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09:19:33

주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진의 장수 朱序에 대한 내용은 주서(동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국의 정사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이십사사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진서 송서
사마천 반고 범엽 진수 방현령 심약
남제서 양서 진서 위서 북제서 주서
소자현 요사렴 요사렴 위수 이백약 영호덕분
수서 남사 북사 구당서 신당서 구오대사
위징 이연수 이연수 장소원 구양수 설거정
신오대사 송사 요사 금사 원사 명사
구양수 토크토아 토크토아 토크토아 송렴 장정옥
기타
동관한기 신원사 청사고
유진 커샤오민 자오얼쉰 등
}}}}}}}}}}}}}}} ||
<colbgcolor=#00CCCC><colcolor=#000> 주서
周書
Book of Zhou
저자 영호덕분
시기 7세기
언어 한문
권 수 50권
분량 524년 ~ 581년 (57년)
효명제 10년 ~ 주정제 3년

1. 개요2. 편찬 과정3. 구성
3.1. <제기>(帝紀)3.2. <열전>(列傳)
4. 의의와 평가5. 관련 고사성어

[clearfix]

1. 개요

周書

중국의 정사인 24사 중 하나로, 서위의 후계 왕조였던 북주기전체 정사이다. 557년 서위공제로부터 선양을 받고 건국한 후 581년 수나라문제 양견에게 멸망될 때까지 25년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628년방현령을 총재로 임명하고 편찬이 시작되어 636년, 정관 5사(貞觀五史)로 불리는《북제서》,《수서》,《양서》, 《진서》와 함께 동시에 간행되었다. 특이한 점은 추존 황제인 태조 문황제 우문태 등 북주 성립 이전의 역사도 서술되어 있는 것이다.[1]

2. 편찬 과정

이전에 수나라의 우홍(牛弘)이 《주사》(周史)를 편수하려고 했으나 애석하게도 끝맺지 못했고, 당나라가 건국된 후《주서》를 통해 매듭지었다.《주서》는《수서》를 제외한 남북조시대의 역사서와 다르게 관인들에 의해 편찬되었기 때문에 국가적인 성격이 짙다.

3. 구성

주서(周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2권 「문제기(文帝紀)」 3권 「효민제기(孝閔帝紀)」 4권 「명제기(明帝紀)」
우문태 우문각 우문육
5·6권 「무제기(武帝紀)」 7권 「선제기(宣帝紀)」 8권 「정제기(靜帝紀)」
우문옹 우문윤 우문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9권 「후비전(后妃傳)」
원씨 · 질노씨 · 원호마 · 독고황후 · 아사나 · 이아자 · 양려화 · 주만월 · 진월의 · 원락상 · 울지치번 · 사마영희
10권 「소혜공호등전(邵惠公顥等傳)」 11권 「진탕공호전(晉蕩公護傳)」 12권 「제양왕헌전(齊煬王憲傳)」
우문호(顥) · 우문련 · 우문낙생 · 우문중 우문호(護) 우문헌
13권 「문민명무선제자전(文閔明武宣諸子傳)」
우문진 · 우문직 · 우문초 · 우문검 · 우문순 · 우문성 · 우문달 · 우문통 · 우문형 · 우문강 · 우문현 · 우문정 · 우문식 · 우문찬 · 우문지 · 우문윤(允) · 우문충 · 우문태(兌) · 우문원 · 우문연(衍) · 우문술
14권 「하발승등전(賀拔勝等傳)」 15권 「구락등전(寇洛等傳)」
하발승 · 염현 구락 · 이필 · 우근
16권 「조귀등전(趙貴等傳)」 17권 「양어등전(梁禦等傳)」
조귀 · 독고신 · 후막진숭 양어 · 약간혜 · 이봉 · 유량 · 왕덕
18권 「왕비등전(王羆等傳)」 19권 「달해무등전(達奚武等傳)」
왕비 · 왕사정 달해무 · 후막진순 · 두로녕 · 우문귀 · 양충 · 왕웅
20권 「왕맹등전(王盟等傳)」 21권 「울지형등전(尉遲迥等傳)」
왕맹 · 하란상 · 울지강 · 질열복귀 · 염경 울지형 · 왕겸 · 사마소난
22권 「주혜달등전(周惠達等傳)」 23권 「소작전(蘇綽傳)」 24권 「노변전(盧辯傳)」
주혜달 · 양관 · 류경 소작 노변
25권 「이현전(李賢傳)」 26권 「장손검등전(長孫儉等傳)」
이현 장손검 · 장손소원 · 곡사징
27권 「혁련달등전(赫連達等傳)」 28권 「사녕등전(史寧等傳)」
혁련달 · 한과 · 채우 · 상선 · 신위 · 사적창 · 전홍 · 양춘 · 양대 · 우문측 사녕 · 육등 · 하약돈 · 권경선
29권 「왕걸등전(王傑等傳)」
왕걸 · 왕용 · 우문규 · 우문성 · 경호 · 고림 · 이화 · 이루목 · 양소 · 왕아 · 달해식 · 유웅 · 후식
30권 「두치등전(竇熾等傳)」 31권 「위효관등전(韋孝寬等傳)」
두치 · 우익 위효관 · 위형 · 양사언
32권 「신휘등전(申徽等傳)」 33권 「사적치등전(厙狄峙等傳)」
신휘 · 육통 · 류민 · 노유 · 당근 사적치 · 양천 · 조강 · 왕경 · 조창 · 왕열 · 배문표
34권 「조선등전(趙善等傳)」 35권 「정효목등전(鄭孝穆等傳)」
조선 · 원정 · 양표 · 배관 · 양부 정효목 · 최겸 · 최유 · 배협 · 설단 · 설선
36권 「정위등전(鄭偉等傳)」 37권 「구준등전(寇儁等傳)」
정위 · 양찬 · 단영 · 왕사량 · 최언목 · 영호정 · 사마예 · 배과 구준 · 한포 · 조숙 · 장궤 · 이언 · 곽언 · 배문거
38권 「소량등전(蘇亮等傳)」 39권 「위진등전(韋瑱等傳)」
소량 · 류규 · 여사례 · 설징 · 설치 · 이창 · 원위 위진 · 양흔 · 황보번 · 신경지 · 왕자직 · 두고
40권 「울지운등전(尉遲運等傳)」 41권 「왕포등전(王襃等傳)」
울지운 · 왕궤 · 우문신거 · 우문효백 · 안지의 왕포 · 유신
42권 「소휘등전(蕭撝等傳)」 43권 「이연손등전(李延孫等傳)」
소휘 · 소세이 · 소원숙 · 소대환 · 종름 · 유번 · 류하 이연손 · 위우 · 한웅 · 진흔 · 위현
44권 「천기등전(泉企等傳)」 45권 「유림전(儒林傳)」
천기 · 이천철 · 양건운 · 부맹 · 양웅 · 석고 · 임과 노탄 · 노광 · 심중 · 번심 · 웅안생 · 악손
46권 「효의전(孝義傳)」
이당 · 류회 · 두숙비 · 형가 · 진족 · 황보하 · 장원
47권 「예술전(藝術傳)」 48권 「소찰전(蕭詧傳)」
기준 · 장승 · 요승원 · 여경희 · 조문심 · 저해 소찰
49·50권 「이역전(異域傳)」
고구려 · 백제 · 만족(蠻) · 요족(獠) · 탕창 · 등지 · 백란 · 저족 · 계호 · 고막해 · 돌궐 · 토욕혼 · 고창 · 선선 · 언기 · 구차 · 우전 · 엽달
속특 · 안식국 · 파사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cccc><tablebgcolor=#00cccc>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제기>(帝紀) 8권, <열전>(列傳) 42권 등 총 5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전> 41~42권에 한반도와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2][3]

3.1. <제기>(帝紀)

  1. 제기제1 - 문제 상권
  2. 제기제2 - 문제 하권
  3. 제기제3 - 효민제
  4. 제기제4 - 명제
  5. 제기제5 - 무제 상권
  6. 제기제6 - 무제 하권
  7. 제기제7 - 선제
  8. 제기제8 - 정제

3.2. <열전>(列傳)

4. 의의와 평가

우문씨의 북주는 비록 단명한 왕조였지만 북변 6진 중 하나인 무천진 출신의 관롱집단을 중심으로 세워졌기 때문에 중국사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국가이다. 즉,《주서》는 한족선비족의 융합을 함의하고 있는 사서다. 총 50권으로 비교적 적은 양이나 존속기간이 짧다는 점을 감안하면 꽤 충실한 편이다. 북주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집필한 유일무이한 역사서이며, 이 시대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책이다.

《주서》는《위서》나《북제서》와 마찬가지로 관리가 부실하여 당•송 시기를 거치면서 많은 부분이 산일[4]되었다. 현존하는《주서》는 《북사》를 참고하여 산일된 부분을 보충했기 때문에 당나라 초기의《주서》와 현존하는《주서》는 많이 다르다.

5. 관련 고사성어



[1] 그 이유는 우문태가 사실상 서위의 실권자였기 때문에 그를 따른 인물들을 수록했기 때문이다.[2] <열전> 제41 이역(異域)上 - 고려, 백제, 만, 獠, 당창(宕昌), 등지, 白蘭, 氐, 稽胡, 庫莫奚[3] <열전> 제42 이역下 - 돌궐, 토욕혼(吐谷渾), 고창, 선선(鄯善), 焉耆, 亀茲, 于闐, 囐噠, 粟特, 安息, 波斯[4] 흩어져 일부가 빠져 없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