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3f3f7f><colcolor=#fff> 경부 | ||||||
남북 | |||||||
동서 | |||||||
순환 | |||||||
경인 | |||||||
지선 | |||||||
계획 | 계양강화y · 공주천안m · 사상해운대m · 서울양주m · 서평택봉담m · 시흥송파m · 성남강남m · 성남서초m · 양재고양m · 영동오창m · 영월삼척y · | ||||||
y: 예비타당성 통과 / M: 예비타당성 면제 / m: 민자적격성 통과 | |||||||
검토단계 | 강화간성 · 과천충주 · 광주영암 · 구미군위 · 당진광명 · 보령보은 · 보령울진 · 서창장수 · 영천양구 · 팔공산관통 · 태안안성 | ||||||
고속도로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 |||||||
지정해제 구간 기존노선 연장은 각 문서 참조 | }}}}}}}}} |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 | 오산화성고속도로 烏山華城高速道路 Osan–Hwaseong Expressway | }}} | |
<nopad> | ||||
오산화성고속도로 노선도[1] | ||||
노선 번호 | ||||
171번 | ||||
기점 | ||||
경기도 오산시 서랑동 | ||||
종점 | ||||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 ||||
연장 | ||||
2.5 km | ||||
개통일 | ||||
2009. 10. 29 | 서오산JC - 안녕IC | |||
관리 기관 | ||||
전 구간 | 경기고속도로(주) | |||
왕복 차로 수 | ||||
6차로 | 서오산JC - 안녕IC[2] | |||
구조 | ||||
나들목 1개소, 분기점 1개소 터널 0개소, 휴게소 0개소 | ||||
주요 경유지 | ||||
오산 ↔ 화성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노선번호는 171번. 용인서울고속도로와는 노선번호만 공유하고 안녕IC에서 봉영로를 통해 연계된다.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안녕 나들목에서 오산시 서랑동에 위치한 서오산 분기점까지를 잇는 노선으로, 총 연장 2.55 km라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짧은 고속도로이다.[3] 민자고속도로로서 경기고속도로에서 30년간 도로 운영권을 가진다.
평택파주고속도로와는 엄연히 다른 노선이나, 노선번호는 용인서울고속도로와 같은 171번으로 편제됐다. 원래 평택화성고속도로 본선으로 건설되었지만 평택파주고속도로 계획에 따라 대부분의 구간이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첩되게 설정되었고,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만 덩그러니 지선으로 남게 되었다. 참고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노선번호 17번으로서, 서오산 분기점부터 화성 분기점까지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첩된다.
하지만 안녕IC 주변도로 표지판에는 고속도로 번호 17번으로 표기하고 있다. 주변 일대 주민들은 이 고속도로 자체가 안녕IC와 한 몸인 고속도로 나들목 구간으로 취급하고 있다. 사실 이런 친구들이 등장한 시점에서 굳이 독립된 고속도로로 지정될 필요가 없기도 한데, 앞서 언급된 것처럼 처음에는 본선으로 있었던 것이 이 어정쩡한 지위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오산용인고속도로를 안녕IC와 연결해 단절된 용인서울고속도로와 직결할 예정이다.[4]
평택시 안중읍과 광교중앙역을 이어주는 평택 버스 6800이 이 경로로 지나다닌다.
2. 구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500><tablebgcolor=#3f3f7f> | 고속국도 제171호선 구간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산화성고속도로 | 서오산JC( | |
용인서울고속도로 | 흥덕IC - 광교상현IC - 서수지IC - 서수지TG - 서분당IC - 서판교IC - 금토TG - 금토JC( | }}}}}}}}} |
<rowcolor=#ffffff> 소재지 | <colbgcolor=#ffffff,#191919> 번호 | <colbgcolor=#ffffff,#191919> 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
경기 | 오산시 | 6 | 서오산JC | | |
TG | 서오산 | ||||
화성시 | 7 | 안녕IC | [[43번 국도| 43 ]] |
[1] 북동측 구간은 노선 번호를 공유하는 용인서울고속도로이다.[2] 서오산JC 통과 구간은 4차로[3] 참고로 뒤에서 2, 3위는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 세종포천고속도로 오송지선(2026년 12월 개통 예정)이다. 둘 다 명칭 뒤에 '지선'이 붙지만 오산화성고속도로는 특이하게도 공식 명칭에 '지선'이 안 붙은 지선 고속도로다.[4] 다만 봉영로를 이용하면 흥덕IC를 통해 간접적으로 용인서울고속도로와 연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