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23:43:48

코만도 작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36349> 1
9
5
0
북한군의 남침
<colbgcolor=#777,#222><colcolor=#FFF>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갈곶리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 화령장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 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
9
5
1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3.14 서울 재수복)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
9
5
2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
9
5
3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한국군•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1. 개요2. 유엔군 전투서열3. 상세

1. 개요

코만도 작전(Operation Commando)은 1951년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한국전쟁 중 유엔군이 수행한 공세다. 미 제1군단은 제임스타운 전선을 점령하여 인민지원군(PVA) 제42, 47, 64, 65군 병력을 파괴했다. 이로 인해 PVA는 서울 근처의 UN 보급선을 차단할 수 없었다.

공격은 1951년 10월 3일에 시작하여 10월 12일에 종료하였다. 민든 작전으로 도달한 와이오밍 선에서 6마일(약 9.7km) 전진한 제임스타운 선까지 진격하였으나, 선 남쪽의 몇몇 언덕은 여전히 중공군의 손에 있었고 이 언덕들을 점령하기 위해 후속 작전인 폴차지 작전(Operation Polecharge)이 필요했다. 한편 코만도 작전과 폴차지 작전에서 약 2,900명의 사상자를 낸 미국 제1기병사단은 재편성을 위해 일본으로 철수해야 했다.


코만도(Commando)와 폴차지(Polecharge)는 16개월 동안 지속된 기동 전쟁의 마지막 작전이었다. 이는 1915~17년 서부 전선을 연상시키는 고정 방어선, 참호선, 벙커, 순찰대, 배선대, 지뢰밭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적 전쟁으로 대체되었다. 이 작전에 호주가 참여한 것은 역사가들에 의해 제1차 마량산 전투로 알려져있다.

2. 유엔군 전투서열

3. 상세

10월은 날씨가 대체로 건조했기 때문에 서부전선에서 작전을 수행하기에 좋은 달이었다. 덕분에 항공 지원이 충분히 가능했고 홍수와 진흙탕으로 인한 문제도 해결되었다. 제1군단 지역의 지형은 서쪽의 낮은 지대부터 중앙의 작고 가파른 구릉, 군단 경계 동쪽 변두리의 낮은 구릉까지 다양했다. 오대니얼은 제1군단의 진격에 따라 특공대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자신의 군단에서 4개 사단과 인접한 미 제9군단에서 1개 사단을 투입하여 군단 경계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계획을 세웠다. 군단의 서쪽 측면에는 박임항 준장이 지휘하는 대한민국 제1보병사단이 와이오밍 선을 벗어나 임진강을 건너 개성 방향으로 이동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