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990033>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여자 국가대표팀 |
{{{#990033,#ff6699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괌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마카오 | |
| | | |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
| | |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
| | | | |
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
| | | |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 | |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인도 | |
| | | |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카타르 | |
| | | |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 | | |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 | | ||
필리핀 | 호주 | 홍콩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align=center> | #!wiki style="margin:0px;margin-top:-4px;margin-bottom:-0px;padding:0px" }}} | }}}}}} | ||
{{{#!wiki style="color: #d889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10A04; 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73a3c>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990 베이징 | 1994 히로시마 | 1998 방콕 | 2002 부산 | 2006 도하 | |
| | | | | |
<rowcolor=#373a3c>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2010 광저우 | 2014 인천 | 2018 자카르타·팔렘방 | 2022 항저우 | 2026 아이치·나고야 | |
| | | | | |
<rowcolor=#373a3c>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2030 도하 | 2034 리야드 | ||||
| | ||||
| |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中国国家女子足球队 | |
<colbgcolor=#D00000><colcolor=#FFFF00> 정식 명칭 | 中国国家女子足球队[1] |
FIFA 코드 | CHN |
협회 |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지역 연맹 | 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
감독 |
안테 밀리치치 (Ante Milicic) |
주장 | [[주장#s-1| C ]] 우하이옌 (吴海燕 / Wu Haiyan) |
FIFA 랭킹 | 16위 (2025년 8월 7일 기준 #) |
유니폼 색상 | 홈 | 원정 |
상의 | ||
하의 | 10 | 7 |
양말 |
1. 개요
중국을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세계 레벨은 커녕 아시아에서도 동네북 신세를 면치 못하는 남자 대표팀과 달리 여자 대표팀은 세계 무대 기준으로도 나쁘지 않은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FIFA 여자 월드컵은 본선에 7번이나 진출했으며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는 무려 9번이나 우승했으며 이는 대회 최다 기록이다.
특히 1990년대는 전성기 중의 전성기로, 아시아를 넘어 세계 최강급이라 봐도 무방했다. 여자 축구가 처음 올림픽에 도입된 1996년 대회에서 아시아 최초로 올림픽 은메달도 목에 걸어 봤고, FIFA 여자 월드컵의 경우 초대 대회인 1991년 개최국이 중국이였으며 이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으며, 이후 1995년 대회 4위, 1999년 대회에서는 준우승까지도 해봤다. 이렇듯 아래 문서를 참고해 보면 모든 대회에서 단순히 출전 횟수에만 그치지 않고 성적도 굉장히 좋은 편이다.
하지만 2010년대 초반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꾸준한 투자와 프로젝트를 진행한 끝에 월드컵 우승을 차지한 데 이어 아시아 최강은 물론 세계 최강급으로 도약하며 중국 여자 대표팀은 정점의 자리를 넘겨주기 시작했다. 그래도 이때까지만 해도 최소한 월드컵 토너먼트 진출 정도는 깔고 가는 수준으로 FIFA 랭킹 10위권의 무시 못할 강호인 점에는 변함 없었다.
그러나 2010년대 중후반, 나아가 2020년대에는 남자 축구에 이어 여자 축구마저 점차 급격한 하향세를 그리기 시작했다. 특히 2024년에는 U-17 여자 월드컵과 U-20 여자 월드컵, 올림픽 축구에 모두 진출하지 못 하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그중에서 FIFA U-17 여자 월드컵은 남자 대표팀과 달리 압도적 우세를 점하고 있던 대한민국 여자 U-17 대표팀에 패배하는 바람에 못 나갔다. 또한 공한증의 리버스 버전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여자 대표팀은 한국 대표를 상대로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었으나 점차 무승부를 내주는 경우가 상당히 잦아졌고 10년 넘게 무패 행진을 이어오고 있긴 하나 이기는 경우에도 과거와 달리 완벽히 압도하는 경기가 한 경기도 없을 정도로 과거에 비해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
별칭은 강철 장미다.
2023년 7월 프라다와 공식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공식 행사와 이동 시에 프라다 정장을 입을 예정이다. #
2.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1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00 10%, #D00000 20%, #D00000 80%, #FFFF00 90%)"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d00000><tablebgcolor=#d000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 1986년 ~ 현재 | ||||
초대 쫑져위 | 2대 상루이화 | 3대 마위안안 ☆ | 4대 마량싱 | 5대 장하이타오 | |
6대 왕하이밍 | 7대 페이언차이 | 8대 마량싱 | 대행 왕하이밍 | 9대 마리카 | |
10대 로이젤 | 11대 상루이화 | 12대 리샤오펑 | 13대 하오웨이 | 14대 비니 | |
15대 울프손 | 16대 자시우췐 | 17대 슈이칭샤 | 대행 왕쥔 | 18대 밀러치치 | |
3. 역대 성적
3.1. FIFA 여자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8강 | 5위 | 4 | 2 | 1 | 1 | 10 | 4 | 5 |
| 4위 | 6 | 2 | 2 | 2 | 11 | 10 | 8 | |
| 준우승 | 2위 | 6 | 5 | 1 | 0 | 19 | 2 | 16 |
| 8강 | 6위 | 4 | 2 | 1 | 1 | 3 | 2 | 7 |
| 8강 | 5위 | 4 | 2 | 0 | 2 | 5 | 7 | 6 |
| 본선 진출 실패 | ||||||||
| 8강 | 8위 | 5 | 2 | 1 | 2 | 4 | 4 | 7 |
| 16강 | 14위 | 4 | 1 | 1 | 2 | 1 | 3 | 4 |
| 조별리그 | 23위 | 3 | 1 | 0 | 2 | 2 | 7 | 3 |
| |||||||||
합계 | 본선진출 8회 / 준우승 1회 | 36 | 17 | 7 | 12 | 55 | 39 | 56 |
3.2. AFC 여자 아시안컵
- 1975년~1983년: 불참
- 1986년: 우승
- 1989년: 우승
- 1991년: 우승
- 1993년: 우승
- 1995년: 우승
- 1997년: 우승
- 1999년: 우승
- 2001년: 3위
- 2003년: 준우승
- 2006년: 우승
- 2008년: 준우승
- 2010년: 4위
- 2014년: 3위
- 2018년: 3위
- 2022년: 우승
3.3. 올림픽
- 1996년: 은메달
- 2000년: 8강
- 2004년: 조별리그
- 2008년: 8강
- 2012년: 진출 실패
- 2016년: 8강
- 2021년: 조별리그
- 2024년: 진출 실패
3.4. 아시안 게임
- 1990년: 금메달
- 1994년: 금메달
- 1998년: 금메달
- 2002년: 은메달
- 2006년: 동메달
- 2010년: 4위
- 2014년: 8강 5위
- 2018년: 은메달
- 2022년: 동메달
3.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2005년: 4위
- 2008년: 3위
- 2010년: 준우승
- 2013년: 4위
- 2015년: 4위
- 2017년: 3위
- 2019년: 3위
3.6. CONCACAF 여자 챔피언십
- 2000년[2]: 3위
4. 대한민국, 일본과의 전적
아래의 결과는 2023년 2월 기준이다.- 對 대한민국: 41전 29승 8무 4패로 중국 절대 우세.
- 對 일본: 43전 17승 9무 17패로 백중세.
5. 역대 감독
6. 청소년 국가대표
6.1. FIFA U-20 여자 월드컵
- 2004년 준우승
- 2006년 준우승
- 2008년: 조별리그
- 2010년: 진출 실패
- 2012년: 조별리그
- 2014년: 조별리그
- 2016년: 진출 실패
- 2018년: 조별리그
- 2022년[3]: 진출 실패
- 2024년[4]: 진출 실패
6.2. FIFA U-17 여자 월드컵
7. 통계
7.1. 최다 득점자
순위 | 선수명 | 득점 수 | 출장 수 | 평균 득점 | 경력 |
8. 둘러보기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1] 중국국가여자족구대. 중국에서는 축구를 족구라 한다. 참고로 우리가 족구라 부르는 놀이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 football의 어원을 보면 족구로 번역하는 게 더 정확하긴 하다.[2]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함께 초청국 자격으로 참가했다.[3]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개최 자체가 취소되었다.[4]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개최 자체가 취소되었다.
분류
-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중국의 여자 축구
- 중국의 스포츠 국가대표팀
- 아시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1991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1995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1999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03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07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