등 동부지역에서 병점, 넓게는 구 태안읍 전체와 동탄신도시간의 무언의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2022년 분구를 통해 비슷한 명칭과 혼용으로 시민들에게 혼란을 주던 옛 태안읍 지역의 '동부'명칭이 현재 이 지역의 통칭인 '병점' 또는 제2의 명칭으로 통합되기를 기대하는 수밖에 없다.

5. 인구

화성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화성군 일왕면 일부[42], 태장면 일부[43], 안룡면 일부[44]수원시 편입
화성군 태장면 + 안룡면 → 태안면 합면
화성군 일왕면 → 의왕면 개칭 및 시흥군 편입
1966년 204,254명
1970년 189,604명
1975년 208,171명
1980년 217,090명
1983년 2월 15일 화성군 반월면 초평리·월암리 → 시흥군 의왕읍 편입
1985년 225,941명
1986년 1월 1일 화성군 반월면 일부[45]안산시(신설) 편입
1987년 1월 1일
화성군 매송면 금곡리·호매실리 → 수원시 서둔동 편입
화성군 양감면 고렴리 → 평택군 청북면 편입
1989년 1월 1일 화성군 오산읍 → 경기도 오산시 승격 분리
1990년 187,370명
1994년 12월 26일
화성군 반월면 입북리·당수리 → 수원시 권선구 편입 및 입북동 신설
화성군 태안읍 영통리 전역, 신리·망포리 각 일부 →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 편입
화성군 반월면 건건리·사사리·팔곡일리 → 안산시 편입 및 반월동 신설
화성군 반월면 둔대리·대야미리·속달리·도마교리군포시 편입 및 대야동 신설
1995년 4월 20일 화성군 태안읍 신리·망포리 → 수원시 팔달구 매탄3동 편입
1995년 163,445명
2000년 191,444명
2001년 3월 21일 경기도 화성군 → 화성시 승격[46]
2005년 296,530명
2010년 505,838명
2015년 596,525명
2020년 7월 24일 수원시 신동·영통동 일부 ↔ 화성시 반정동 일부 경계 조정 실시
2020년 855,248명
2025년 3월 976,65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0만 명
읍면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봉담읍 107,849명
향남읍 85,318명
남양읍 59,908명
동탄7동 57,007명
동탄4동 53,212명
동탄1동 50,050명
진안동 49,747명
동탄5동 48,234명
동탄9동 47,460명
동탄6동 45,646명
동탄3동 40,234명
동탄8동 37,436명
반월동 37,026명
병점1동 36,186명
동탄2동 34,194명
화산동 27,834명
새솔동 26,938명
병점2동 22,385명
우정읍 17,056명
기배동 15,860명
비봉면 13,209명
정남면 10,535명
송산면 10,533명
장안면 9,516명
팔탄면 9,333명
서신면 7,129명
마도면 6,578명
매송면 6,390명
양감면 3,852명
2025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1만 명
}}}}}}}}} ||
읍면동별 인구 정점 통계[47]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봉담읍 107,849명
향남읍 85,844명
남양읍 59,908명
동탄7동 57,007명
동탄4동 54,520명
동탄1동 53,869명
진안동 49,747명
동탄5동 48,234명
동탄9동 47,460명
동탄6동 45,646명
동탄3동 44,350명
동탄2동 37,762명
동탄8동 37,436명
반월동 37,130명
병점1동 36,932명
화산동 27,834명
병점2동 27,551명
새솔동 26,938명
우정읍 20,103명
기배동 16,280명
송산면 16,114명
정남면 13,275명
비봉면 13,209명
장안면 12,220명
서신면 10,443명
팔탄면 10,424명
매송면 9,133명
마도면 7,637명
양감면 7,162명
읍면동별 인구 정점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1만 명, 총계: 984,582명
}}}}}}}}} ||

현재 대한민국에 있는 시들 중에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이다.

2001년 시 승격 당시 화성시 인구는 210,524명으로 당시 면적이 훨씬 작은 군포시, 광명시, 시흥시보다도 인구가 적었다. 특히 현재 화성시 인구에 못미치는 안양시는 당시만 해도 화성시보다 인구가 거의 3배나 많았다. 심지어 당시 경기도에 있던 11개에 달하는 행정구들[48]보다도 인구가 적었다. 하지만 지난 22년 동안 화성시 인구는 4배 이상, 그야말로 엄청나게 불어나면서 경기도 인구 4위[49]의 도시로 도약했다. 2022년 9월 인구 90만 명을 달성하였고, 2023년 4월 성남시의 인구수를 추월하여 4위가 되었다. 결국 2023년 12월 12일, 화성시의 인구가 외국인 포함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이로써 화성시는 2025년 1월 1일부터 특례시 혜택을 받게 되었다.

2007년 강남 대체 신도시로 '동탄2신도시'(기존 동탄1신도시의 동쪽 지역. 경부고속도로가 관통한다)가 선정되는 등, 2020년대에 강남 뺨치는 도시로 성장할 기대가 되는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수도권 최대 규모[50]로 조성되는 신도시인 동탄2신도시는 2018년부터 입주를 시작한 아파트들이 많으며, 동탄테크노밸리와 수도권에서 강남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업무지구가 될 광역비즈니스콤플렉스가 조성되고 있다.

게다가 2021년 8월 30일에 정부에서 진안동 일대(반월동, 기산동, 진안동, 반정동) 대규모 택지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비슷한 시기 봉담 또한 상당한 크기로 3지구가 들어서기에 인구가 더욱 늘어날 확률이 높다. 이전부터 개발하고 있던 송산그린시티도 있어서 모두 개발이 된다면 수원시의 인구수를 추월해서 경기도 1위가 될 것이다.

2024년 상반기 소멸위험지수가 1.308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소멸위험지수는 높을수록 소멸 가능성이 낮다는 뜻이므로, 화성시는 현재 기준 전국에서 소멸 가능성이 제일 낮은 기초자치단체다.[51]

===# 읍면동별 인구 #===
파일:화성시 CI.svg 봉담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269명
1970년 7,532명
1975년 8,649명
1980년 9,651명
1983년 2월 15일 비봉면 상기리 → 봉담면 편입
1985년 12,739명
1990년 13,842명
1995년 14,726명
1998년 4월 6일 화성군 봉담면 → 봉담읍 승격
2000년 25,958명
2005년 30,062명
2010년 64,829명
2015년 68,539명
2020년 81,760명
2025년 3월 107,84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1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우정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520명
1970년 15,514명
1975년 16,233명
1980년 14,899명
1985년 14,348명
1990년 15,249명
1995년 18,395명
2000년 18,260명
2003년 6월 14일 화성시 우정면 → 우정읍 승격
2005년 18,341명
2010년 17,164명
2015년 18,088명
2020년 17,382명
2025년 3월 17,05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향남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872명
1970년 12,313명
1975년 13,131명
1980년 12,209명
1985년 12,626명
1987년 1월 1일 팔탄면 지월리 일부 → 향남면 편입 및 장짐리 신설
1990년 15,281명
1995년 15,265명
2000년 14,537명
2005년 17,482명
2007년 1월 29일 화성시 향남면 → 향남읍 승격
2010년 50,835명
2015년 67,824명
2020년 85,844명
2025년 3월 85,31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7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남양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886명
1970년 12,489명
1975년 12,385명
1980년 11,058명
1985년 9,765명
1990년 10,752명
1995년 11,568명
2000년 12,049명
2001년 3월 21일 화성군 남양면 → 남양동 전환[52]
2005년 21,392명
2010년 23,744명
2014년 10월 20일 화성시 남양동 → 남양읍 전환
2015년 25,663명
2020년 41,654명
2025년 3월 59,90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2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매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909명
1970년 8,155명
1975년 8,709명
1980년 8,805명
1985년 8,933명
1987년 1월 1일 화성군 매송면 금곡리·호매실리 → 수원시 서둔동 편입
1990년 6,674명
1995년 9,133명
2000년 9,018명
2005년 8,127명
2010년 7,900명
2015년 8,382명
2020년 7,200명
2025년 3월 6,3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비봉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622명
1970년 8,406명
1975년 8,636명
1980년 7,711명
1983년 2월 15일 비봉면 상기리 → 봉담면 편입
1985년 6,289명
1990년 5,570명
1995년 5,521명
2000년 5,643명
2005년 5,835명
2010년 6,385명
2015년 5,942명
2020년 5,854명
2025년 3월 13,20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마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637명
1970년 6,656명
1975년 6,652명
1980년 5,669명
1985년 5,221명
1990년 5,459명
1995년 4,428명
2000년 4,464명
2005년 4,865명
2010년 5,947명
2015년 6,627명
2020년 6,890명
2025년 3월 6,5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화성시 CI.svg 송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114명
1970년 14,645명
1975년 15,296명
1980년 13,206명
1985년 11,668명
1987년 1월 1일 서신면 칠곡리 → 송산면 편입
1990년 11,914명
1995년 11,067명
2000년 10,032명
2005년 10,211명
2010년 11,225명
2015년 11,245명
2020년 10,908명
2025년 3월 10,53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서신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443명
1970년 9,160명
1975년 9,242명
1980년 7,985명
1983년 2월 15일 서신면 칠곡리 → 송산면 편입
1985년 6,840명
1990년 5,936명
1995년 6,094명
2000년 6,121명
2005년 6,170명
2010년 6,905명
2015년 7,039명
2020년 7,126명
2025년 3월 7,12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팔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941명
1970년 9,652명
1975년 9,361명
1980년 8,234명
1985년 7,687명
1987년 1월 1일 팔탄면 지월리 일부 → 향남면 편입 및 장짐리 신설
1990년 7,071명
1995년 7,065명
2000년 7,340명
2005년 10,043명
2010년 10,405명
2015년 10,424명
2020년 9,960명
2025년 3월 9,33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장안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097명
1970년 10,031명
1975년 11,479명
1980년 11,955명
1985년 10,488명
1990년 12,220명
1995년 9,809명
2000년 11,326명
2005년 11,606명
2010년 11,365명
2015년 10,940명
2020년 10,310명
2025년 3월 9,51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양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162명
1970년 6,227명
1975년 6,335명
1980년 5,293명
1985년 5,212명
1987년 1월 1일 화성군 양감면 고렴리 → 평택군 청북면 편입
1990년 4,120명
1995년 4,312명
2000년 4,113명
2005년 4,424명
2010년 4,367명
2015년 4,266명
2020년 3,973명
2025년 3월 3,85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화성시 CI.svg 정남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827명
1970년 9,629명
1975년 9,325명
1980년 8,784명
1985년 8,658명
1990년 10,588명
1995년 9,328명
2000년 12,053명
2005년 12,855명
2010년 13,275명
2015년 12,509명
2020년 11,420명
2025년 3월 10,53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새솔동 인구 추이
(2018년~현재)
2018년 1월 1일 송산그린시티 동측 간척지 새솔동 설치
2018년 10,712명
2019년 18,386명
2020년 21,561명
2021년 24,737명
2022년 25,312명
2023년 25,755명
2024년 26,950명
2025년 3월 26,93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진안동 인구 추이[舊1]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태장면 일부[54] 안룡면 일부[55] → 수원시 편입
화성군 태장면 + 안룡면 → 태안면 합면
1966년 13,358명
1970년 13,309명
1975년 16,106명
1980년 21,716명
1985년 10월 1일 화성군 태안면 → 태안읍 승격
1985년 29,510명
1990년 33,728명
1994년 12월 26일 화성군 태안읍 일부[56] → 수원시 편입
1995년 4월 20일 화성군 태안읍 신리·망포리 → 수원시 편입
1995년 26,460명
2000년 43,014명
2005년 124,904명
2006년 1월 2일
태안읍 폐지
태안읍 진안리 + 능리 + 기산리 + 반정리 → 진안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1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2동 신설
태안읍 반월리 → 화성시 반월동 전환
태안읍 기안리 + 배양리 → 기배동 신설
태안읍 황계리 + 송산리 + 안녕리 → 화산동 신설
2007년 1월 29일 동탄면 일부 + 진안동 일부 → 동탄동 신설
2010년 34,638명
2015년 36,092명
2020년 43,777명
2025년 3월 49,74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병점1동 인구 추이
(2006년~현재)
2006년 1월 2일
태안읍 폐지
태안읍 진안리 + 능리 + 기산리 + 반정리 → 진안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1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2동 신설
태안읍 반월리 → 화성시 반월동 전환
태안읍 기안리 + 배양리 → 기배동 신설
태안읍 황계리 + 송산리 + 안녕리 → 화산동 신설
2006년 26,466명
2007년 26,864명
2008년 26,958명
2009년 27,370명
2010년 27,490명
2011년 27,465명
2012년 27,842명
2013년 28,253명
2014년 29,126명
2015년 28,597명
2016년 28,873명
2017년 29,213명
2018년 28,679명
2019년 28,271명
2020년 28,504명
2021년 36,133명
2022년 36,932명
2023년 36,576명
2024년 36,283명
2025년 3월 36,18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병점2동 인구 추이
(2006년~현재)
2006년 1월 2일
태안읍 폐지
태안읍 진안리 + 능리 + 기산리 + 반정리 → 진안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1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2동 신설
태안읍 반월리 → 화성시 반월동 전환
태안읍 기안리 + 배양리 → 기배동 신설
태안읍 황계리 + 송산리 + 안녕리 → 화산동 신설
2006년 25,198명
2007년 25,743명
2008년 25,847명
2009년 26,594명
2010년 27,257명
2011년 27,440명
2012년 27,536명
2013년 27,551명
2014년 27,544명
2015년 26,937명
2016년 26,696명
2017년 26,151명
2018년 25,418명
2019년 24,622명
2020년 24,494명
2021년 23,914명
2022년 23,491명
2023년 22,924명
2024년 22,523명
2025년 3월 22,38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반월동 인구 추이
(2006년~현재)
2006년 1월 2일
태안읍 폐지
태안읍 진안리 + 능리 + 기산리 + 반정리 → 진안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1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2동 신설
태안읍 반월리 → 화성시 반월동 전환
태안읍 기안리 + 배양리 → 기배동 신설
태안읍 황계리 + 송산리 + 안녕리 → 화산동 신설
2006년 15,053명
2007년 18,894명
2008년 19,591명
2009년 19,891명
2010년 19,772명
2011년 19,793명
2012년 20,002명
2013년 19,706명
2014년 19,811명
2015년 25,970명
2016년 27,543명
2017년 31,009명
2018년 31,925명
2019년 31,642명
2020년 32,533명
2021년 31,874명
2022년 32,089명
2023년 37,265명
2024년 37,130명
2025년 3월 37,02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기배동 인구 추이
(2006년~현재)
2006년 1월 2일
태안읍 폐지
태안읍 진안리 + 능리 + 기산리 + 반정리 → 진안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1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2동 신설
태안읍 반월리 → 화성시 반월동 전환
태안읍 기안리 + 배양리 → 기배동 신설
태안읍 황계리 + 송산리 + 안녕리 → 화산동 신설
2006년 15,114명
2007년 14,969명
2008년 14,856명
2009년 15,087명
2010년 15,203명
2011년 15,258명
2012년 15,316명
2013년 15,188명
2014년 15,194명
2015년 14,948명
2016년 14,817명
2017년 14,571명
2018년 14,176명
2019년 13,879명
2020년 13,673명
2021년 13,561명
2022년 16,280명
2023년 16,049명
2024년 15,922명
2025년 3월 15,8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화산동 인구 추이
(2006년~현재)
2006년 1월 2일
태안읍 폐지
태안읍 진안리 + 능리 + 기산리 + 반정리 → 진안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1동 신설
태안읍 병점리 일부 → 병점2동 신설
태안읍 반월리 → 화성시 반월동 전환
태안읍 기안리 + 배양리 → 기배동 신설
태안읍 황계리 + 송산리 + 안녕리 → 화산동 신설
2006년 22,548명
2007년 23,713명
2008년 23,703명
2009년 23,987명
2010년 24,077명
2011년 24,010명
2012년 24,176명
2013년 24,214명
2014년 24,177명
2015년 23,535명
2016년 23,485명
2017년 24,523명
2018년 24,372명
2019년 23,555명
2020년 23,237명
2021년 22,929명
2022년 23,822명
2023년 27,204명
2024년 27,763명
2025년 3월 27,8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동탄1동 인구 추이
(2007년~현재)
2007년 1월 29일 동탄면 + 진안동 일부 → 동탄동 신설
2007년 36,640명
2008년 3월 3일 동탄동 → 동탄1동, 동탄2동 분동
2008년 64,935명
2009년 6월 8일 동탄1동동탄1동, 동탄3동 분동
2009년 41,276명
2010년 46,288명
2011년 50,047명
2012년 51,254명
2013년 52,442명
2014년 53,869명
2015년 52,822명
2016년 53,775명
2017년 53,398명
2018년 51,951명
2019년 50,401명
2020년 51,459명
2021년 50,932명
2022년 50,920명
2023년 50,375명
2024년 50,082명
2025년 3월 50,05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동탄2동 인구 추이
(2008년~현재)
2008년 3월 3일 동탄동 → 동탄1동, 동탄2동 분동
2008년 23,145명
2009년 30,931명
2010년 32,937명
2011년 33,981명
2012년 35,209명
2013년 35,677명
2014년 37,203명
2015년 36,730명
2016년 37,762명
2017년 37,353명
2018년 36,811명
2019년 35,760명
2020년 35,949명
2021년 35,207명
2022년 34,740명
2023년 34,409명
2024년 34,228명
2025년 3월 34,19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동탄3동 인구 추이
(2009년~현재)
2009년 6월 8일 동탄1동 → 동탄1동, 동탄3동 분동
2009년 37,228명
2010년 38,537명
2011년 40,427명
2012년 41,556명
2013년 42,172명
2014년 44,350명
2015년 44,003명
2016년 44,256명
2017년 43,903명
2018년 43,290명
2019년 41,898명
2020년 42,204명
2021년 41,806명
2022년 41,724명
2023년 40,896명
2024년 40,399명
2025년 3월 40,2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동탄4동 인구 추이
(2015년~현재)
2015년 1월 1일 동탄면 영천리 + 청계리 + 오산리 → 동탄4동 신설
2015년 46,184명
2016년 71,830명
2017년 91,439명
2018년 1월 1일 동탄면 일부 + 동탄4동 일부 → 동탄5동 분동
2018년 54,520명
2019년 53,690명
2020년 53,441명
2021년 52,628명
2022년 53,085명
2023년 53,440명
2024년 53,359명
2025년 3월 53,21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동탄5동 인구 추이
(2018년~현재)
2018년 1월 1일 동탄면 일부 + 동탄4동 일부 → 동탄5동 분동
2018년 35,607명
2019년 37,140명
2020년 41,088명
2021년 45,102명
2022년 46,497명
2023년 46,897명
2024년 47,759명
2025년 3월 48,2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동탄6동 인구 추이[舊2]
(1966년~현재)
1966년 9,374명
1970년 8,641명
1975년 9,850명
1980년 12,892명
1985년 15,067명
1987년 1월 1일 동탄면 금곡리 일부 → 오산읍 편입 및 은계리 신설
1990년 12,375명
1995년 11,001명
2000년 10,361명
2005년 11,347명
2007년 1월 29일 동탄면 일부 + 진안동 일부 → 동탄동 신설
2010년 5,293명
2015년 1월 1일 동탄면 영천리 + 청계리 + 오산리 → 동탄4동 신설
2015년 3,219명
2018년 1월 1일
동탄면 일부 + 동탄4동 일부 → 동탄5동 신설
동탄면 잔여 지역 → 폐지 및 동탄6동 전환
2019년 7월 1일 동탄6동동탄6동, 동탄7동 분동
2019년 10월 21일 동탄6동동탄6동, 동탄8동 분동
2020년 31,036명
2025년 3월 45,64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동탄7동 인구 추이
(2019년~현재)
2019년 7월 1일 동탄6동 → 동탄6동, 동탄7동 분동
2019년 72,522명
2020년 84,202명
2021년 86,063명
2022년 90,581명
2023년 7월 1일 동탄7동동탄7동, 동탄9동 분동
2023년 56,880명
2024년 56,970명
2025년 3월 57,00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동탄8동 인구 추이
(2019년~현재)
2019년 10월 21일 동탄6동 → 동탄6동, 동탄8동 분동
2019년 20,369명
2020년 27,809명
2021년 31,998명
2022년 33,243명
2023년 33,657명
2024년 37,298명
2025년 3월 37,43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화성시 CI.svg 동탄9동 인구 추이
(2023년~현재)
2023년 7월 1일 동탄7동 → 동탄7동, 동탄9동 분동
2023년 7월 23,330명
2023년 12월 23,141명
2024년 7월 22,754명
2024년 12월 22,559명
2025년 3월 22,4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6. 도시행정

6.1. 화성시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청#|]][[화성시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1. 출장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청/동부출장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청/동부출장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청/동부출장소#|]][[화성시청/동부출장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청/동탄출장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청/동탄출장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청/동탄출장소#|]][[화성시청/동탄출장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비대한 면적 문제로 행정에 어려움이 있어 동부에 2곳의 출장소를 세우고 업무를 분담하고 있다. 추후 구 설치시 구청으로 전환 예정이다.

6.2. 우체국

6.2.1. 화성우체국

화성시 본청 관할 지역(봉담읍 제외)을 관할한다.
화성우체국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시청로202번길 92 (남양리)
관할 구역 화성시 새솔동, 남양읍, 우정읍, 향남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양감면, 장안면, 팔탄면

6.2.2. 화성동탄우체국

화성우체국이 관할하는 서부지역을 제외한 동부지역과 본청 관할인 봉담읍, 동부출장소 관할인 정남면을 관할한다. 동탄1신도시에 위치해있으며, 화성동탄우체국으로 가는 소포우편물에 한해 수원우편집중국이 아닌 중부권광역우편물류센터(충남 천안권역)에서 담당한다.[58]
화성동탄우체국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노작로 240 (석우동)
관할 구역 화성시 동탄1~9동, 병점1~2동, 기배동, 화산동, 반월동, 진안동, 봉담읍, 정남면

6.3. 치안

원래 화성동부경찰서[59], 화성서부경찰서[60] 두개로 나눠져 있었다. 화성서부경찰서는 시청 소재지인 남양읍에 위치해있지만, 화성동부경찰서는 이름과는 달리 화성시가 아닌 오산시에 위치해 있었다. 원래 오산시 원동CGV 오산중앙점이 입점해있는 르마레시티 자리가 경찰서 자리였다. 후 2011년 부산동으로 이전하였다. 2018년에는 오산경찰서와 분리되어, 동탄2신도시에 들어오게 되면서 화성동탄경찰서로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기존 화성동부경찰서는 오산경찰서로 바뀌었다.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으로 치안이 불안정할 것이라는 편견이 있지만, 화성시의 강력범죄 발생률은 2018년 기준 85개 도시들 중 82위로 오히려 치안이 굉장히 좋은 수준[61]이다. 단 하나의 사건으로 화성시민들은 30여년 간 연쇄살인의 도시에 산다는 오명을 뒤집어썼던 피해자라고 할 수 있다.[62]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인구의 대부분을 택지개발/신도시 구성원으로 차지하게 되면서 도시의 치안이 나쁘려야 나쁠 수가 없다. 외노자의 경우 대부분이 서부 지역의 국도변에 있는 공장 등지에 다니는 경우가 많으므로 동부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애초에 2000년대 들어 수원의 배후 신도시/택지지구로 개발된 곳들이기 때문이다.

6.3.1. 화성서부경찰서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문장.svg
화성서부경찰서
관할 지역
새솔동, 남양읍, 봉담읍, 향남읍, 우정읍, 서신면
송산면, 팔탄면, 비봉면, 매송면, 마도면, 양감면
{{{#!wiki style="color: #2350a9; margin: -0px -10px"
관할 지구대 / 파출소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margin-bottom: -6px; margin-left: -1px; margin-right: -1px; margin-top: -6px; color: #555555"
발안지구대 향남읍 3.1만세로 1095
☎ 031-352-0112
봉담지구대 봉담읍 와우로15번길 17
☎ 031-227-1112
남양파출소 남양읍 남양시장로 47
☎ 031-356-2112
우정파출소 우정읍 조암남로 31
☎ 031-351-1112
서신파출소 서신면 매화1길 31
☎ 031-357-3112
송산파출소 송산면 송산포도로 98
☎ 031-357-1112
팔탄파출소 팔탄면 서촌길 9
☎ 031-353-3112
비봉파출소 비봉면 양노로 118
☎ 031-356-0112
매송파출소 매송면 화성로 2249
☎ 031-291-2112
마도파출소 마도면 석교로 179
☎ 031-356-1112
양감파출소 양감면 은행나무로 263
☎ 031-352-1112
2 지구대 , 9 파출소
}}}}}}}}} ||
화성서부경찰서
Hwaseong Seobu Police Station
설립일 2008년 4월 4일
서장 총경 김원식
관할구역 새솔동, 남양읍, 봉담읍, 향남읍, 우정읍, 서신면, 송산면, 팔탄면, 비봉면, 매송면, 마도면, 양감면
상급기관 경기도남부경찰청
전신 화성경찰서[63]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로 570 (신남리)
홈페이지 화성서부경찰서 공식 홈페이지

6.3.2. 화성동탄경찰서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문장.svg
화성동탄경찰서
관할 지역
정남면,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1동, 동탄2동, 동탄3동,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 동탄9동, 반월동
{{{#!wiki style="color: #2350a9; margin: -0px -10px"
관할 지구대 / 파출소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margin-bottom: -6px; margin-left: -1px; margin-right: -1px; margin-top: -6px; color: #555555"
태안지구대 떡전골로 112-2
☎ 031-235-0112
동탄지구대 노작로 226-1
☎ 031-613-3112
동탄2지구대 동탄영천로 70
☎ 031-374-5112
동탄3지구대 왕배산길 6
☎ 031-375-3112
반월파출소 영통로27번길 25-19
☎ 031-203-3112
안용파출소 용주로32번길 4
☎ 031-234-0112
정남파출소 정남면 만년로 582
☎ 031-352-2112
4 지구대 , 3 파출소
}}}}}}}}} ||
화성동탄경찰서
Hwaseong Dongtan Police Station
설립일 2018년 12월 27일
서장 총경 변창범
관할구역 정남면, 반월동,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화산동, 기배동, 동탄1~9동
상급기관 경기도남부경찰청
전신 화성동부경찰서[64]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동탄대로13길 70 (오산동)
홈페이지 화성동탄경찰서 공식 홈페이지

6.4. 소방서

화성시는 면적이 서울특별시보다 약간 크지만 소방서는 단 하나뿐이다. 그나마 2025년 준공목표로 현재 화성동부소방서가 건설 중이기는 하나, 넓은 면적과 수많은 공장의 영향으로 화성소방서의 화재 출동 건수는 전국 시·군·구 중에서 수 년째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수많은 화재진압 경험에 의해 화성소방서에서 자체 개발한 소방호스 회수 기법도 있다. 이 기법은 타 시·도에서도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넓디넓은 면적은 어쩔 수 없어서 민방위 소집교육이 열릴 때마다 소방관과 응급구조사들이 드넓은 화성시에서 모인 민방위대원들에게 119 불러봤자 제 시간에 도착 못 한다는 경고를 도저히 빼먹지 못하는 실정이다.
파일:소방청 마크.svg
화성소방서
영문 명칭 Hwasung Fire Station
개청일 2008년 5월 26일
소방서장 조창래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향남로 399
설치년도 2008년
상급기관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웹사이트 파일:소방청 마크.svg
파일:소방청 마크.svg
화성소방서
{{{#!wiki style="color: #e40010; margin: -0px -10px"
관할 센터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margin-bottom: -6px; margin-left: -1px; margin-right: -1px; margin-top: -6px; color: #555555"
향남119안전센터
주소 향남읍 향남로 399
관할구역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지역대 팔탄119지역대, 양감119지역대
태안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병점중앙로 148
관할구역 진안동, 병점1·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지역대 미운영
반송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동탄반석로 188
관할구역 동탄1·2·3동
지역대 미운영
봉담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봉담읍 동화새터길 135
관할구역 봉담읍, 매송면
지역대 매송119지역대
남양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남양읍 남양시장로 48
관할구역 남양읍,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비봉면, 새솔동
지역대 마도119지역대, 송산119지역대, 서신119지역대, 제부119지역대, 비봉119지역대
정남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정남면 정남동로 514
관할구역 정남면
지역대 미운영
장안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장안면 3.1만세로 119
관할구역 장안면, 우정읍
지역대 우정119지역대[65]
목동119안전센터
주소 화성시 동탄신리천로 359
관할구역 동탄4·5·6·7동
지역대 미운영
8개 안전센터 운영
}}}}}}}}} ||

6.5. 세무서

화성시를 관할하는 세무서는 '화성세무서'와 '동화성세무서'의 2개이다. 화성세무서는 화성시 봉담읍에 위치하며, 병점·동탄권을 제외한 화성시 나머지를 관할한다. 동화성세무서는 화성시 동탄2신도시 지역에 위치하며, 화성시 동부(병점·동탄권)와 오산시까지 관할한다.
화성세무서
관할 구역 동탄, 병점을 제외한 화성시 전체지역
주소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참샘길 27
동화성세무서
관할 구역 동탄신도시, 병점, 오산시 지역
주소 경기도 화성시 동탄오산로 86-3 동탄MK타워 3~4, 9~11층

6.6. 교육청

교육지원청은 오산시에 있는 '경기도화성오산교육지원청'에서 두 도시를 모두 관할한다. 위의 경찰서와는 달리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까진 아니지만, 소재지는 '오산'인데 명칭에는 '화성'이 먼저 나오는 소소한 사항이 있다. 이상의 경찰서, 세무서, 교육청을 통해, 수원, 화성, 오산의 역사적 단일성과 도시권, 생활권이 행정상에도 상당히 반영돼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성오산교육지원청
상급 기관 경기도교육청
관할 지역 화성시, 오산시
주소 경기도 오산시 북삼미로 119 (내삼미동)

6.7. 사법

지방법원·검찰청은 수원지방법원·수원지방검찰청 직할구역으로 화성시 내에는 지방법원 및 지방검찰청이 없다. 다만 화성 내 법원 및 검찰청 설치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화성지방법원, 수원지방법원 화성지원, 화성시법원 등 여러 안이 있지만, 2024년 5월 7일 화성시법원을 설치하는 해당 법안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했다. #

고등법원·검찰청은 수원고등법원·수원고등검찰청 담당이다.

7.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교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교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교통#|]][[화성시/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 버스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 버스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 버스 목록#|]][[화성시 버스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SRT BI.svg 동탄
파일:KTX BI.svg 어천
파일:ITX-마음 BI.svg 서화성 · 화성시청 · 향남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동탄
파일:Seoulmetro1_icon.svg 병점 · 동탄
파일:SBLine_icon.svg 어천 · 야목
파일:SeohaeLine_icon.svg 국제테마파크 · 서화성
파일:SinansanLine_icon.svg 국제테마파크 · 서화성 · 화성시청 · 향남
파일:DILine_icon.svg 나노시티 · 능동 · 메타 · 동탄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svg경부 · 파일:Expressway_kor_400.svg수도권제2순환 · 파일:Expressway_kor_171.svg오산화성 · 파일:Expressway_kor_17.svg평택파주 · 파일:Expressway_kor_15.svg서해안 · 파일:Expressway_kor_153.svg평택시흥
국도 1 · 39 · 43 · 77 · 82
지방도 23 · 82 · 83 · 301 · 302 · 305 · 306 · 309 · 310 · 311 · 313 · 314 · 315 · 317 · 318 · 322
버스 향남환승터미널 · 서신터미널
화성시의 버스 목록 · 화성시의 마을버스
항만 무역항 궁평항
연안항 전곡항 · 제부항
어항 고온항 외 8개소
항공 경기국제공항
}}}}}}}}} ||
경기도의 교통

8. 경제

8.1. 특산물 및 산업

넓은 지역에(특히 서부 지역에) 많은 농지를 지니고 있기에 농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면적 버프를 받아 로 유명한 이천시, 여주시를 제치고 경기도 내 쌀(경기미) 생산량 1위이다. 화성시에서 재배되는 쌀은 넓고 풍요로운 안성평야 일원에서 재배되는 수향미라는 브랜드로 판매하고 있다. 또한 송산면서신면에서 재배하는 송산포도도 유명하다.

서해와 인접해 있어서 어업 또한 많이 발달되어 있었다. 그래서인지 속담에 “남양 원님 회 마시듯”이라는 말도 있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서는 간척사업으로 송산그린시티화성 국제테마파크 개발 때문에 북쪽과 서쪽 남서쪽 바다를 막아버리는 바람에 궁평항제부도가 있는 서신면을 제외하면 어업은 명맥만 남아있는 편이다.

사실 화성시 경제의 가장 큰 축은 제조업이다. 화성시 서부의 경제는 현대-기아자동차와 그 관계회사들이, 화성시 남부는 제약회사 공장들이, 화성시 동부의 경제는 삼성전자 화성캠퍼스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IT 등 다양한 업종에서 여러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생산공장들이 이끌어가고 있다. 그리고 그 사이의 광활한 구도심시골 벌판과 산골짜기마다 수천 개에 달하는 중소기업들과 소규모 공장들이 산재하고 있다. 그래서 경기도에서 기업이 가장 많은 도시이기도 하며 법인지방소득세도 경기도 1위다. 삼성전자현대자동차그룹이 낸 법인지방소득세가 총액의 75%에 달한다. 덕분에 타 지역에서의 인구 전출입이 활발한 편이고, 재정자립도도 경기도 최고수준이다. 덕분에 기업은행 영업점을 곳곳에서 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같은 경기도의 여주 같은 도시는 시내에도 기업은행 점포가 없는데, 여기는 에도 기업은행 영업점이 있다. 정말 농협 수준으로 많다.

농업, 어업, 제조업으로 인해 화성시에서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화성 일차전지 제조공장 화재 사고 당시에도 사망자의 대다수가 외국인 노동자였다. 국가기간산업급으로 엄중히 관리되는 반도체, 전기차 등 일부 업종(허튼짓하면 국정원에서 찾아온다!)에서는 외국인 노동인력 채용이 어려운 편이지만, 이 쪽에도 기업이 직접 스카우트한 외국인 노동자가 꽤 있다.

17년부터 19년도까지를 기준으로 경기도 내에서 가장 많은 비중의 GDP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화성은 유일하게 지역별 비중에서 10%가 넘는 지역이다. #

8.2. 상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상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상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상권#|]][[화성시/상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3. 금융

화성시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화성우체국 (11) 화성동탄우체국 (7)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2) 중소기업은행 (15)
특수은행
수협은행 (2) 농협은행(중앙회) (9)
시중은행
신한은행 (10) 우리은행 (15)
SC제일은행 (2) 하나은행 (5)
국민은행 (13) iM뱅크 (1)
지방은행
광주은행 (1) 전북은행 (1) 경남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송산농협 마도농협 남양농협 서화성농협
수원농협 정남농협 팔탄농협 발안농협
조암농협 동탄농협 태안농협 서산농협
도드람양돈농협 수원축산농협
수산업협동조합
경기남부수협 (5) 해남수협 (1)
새마을금고
화산새마을금고 화성새마을금고 경기화성새마을금고 화성제일새마을금고
화성서부새마을금고 삼성전자새마을금고 기아자동차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화성한마음신용협동조합 화성삼덕신용협동조합 화성제일신용협동조합 화성우리신용협동조합
병점신용협동조합
산림조합
화성오산수원산림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융창저축은행 (1)

9.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관광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관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관광#|]][[화성시/관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융건릉, 용주사, 제부도, 궁평항, 공룡알 화석지 등의 관광지가 있다. 일제강점기 때 일어났던 제암리 학살사건의 현장인 실제 제암리 마을이 있으며 이 지역에 제암리 순국기념관이 있다. 송산그린시티 내부에 신세계그룹 계열의 테마파크가 건설예정이다.[69]

화성시에선 자체적으로 화성팔경을 정해놓았는데 이걸 각 관광지마다 사자성어로 만들어 놓았다. 예를들자면 융건릉은 눈이 소복히 내렸을때 상당히 이쁜지라 융건백설로 지어놓는 식이고 남양성지같이 딱 4자로 떨어지는 것들은 이름 그대로 붙여놓기도 했다. 문제는 너무 어거지로 붙이다 보니 제암리 마을의 경우엔 제암만세로 붙여놓았고 제부도는 하루에 두차례씩 모세의 기적이 일어난다고 해서 제부모세라고 붙여놓았다.

서신면 전곡항에서 공룡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는데 화석 복원과 연구 끝에 새롭게 발견된 뿔공룡이라는게 밝혀졌고 코레아케라톱스로 명명되었다. 또 송산면에는 공룡알 화석지도 있어 고생물학자들이 이 일대에 관심이 크다. 지하철 광고에서 공룡유적지 운운하며 화성에 자연사박물관 유치! 어쩌고 하는 게 이 때문.

10. 생활문화

10.1. 교육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a52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a5200>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갈담초등학교 갈천초등학교 고정초등학교 구봉초등학교 기산초등학교
기안초등학교 남양초등학교 내리숲초등학교 노진초등학교 늘봄초등학교
능동초등학교 다원초등학교 대양초등학교 도이초등학교 동양초등학교
동탄목동초등학교 동탄중앙초등학교 동탄초등학교 동학초등학교 동화초등학교
마도초등학교 마산초등학교 무봉초등학교 반석초등학교 반송초등학교
발안초등학교 방교초등학교 배양초등학교 병점초등학교 봉담초등학교
비봉초등학교 사창초등학교 상봉초등학교 상신초등학교 새봄초등학교
새솔초등학교 서경초등학교 서신초등학교 서연초등학교 석우초등학교
석천초등학교 세정초등학교 솔빛초등학교 송라초등학교 송린초등학교
송산초등학교 송화초등학교 수기초등학교 수영초등학교 수현초등학교
숲속초등학교 신남초등학교 아인초등학교 안녕초등학교 안화초등학교
양감초등학교 여울초등학교 영천초등학교 예당초등학교 예솔초등학교
예원초등학교 와우초등학교 왕배초등학교 우정초등학교 율목초등학교
장명초등학교 장명초등학교장일분교장 정남초등학교 정림초등학교 정현초등학교
제암초등학교 진안초등학교 청룡초등학교 청림초등학교 청목초등학교
청연초등학교 청원초등학교 치동초등학교 태안초등학교 팔탄초등학교
팔탄초등학교대방분교장 푸른초등학교 하길초등학교 학동초등학교 한마음초등학교
한백초등학교 한울초등학교 한율초등학교 해운초등학교 행정초등학교
향남초등학교 호연초등학교 화남초등학교 화산초등학교 화성금곡초등학교
화성매송초등학교 화성반월초등학교 화성벌말초등학교 화성신동초등학교 화성월문초등학교
화성장안초등학교 화성장안초등학교
석포분교장
화성청계초등학교 화성화수초등학교 화원초등학교
활초초등학교 효행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52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f5200>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기산중학교 기안중학교 남양중학교 능동중학교 다원중학교
동탄목동중학교 동탄중학교 동학중학교 두레자연중학교 반송중학교
발안중학교 방교중학교 병점중학교 봉담중학교 비봉중학교
삼괴중학교 서신중학교 서연중학교 석우중학교 솔빛중학교
송린중학교 송산중학교 수현중학교 신백중학교 안용중학교
안화중학교 양감중학교 예당중학교 와우중학교 이산중학교
장안여자중학교 정남중학교 진안중학교 청계중학교 청림중학교
청연중학교 치동중학교 푸른중학교 하길중학교 한백중학교
향남중학교 화담중학교 화도중학교 화성동화중학교 화성반월중학교
화성상신중학교 화성세정중학교 화성신동중학교 화성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a52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a5200>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나루고등학교 남양고등학교 능동고등학교 동탄고등학교 동탄국제고등학교
동탄중앙고등학교 두레자연고등학교 반송고등학교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병점고등학교
봉담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삼괴고등학교 새솔고등학교 서연고등학교
송산고등학교 신동고등학교 안화고등학교 예당고등학교 와우고등학교
이산고등학교 이솔고등학교 정현고등학교 창의고등학교 치동고등학교
하길고등학교 한백고등학교 향남고등학교 향일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화담고등학교 화성고등학교 화성반월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화성시 CI_White.svg 화성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사립 파일:수원가톨릭대학교 UI.svg 수원가톨릭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파일:화성의과학대학교 UI.svg 화성의과학대학교,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화성캠퍼스)
전문
대학
파일:수원과학대학교 UI.svg 수원과학대학교,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수원여자대학교
파일:장안대학교 UI.svg 장안대학교
기능
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Ⅱ대학(화성캠퍼스)
대학원
대학
파일:능인불교대.png 능인대학원대학교 }}}}}}}}}


화성시는 옛날엔 교육취약지역이었지만 인구가 늘어나고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재는 좋은 수준이 됐다.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학교가 늘어났기 때문에 대부분이 공립이며 사립은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다.

큰 틀에서 동부와 서부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의 학교는 동부에 몰려있으며[70]서부에는 한 손으로 꼽을 정도로 학교가 적다. 동부의 경우엔 수원의 절대적 영향 아래에 있다. 수원의 교육환경이 상대적으로 좋은 탓에 상당수의 학생들이 수원으로 학원을 다닌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버스를 타고 적게는 몇십 분에서 길게는 한두 시간 동안 학원을 가기 위해 이동하는 것이 다반사이며 1시간 30분이 걸려 학원에 도착, 3시간 공부하고 다시 1시간 30분 걸려 집에 도착하기도 한다. 본격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공부. 그나마 다행인 건 수원의 사교육 중심지가 병점, 동탄과 가까운 영통지구라는 정도..? 다만 동탄1신도시 입주 14년차가 된 지금은 동탄 학군이 어느 정도 형성되어 반월동(신영통)쪽을 제외하면 예전보다는 수원학군의 영향이 줄었다.

초등학교의 경우, 동탄신도시 건설 초기 수요예측이 크게 빗나가면서 수요에 비해 공급이 크게 부족했으며, 이로 인해 신도시 대부분의 유휴부지에 학교가 지어졌다. 심지어는 초등학교 옆에 중학교를 지으려 했지만 또 다른 새로운 초등학교가 들어서기도 했다.

일반계고등학교는 비평준화 지역이며, 중학교 내신 성적을 기준으로 합/불이 결정된다. 초기 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신규 고등학교가 많이 생겨 먼저 설립된 순서대로 서열화가 나타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실질적인 평준화 상태이며 대부분 준수한 교육 환경을 가지고 있다. 학교별로 영재학급이나 특성화 학급도 가지고 있다. 기숙사가 있는 학교들도 있는데[71] 이는 교통이 불편한 곳에 있거나, 교육적 목적을 위해 건립한 것들이다. 또한 2019년 정현고등학교, 2020년 서연고등학교, 2022년 이솔고등학교 등 최근에도 지속적으로 고등학교가 신설되고 있다.

화성시 인문계 고등학교 역사에서 특기할 점은, 화성의 교육 환경은 과거 수원에 비해서는 떨어지는 편이었었지만, 정작 학생들은 비평준화의 특성을 타고 수원에서 넘어온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화성고등학교, 병점고등학교 등은 수원, 특히나 영통지구에서의 진학 수요가 꽤나 있었으며, 신도시로 인한 수요과잉과 맞물려 화성시 동부 전역에서의 고등학교 커트라인 상승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현재는 동부지역 대부분의 학교들이 교육적 측면에서 우수한 면학 분위기와 더불어 대부분 내신 및 비교과 관리가 어느 정도 잘 되는 편이다.

화성시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급 당 학생 수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많다. 당장 2023학년도 입학생의 경우 대부분 학교에서 한 학급당 35~37명씩을 배정받았다. 전국 어디를 가도 지금 시기에 한 학급당 35~37명을 받는 지역은 없다해도 무방하다. 또한 초경량 과밀학교가 무려 2(+1)개나 있다. 게다가 경량 과밀학교도 2개나 있다. 매우 악명높은 전국 최악의 초경량 과밀학교인 봉담고등학교, 교육청의 삽질로 초경량 과밀학교가 된 동탄중앙고등학교, 교육청의 삽질로 곧 초경량 과밀학교가 될 새솔고등학교가 있다. 게다가 경량 과밀학교인 병점고등학교, 안화고등학교도 있어서 학생 수용에 애를 먹는다. 물론 이러한 많은 학생 인구는 저출산 시대에 그만큼 화성시가 아이들이 많은 젊고 활력 있는 도시라는 의미도 된다.

한국 내에서는 젊은층이 상대적으로 많은만큼 0명대 초저출산 시대에도 학생 인구가 그나마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는 지역이라서 2030년대 이후로는 학군지 및 사교육 시장의 중심지가 서울에서 화성으로 옮겨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1, #2 학원 규모에서는 이미 강남을 넘어선 상황이다. #

특목고는 동탄국제고등학교가 있다. 전국구 모집단위로 선발하고 있으나, 지역인재전형으로 화성/오산시 고등학교 학생들을 우대해주고 있다. 우수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한다. 외국어계열 특목고임에도 공립학교여서 싼 학비를 자랑한다. 또한 주변의 수원외국어고등학교, 세마고등학교로도 많이 진학한다. 최근에는 경기외국어고등학교에도 진학하는 학생들이 생겼다고 한다.

특성화고는 매우 적은데,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실업계라는 이미지 때문에 입주민들이 반대했기 때문이다.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의 경우는 과거 발안농고가 특성화고로 바뀐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은 반 강제적으로 인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할 수밖에 없으며, 특성화고에 진학하려는 학생은 수원의 수원공업고등학교삼일공업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로 가게 된다.

하지만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도입 이야기가 들린다. 시장 및 시의원, 도의원, 교육감이 전부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실제로 실행되지는 않았다. 일부 학부형들과 심지어 학생들사이에서도 이러한 평준화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72] 중학교 진학과 달리 고등학교 진학은 내신성적에 의해서 정해져서, '공부 잘 하는 학생 = 착한 학생'이라는 고정관념에 의거하여 평준화가 이러한 학생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다라는 이유 때문이다.

대학교는 많은데, 4년제 대학으로는 수원대학교, 수원가톨릭대학교, 화성의과학대학교, 협성대학교, 홍익대학교 화성캠퍼스가 있고 전문대학으로는 수원과학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장안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화성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73] 덕분에 병점역 앞 버스정류장(특히 2번 출구, 후문)은 각 학교로 가려는 학생들로 엄청 붐빈다.[74] 그러나 한신대학교, 수원대학교 버스만 엄청 많다. 수원과학대 가는 버스는 20분마다 한번이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기불릭 산하 고등교육기관을 모두 가진 시군구 단위 지자체이다. 개신교: 협성대학교, 불교: 능인대학원대학교, 천주교: 수원가톨릭대학교

도봉구동작구 두 지역에 장학관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에 있는 대학에 다닐 경우 이용할 수 있다.

10.1.1. 심각한 고등학교 과밀 현상

동탄신도시 개발 이후 부족한 고등학교로 인해 엄청난 과밀현상에 시달리고 있다. 자칫 잘못하면 학급 당 40명을 돌파해 2부제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서 여러 조치를 해야 할 상황이다.

다만 동탄마저도 2017년생 이후로는 이전보다 아이들이 적어지기 때문에 과밀현상은 완화될 예정이다. 오히려 서울 등 다른 지역에 비해 폐교 및 과소학급 등에 대한 우려가 적다는 점에서[75] 화성시에 상대적으로 아이들이 많다는 점은 큰 장점이 될 것이다.

2023년 호연고의 신설이 승인되었는데 다행이도 적정 규모보다 더 크게 지어지면서 과밀 해소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2024년 신동2고, 남양2고의 신설이 승인되었다.

다음은 증축이나 신설이 필요한 고등학교 목록이다.
신설 확정 학교
고등학교 적정 규모 실제 규모 비고
치동고 39(3) 36(1) 2024년 개교
신동고 39(3) 39(1) 2025년 예정
화담고 45(4) 36(1) 2025년 예정
호연고 36(3) 42(1) 2026년 예정
신동2고 39(3) 42(1) 2027년 예정
남양2고 39(3) 24(1)
세정고 30(1) 2028년 예정
신설 필요 학교
고등학교 적정 규모 실제 규모 비고
청계고 45(4)
상신고 39(3) 36(1)
석우고 39(3)
기산고 39(3)
동탄특성화고 18(1)[다만] [77]
효행고 42(1)
태안고 39(3)
국제1고 30(3)
송산2-1고 48(5) 36(2)
증축 필요 학교
고등학교 학급 수 비고
동탄고 30(이전)
42(이후)
수평증축
능동고 24(이전)
33(이후)
수직증축
반송고 30(이전)
33(이후)
수직증축
안화고 30(이전)
39(이후)
수직증축
새솔고 30(이전)
42(이후)
수직증축 + 수평증축
병점고 30(이전)
33(이후)
수직증축
한백고 30(이전)
36(이후)
수직증축
남양고 24(이전)
39(이후)
미정
향남고 24(이전)
33(이후)
수직증축

10.2. 도서관

화성시립도서관 홈페이지
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공공도서관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rowcolor=#fff> 도서관명 소속읍면동 주소 홈페이지
동탄 복합문화센터 도서관 동탄2동 노작로 134 (반송동) #
동탄 중앙이음터 도서관 동탄4동 동탄대로시범길 115 (청계동)
동탄 다원이음터 도서관 동탄5동 동탄순환대로 754-14 (영천동)
동탄 목동이음터 도서관 동탄7동 동탄순환대로20길 6 (목동)
동탄 왕배푸른숲도서관 동탄7동 동탄대로12길 102 (산척동)
동탄 서연이음터 도서관 동탄8동 동탄순환대로8길 57 (장지동)
송린이음터 도서관 새솔동 수노을2로 150 (새솔동)
화성시립 병점도서관 병점2동 병점3로 132-6 (병점동)
화성시립 봉담도서관 봉담읍 봉담읍 샘마을1길 8-4 (상리)
화성시립 남양도서관 남양읍 남양읍 역골중앙로 143 (남양리)
화성시립 태안도서관 화산동 화산중앙로 19 (안녕동)
화성시립 삼괴도서관 우정읍 우정읍 쌍봉로 109-26 (조암리)
화성시립 정남도서관 정남면 정남면 만년로 527 (발산리)
화성시립 송산도서관 송산면 송산면 삼일공원로 87 (사강리)
화성시립 진안도서관 진안동 병점중앙로 229 (진안동)
둥지나래 어린이도서관 향남읍 향남읍 행정중앙2로 88 (행정리)
두빛나래 어린이도서관 동탄3동 동탄숲속로 69-14 (능동)
}}} ||

10.3. 영화관(멀티플렉스)

프랜차이즈 지점명 주소 비고
CGV 동탄 동탄중앙로 220 타임테라스 A블럭 3층 IMAX LASER
동탄역 동탄대로 537 라스플로레스 A동 5층 4DX
동탄호수공원 동탄대로 181 레이크꼬모 지하2층
동탄그랑파사쥬 송동 681-823 그랑파샤쥬 전석 리클라이너 좌석
화성봉담 봉담읍 동화길 51 지식산업센터(원희캐슬) 2층
화성송산 노들길 6-16 건설 중
롯데시네마 병점 효행로 1052 시네샤르망 A동 6층
향남 향남읍 상신하길로298번길 7-11 KT시네마 7층
동탄 오산동 967-2419 롯데백화점 동탄
메가박스 동탄 동탄지성로 11 7층 구. CGV 동탄스타점
화성반송 반송동 95 예정
씨네Q 동탄 동탄기흥로 570-6 골든아이타워

10.4. 의료기관

화성시보건소 보건행정과
화성시보건소 향남읍 3.1만세로 1055
화성시보건소 건강증진과
봉담주민건강지원센터 봉담읍 동화새터길 109
보건지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margin-bottom: -6px; margin-left: -1px; margin-right: -1px; margin-top: -6px; color: #555555"
동부
보건지소
떡전골로 72-3 동탄
보건지소
노작로 226-9
여울
보건지소
동탄순환대로 13 우정
보건지소
우정읍 쌍봉로 109-12
매송
보건지소
매송면 매송로 43 비봉
보건지소
비봉면 비봉71번길 1
마도
보건지소
마도면 마도북로 389 송산
보건지소
송산면 사강시장길 26
서신
보건지소
서신면 궁평항로 1702 팔탄
보건지소
팔탄면 구장길 14
장안
보건지소
장안면 포승장안로 1219 양감
보건지소
양감면 초록로 7
정남
보건지소
정남면 서봉로 998 남양
보건지소
남양읍 남양시장로 25-2
}}}}}} ||
화성시 내 응급실 운영 종합병원
병원명 주소 분류 병상수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큰재봉로 7 (석우동) 종합병원(대학) 781병상
원광종합병원 화산북로 21 (송산동) 종합병원 263병상
화성중앙종합병원 향남읍 발안로 5 (평리) 종합병원 139병상

동탄신도시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을 제외하고는 소규모 종합병원이며, 그 중 원광종합병원은 정신과병동의 비중이 1/3 가까이 되는 병원이다. 화성시 내에 상급종합병원은 없으며, 수원의 아주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산의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이 화성시에서 가까운 상급종합병원이다. 그래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전국동시지방선거 때마다 후보들이 대학병원, 의대 유치한다고 공약을 내걸고 있다.

10.5. 언어

대부분의 지역은 경기 방언표준어를 쓰지만, 우정읍장안면에선 충청 방언을 쓰기도 한다. 아무래도 바로 밑에 위치한 평택시의 모든 지역이 충청 방언 권역에 해당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 방언충청 방언 참조.

10.6. 스포츠

화성종합경기타운을 중심으로 많은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다.

10.6.1. 야구

파일:화성 코리요 엠블럼.png 파일:external/xportsnews.hankyung.com/1396593898322.jpg
화성 코리요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

과거 넥센 히어로즈2군이 들어서게 되면서 "화성 베이스볼 파크"건립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연고지 이전과 팀명 변경등이 포함된 업무 협약서를 교환했다. 이에 따라 넥센 히어로즈 2군은 명칭을 화성 히어로즈로 변경하였다. 화성 히어로즈는 2014년 4월부터 비봉면 유포리에 있는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를 사용했으며, 이후에도 아시아 최대 규모의 리틀야구장인 화성 드림파크 신축 등 여러 야구장 부지를 건설하는 야구 인프라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있다.

그러나 화성 히어로즈는 2019년부터 고양시로 이사가서 고양 히어로즈가 되었다. 이유는 계약 종료도 있지만, 화성시에서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를 공원으로 재건할 계획을 세운 것도 있다.

독립리그 화성 코리요 야구단이 창단하면서 화성 히어로즈 이후로 화성시에 연고를 둔 야구단이 만들어졌다.#

마침 수원시에 kt wiz가 존재하는데, 화성시민들의 kt wiz에 대한 반응은 둘로 나뉜다. 같은 구 수원군(수원-화성-오산) 지역이라서 혹은 가까워서 열렬히 응원하는 부류와 수원광역시 논의로 인한 수원시에 대한 반감 때문에 kt wiz를 미워하는 부류가 있다. 미워하는 부류는 대체로 부모님이 응원하는 팀을 응원하거나 다른 수도권 팀을 응원한다.

10.6.2. 축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 FC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 FC#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 FC#|]][[화성 FC#|]]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화성 FC 엠블럼.svg 파일:external/www.hkbs.co.kr/133846015874.jpg
화성 FC 화성종합경기타운
2025년부터 대한민국 2부 축구리그인 K리그2에 참가하는 프로 축구팀 화성 FC가 있다.

10.6.3. 배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여자배구의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의 연고지다. IBK기업은행은 2012~2013시즌 이후로 강팀으로 거듭났다. 그리고 남자 실업배구팀으로 화성시청 배구단이 있다.

10.6.4. 바둑

파일:2017_화성.png한국바둑리그에 "화성시 코리요"라는 팀명으로 참여한 사례가 있다. 2022년한국기원동탄신도시로 이전할 계획이었으나 주민들의 반발이 많아 의정부시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정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정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정치#|]][[화성시/정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군사


해병대사령부를 제외하면 땅덩이에 비해 큰 군사시설은 없는 편이다. 매송면에 제51보병사단 사령부가 있고, 봉담에서 발안으로 넘아가는 길 근처에 해병대사령부가 있다. 다만 병점권은 제10전투비행단수원 공군기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이며, 이 수원비행장을 화성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당연히 현지 반발이 심하다. 이는 매향리 사격장이 소음과 오폭 등의 문제로 50년 넘게 고통받다가 폐쇄되었는데, 다시 근처에 공군기지가 들어온다고 하면 그 피해는 더욱 심할 것이기 때문이다.[78]

13.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행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행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행정#|]][[화성시/행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화성전체.jpg 파일:화성법정.jpg
동부지역의 법정동[79]
파일:화성 동.png
화성시의 행정구역 동부지역의 행정동
화성시청 본청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시청로 159 (남양리)
【관할지역 열기】
새솔동, 봉담읍, 남양읍, 향남읍, 우정읍
매송면, 송산면, 마도면, 양감면, 장안면, 서신면, 비봉면, 팔탄면
화성시청
동부출장소
경기도 화성시 병점3로 23 (진안동)
【관할지역 열기】
행정동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반월동, 화산동, 기배동, 정남면
법정동
병점동, 진안동, 반정동, 기산동, 반월동, 송산동, 안녕동, 황계동, 기안동, 배양동, 정남면
화성시청
동탄출장소
경기도 화성시 동탄역로 122 5~8층 (오산동)
【관할지역 열기】
행정동
동탄1동, 동탄2동, 동탄3동,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 동탄9동
법정동
석우동, 능동, 반송동, 금곡동, 청계동, 오산동, 중동, 신동, 영천동, 산척동, 목동, 장지동, 방교동, 송동

다만 화성시청의 일부 과는 시청 청사의 문제인지 아님 지역 균형을 위함인지, 차량등록사업소와 함께 향남읍에 위치한 화성종합경기타운 내에 있다. 향남읍, 우정읍, 양감면, 장안면, 팔탄면 쪽의 물건지 관련으로 세금 신고를 하려면 이쪽으로 가자.

13.1. 행정구역 개편 논의

13.1.1. 수원 통합 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원광역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원광역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원광역시#|]][[수원광역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1.2. 4개구 분구(확정)

동탄신도시 지역을 화성시에서 분리해서 동탄시로 만들거나, 아니면 화성시 내 일반구를 설치해 동탄구를 만들자는 움직임이 있었고, 동탄지역과 읍면지역 간 격차가 너무 크기에 지역주민들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갈리는 문제라서 화성시에서는 결론을 못 내고 있었다. #[82] 그러나 아래와 같이 구 설치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파일:화성시 구 신설 구획안.jpg
▲ 화성시 구 신설 구획안[83]

2024년 화성시 인구가 100만 명을 돌파하면서, 구당 평균 인구 20만 이상을 기준으로 삼아 4개의 일반구를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상기했던 용인시처럼 인구 밀집 구조상 나머지 구도심이 위치한 처인구에 4개의 읍과 3개의 면이 그대로 유지되어 있듯이 남양읍을 중심으로 하나의 구로 묶어 나머지 서부와 남부의 읍과 면을 그대로 유지하는 형태를 따라갈 가능성이 점쳐지는 상황이다.

이후 최근 현황은 이곳 참조.

14.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화성시의 사건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화성시의 사건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화성시의 사건사고#|]][[분류:화성시의 사건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과거 제암리 학살사건,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 씨랜드 참사와 같은 사건사고를 겪은 아픈 역사가 있다.

15. 자매결연 도시

16. 여담

17.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화성시 출신 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화성시 출신 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화성시 출신 인물#|]][[분류:화성시 출신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파일:수원시 CI.svg
수원시
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
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
파일:창원시 CI.svg
창원시[★]
[★]: 도농복합시
}}}}}}}}} ||


[1] 25법정동[2] 추후 4(만세・효행・병점・동탄)구청 설치 계획이 있다.[3] 2023년 7월 1일 화성시청 면적 통계[4] 화옹지구, 송산그린시티 등의 간척 사업으로 늘어난 면적(지번이 부여되지 않아 면적 조사에서 제외)까지 포함하면 844㎢, 해수면 면적 282.13㎢까지 포함 시 총 1,126.13㎢.[5] 2025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외국인] 외국인 인구 포함 시 1,034,173명[7] 2025년 1월 기준[8] 화성시 가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이계철, 최은희
화성시 나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김경희
화성시 다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이은진
화성시 라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김상균
화성시 마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영수, 배정수
화성시 바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배현경, 유재호
화성시 사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장철규
화성시 아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이해남
화성시 비례대표: 위영란, 이용운
[9] 화성시 가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송선영
화성시 나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정흥범, 조오순
화성시 다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차순임
화성시 라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김종복
화성시 마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상수
화성시 바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박진섭
화성시 사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김미영, 임채덕
화성시 아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오문섭
화성시 비례대표: 명미정
[10] 화성시 라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전성균[11] 화성시 제1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이홍근 (초선)
화성시 제4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신미숙 (초선)
화성시 제5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태형 (재선)
화성시 제6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김회철 (초선)
화성시 제7선거구(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이진형 (초선)
화성시 제8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박진영 (초선)
[12] 화성시 제2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박명원 (초선)[13] 화성시 제3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박세원 (재선)[14] 특례시는 일정한 지위를 부여받는 것이지 공식적인 행정구역의 단위가 되지 않기에 승격이라는 표현은 쓰지 않는다.[15] 시에서는 행정안전부에 4개의 일반구 설치 신청을 할 예정이다.[16] 서해를 사이에 두고 접하고 있다.[17] 제부도에서 동탄2신도시까지의 직선거리는 48.1km로, 이는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서울특별시청까지에 해당하는 거리다. 또한 화성시 매송면에서 직선거리로 48.1km를 그어보면 무려 의정부시, 파주시까지도 닿는 엄청난 거리다.[18] 새솔동+읍면 지역(남양, 향남 등)[19] 동 지역(병점, 동탄 등)[20] 현재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자료가 1965년도 통계연보이다.[21] 인근 특례시수원시, 용인시처럼 사실상 CI 대신 편법으로 사용되고 있다.[22] V.I.B.E. 화성 Vitalty 젊은활력 + Intelligence 첨단미래 + Balance 균형발전 + Expand 지속성장[23]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화산동, 기배동[24] 동탄1동, 동탄2동, 동탄3동[25]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 동탄9동[26] 화성행궁 앞 지금의 후생병원 자리에 있었다. 군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표석[27] 현재 수원버스터미널이 있는 곳이다.[28] 참고로 수원읍성 유적은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29] 수원대학교도 이 옆의 봉담읍에 있는데, 학교 명칭과는 달리 수원시가 아닌 화성시에 있지만 옛 수원읍치 일대에 들어섰고, 화성시 자체가 역사적으로 수원군이란 이름으로 연원을 같이 하므로 학교 명칭이 아주 잘못된 것은 아니다.[30] 비슷한 사례로 수원시와 같은 특례시경상남도 창원시가 있다. 마산합포구의 유래인 합포성지마산회원구 합성동에 있고, 반대로 마산회원구의 유래인 회원현성지 성터는 마산합포구 자산동에 있다.[31] 북구 칠곡지구과 동구 안심지구, 수성구 시지 지구와 군위군을 제외한 지역에만 해당된다.[32] 해당 시설을 처음 지었을 당시의 지명이 월성군 양남면이었다.[33] 김포시, 시흥시, 안산시, 평택시, 화성시.[34] 동탄-병점권이 연담화되어있기는 하지만 동서로 길게 연결되어있어 동탄1신도시-병점이나 동탄1신도시-동탄2신도시 간의 교류는 많으나 병점-동탄2신도시 간의 교류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동탄2신도시는 리베라CC의 남북으로 생활권이 다소 분리되어 있는데, 남쪽 거주자들은 도시철도 이용시 병점역, 망포역보다는 오산대역이나 오산역을 많이 이용한다.[35] 동탄지역은 약 40만, 병점지역은 10만이다.[36] 그중 천천리가 대표적이다.[37] 수원 이름이 들어가있는 대학교가 많은데, 수원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수원가톨릭대학교 등이 있으며 근처 정남면이는 수원과학대학교까지 있다.[38] 송산면의 송산포도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39] 동탄신도시-송산그린시티간 거리는 서로 분당, 부천보다도 멀리 떨어져 있으며, 화성시 최동단인 중동과 최서단인 제부도는 60km 이상 떨어져 있다.[40] 화성 내의 간선교통(동서)으로는 2021년에야 비로소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화성JC~마도JC가 개통되어 송산~남양~봉담~병점~동탄의 연결이 되었다. 대중교통으로는 이 지역들 간의 이동이 여전히 어려운 점, 송산~동탄권에 해당되지 않는 조암, 향남 등과의 연결은 여전히 부실하다는 점은 화성시에게 아직도 숙제로 남아 있지만 대신 이 모든 지역에서 수원시서울특별시로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당장 위의 도시구조 지도만 보아도 알 수 있으며, 크게 서쪽은 서해안선(예정)으로, 중부는 경부선으로, 동부는 수서평택고속선으로 서울과 연결된다.[41] 동탄/병점 사람들은 서부 쪽의 봉담/향남을 화성이라 부르고, 봉담/향남 사람들은 시청 소재지인 남양 쪽을 화성이라 부르는 식이다. 수지구와 기흥구 일대 주민들이 처인구를 가리키며 용인이라고 지칭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사실 동부지역 주민들은 행정업무 볼 일 있으면 동부출장소/동탄출장소를 가지 시청 갈 일도 잘 없어서 화성시청이 어디 있는지 모르는 경우도 간혹 있다.[42] 상광교리, 하광교리, 조원리, 파장리, 정자리, 송죽리, 이목리, 율전리, 천천리[43] 원천리, 매탄리, 권선리[44] 평리, 장지리, 대황교리, 곡반정리, 고색리, 오목천리[45] 일리, 이리, 사리, 본오리, 팔곡이리, 둔대리(일부)[46] 남양면 폐지 및 남양동 전환[47] 폐지된 행정동은 없음. 또 현재 법정경계와 다를 수 있음에 유의.[48] 분구되기 전의 일산구, 분당구, 원미구, 덕양구, 동안구, 권선구, 장안구, 팔달구, 중원구, 만안구, 수정구[49] 경기도 1-3위는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이다.[50] 분당신도시 면적의 약 1.8배[51] 그 반대는 대구광역시 군위군이며, 소멸위험지수가 0.094로 전국에서 소멸 가능성이 매우 높다.[52] 도농복합시 설치에 따라 동 전환.[舊1] 舊 태안읍사무소 소재지가 진안동이었음.[54] 원천리, 매탄리, 권선리[55] 평리, 장지리, 대황교리, 곡반정리, 고색리, 오목천리[56] 영통리 전역, 신리·망포리 각 일부[舊2] 舊 동탄면사무소 소재지가 방교동이었음.[58] 봉담우체국과 남동탄우체국으로 가는 소포우편물도 중부권에서 했으나 봉담우체국은 2024년 1월 2일부터, 남동탄우체국은 동년 10월 24일부터 다시 수원우편집중국에서 담당한다.[59] 동부지역 관할[60] 서부지역 관할[61] 대한민국/범죄통계 문서 참조.[62] 화성 동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화성 산다'고 불리는 걸 거부하고 '동탄 산다'고 불리는 걸 선호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63] 화성동부경찰서와 분립[64] 오산경찰서와 분립[65] 의용소방대이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69] 유니버설 스튜디오 코리아를 건설할 계획이 있지만 지지부진한 상태이며, 최근에는 중국 베이징에 유니버설 스튜디오를 개장한다는 결정이 내려지면서 무산되어 가는 분위기.참고1, 참고2, 참고3 결국 무산되었다.[70] 화성, 오산의 고등학교 목록에 들어가서 보면 화성시의 고등학교 대부분이 동쪽에 많이 있다. 그 다음으로 향남읍이 그나마 고등학교가 많은수준. 초등학교중학교도 마찬가지다.[71] 병점고등학교, 화성고등학교, 삼괴고등학교, 동탄국제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72] 특히 동탄 내 내신커트라인 높은 학교들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서도 평준화 반대 여론이있었으며 1년후배들이 내신커트라인 낮아졌다고 이에 대해 비난하는 경우도 있기도 하다.[73] 병점과 그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대부분 착각하는 사실은 한신대학교가 화성시에 속해 있을거란 생각이지만, 한신대학교는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에 위치해 있다. 그런데 여기는 행정구역 상 오산시이지만 정문에서 200m만 나가면 바로 화성시 안녕동이다. 오산시내보다 수원, 병점이 더 가깝다.[74]수원가톨릭대학교는 통학생이 거의 없다. 일부 수도자나 평신도 학생들은 통학하지만, 학생 대부분을 차지하는 교구신부 지망 신학생들은 엄격한 규율 아래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하며, 외출 또한 엄격하게 통제된다. 이는 신부를 양성하는 가톨릭 신학대학이라면 다 똑같다.[75] 단 늘봄초와 예원초는 예외.[다만] 일반적인 특성화고로 신설 시 부적정[77] 마이스터고 제도의 문제점으로 인해 특성화고로 신설되나, 실질적으로는 특목고라고 보면 된다.[78] 다만 군부대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이 크다. 원래 허허벌판이었던 곳에다 군 공항을 지었는데 도시가 확장되면서 비행단의 보안이 도심 빌딩들에게 뚫려 어쩔 수 없이 이전해야 되는 상황이다. 이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대도시에 있는 대부분의 군부대나 교도소 등이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79] 청색 지역은 구 태안읍, 적색 지역은 구 동탄면이다.[80] 동탄신도시 구역에 포함된 능동(옛 태안읍 능리)은 제외, 정남면 포함[81] 동탄신도시 구역에 포함된 능동(옛 태안읍 능리) 포함[82] 동탄과 반월동을 제외한 지역에서 51% 이상의 세수가 걷히고 있지만 서부권에 대한 투자가 미미하여 동탄 이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화성시민은 동탄의 시 승격 및 독립에 대해 별다른 생각이 없거나 환영하는 스탠스.[83] 출처[84] 원래는 이 지역들도 수원우편집중국에서 담당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