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colcolor=#00ff52,#00ff52> 주요 정보 | 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개회식 · 폐회식) · 대한민국 대표팀 · 논란 및 사건 사고 · 평가 | |
개별 종목 | 야구 • 축구 | ||
마스코트 - · 주경기장 - · 패럴림픽 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 개회 선언자 - · 성화 점화자 - | |||
{{{#!wiki style="margin: -5px -5px"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colcolor=#00ff52,#00ff52> 주요 정보 | 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대표팀 | |
개별 종목 | - | ||
대회 관련 기타 문서 | |||
마스코트 - · 주경기장 - · 올림픽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 개회 선언자 - · 성화 점화자 - | |||
{{{#!wiki style="margin: -5px -5px" |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02020,#DFDFD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축구 종목 제외) | | | | | |
1900 파리 (아마추어 클럽대항전) | 1904 세인트루이스 (아마추어 클럽대항전) | 1908 런던 | 1912 스톡홀름 | ||
<rowcolor=#202020,#DFDFD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제1차 세계 대전) | | | | (축구 종목 제외) | |
1920 안트베르펜 | 1924 파리 | 1928 암스테르담 | |||
<rowcolor=#202020,#DFDFD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 (제2차 세계 대전) | (제2차 세계 대전) | | | |
1936 베를린 | 1948 런던 | 1952 헬싱키 | |||
<rowcolor=#202020,#DFDFDF>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 | | | | |
1956 멜버른 | 1960 로마 | 1964 도쿄 | 1968 멕시코시티 | 1972 뮌헨 | |
<rowcolor=#202020,#DFDFDF>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 | | | | |
1976 몬트리올 | 1980 모스크바 | 1984 로스앤젤레스 | 1988 서울 | 1992 바르셀로나 | |
<rowcolor=#202020,#DFDFDF>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 | | | | |
1996 애틀랜타 | 2000 시드니 | 2004 아테네 | 2008 베이징 | 2012 런던 | |
<rowcolor=#202020,#DFDFDF>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
| | | |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2020 도쿄 (연기) | 2024 파리 | 2028 로스앤젤레스 | 2032 브리즈번 | |
<rowcolor=#202020,#DFDFDF> 36회 | |||||
| |||||
2036 미정 | }}}}}}}}} |
<colbgcolor=#000><colcolor=#00ff52> |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축구 | |||
세부 종목 | 남자, 여자 | |||
참가 인원 | 504명 | |||
진출국 | 28개국+?[1] | |||
기간 | 2028년 7월 ??일 ~ 7월 ??일 | |||
경기장 | 미정 | |||
결과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세부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남자 | | |
| ||||
| ||||
여자 | | |||
| ||||
|
1. 개요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중 축구 종목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2. 경기장
축구 종목 일정은 본 대회 개막식 ?일 전인 7월 ??일부터 시작해 7월 ??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축구 경기가 치러질 경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추후 확정되면 업데이트 될 예정이다.
3. 공인구
4. 대회 진행
4.1. 참가국 숫자 변동
한국 시간으로 2025년 4월 10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비대면 집행위원회를 열어 LA 올림픽 주요 세부 종목을 확정했는데 여기서 여자 축구는 16개국으로 늘리고 남자 축구는 12개국으로 축소했다. 향후 IOC의 재조정이 없는 한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여자부가 남자부보다 많이 출전하는 올림픽이 될 전망이다. 올림픽 남자축구는 1956 멜버른 올림픽에 11개국이 출전해 전원 단판 토너먼트를 치른 이후 1960년부터 2024년까지 64년간 전부 4조 16개국 체제를 유지해 왔는데, 68년 만에 참가국이 줄어들게 되었다.그러나 IOC의 해당 결정에 대해서 전 세계 축구팬들로부터 불만과 비난이 쏟아졌는데, 우선 여성부 참가국을 늘린 것 자체는 문제될 게 없이 당연히 좋은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최근 유럽 몇몇 국가를 포함해 축구가 인기가 있는 나라에서는 여자 축구도 과거에 비해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런 배경 속에서 FIFA 여자 월드컵이 2023년에 남자부와 똑같이 참가국을 32개로 늘려서 진행되었는데 역대급 흥행을 가져왔고, UEFA 여자 유로 2025 역시 대박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역대급 흥행을 가져왔다. 최근 유럽이 남자 축구에 이어 여자 축구에도 눈을 뜨기 시작하며 성적과 흥행을 모두 잡고 있기에 여자 축구 무대의 판을 키우는 것은 어찌 보면 이제는 당연한 절차가 된 것이다.
문제는 여자 축구 참가국을 늘린 것까지는 좋은데 굳이 남자 축구 참가국을 줄인 이유가 도대체 무엇이냐는 것. 축구가 올림픽 정신에 위배되는 종목이거나, 상업성이 떨어진다거나, 인프라가 부족하다던가 등의 명분이 있다면 모를까, 현재 남자 축구 참가국을 줄여야 할 명분이라 할 만한 것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이번 올림픽에서 여성 선수들을 위해 혼성 종목을 포함한 여러 종목을 추가할 것이라는 의견을 IOC가 밝히긴 했다만, 축구의 경우는 여자 축구 참가국을 늘린 것에 그치지 않고 명확한 이유 없이 갑자기 남자부 참가국을 줄여버린 것이다. IOC가 남자 참가국을 줄인 것에 대해 최소한의 타당하고 명확한 이유를 내놓지 못하면 팬들 입장에선 단지 여자 팀이 남자 팀보다 많이 출전하는 구조를 만들고 싶어서 남자 팀에게 할당된 자리를 줄였다는 의심을 사실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되며, 역차별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로 인해 당연히 한국 역시도 큰 타격이 불가피해지게 됐는데, 이전 16개국 체제에서는 아시아에게 티켓 3.5장이 할당된 상황에서 이렇게 되면 사실상 아시아에 배정된 티켓이 2~2.5장으로 더 줄어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미 직전 대회인 2024 파리 올림픽에서 무려 40년 만에 본선 진출에 실패한 이후 해당 연령별 대표팀이 시간을 크게 낭비하는 등 혼란기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바늘구멍이 더 좁아진 셈인데, 까딱하면 2연속 올림픽 진출 실패와 함께 이전 올림픽 진출 실패로 크게 흔들린 U-23 대표팀이 향후 수준과 경험에서 한동안 복구하기 힘든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되었다.
반면 여자 대표팀의 경우 진출국이 늘어난 덕분에 사상 첫 올림픽 진출의 기회를 잡을 수도 있게 되었다. 2024 파리 올림픽 여자축구까지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은 아시아에 할당된 티켓을 단 한 번도 얻은 적이 없었으나, 16개국으로 진출국이 확대된 상황이므로 아시아에는 3~3.5장이 배정될 확률이 높다. 그렇기에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면 이번 대회에서 올림픽 티켓을 잡게 될 수도 있다. 다만 여자 축구는 아시아가 세계 강호급 대륙이고 일본, 호주, 북한, 중국 이 4개국들이 워낙 막강하기에 티켓이 3.5장으로 늘어나도 대한민국에겐 크나큰 도전 그 자체이다. 단 여자 축구에서 아시아의 위상은 상당히 높으므로 FIFA가 4장의 티켓을 부여할 가능성도 있다.[2]
5. 조 추첨
5.1. 남자
5.1.1. 본선 진출국[12개국]
5.1.2. 본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축구(남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축구(남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여자
5.2.1. 본선 진출국[16개국]
5.2.2. 본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축구(여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축구(여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여담
이 종목에서 남자 축구를 축소하고 여자 축구를 확대하면서 올림픽 최초로 남자인원보다 여자인원이 더 많은 최초의 올림픽이 됐다.[1] 남자 12개국, 여자 16개국으로 총 28개국의 본선 진출국이 경쟁하지만, 개최국 미국을 비롯해 총 ?개국이 남녀 축구 모두 본선에 진출해 실제 참가국은 28+?개국이 되었다.[2] 그나마 저 아시아 전통 4강 강호들 중 비교적 약한 중국도 아직 한국보단 위에 있는 팀이라 평가되며, 티켓이 4장으로 늘어난다 해도 한국에겐 아직도 올림픽 진출이 버거울 가능성이 높으며 정말 도전하는 입장 그 자체로 임해야 한다. 그리고 4장으로 늘어난다고 FIFA가 확정 발표를 한 것도 아니며 3장~3.5장을 부여할 가능성도 있다.[12개국] [16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