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일반 지방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004097> 인천 | <colcolor=#000,#e5e5e5> 330 제3경인고속화도로 | |
강원 | 349 원주 - 양평 · 372 파주 - 화천 · 387 남양주 - 철원 · 391 양평 - 화천 | ||
충북 | 302 화성 - 진천 · 306 화성 - 음성 · 325 진천 - 광주 · 329 음성 - 이천 · 333 음성 - 양평 | ||
남북 | 301 화성 - 시흥 · 305 화성 - 안산 · 309 평택 - 과천 · 311 오산 - 용인 · 313 평택 - 안산 · 315 평택 - 향남 - 용인 · 317 평택 - 동탄 - 용인 · 321 안성 - 광주 · 337 이천 - 용인 · 341 여주(대신) - 양평 · 345 여주(점동) - 양평 · 357 고양(덕양) - 파주 · 359 고양(일산) - 파주 · 363 고양(일산) - 파주 · 367 고양 - 연천(장남) · 371 고양 - 연천(중면) · 375 양주 - 연천 · 379 양주 - 포천 | ||
동서 | 310 화성 - 용인 · 314 화성 - 안성 · 318 화성 - 이천 · 322 대부도 - 화성 · 334 의왕 - 성남 · 338 성남 - 광주 · 342 성남 - 양평 · 352 남양주 - 양평 · 356 김포 - 고양 · 358 김포 - 고양 · 360 파주 - 포천 · 364 파주 - 가평 · 368 연천 - 가평 · 376 연천 - 포천 | ||
시군 | 355 김포(양촌 - 하성) · 383 남양주(다산 - 진접) | }}}}}}}}} | |
국지도 | 지방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306번 지방도 관련 틀 | |||||||||||||||||||||||||||||||||||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ab00><tablewidth=350px> 306 | }}} | ||
시점 |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요당리 요당교차로 | |||
종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촌사거리 | |||
총 구간 | 95.3km | |||
경유지 | 경기도 화성시, 평택시 경기도 안성시, 이천시 충청북도 음성군, 충주시 |
1. 개요
지방도 제306호선은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과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을 연결하는 경기도의 지방도이다. 본래 안성시 일죽면이 종점이었으나 2010년 개편으로 318번 지방도의 일죽 ~ 음성 구간을 편입했다.일부 구간은 미개설되었거나 비포장 상태이다.
도로현황조서에 순서가 제멋대로 기재되어 있으니 주의.
2. 노선
2.1. 경기도
2.1.1. 화성시
- 암소고개로
양감면 요당리 요당교차로에서 39번 국도와 만나며 출발한다.
양감면 신왕리 신왕교차로에서 좌회전 - 은행나무로
양감면 신왕리 신왕삼거리에서 43번 국도와 만난다.
공식적으로 신왕리와 사창리를 잇는 구간은 미개설 상태이다. 그러나 신왕리와 사창리를 잇는 길 '초록로'가 306번 지방도의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 정문회화로
양감면 정문리에서 정문송산로와 만난다.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화성)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
2.1.2. 평택시
- 정문회화로
서탄면 회화리와 적봉리를 거친다.
서탄면 금암리에서 우회전 - 송탄고가길
진위면 신장삼거리에서 좌회전
비행장사거리에서 1번 국도와 교차한다.
진위면 마산리 마산사거리에서 317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진위면 은산리에서 우회전
2.1.3. 안성시
- 삼봉로
원곡면 산하리를 지나며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1] 네이버 지도에는 틀리게 나와 있으며 다음 지도에는 올바르게 나와 있다.
원곡면 성은리에서 23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 만세로
양성면 동항리에서 45번 국도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2]
양성면 동항리 양성면사무소 앞에서 23번 지방도와 분기된다. - 양성로
- 한내로
- 안성맞춤대로
- 고삼호수로
고삼면사무소 부근에서 70번 지방도, 82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 이전봉산길
고삼호수 남쪽 호숫가를 지난다. - 삼은길
고삼면 삼은리에서 325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 남풍길
이 구간은 1차로 콘크리트 도로이다. 그나마 얼마 지나지 않아 길이 끊긴다. 삼죽면 기솔리까지 연결되는 낭갱이고개는 작은 등산로만 있으며 자동차가 통행할 수 있는 도로가 없는 상태이다. - 국사봉로
삼죽면 기솔리와 내강리를 지난다. - 삼죽로
삼죽면 용월리에서 82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삼죽우체국 앞에서 325번 지방도와 만난다.
죽산면 죽산리에서 38번 국도와 합류하고 17번 국도와 교차되며 82번 지방도를 떠나보낸다.
일죽면 송천리까지 38번 국도와 중첩된다.
- 내둔길
일죽면 송천리 월정교차로에서 38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일죽면 송천리 천둔사거리에서 329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 금일로
일죽면 화봉리 화봉사거리에서 329번 지방도와 분기된다. 여기서부터는 318번 지방도에서 편입된 구간이다. - 일생로
2.1.4. 이천시
2.2. 충청북도
2.2.1. 음성군
- 일생로
금왕읍 호산리 호산사거리에서 333번 지방도, 513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이후 이천시 율면 땅을 한 번 더 지나고 나면 완전히 음성군 생극면으로 넘어간다.
병암리 신양삼거리에서 우회전 후 병암교차로에서 좌회전해 21번 국도, 37번 국도에 합류한다. - 생음대로
생극교차로에서 충주시 방면으로 진출. 여기서부터 충주시 대화교차로까지는 3번 국도와 중첩된다.
2.2.2. 충주시
- 중원대로
신니면 대화리 대화교차로에서 3번 국도와 분기된다. 우회전. 좌회전 시 평택제천고속도로 서충주IC와 연결된다. - 용광로
여기서부터 종점까지의 구간이 2016년 미개통 상태이던 49번 지방도의 음성 소이 ~ 충주 신니 구간으로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