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05:19

이카퉁(중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ee1c25>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 신권위주의
역대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최고지도자
기타 정치인 류사오치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리셴녠 · 양상쿤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비판) · 외교부 · 여권(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 중뽕 · 친중(대한민국) · 반중(대한민국) · 혐중(대한민국)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소방구원대 · 국가소방구원국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계급) · 홍콩 보안국(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육전대) · 공군(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위진남북조시대(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대장정) · 중일전쟁(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 중국 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중국 본토 · 중원 · 오악 · 장강 · 황하(위수) · 요하 · 목단강 · 송화강 · 흑룡강 · 주강 · 회하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평야 · 만주 · 둥팅호 · 칭하이호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신분증 · 주숙등기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인구 · 중국인(민족 · 한족) · 공휴일(국경일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 계투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순위) · 구교연맹(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국가철로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강주아오 대교) · 철도(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로집단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멕시코인 · 중국계 칠레인 · 중국계 네덜란드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구이저우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현대문화 만화(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 VCT CN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올림픽 대표팀 · 패럴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을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홍콩 세컨드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실전) · 태극권 · 중국 그랑프리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표준 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구단팔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화권의 교통카드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중국이카퉁* (여러 지역) / 상하이공공교통카드 (상하이시)
옥토퍼스 카드 (홍콩) / 마카오 패스 (마카오)
대만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대만 전 지역)
}}}}}}}}} ||

一卡通, Yīkǎtōng

1. 개요2. 이카퉁 교통카드
2.1. 베이징 이카퉁2.2. 산둥 이카퉁2.3. 샤먼 e카퉁2.4. 우한 도시 이카퉁
3. 전국교통이카퉁(교통연합)
3.1. 개요3.2. 징진지 이카퉁3.3. 허베이 교통 이카퉁3.4. 장쑤 교통 이카퉁3.5. 지린3.6. 선전
4. 전국도시이카퉁(시티유니언)

1. 개요

중국교통카드 이름이나 관련 개념(호환규격 등)에 자주 쓰이는 명칭으로, 명칭의 의미는 "한(一)" "카(卡)"드로 "통(通)"하다. 어디까지 통한다고 명시하지 않은건 함정
교통카드 이름에 쓰일시 주로 "xx(지명 혹은 별칭)이카퉁" 이런 형식으로 쓰인다. "이카퉁"이란 수식어 외에도 "xx퉁(通)"[예시] 등 여러 작명방식이 있다.

대만에도 같은 의미와 명칭을 가진 교통카드가 있으나, 이 항목과는 관련이 없다.

2. 이카퉁 교통카드

파일:external/a1.att.hudong.com/19300001235467134079491300001_950.jpg파일:external/news.xinhuanet.com/xin_1420805081252984237903.jpg
베이징 이카퉁베이징 - 톈진 간 호환 이카퉁(京津一卡通)
파일:external/www.156580.com/3_111121143331_1.jpg파일:external/www.156580.com/3_111121143612_1.jpg
산둥 이카퉁(山东一卡通)

각기 다른 이카퉁들의 모습. 교통카드의 이름이 이카퉁인 지역에서는 "이카퉁"이라는 단어가 교통카드를 지칭한다 봐도 무방하다.[2]

2.1. 베이징 이카퉁

징진지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요 철도역 베이징 · 베이징시 · 베이징난 · 베이징펑타이 · 베이징베이 · 베이징차오양
톈진 · 톈진시 · 톈진난 · 탕구
스자좡 · 탕산 · 산하이관 · 친황다오 · 한단 · 싱타이 · 바오딩 · 사청 · 장자커우 · 창저우 · 헝수이
도시철도 | 광역철도 베이징 지하철 톈진 지하철
스자좡 지하철
베이징 교외철도
버스 터미널 둥즈먼류리차오리저차오무시위안자오궁커우바왕펀
시내버스 베이징 버스 톈진 버스
스자좡 버스
공항 베이징 서우두베이징 다싱톈진 빈하이스자좡 정딩
}}}}}}}}} ||

파일:external/a1.att.hudong.com/19300001235467134079491300001_950.jpg

北京市政交通一卡通

베이징 시내에서 통용되는 교통카드다. 정식명칭은 "베이징 시정교통 이카퉁".

베이징 버스 이용객 한정으로 희대의 개사기 아이템이자 치트키이다. 버스 요금이 반값이 되기 때문. 학생 카드의 경우 거기서 또 반값, 즉 75%를 할인해준다.
참고로 베이징 버스는 거의 대부분 노선이 거리비례제[3]이기 때문에 하차 태그가 필수다. 안하면 다음 승차시 저번에 승차한 정류장~종착역까지의 운임이 부과된다. 그래도 한국보단 싸다
베이징 지하철 역시 할인이 존재하나 버스에 비하면 매우 짜다. 한달(1일~말일)동안 같은 카드로 100위안을 넘게 소비한경우 그 다음부터는 20%, 150위안을 넘게 소비한 경우 그 다음부터는 50%를 할인해주며, 400위안을 넘게 소비한 경우 더이상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다.[4] 참고로 전용 고액 운임이 적용되는 서우두공항선다싱국제공항선은 할인 대상이 아니며, 학생 카드는 지하철 혜택은 따로 없다.

티머니처럼 버스, 지하철은 물론 택시, 편의점, 패스트푸트점, 유료 공원 입장(ex: 경산공원, 베이징 식물원 등), 공중전화 등 쓰임새가 많...으나 간편결제의 활성화로 인해 지금은 사실상 대중교통 전용 카드로 쓰인다.[5]

중신은행(中信银行 CITIC)에서 이카퉁 잔액을 관리중이다. 그래서 2018년 하반기부터 나오는 카드는 앞면 우측 하단에 중신은행의 로고와 워드마크가 있다.

2.2. 산둥 이카퉁

2.3. 샤먼 e카퉁

2.4. 우한 도시 이카퉁

3. 전국교통이카퉁(교통연합)

<colcolor=#ffffff> 交通联合
중국 교통연합 · China T-Union
파일:交通联合.png
<colbgcolor=#005766> 운영자 <colbgcolor=#ffffff,#1f2023>베이징중교진카커지[6]
(北京中交金卡科技)
서비스 개시 2015년 12월 30일
사용 지역 중국 본토 전역
교통연합 웨이보
[clearfix]
全国交通一卡通互联互通 / 交通联合 / China T-Union

3.1. 개요

중국 교통운수부(交通运输部))에서 주도하여 개발한 전국 공공교통 호환 교통카드 규격으로 교통연합(交通联合)로 더 잘 알려져있다. 교통운수부 산하 사업단위인 중국교통정보센터 산하 기업이 운영과 결제청산을 맡고 있다.

중국은 땅덩어리도 넓고 교통카드도 늦게 등장해 교통카드 종류가 지역별로 제각각이라[7] 서로 호환 사용이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국 호환 교통카드 규격의 개발이 시급했는데, 이렇게 탄생된것이 바로 교통연합.[8]
2013년 출범되었으며, 2021년 9월 기준 314개의 도시의 모든 버스 노선에서 호환된다. 이외에도 교통연합을 전면 지원함에도 아직 자체 교통연합 카드를 출시하지 않은 지역, 일부 버스 노선에서만 사용 가능한 지역이 있다. 또한 베이징 이카퉁 시스템의 문제로 베이징 버스지하철은 239개의 도시에서 발행한 이카퉁만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물론 표준 규격이 생겼다는것이지 전국호환 교통카드가 생겼다는건 아니다. 여전히 중국은 각 지자체별로 교통카드를 발행하고 있다.[9] 단지 카드에 교통연합 규격을 추가했을 뿐. 때문에 타지에서 사용은 가능해도 충전은 불가능한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다. 일부 카드는 알리페이나 특정 앱을 통해 NFC 충전이 가능하지만, 폰에 NFC가 없다면 답이 없다.

한국에서는 뜬금없게도 payOn과 같이 MIFARE Classic을 기반으로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상은 JT/T978.3, CJ/T 3087 표준을 준수하는 MIFARE Pro[10]기반의 CPU 카드[11]라고 한다.

3.2. 징진지 이카퉁

징진지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요 철도역 베이징 · 베이징시 · 베이징난 · 베이징펑타이 · 베이징베이 · 베이징차오양
톈진 · 톈진시 · 톈진난 · 탕구
스자좡 · 탕산 · 산하이관 · 친황다오 · 한단 · 싱타이 · 바오딩 · 사청 · 장자커우 · 창저우 · 헝수이
도시철도 | 광역철도 베이징 지하철 톈진 지하철
스자좡 지하철
베이징 교외철도
버스 터미널 둥즈먼류리차오리저차오무시위안자오궁커우바왕펀
시내버스 베이징 버스 톈진 버스
스자좡 버스
공항 베이징 서우두베이징 다싱톈진 빈하이스자좡 정딩
}}}}}}}}} ||

파일:징진지후롄후퉁카.jpg

京津冀互联互通卡 / 京津冀一卡通

중국용 삼성페이[12]에 탑재된 징진지후롄후퉁카 모바일카드 캡쳐화면. 베이징 발행 카드는 사진처럼 기존 베이징 이카퉁 디자인에서 교통연합 로고가 추가되었으며, 허베이톈진 발행 카드는 디자인이 다르다.

2018년 6월 4일에 발매되기 시작했으며, 정식 명칭은 징진지후롄후퉁카(京津冀互联互通卡)[13]다. 어떻게 보면 베이징 이카퉁의 업그레이드 버전.[14] 버스 할인, 지하철 할인 등 정책은 모두 베이징 이카퉁과 일치하나, 편의점, 공중전화 등 결제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다르다. 어차피 아무도 그렇게 안쓴다.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지하1층 다싱공항역 키오스크에서 판매중.

기존에는 삼성페이, 화웨이페이 등 모바일 교통카드를 발급하려면 16위안의 환불이 불가능한 발급 비용이 발생했으나[15], 2019년 7월부로 발급 비용이 전면 폐지되었다.

위챗페이, 알리페이 베이징 이카퉁 충전 프로그램으로 충전할 수 없다.

3.3. 허베이 교통 이카퉁

3.4. 장쑤 교통 이카퉁

3.5. 지린

3.6. 선전

파일:sztong.png 파일:sztong_xueshengka.jpg
일반 학생용[16]
선전시 전역에서 통용되는 교통카드이다. 지하철은 5%, 3위안 이내 버스 요금은 20%, 3위안부터 6위안까지는 25%, 6위안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35% 할인이 적용된다. 지하철과 버스, 다른 버스 노선간 환승시 0.4위안의 할인이 적용된다.
학생용 카드는 지하철, 버스, 트램 요금이 50% 할인된다.

4. 전국도시이카퉁(시티유니언)

全国城市一卡通互联互通 / City Union

파일:City_Union_Card_Logo.png

중국 주택및도시농촌건설부(住宅与城乡建设部, 줄여서 주건부(住建部))에서 개발한 또 다른 전국호환 교통카드 규격이며, 줄여서 도시 이카퉁(城市一卡通), 시티 유니언이라도 불린다. 2012년 7월 처음으로 8개 도시 교통카드[17] 상호 호환을 시작으로 출범되었으며, 2017년 말 80개의 도시에서 지원된다.

2008년 중국 정부기관 대개편 과정에서 기존 건설부(建设部)가 주건부로 바뀌고, 기존의 건설부가 담당하던 교통 관련 업무는 모조리 교통운수부(交通运输部)로 이관되었는데, 주건부는 굳이 자기들이 예전부터 추진중이던 전국 호환 교통카드 표준을 고집했고, 그렇게 2012년 시티 유니언을 출범시킨다. 이에 질세라 교통운수부도 2014년갑자기 튀어나와 교통연합(交通联合)을 출범시킨다. 가뜩이나 교통카드 전국 호환이 시급한 마당에 두 기관이 두 표준을 내세우면서 둘은 서로 상대방이 자신을 방해하고 있다고 치고 받고 싸우는 동안 전국 호환 교통카드 규격 추진 작업은 더뎌지기 시작했고, 피해는 고스란히 각 도시들의 대중교통 관련 부서와 시민들에게 돌아갔다.
그러다 2018년에 들어서면서 교통부의 교통연합이 무서운 속도로 호환 범위를 넓히며 점점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대부분 시티 유니언을 지원하는 도시들이 교통연합을 동시에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전국호환 교통카드 표준 규격=교통연합"이라는 인식이 굳어졌고, 시티 유니언은 점점 잊히기 시작했다.

지원 도시 목록. 2017년 11월부로 더이상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걸 보아 사실상 사양길에 접어든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예시] 링난퉁(岭南通), 톈푸퉁(天府通), 룽청퉁(榕城通)[2] 대한민국도 비슷하게 티머니를 주로 사용하는 수도권에서는 티머니를 교통카드 대체어로 많이들 쓴다.[3] 10km내 2위안, 그 뒤로부터 5km마다 1위안 추가, 상한선 없음[4] 참고로 지하철 요금이 매우 저렴해 20% 할인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고, 매일 장거리 통근을 하는게 아닌 이상 150위안을 채우기는 어렵다.[5] 일부 관광지에서는 입장료를 간편결제로 낼 수 없다.[6] 교통운수부 직할 장관급 사업단위인 중국교통정보센터(中国交通信息中心) 산하기업이 대주주로 알리페이 모회사인 엔트그룹(蚂蚁集团)도 일부 참여하였다.[7] 주로 지급시별로 다른 카드를 사용한다. 현급시마다 자체 카드를 발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극단적이게는 구(区)마다 다른 경우도 있다![8] 하술할 "시티 유니언"이란 표준도 존재하나 사실상 망했다.[9] 하지만 예전에는 지급시 별로 카드를 발급했지만 요즘은 성(省) 단위로 카드를 발급하는 추세.[10] payOn의 전신 국민PASS카드랑 같이 1997년에 발표되었다. 개선판인 Pro X는 1999년 발표.[11] CPU와 메모리가 포함된 비접촉식 카드.[12] MST/NFC(EMV인증 토큰, MIFARE PRO)/QR을 지원한다. MST는 비증이 바닥이라 S20 5G부터 비활성되었다.[13] 베이징(京), 톈진(津), 허베이성(冀)에서 서로(互) 연계되고(联) 서로(互) 통하는(通) 카드(卡)라는뜻[14] 현재 베이징 이카퉁 모바일카드는 전부 징진지 이카퉁으로 대체되었다. 실물카드는 아직 완전히 대체되지 않은듯.[15] 비단 징진지 이카퉁만의 문제가 아니라, 중국의 거의 모든 모바일 교통카드에는 "이형카드(异型卡) 발급비용"이라는 명목으로 10위안에서 29위안 정도의 발급비용을 받는다. 대부분 중국의 일반 교통카드는 환불이 가능한 보증금은 받아도 발급비용은 받지 않기 때문에 이 "발급 비용"에 관한 논란이 크다.[16] 초등학생~고등학생, 지하철역에서 신청[17] 상하이, 닝보, 사오싱, 후저우, 타이저우, 창수, 란저우, 바이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