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파나무의 열매에 대한 내용은 비파나무 문서
, 어류에 대한 내용은 비파(어류) 문서
, 포켓몬스터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비파(포켓몬스터) 문서
참고하십시오.아시아의 현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해금 · 저음 해금 · 아쟁(a) | |||
북한 |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 |||
중화권 | 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 콩히안 · 티친 | |||
정니(a) · 주이후(a) · 레이친(a) · 파친(a) · 라루안(a) | ||||
몽골 | 마두금 · 이킬 · 호치르 · 대마두금 | |||
일본 | 코큐 · 앗소(a) · 테이소(a) · 카이사츠코 | |||
중앙아시아 | ||||
시베리아 알타이·투바 | 이킬리 · 비잔치 | |||
킵차크 카자흐·키르기스 | 코비즈 | |||
카를루크 우즈벡·위구르 | 아제크 · 기작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단 니 · 단 호 · 당 가오 · 냐 짜인(a) | |||
태국 | 소 두앙 · 소 삼 사이 · 소 우 · 소 로 | |||
캄보디아 | 트로 · 트로 크메르 | |||
말레이시아 | 움방 | |||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 ||||
발현악기 | 금·슬·쟁계 | |||
다현금 | 고금 · 슬 · 거문고 · 쟁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 제티겐 | |||
일현금 | 이치겐킨 · 단 보우 | |||
월금계 | ||||
비파 | 비파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 |||
2현 | 텁쇼르 · 돔브라 · 주워르거 · 도이라 | |||
3현 | 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 코무즈 · 더슈플루르 | |||
공후계 | ||||
공후 | 수공후 · 대공후 · 와공후 · 소공후 · 옥류금 | |||
이외 | 알타이 야특 · 사산도 | |||
타현악기 | 양금 | |||
}}}}}}}}} |
1. 개요
琵琶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기원해 동아시아 전역에 퍼진 전통 현악기.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으로 전해진 뒤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로 퍼져나갔다.
일부에선 류트의 기원이 되는 중동의 우드에서 유래됐다고 주장하지만, 족보를 따져 보면 전세계 원시 현악기의 기원은 중앙아시아이기에 이를 감안하면 비파와 우드, 류트는 먼 친척뻘 되는 악기일 뿐 서로의 기원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비파라는 이름은 원래 서역말로 된 이름을 음역한 것인데 중국의 『석명』이라는 책에서는 '현을 밖으로 내어 타는 것을 琵라고 하고, 안으로 들여 타면 琶라고 하므로 비파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
중국어로는 피파(pí‧pá, 琵琶), 일본어로는 비와(びわ, 琵琶), 베트남어로는 단띠바(Đàn tỳ bà, 彈琵琶)라고 발음한다.
2. 종류
2.1. 한국 비파
비파와 피아노 협주곡 <연어 Ⅱ> / 연주자: 정영범 |
한국 비파는 크게 향비파와 당비파 두 가지가 있다.
삼국 시대 때 중국에서 들어온 '비파(당비파)', 기존에 전래된 비파를 참고하여 자체적으로 만든 '향비파',[1] 그리고 후당을 거쳐 들어온 '후당비파' 세 가지가 있었는데 고려 시대 부터 후당비파는 당비파로 통합되었다.
『삼국사기』 <악지> 편 기록을 보면 통일신라시대 당비파를 '비파'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덧붙혀 삼국사기의 '비파'는 오직 4현으로 되어있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볼 때 향비파는 이에 해당되지 않음을 추측할 수 있다. 당비파란 명칭 자체가 신라의 향비파와 구분하기 위해 당시 중국 왕조였던 당나라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물론 당비파도 오랜 세월이 흐르며 한국화되어 우리 전통악기로 구분된다.
조선 시대 때는 거문고처럼 술대를 연주 도구로 사용하기도 했고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다양한 연구, 개량과 함께 위 영상처럼 손가락 깍지를 사용하기도 한다.[2]
2.2. 중국 비파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현대 중국 비파를 기준으로 제일 윗부분 머리장식을 '두화', 줄감개를 '축', 프렛 중 윗부분 여섯 개를 '상', 아랫부분을 '품'이라고 한다. 조율할 때는 안쪽 줄부터 '라-레-미-높은 라'로 한다. 손톱에 가조각을 끼고 연주한다.
▲ 중국인 연주자 오만(吴蛮)의 연주 |
▲ 한국인 연주자 마롱의 연주 |
국내의 대표적인 중국 비파 연주자로는 마롱이 있다. 전) 사단법인 한중예술협회 대리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거리 공연자로 활동 중이다. 2021년부터는 향비파 위주의 연주 활동을 하고있다.
주결경이 중국 비파 특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데뷔 초기에는 방송에서 연주하는 모습을 가끔 보여주었다.
2.2.1. 내몽골 비파
링크[3]내몽골도 중국의 영향으로 비파를 연주하며 전체적으로 중국 비파와 거의 비슷하다. 반대로 독립국 몽골에서는 잘 연주하지 않는다.
2.2.2. 일본 비파
자세한 내용은 비와 문서 참고하십시오.2.2.3. 베트남 비파
베트남어로는 단띠바(Đàn tỳ bà, 彈琵琶)라고 한다.
네 줄로 되어 있으며 베트남식 아악인 냐냑(Nhã nhạc, 雅樂)에서 중요한 악기로 사용한 이래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3. 비파를 연주하는 캐릭터
- 광개토태왕(게임) - 설린
- 구운몽-어느 소녀의 사랑이야기 - 정경원
- 귀멸의 칼날 - 나키메[비와]
- 기황후 - 기승냥
- 도로로(만화) - 비파법사
- 동방 프로젝트 - 츠쿠모 벤벤[비와]
- 라스트오리진 - 마법소녀 매지컬 백토
- 로스트아크 - 무도가 계열
- 벽람항로 - 젠하이, 다이호
- 삼국지 : 용의 부활 - 조영
- 새벽의 연화 - 재하
- 수호전, 금병매 - 반금련
- 여의전 - 백예희, 고희월
- 역천 - 세희
- 옹정황제의 여인 - 제월빈, 순원황후
- 채운국 이야기 - 홍소가
- 천지해 - 노을
- 초한지 - 우희
- 쿠키런 시리즈 - 단계화맛 쿠키, 백련 드래곤 쿠키
- Fate 시리즈 - 양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