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9 23:34:19

오진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0000><tablewidth=100%><tablebgcolor=#ff0000>
파일:조선인민군 휘장.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민족보위상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차수 최용건 대장 김광협 대장 김창봉 대장 최 현
인민무력부장
제5대 직무대행 제6대 제7대
대장 오진우 대장 오극렬 원수 최 광 차수 김일철
인민무력부장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차수 김영춘 차수 김정각 대장 김격식 대장 장정남
인민무력부장 인민무력상 국방상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대장 현영철 대장 박영식 대장 노광철 대장 김정관
국방상
제16대 제17대
차수 리영길 대장 강순남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조선인민군 휘장.svg
조선인민군 원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김영춘 리병철 리을설 박정천
오진우 최광 현철해 }}}}}}}}}

前 인민무력부장
오진우
吳振宇 | O Jin-u
파일:attachment/ojinuportrait_3.jpg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출생 1917년 3월 9일
함경남도 북청군
사망 1995년 2월 25일 (향년 77세)
평양시
재임 기간 제2대 인민무력부장
1976년 5월 15일 ~ 1995년 2월 25일
최종 당적

파일:조선로동당 로고타입.svg
가족 아들 오일정
군사 경력
복무 동북항일연군
1935년 ~ 1942년
소련군
1942년 ~ 1945년
조선인민군 육군
1946년 ~ 1995년
최종 계급 조선인민군 원수[1]
수훈 공화국영웅 (2회)
국기훈장 1급 (13회)
김일성훈장 (3회)
로력훈장 (4회)

1. 개요2. 생애3. 매체에서4. 장의위원회 구성5. 가족사항6. 기타

[clearfix]

1. 개요

북한군인정치인. 1980년대부터 김일성, 김정일에 이어 북한에서 3인자 격으로 군림했던 인물이다.[2]

2. 생애

1917년 3월 9일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났고, 일찍부터 항일 빨치산 활동에 참가하면서 김일성을 만나 최측근이 되었다. 이후 일본 육군의 항일 무장 단체들에 대한 토벌 활동이 강화되자 김일성과 함께 소련으로 피난했고, 소련군에 입대, 88여단에서 소련 육군 하사관으로 복무했다. 당시에는 바쁜 김일성 부부를 대신해서 갓 태어난 김정일을 업어가며 키웠다고 하며, 이런 인연이 있어서인지 김정일 치하에서도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었다.

광복 후 북한으로 돌아와 1946년 9월에 중앙보안간부학교 군사부교장으로 부임하면서 조선인민군 창군 작업에 참가했고, 육군 장령이 되어 한국전쟁 중에는 제766유격연대[3]장으로 부임해 경상북도 포항시까지 진격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국군의 격렬한 저항과 UN군의 압도적인 포화 공격에 큰 피해를 입어 연대는 궤멸되었고 전쟁에 투입된지 불과 2개월 만에 인민군 12사단에 합병당하는 수모를 겪고 만다. 이후 후방으로 좌천되어 김일성 경호부대의 대장을 역임하다가 휴전 이후인 1954년에는 3사단장에 부임하고 소장으로 집급한다. 1956년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오르고 1957년에는 3군단장이 된다. 1958년에는 중장으로 진급한 뒤 공군사령부 참모장[4], 총참모부 부참모장, 민족보위성(현 인민무력부) 부상,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 등 군 내 요직을 두루 거쳤고, 1958년 1월 21일, 리권무, 최종학, 최현, 김봉률, 류경수, 김철우, 최용진, 리림, 리방남, 지병학, 김화천, 정병갑, 전우, 김창봉, 김대홍, 한일무, 유성철, 최광, 김창덕, 허봉학, 정화준, 박창림, 전문섭과 함께 조선인민군 창건 10주년 국기훈장 1급을 수여받았다. 1959년 7월, 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보선되었다. 1961년 9월, 4차 당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승격되었고, 1962년 9월, 김경석 장의위원을 지냈다. 1966년 10월, 2차 당대표자회에서 정치위원회 후보위원에 선출되었으며 1967년에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과 총참모장에 임명되었다. 다만 총정치국장 자리는 곧 안영환에게 물려주고 총참모장에만 집중하였고, 헝가리 외교문서에 따르면 비서국 비서로 보선되었다. 1969년 12월, 정치위원회 위원으로 승진했으며 1970년 11월, 5차 당대회에서 정치위원회 위원에 재선, 당중앙군사위원회 위원,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을 겸하며 군 경력의 정점에 올랐다. 1969년 8월 리주연 장의위원, 1973년 1월, 정준택 장의위원을 지냈다. 총참모장 재직 중이던 1976년 5월 14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최현의 뒤를 이어 인민무력부장에 임명됨으로 김일성의 최측근으로 자리매김한다.

이 시기까지만 해도 오진우는 오직 김일성에게만 절대적인 충성을 바치고 있었다.[5] 후계자 문제와 관련하여 김정일의 경우 자신이 보모 역할까지 하면서 길렀음에도 제대로 된 군 경력이 없었다는 이유로 좀 더 군사적 능력이 있어 보이던 김평일에게 더 호의를 보이고 있었다. 이 때문에 강성산이 김성갑의 편의를 봐주었다고 철직당할 위기에 처하자 겨우 그거 가지고 철직을 하느냐고 유일하게 강성산 편을 들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를 알아챈 김정일이 처음에는 오극렬을 앞세워 오진우를 어떻게 실각시키보려 했지만 인민무력부를 철옹성같이 장악한 오진우를 몰아낼 수가 없었고, 결국 아버지의 신임을 받는 오진우를 제거하기보다는 자기 편으로 회유하려고 거액의 뇌물을 계속 건넸다.[6] 결국 김평일이 김정일의 정치 공작으로 권력을 잃은 뒤에는 친김정일 세력으로 돌아섰다.

이후 군부 내 보수 세력의 수장 역할을 하면서 오극렬 등 개혁 세력과 암암리에 권력 투쟁을 했는데, 1979년에 건강상의 이유로 오극렬에게 총참모장 직책을 내주면서 일시 후퇴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하지만 마찬가지로 김일성의 최측근이자 자신과 마찬가지로 빨치산 1세대였던 최현과의 경쟁에서는 우위를 점했고, 1976년에 최현이 맡고 있던 인민무력부장 자리를 차지하면서 여전히 정치력에서 밀리지 않는 면모를 보여주기도 했다. 1974년 2월, 장길부 장의위원, 1976년 3월에 남일 장의위원, 5월에 홍원길 장의위원, 9월에 최용건 장의위원을 지냈다.

1980년 6차 당대회에서는 정치국 상무위원이 되면서 김정일의 군부 장악을 도왔고, 그 공으로 1985년 4월 13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을 통해 해방 40주년, 당창건 40주년을 구실로 조선인민군 차수로 진급했다. 이후 자신의 최대 라이벌 중 한 사람이었던 오극렬이 정치위원의 권한 축소에 관한 문제로 김일성의 신임을 잃고 총참모장 직책을 갑툭튀한 원로인 최광에게 내주자, 최광과 함께 개혁파의 위세를 압도하면서 보수적인 정치 군인으로서 입지를 확고하게 다졌다. 1982년 3월, 전창철 장의위원, 1982년 4월에는 최현 장의위원, 1983년 1월 강량욱 장의위원, 1984년 3월에는 김일 장의위원, 4월에 오백룡 장의위원, 1987년 8월, 박영순 장의위원을 지냈다.

1990년에 군부의 확실한 장악을 위해 김정일이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자리를 스틸가져가고 1991년에는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에 부임하면서 입지가 어느 정도 약화되었지만, 1992년 4월에 북한 군 역사상 단 세 명밖에 없었던 (오진우, 최광, 리을설) 인민군 원수에 가장 먼저 진급하는 등 말년에 가서도 여전히 강한 권력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7] 1992년 4월 24일, 조선인민군 창건 60주년 열병식에 참가했으며 인민무력부 부부장 김광진과 사열을 돌았다. 이후 김정일이 김일성으로부터 국방위원장 자리를 물려받자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에 임명되었다. 만약 조금 더 오래 살았다면 이후 김정일 시대에 조명록이 수행했던 역할을 이 양반이 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미 그때가 70대 중반의 고령이긴 했다. 1991년 허담 장의위원, 1992년 9월, 서철 장의위원을 지냈다. 1992년 4월 23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최광, 김철만, 전문섭, 백학림, 리을설, 주도일, 리두익, 최인덕, 황순희, 태병렬, 김룡연, 최용진, 리종산과 함께 공화국 2중영웅이 되었다.

1994년에 김일성이 죽은 뒤에는 국가장의위원회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지만, 이 무렵부터 지병인 폐암이 악화되어 공식 석상에 등장하는 빈도가 현저히 떨어졌다. 김정일은 오진우를 특별히 프랑스로 보내 치료를 받게 했지만, 별다른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8] 이듬해 평양에서 투병 중 사망했다. 죽기 전날 김정일이 최광을 비롯한 수뇌부를 이끌고 마지막 문병을 갔고, 장례는 김정일의 명령에 따라 국장으로 행해졌고, 유해는 대성산혁명렬사릉에 묻혔다.

전장에서는 정통 야전 지휘관보다는 참모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았고, 그 솜씨도 그리 신통치 못해 나치 독일 국방군 육군원수 빌헬름 카이텔이나 소련 육군원수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같은 똥별들에 비교하는 이들도 있다. 어차피 북한군 최고위급 대장이나 차수들은 나이가 나이다 보니 야전 지휘관이라기 보다는 그냥 군 원로직으로 보면 되니 크게 상관은 없겠지만. 대신 후빨정치적 보신술은 만렙 수준이었는지 김일성 시절 행해진 수많은 숙청에서도 살아남았고, 김정일 조차도 자기 편으로 회유하려고 안간힘을 썼던 것을 보면 직업군인 보다는 전형적인 정치군인 타입의 인물로 여겨진다.

3. 매체에서

4. 장의위원회 구성

5. 가족사항

아들인 오일정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상장으로 군적을 유지하면서 조선로동당 당중앙위원회 군사부장을 역임하고 있다가 조직지도부 부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2021년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에서 정치국 위원에 선출되고 최부일이 맡았던 군정지도부장으로 승진했다. 하지만 2022년 5월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강등되더니 2022년 12월, 민방위부장으로 이동했다.

손자 오정철은 만경대혁명학원 51기 졸업생으로 2022년 현재 휴전선에서 조선인민군 군관으로 복무하고 있다.

후술하겠지만 사생아도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6. 기타



[1] 공화국 원수였으나 인민군 원수 계급이 생겨난 뒤 인민군 원수로 변경됐다.[2] 정작 아들뻘인 김정일한테는 "그 늙은이" "노인네" "노친네" 소리를 들을 정도였다.[3] 영화 포화속으로에서도 나온 바 있는 인민군 부대[4] 육군 출신인 오진우가 공군사령부에 근무한 것이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전세계 어느 나라나 공군 창설 초기에는 육군 출신들이 주축을 이룬다. 예를 들어, 미국도 육군항공대가 공군으로 분리한 게 1947년 이지만, 정작 공군사관학교는 1954년에야 생겼고, 그 이후에도 한동안 육군 장교들을 충원하였다.[5] 만화 김정은에서는 오진우가 김일성 앞에서 유일하게 맞담배를 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서술했다.[6] 김정일은 오진우의 환심을 사기 위해 자신이 주최한 연회에 자주 그를 초대했는데, 어느 날 과음한 오진우가 차를 몰고 집으로 돌아가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중상을 입기도 하였다. 당시 김정일은 보고를 받고는 병원으로 즉각 달려 와서 의료진에게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치료할 것을 명령하고는 오진우를 회복시키는 데 성공할시 큰 포상을 약속했고, 오진우를 후송한 교통 순찰관에게도 크게 포상을 주었다. 나중에는 오진우를 외국으로 보내 좋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기도 했다.[7] 2015년 11월에 마지막 인민군 원수였던 리을설이 사망한 뒤로도 이 계급에 오른 이는 한 동안 없었다가 2016년 4월 14일에 원로 차수들인 김영춘과 현철해가 동시에 진급했다.[8] 대개의 암 말기 환자가 그렇듯 검진했더니 손을 쓸 수가 없을 정도까지 악화되어 있어서 그냥 되돌아 왔다고 한다. 백옥의 묘사에 따르면 프랑스에서 항암치료를 받았으나 효과가 없었다고 한다.[9] 갑산파가 박금철 부부를 미화하다가 숙청되기도 했다.[10] 북한의 정치인으로 1997년 황장엽과 함께 귀순했다.[11] 초급중학교(당시의 중학교)도 졸업하기 전에 월북해서 상당히 어린 나이에 엘리트 코스를 밟은 케이스이다.[12] 오진우의 말로는 인민군은 군법상 부하들에게 그들의 상급자를 비판하게 시킬 수 없다고 한다.[13] 이때 친밀감을 강조하고 윗선에 들키지 않기 위해 무전을 중국어로 진행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