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관련 문서: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 |||
지명 | 학교 | 교통 | 의식주 |
대중매체 | 인물 · 단체 | 수학 · 과학 | 정치 |
1. 개요2. 지역별 사례
2.1. 서울특별시2.2. 부산광역시2.3. 대구광역시2.4. 인천광역시2.5. 광주광역시2.6. 대전광역시2.7. 울산광역시2.8. 세종특별자치시2.9. 경기도2.10. 강원특별자치도2.11. 충청남도2.12. 충청북도2.13. 전라남도2.14. 전북특별자치도2.15. 경상남도2.16. 경상북도2.17. 제주특별자치도2.18. 북한2.19. 기타
3. 동음이의어 지명 때문에 헷갈리는 경우4. 작중 장소와 실제 촬영 장소가 다른 경우5. 혼동하기 쉬운 널리 쓰이는 지명6. 해외 사례6.1. 일본
7. 스포츠8. 관련 문서1. 개요
"왜 여기에 있냐" 이름 찾아가면 큰일 나는 대구 터미널의 진짜 위치이름과 실제가 맞지 않는 지명의 발생 원인은 행정구역의 폐치분합(廢置分合[1]) 및 경계 조정으로 인해 과거와 현재의 행정구역 차이로 인한 것들이 가장 많다. 일부 군 지역의 경우 군의 형태가 도넛 형태[2]라든가, 섬으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진도군이나 울릉군처럼 중심이 되는 큰 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근 도시에서 중심이 될만한 곳에 행정기관이 자리잡고 있는 경우, 또는 학교나 교육청, 경찰서 등의 명칭을 부여할 때 소재지의 지명 대신 인근에 큰 위상을 가지는 지명(인접한 지역에 인지도가 높은 지명이나, 규모가 큰 대도시가 있는 경우)을 갖다 붙였는데, 소재지의 지명 역시 유명해지거나 오히려 역전되어 위치 연상이 어려워진 것들 등등 다양한 이유를 가진다. 또한 지명과 관계 없이 지은 이름이 우연히 실제 지명과 유사하거나 똑같은 경우도 있다. 음은 같지만 한자(漢字)로는 다른 경우도 마찬가지. 최근에는 행정동으로 인해 이름이 실제와 달라진 경우와 달랐던 게 같아진 경우가 동시에 일어난다.
2. 지역별 사례
2.1.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 렛츠런파크 서울은 서울특별시에 없고 경기도 과천시에 있다. 원래는 1928년 경성부 용두정 (現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에 개장하였으나, 1954년 지금의 서울숲 자리로 옮겼고, 1986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8 서울 올림픽에서 승마경기를 치르기 위해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 서울구치소는 경기도 의왕시에 있다. 1987년을 전후해 이전. 참고로 이전하기 전에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었으며, 그 주변은 현재 서대문형무소역사관과 서대문독립공원으로 탈바꿈하였다.
- 서울고속도로는 경기도 양주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다만, 이 회사가 관할하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북부구간 중에 서울특별시 구간은 노원구 상계동 구간을 관할한다.
- 서울대공원과 서울랜드는 경기도 과천시에 있다. 단 주소만 과천이지 서울대공원의 운영은 서울시에서 한다. 동물 사육사등의 직원도 서울시의 계약직 공무원이다. 또한 토지 소유권도 서울시이다. 즉, 서울특별시 밖에 위치한 서울시청소유지이다. 그리고 서울랜드는 서울대공원의 부속 시설로서 민간기업에서 임대 운영한다. 민간기업이 기부채납으로 서울시에 기부를 하고 운영권을 획득하는 형식으로 세워졌다. 그리고 서울대공원(서울시 관할)과 서울랜드(민간기업)의 운영은 별개로 이루어진다.[3] 마찬가지로 서울랜드 자리에 건설될 예정이었다가 계획이 취소된 서울 디즈니랜드가 있다.
- 서울모터쇼는 원래 강남구 삼성동 COEX에서 열렸지만 2005년부터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KINTEX로 장소를 바꾸었다.
- 서울북부고속도로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세종포천고속도로 중 서울북부고속도로가 관할하는 민자구간 중 다만, 서울특별시 구간은 중랑구로 중랑IC가 속해 있다.
- 서울소년분류심사원은 안양시에 있다. 서울소년원도 의왕시에 있다.[4]
- 서울지방교정청은 경기도 과천시에 있다. 참고로 여기는 2006년 2월에 안양으로 갔다가 2014년 3월에 과천 정부종합청사로 다시 옮겼다.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본청도 역시 과천에 있다. 다면 대부분의 부지는 과천시 안에 있지만 서울시와 과천시 경계이며, 입구 근처의 부속 어린이집은 서울시과 과천시의 경계선상에 있어 일부는 서울시이다. 만약 택시로 방문시 시계외 할증을 피하려면 근처에서 내려서 걸어가면 된다.
- 서울시립승화원은 고양시 덕양구와 파주시 광탄면에 위치하고 있다. 다만 설립초기인 1930년대에는 홍제동에 있었다.
- 서울의 시립정신병원 모두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다.[5]
- 서울특별시 근로청소년회관과 근로미혼여성 임대아파트는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다. 행정구역 개편/수도권/서울개편론/광명시 서울 편입 문서에 언급된 것처럼 서울시가 당시 시흥군 소하읍 철산리, 하안리 일대에 구로공단(현 구로디지털단지, 가산디지털단지) 근로자를 위한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기획했으나[6] 이 지역의 서울 편입이 무산되어 1981년에 광명시로 승격되자 지금과 같이 축소된 것.
- 서울특별시 남부기술교육원은 경기도 군포시에 위치해 있다.
- 종로구
- 돈의문은 돈의동이 아닌 신문로2가에 있다. 참고로 돈의문은 서대문의 다른 이름이다.
- 삼청교육대는 삼청동에 있지 않았다. 다만 아예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닌데, 삼청교육대(삼청계획)를 주관한 국보위 산하 사회정화분과위원회의 본진이 삼청동에 소재했기 때문이다.
- 서울혜화경찰서는 혜화동이 아닌 인의동(종묘 동쪽)에 있다.
- 종로구 한강다목적운동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에 위치해 있다.
- 중구
- 롯데호텔 서울은 소공동에 있는 롯데백화점 본점 옆에 있고, 롯데시티호텔 명동은 명동이 아닌 을지로2가(장교동)에 있으며, 을지로3가역 1번출구에서 도보 3분 거리에 있다. 단, 롯데호텔 L7 명동은 명동역 9번출구 바로 앞에 있다. 세 호텔은 엄연히 별개의 건물이니 '명동 롯데호텔'이라고만 말하면 혼동이 올 수 있음에 유의하자.
- 서울의 재래시장 중 하나인 만리시장과 그 시장이 위치한 만리동고개는 실제로는 용산구 서계동에 위치하고 있다. 시장과 고개 이름의 어원은 당연히 만리동이지만 만리동은 중구고 서계동에서 길 하나를 건너야 한다.(환일고등학교가 위치한 그 곳 맞다.)
- 서울 신당종합사회복지관은 신당역 근처가 아닌 약수역 근처에 있다. 단, 신당복지관이 있는 동은 법정동 신당동(행정동 다산동)이다. 그리고 신당역 근처에는 유락종합사회복지관이 있는데, 이 두 복지관 모두 운영주체가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이다.
- 신당동의 한진해모로는 101동이 성동구 하왕십리동에 위치해 있다. 실제로 101동은 성동구 왕십리로31길 20, 102동~104동은 중구 왕십리로39길 30으로 각각 다른 주소를 가진다.
- 용산구
- 갈월종합사회복지관은 남영동 주민센터와 같은 건물에 있다. 다만 복지관이 위치한 법정동이 갈월동이고 숙대입구(갈월)역과 매우 가깝다.
- 남영동 대공분실이라고 불리던 건물(민주인권기념관 부지)의 실제 주소는 갈월동이다. 건물 바로 옆에 남영역이 있어서 붙은 명칭인데 재미있는 것은 그 남영역도 주소상으로는 갈월동에 있다.
- 남영동 주민센터도 상술한 갈월종합사회복지관처럼 갈월동에 있다. 남영동 북쪽과 서쪽을 감싸는 갈월동과 다르게 남영동 자체는 북으로는 숙대입구역 3번출구서부터 남으로는 크라운제과사옥과 동쪽 군기지 이서 지역까지에 그칠 정도로 굉장히 작다.
- 한남하이츠 아파트는 한남동 바로 옆의 성동구 옥수동에 있다.
- 성동구
- 성동구치소는 송파구 중대로20길 31(가락동) 오금역 근처에 있었다. 1977년 설립 당시에도 이 지역이 성동구가 아닌 강남구였는데도 성동구치소로 불렸다.
- 서울숲재활요양병원은 성수동1가 서울숲 일대나 주변지역과 한참 멀리 떨어진 강동구 고덕동에 위치해 있다.
- 성수동의 뚝섬이라 불리는 지역은 섬이 아니다. 예전에는 홍수가 날 때마다 중랑천 물이 송정동 부근에서 두 갈래로 나뉘어 한강으로 흘러 들어가서 성수동 일대가 일시적으로 섬이 됐는데, 지금은 제방공사를 해서 완전히 육지가 됐다.
- 성수2가1동과 성수2가3동은 있지만, 성수2가2동은 없다. 왜냐하면 성수2가2동이 1995년 광진구가 생기면서 성수2가4동과 함께 노유동(현 자양4동)으로 편입됐기 때문이다. 사실 행정동 중에는 이곳 말고도 통폐합 등 여러 이유로 결번으로 남은 곳이 꽤 있기는 하다.
- 왕십리로에 위치한 센트라스아파트는 대표지번으로 하왕십리동 1070번지를 표시하지만 실제로 3개의 법정동(상왕십리동, 하왕십리동, 홍익동)에 걸쳐 위치해 있다. 아파트 완공 후 동(洞)별 경계를 정리하지 못해 생기게 된 것이다. 실제로 상왕십리역 서쪽의 101~103동, 105, 106, 127, 128, 131동(오피스텔)은 상왕십리동에 위치하며, 104, 108~110동은 상왕십리동과 하왕십리동에 걸쳐 있으며, 상왕십리역 북쪽의 115, 118동은 하왕십리동과 홍익동에 걸쳐 있고, 116, 117, 130동은 홍익동에 위치해 있으며, 나머지 동은 하왕십리동에 위치해 있다. [7]
- 광진구
- 광나루 한강공원은 강동구와 송파구에 걸쳐져 있다.
- 광장시장은 광장동이 아닌 종로구 예지동에 위치해있다. 게다가 광장시장의 광장 한자도 일반적인 광장과 다르고, 광장동의 광장과도 다르다. 일반적인 광장은 廣場, 광장동의 광장은 廣壯, 광장시장의 광장은 廣藏. 참고로 광장시장의 광장은 청계천 다리인 광교와 장교 사이에 있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 군자동주유소는 군자동이 아닌 성동구 용답동에 위치해 있다. 반면에 장수주유소 군자지점은 진짜로 군자동에 위치해 있다.
- 군자차량사업소도 군자동이 아닌 성동구 용답동에 위치해 있다.
- 동대문구
- 동대문구에는 동대문이 없다. 1944년 동대문구 출범 당시에는 동대문이 관내에 있었기 때문에 이 이름으로 정해진 것이지만, 1975년 동대문구 창신동, 숭인동이 종로구로 편입되면서 동대문 역시 종로구에 속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동대문시장과 동대문역사문화공원도 동대문구에 없고 각각 종로구, 중구에 있다.
- 중랑구
- 성북구
- 장위종합사회복지관은 성북구 장위동이 아닌 석관동에 있다. 본래 장위동에 있었으나 장위뉴타운 재개발로 인해 2019년 7월 석관동으로 이전했다.
- 천주교 길음동성당 묘원은 길음동이 아닌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에 위치해 있다.
- 강북구
- 강북청솔학원은 노원구에 있다.
- 미아리고개는 미아동이 아닌 성북구 돈암동에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으로 찾아가려면 성신여대입구역이나 길음역으로 가야 한다. 미아사거리역에서 1.8km, 미아역에서는 무려 3.5km나 떨어져 있으니 4호선을 통해 미아리고개 인근으로 가고자 한다면 역명에 낚여서는 안 된다.
- 도봉구
- 도봉세무서는 강북구 미아동에 있다. 사실 강북세무서는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으며 강북구 전체는 도봉세무서 관할이다.[8]
- 도봉운전면허시험장은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하고 있다. 본래는 도봉구 상계동이던 것이 1988년에 중랑천 동쪽 지역을 노원구로 분구하면서 생긴 일이다.
- 창2~3동 일대를 신창동(新+창동, 新倉洞)이라고 관습적으로 부르는데,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지명이다.[9] 참고로 용산구에 법정동 신창동(新倉洞)이 있다(행정동 원효로2동 관할).
- 노원구
- 노원세무서는 도봉구 창동에 있다.
- 수락리버시티 1, 2단지는 수락산역이 위치한 상계동이 아닌 의정부시 장암동 소재이다. (3, 4단지는 상계동)
- 천주교 당고개 순교성지는 당고개역과 전혀 상관없다. 전자는 용산구에 있고, 후자는 노원구 상계동에 있는 지하철역이다.[10]
- CGV 하계는 하계동이 아닌 중계동에 있다.
- 은평구
- 서대문구
- 서대문구에는 서대문(돈의문)이 없다. 원래는 서대문구 관할이었으나, 1975년 서대문 인근의 정동, 의주로동, 충정로1가 등이 종로구, 중구 등에 편입되면서 현재의 서대문(터)는 중구에 속하게 되었다.
- 가재울뉴타운(남가좌동, 북가좌동 일대) 지구 내의 아파트들은 모두 DMC라는 이름을 붙였는데[12], 정작 DMC는 마포구 상암동 일대에 있다.
- 신촌 e편한세상과 신촌숲 아이파크는 신촌동에 위치해 있지 않다. 신촌 e편한세상은 북아현동에 있고, 신촌숲 아이파크는 마포구 신수동에 있다. 이는 신촌권역이 신촌로터리에 인접한 마포구 지역까지 확장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 신촌 스카이에듀학원은 신촌동이 아닌 마포구 노고산동에 있다.
- KT 신촌지사는 신촌동이 아닌 마포구 동교동에 있다. [13]
- T월드 신촌지점은 신촌동이 아닌 마포구 서교동에 있다. [14]
- 홍제초등학교는 홍은동에 있고, 홍은초등학교는 홍제동에 있다. 홍제초등학교 개교시, 홍은동은 없었고, 학교가 위치한 지역은 홍제외리 였다. 그리고, 홍은초등학교 개교시 학교가 위치한 지역은 홍은동이었으나, 나중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홍제동에 편입되면서 이렇게 되었다.
- 마포구
- 공덕 삼성 래미안 1차, 3차, 4차, 5차 아파트는 행정동으로 아현동에 위치해 있다.[15] 공덕 현대아파트도 마찬가지. 다만 법정동은 공덕동이다. 2008년 행정동 공덕2동과 아현2동이 아현동으로 통합되면서 이들 아파트 모두 공덕2동에 있었기에 이런 일이 발생하였다. 심지어 공덕 삼성 래미안 아파트 3차 옆에는 아현동 주민센터도 있다!
이는 법정동은 마포경찰서~서울서부지방법원,서울서부지방검찰청을 기준으로 북쪽은 아현동, 남쪽은 공덕동으로 나뉘는데 반해 행정동은 마포대로를 기준으로 서쪽은 아현동, 동쪽은 공덕동으로 나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현동과 공덕동 마포대로와 경찰서~법원,검찰청 축선으로 사분면으로 나눠보면 남서부[16]와 북동부[17]는 서로 법정동과 행정동이 불일치하다. - 도화원 중국집은 도화동이 아닌, 은평구 갈현동에 위치해 있다.
- 마포구 망원동의 이름의 모티브가 된 망원정은 실제로는 합정동에 있다. 이는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원래의 망원정이 유실된 이후 1986년에 복원할 때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기 때문이다.
- 서울 월드컵 경기장은 '상암 구장' 혹은 '상암 월드컵 경기장'이라고 불리지만 상암동이 아니라 성산동에 있다(월드컵경기장역의 부역명이 '성산'이다).
- 아현 1정비구역으로 지정해 놓은 지역은 공덕동(행정동) 지역이다. 마찬가지로 현재 지어지고 있는 아현 아이파크는 공덕동에 있다. 이 두 장소는 법정동상으론 아현동이다.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공덕동과 아현동이 법정동으로는 서울마포경찰서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행정동으로는 마포대로를 기준으로 동서로 나뉘어지면서 생긴 현상. [18]
- 양천구
- 목동아파트 8~14단지는 목동에 없고 신정동에 있다. 그 밖의 '목동'이 붙은 일부 단지도 신정동에 있다. 한편, 신정뉴타운은 신정동에 없고 신월동에 있고, 목동센트럴아이파크위브도 신월동에 있다.
- 서울 양천향교는 양천구에 없다. 9호선 양천향교역도 마찬가지(강서구 가양동). 이는 강서구와 양천구는 모두 조선시대 당시 양천현 관할이었고, 양천향교가 있는 가양동이 바로 양천현의 관아가 있던 곳이었기 때문이다.
- 뉴신정주유소는 신정동이 아닌, 강서구 화곡동에 위치해있다.
- 강서구
- 강서개화축구장은 개화동이 아닌 인천광역시 계양구 하야동에 있다.
- 교보생명 강서다이렉트지점, 현대해상 강서사옥 등은 영등포구에 위치해 있다.
- 강서수도사업소는 양천구 신정6동에 있다. 1988년에 강서구에서 양천구가 분구되면서 일어난 일이다.
- 화곡 1,2,3,4,6,8동은 있지만 화곡 5,7동은 없다. 화곡 5동은 발산 2동과 합쳐서 우장산동이 되었고, 화곡 7동은 화곡 1동과 합쳐졌기 때문이다.
- 구로구
- 개봉중앙교회와 대한성결교회개봉교회는 개봉동에 없고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에 있다. 광명동 구시가지가 개봉지구와 함께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는 이 외에도 '개봉지점' 등의 이름을 달고 있는 곳들이 많다.
- 서울 구로세무서는 영등포구 문래동에 있다. 참고로 구로세무서 바로 옆 건물은 서울남부지방법원 등기국.
- KT 구로지사[19]는 관악구 신림동(조원동)에 있다.
- 궁동공원, 궁동근린공원 등은 궁동이 아닌, 서대문구 연희동에 위치해있다.
- 금천구
- 영등포구
- 여의도는 이름처럼 섬이지만, 사실상 섬의 정체성을 잃은지 오래다. 섬과 육지 사이는 거의 개울 수준이라서 샛강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올림픽대로로 인해 시가지가 격리되어 있어 섬으로서 고립감은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다.
- 동작구
- 동작대로는 서울동작경찰서의 관할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용산구(동작대교~동작대교 북단) 구간은 서울용산경찰서, 나머지(동작대교남단~사당역사거리) 구간은 서울방배경찰서 관할이다. 동작대교 남단~사당역사거리 구간은 동작구와 서초구에 걸쳐 있는데 행정 편의상 서울방배경찰서가 전부 관할한다. 과천대로(서울) 구간도 마찬가지로 중앙선을 기준으로 관악구와 서초구에 걸쳐 있지만 행정 편의상 서울방배경찰서가 전부 관할한다.
- 사당종합사회복지관은 사당역이 아닌 남성역과 가깝다. 단, 이름에 걸맞은 법정동 관내에 있다.
- 사당자동차운전전문학원은 사당동이 아닌 서초구 방배동에 위치해 있다.
- 동작세무서는 구 경계가 되는 대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동작구가 아닌 영등포구 신길동에 있다. 영등포세무서는 영등포구청 옆에 잘있으니 걱정 말자.[20] 참고로 영등포세무서도 양평동 옛 강서세무서 부지로 이전할 예정이다.
- 천주교 서울대교구 대방동성당은 대방동이 아닌 영등포구 신길동에 있다. 1975년까지만 해도 현재의 신길동 중 여의대방로 서쪽 일부는 관악구 대방동과 신대방동이었기 때문이다.
- KT 대방지사(노량진전화국 대방분국)는 대방동이 아닌 영등포구 신길동에 있다. 게다가 대방동 지역 전화도 KT 대방지사가 아닌 KT 동작지사(노량진전화국)가 관할한다.
- 관악구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관악식물원은 관악산 내에 위치한 것은 맞되, 관악구에 없고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에 위치해 있다.
- 봉천동의 관악현대아파트 105~108동, 201동은 동작구 상도동에 위치해 있다. 실제로 105~108동은 동작구 상도로 421, 201동은 동작구 사당로2가길 10-5, 나머지 동은 관악구 관악로 304로 각각 다른 주소를 가진다. 이와 다르게 관악푸르지오 아파트는 102동만 동작구 관할인데, 같은 주소를 사용한다.[21]
- 서초구
- 반포종합사회복지관은 잠원동에 있다. 단, 반포복지관은 반포역에서 매우 가깝다.[22]
- 방배종합사회복지관은 방배역이 아닌 사당역과 가깝다. 단, 이름에 걸맞은 법정동 관내에 있다.
- 서울 반포세무서는 반포동이 아닌 방배동에 있다. 삼성세무서와 서초세무서는 강남구 역삼동에 있다. 심지어 역삼세무서와 함께 3개의 세무서가 한 건물에 입주해 있다.
- 서초구 선거관리위원회는 강남구 논현동에 있다.
- KT 서초지사(반포전화국 서초분국 → 서초전화국)는 서초구에 위치한 것은 맞되, 서초동이 아닌 방배동에 위치해 있다.
- 강남구
- 가로세로연구소 압구정 LAB은 주소상으로 신사동에 있다. 다만 행정동으로 압구정동에 위치해 있긴 하다.[23]
- 개포우성4, 5차와 개포한신아파트는 개포동이 아니라 도곡동에 있다. 버스 정류장 이름도 도곡동개포한신아파트다.
- 뱅뱅사거리는 뱅뱅 본사 건물이 사거리에 있어서 붙여졌으나, 2021년부로 뱅뱅 본사가 사라지면서 이름과 실제가 달라지게 되었다. 현재 뱅뱅 본사 자리에는 현대자동차 강남대로지점이 들어와 있으며, 구 본사 자리 옆에 뱅뱅어패럴 매장이 있다.
- 교보문고 강남점은 서초구에 위치한다. 현재는 폐업한 영풍문고 강남점 역시 서초구에 있었다. 사실 양재역 사거리 기준으로 북쪽은 강남대로를 경계로 서초구와 강남구가 나뉜다. 따라서 강남대로에 위치한 대부분의 체인점 중 절반 정도는 강남점을 쓰지만 서초구에 있다.
- 대치아파트는 대치동이 아니라 일원동에 있다. 양재천 하나만 건너면 대치동 학여울역이 나오긴 한다.
- 서울수서경찰서는 수서동에 없고 일원동(법정동은 개포동)에 있다. 단, 수서동의 원래 의미인 탄천 서쪽에 있다는 뜻은 들어맞는다.
- 압구정동은 조선시대 때 한명회가 지었던 정자 '압구정(狎鷗亭)'에서 유래했는데 해당 지역에는 갈매기가 서식하지 않음에도 이런 이름을 지은 이유는 한명회가 명나라를 방문했을 때 예검이라는 사람이 덕담 차원에서 붙여준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명회는 '욕심없이 살아가라'는 이 말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권위를 과시하기 위해 성종에게 무례한 태도를 보였고 분노한 성종이 강제 철거령을 내리면서 압구정은 현존하지 않는다. 당대 사람들이 친할 압(狎)을 모양이 비슷한 누를 압(押)으로 바꿔서 비난하기도 했다.#
- 역삼럭키아파트는 역삼동이 아닌 도곡동에 있다.
- 강남대성학원을 비롯한 강남XX학원이라고 부르는 입시 학원은 서초구에도 많이 몰려 있다.[24], 단 강남이라는 말이 강남,서초,송파를 총칭하는 강남3구라면 틀린 말은 아니다.
- 천주교 서울대교구 압구정동성당 및 압구정1동 성당은 전부 신사동에 있다. 다만 압구정1동 성당은 행정동상 압구정동에 속하긴 하나, 이마저도 압구정1동이라는 행정동명은 없다.[25]
- 송파구
- 가락삼익맨숀은 가락동이 아닌 송파동에 위치해 있다. 첫 입주당시에는 단지 소재지가 가락동이었다가 1989년 9월 1일 가락동 중 양재대로 이북지역 일부가 송파동에 편입되면서 생긴 일이다.
- 서울교통공사 종합운동장 건축관리소, 정보통신관리소 등은 종합운동장역이 아닌, 성수역에 위치해 있다.
- 송파종로학원[26]은 강동구 성내동에 있다. 단, JYP엔터테인먼트 인근이자 올림픽공원 북2문 맞은편에 있고 강동, 송파, 광진, 하남 등지에서 학생들이 오므로 아예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다.
- 잠실 더샵 루벤은 잠실동과 먼 송파동에 있다. 리모델링 이전 명칭은 송파성지아파트였다.
- 잠실 올림픽 아이파크도 잠실동이 아닌 풍납동에 있다. 재건축 이전 명칭은 풍납우성아파트였다.
- 석촌호수는 석촌동이 아닌 잠실동(잠실3동, 서호)과 신천동(잠실6동, 동호)에 있다.[27]
- 코리아나화장품 송파기술연구원은 송파구와 한참 멀리떨어진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위치해있다.
- 강동구
- 고덕XX아파트 중 고덕동에 있는 것은 고덕 아이파크와 고덕 그라시움[28],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 뿐이다. 고덕리엔파크는 강일동에, 나머지인 고덕 아르테온, 고덕 숲 아이파크, 고덕 센트럴 아이파크, 고덕 자이,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29]는 상일동에 있다.
- 명일근린공원은 명일동이 아닌, 상일동에 위치해 있다.
- 기타
2.2. 부산광역시
- 가야컴퓨터도매상가는 가야동이 아닌 주례동 주례역 인근에 위치해 있다. 아파트단지 건설로 인해 옮겨진 것이지만, 정작 옮겨지기 전의 장소조차 가야동이 아닌 개금동이다. 다만 이 일대를 예전부터 관습적으로 가야라고 칭하긴 해서 딱히 틀린 명칭은 아니다.
- 덕포자동차운전학원은 덕포동이 아니라 삼락동에 있다. 다만 삼락천만 건너면 덕포동이니 전혀 연관성이 없는 건 아니다.
- 부산광역시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중구의 이름은 위치와는 별 상관이 없다. 정확히는 동구, 중구, 서구는 부산의 남쪽 끄트머리에 모여 있으며, 남구는 동구의 동쪽에 붙어 있고, 북구는 나머지와는 완전히 따로 부산의 서북쪽 끝에 떨어져 있다. 부산의 역사가 워낙 파란만장하기 때문.
-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일부 예비군 훈련장들은 실제 위치가 관할구역과 다른 훈련장들이 많다.
- 강서구예비군 훈련장은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다.
- 금정구예비군훈련장과 남구, 수영구예비군훈련장은 해운대구 좌동에 있다. 참고로 과거에도 금정구예비군훈련장은 금정구가 아닌 양산 웅상과 부산 기장군의 경계지점에 있었다.
- 동래구, 연제구 예비군훈련장은 해운대구 송정동에 있다.
- 롯데백화점 광복점은 광복동이 아니라 중앙동에 있다. 그리고 광복동 명칭의 유래가 되는 광복절에 개점하지도 않았다.
- 부산국제우체국은 양산시 동면에 있다. 물론 부산우체국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다.
- 부산금정소방서 서동119안전센터는 금정구 서동이 아니라 동래구 명장동에 있다. 물론 서동-명장동 경계와는 불과 200m 정도이며, 관할 구역이 금정구 서동과 금사동, 회동동 및 동래구 명장2동 지역이다.
- 부산남부소방서는 남구가 아니라 수영구에 있다. 수영구가 남구에서 분구된 지역이기는 하나 정작 소방서는 분구 이후에 세워졌다. 다만, 관할구역은 두 지역 모두(단, 남구 문현동은 부산진소방서 관할.)
- 부산 동래세무서와 동래소방서는 동래구가 아닌 연제구에 있다. 1995년 분구되기 전까지는 동래구였던 곳이기는 하다.
- 부산 금사대우아파트는 금정구 금사동에 없고, 해운대구 반여4동에 있다. 원래는 이 아파트의 일부가 금정구에 속해있긴 했지만, 2020년 7월 1일부로 전부 해운대구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 부산 망미주공아파트는 수영구 망미동에 없고 연제구 연산9동에 있다.
- 부산 명륜아이파크 2단지 아파트는 동래구 명륜동에 없고 복천동에 있다. 참고로 1단지는 이름 그대로 명륜동에 있다. 물론 2단지도 명륜동 경계선에서 100m 정도 거리에 있다.
- 부산 북구에 위치한 화명뜨란채, 화명리버빌, 화명한일유앤아이 등의 아파트는 화명동이 아니라 금곡동에 있다.[31] 다만 대천천만 건너면 바로 화명동이라 연관이 없지는 않다.
- '구포'란 지명이 붙은 시설이 꼭 북구 구포동에만 있지 않다. 이는 지금의 북구 일대가 원래 동래군 구포읍이었기 때문이다.
- 부산 북부운전면허시험장은 사상구 덕포동에 있다. 다만 위치 자체는 부산 북쪽에 있는 것이 맞기 때문에 딱히 틀린 명칭은 아니다.
- 부산중부소방서 창선119안전센터는 창선동이 아니라 부평동에 있다. 다만 창선동-부평동 경계와 불과 300m 떨어져 있으며 관할구역이 창선동, 신창동,부평동, 대청동2,3가, 보수동1가 지역이다.
- 부산 엄궁유수지공원은 사상구 엄궁동에 없고 감전동에 있다.
- 부산진구에는 부산진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던 부산진성도, 자성대도, 부산진역도, 부산진시장도, 부산진세무서도 없으며 모두 동구에 있다.[32] 더 이상한 점은 다른 지역에서 이런 경우 대부분 인구가 늘면서 큰 구가 나눠져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둘은 1957년 구 설치 시 같이 만들어졌다. 즉 처음부터 이름을 잘못 지은 것.
- 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는 수영구가 아닌 동래구 안락동에 있다. 다만 동쪽에 수영강을 끼고 있기에 여기에 착안해 명칭을 붙였다고 보면 맞는 명칭이 된다. 게다가 번영로만 넘으면 바로 수영구다.
- 부전교회는 부산진구 부전동가 아니라 동래구 사직동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원래 위치가 부전동이었다가 사직동에 새 교회당을 지어서 이전했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한 경우가 가야교회와 수영로교회인데 두 교회의 원위치는 각각 가야동과 수영동이었다가 이전했다. 현재 두 교회의 위치는 각각 부산진구 부전동과[33] 해운대구 우동이다.
- 천주교 부산교구 반여성당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이 아닌 재송동에 있다.
- 천주교 부산교구 수정성당은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이 아닌 좌천동에 있다.
- 천주교 부산교구 아미성당은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이 아닌 사하구 감천동에 있다.
- KB증권 동래지점은 동래구가 아닌 연제구 연산동에 있다. 다만 연산동은 거제동과 함께 동래구에 속했다가 연제구로 분리되었으므로 완전 뜬금없지는 않다. 정확하게는 원래 동래구에 있었으나 KB의 계열사 점포 통폐합으로 통합 이전하였기 때문
- 부산안면옥 냉면집은 1953~1969년까지는 부산광역시와 여수시에 있었으나 현재는 대구광역시에 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좌동과 우동은 북쪽을 위로 하는 일반적인 지도에서 보았을 때, 이름과 달리 서로 정반대로 위치해있다. 즉 중간에 제대로 있는 중동을 기준점으로 봤을때 좌동은 오른쪽(동쪽)에 위치해있고 우동은 왼쪽(서쪽)에 위치해있다. 장산에서 해운대 쪽(남쪽)을 내려다보면서 붙인 지명들로 추정된다.
- 부산동은 한자로도 "釜山"이지만 부산광역시가 아니라 오산시에 있다.
- 부산 오션시티 푸르지오와 두산위브 더제니스 오션시티는 강서구 명지2동(명지오션시티)[34]이 아닌 각각 영도구 동삼동, 남구 우암동에 있다.
- 강서구 면적의 대부분은 낙동강 가운데에 위치한 삼각주이다. 사실상 강서가 아니라 강중(江中)인 셈. 그러나 부산 도심에서 서쪽으로 강을 건너가야 강서구가 나오기 때문에 그런 의미에서는 강서가 맞기는 하다.
2.3. 대구광역시
- 건국유업&햄(건국우유) 다사&북비산지점은 달성군 다사읍과 서구 비산동이 아닌 서구 평리동에 있다.
- 달성공원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이 아니라 중구 달성동에 있으며 대구달성초등학교는 서구 원대동에 있다. '달성(達城)' 자체가 대구의 옛 이름이자 별칭이다.
- 대곡지구는 달서구 대곡동에 있지 않다. 엄밀히 말하면 대곡 1지구는 달서구 도원동에, 대곡2지구는 달서구 대곡동에 있다.
- 동구 선거관리위원회[35]와 대구신암초등학교는 북구 대현동에 있다. 이는 대현동은 원래 동구 신암동의 일부였으나, 1975년에 신암동에서 분할되어 북구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 달서구 예비군훈련장은 원래 달서구 송현동에 있었으나 북구 국우동으로 바뀌었다.
- 중구, 서구, 남구, 수성구 예비군훈련장은 각각의 관할구역이 아닌 동구 능성동에 동구 예비군훈련장과 함께 있다.
- 팔달시장은 북구 팔달동이 아닌 노원동2가, 노원동3가와 서구 원대동3가에 걸쳐 있다.
- 대구 시민들이 칠곡이라고 부르는 지역은 1981년 북구에 편입되기 전까지는 경북 칠곡군 칠곡읍이었다. 그래서 칠곡초등학교, 칠곡중학교, 칠곡나들목, 칠곡향교 등 칠곡과 관련된 곳이 칠곡군 외에도 대구 칠곡 지역에 더 많으며 대구에서는 구 칠곡읍 지역을 칠곡으로 부르며 경북 칠곡군은 중심지인 왜관읍에서 유래한 왜관으로 부른다.
- 대구침산푸르지오1차아파트는 침산동이 아닌 칠성동2가에 있다. 다만 일부 동은 침산동에 있다.
- 대구지하철 2호선 사월역은 3, 4번 출구는 사월동 1, 2번 출구는 신매동에 위치한다
- 서구 내당1동, 내당2.3동을 관할하는 서도지구대는 비산2.3동 소재 평산지구대 관할구역인 평리4동에 있다.
- 대봉배수지는 중구 대봉동이 아니라 남구 이천동에 있다. 1980년 4월 대봉동 중 명덕로 이북 지역이 남구에서 중구로 편입되고 남구에 잔류한 대봉동이 이천동으로 개칭되었기 때문이다.
- 중리시장과 이현시장은 각각 서구 중리동과 이현동이 아닌 평리동에 있다.
- 이현초등학교는 서구 이현동이 아닌 평리동에 있다.
- 한서실업 비산공장은 서구 비산동이 아닌 평리동에 있다.
- CJ대한통운 동대구지점은 동구가 아닌 서구 이현동에 있다. CJ대한통운 서대구지점은 달서구에 있지만, 달서구가 대구에서 서쪽에 위치하며 달서구 중에서 성당동, 두류동, 성서지구는 서구에서 분리되었으니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 CJ대한통운 대구동성로지점과 CJ대한통운 대구달성하빈대리점은 중구와 달성군 하빈면이 아닌 달서구 월성동에 위치해 있다.
- CJ대한통운 대구비산대리점은 서구 비산동이 아닌 평리동에 있다.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되어 이전하기 전에도 평리동에 있었다.
- CJ대한통운 대구달성다사대리점은 다사읍이 아닌 논공읍에 위치해 있다.
- iM뱅크 대곡역지점은 주소상으로는 달서구 대곡동이 아닌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다. 이렇게 된 까닭은 대곡역이 달성군 화원읍과 달서구 대곡동의 경계선에 있기 때문이다.
- 방촌교는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이 아니라 옆 동네인 불로동에 위치해 있다. 금호강의 지류인 방촌천 위를 지나는 다리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 신천시장은 동구 신천동이 아닌 수성구 수성동4가에 있다.
2.4. 인천광역시
- 인천광역시 동구는 인천광역시의 제일 서쪽에 있으며, 서구의 남쪽에 있다. 서구는 분구될 당시 중심지였던 서곶면에서 이름을 따왔고, 동구는 과거 인천[36]에서 중구와 애매한 위치관계로 지어진 이름이기 때문. 2026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동구와 중구 일부(동인천, 하인천)이 제물포구로 개편되면 동구 명칭은 사라질 전망이다.
- 마찬가지로 서구는 제일 북쪽에 있다.[37][38] 다만 인천 본토를 동서로 나누면 서쪽에 위치하고 있긴 하다.
- 인천광역시 부평구만을 관할구역으로 하는 교육지원청의 이름은 뜬금없이 북부교육지원청이다. 부평구와 계양구가 분구되기 전의 행정구역이 북구였기 때문, 더불어 계양구는 부평구의 북쪽에 있다.[39]
- 인천광역시교육청북구도서관은 부평구 부평동에 위치하고 있다. 부평구와 계양구가 분구되기 전의 행정구역이 북구였기 때문.
- 강화군은 인천광역시 소속이지만 인천광역시 본토와는 지리적으로 완전히 떨어져 있다. 오히려 경기도 김포시에 더 가까이 접해 있으며 유일한 육로 역시 김포시로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경기도 재편입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으나 인천광역시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일부 예비군훈련장은 이름과 실제위치가 다르다. 이전과 분할을 했기 때문.
- 계양·부평 예비군훈련장은 서구 백석동에 있다. 과거에는 계양구 계산동에 있었다.
- 남동구 예비군훈련장은 남동구가 아닌 서구 공촌동에 있다.
- 서구·동구 예비군훈련장은 서구 또는 동구가 아닌 계양구 둑실동에 있다. 과거에는 서구 공촌동에 있었다.[40]
- 미추홀구 관교동은 예전의(부천군 문학면 시절) 관교리 영역이 많지 않다. 지금의 관교동은 오히려 승기리 지역에 가까우며, 관교리는 지금의 문학동 북부(+주안7동 신기시장 주변)와 관교동 인천터미널+풍림아파트 일대에 해당된다. 이게 사실 1995년에 관교동 일부(관교동이라는 지명의 유래인 인천도호부관아와 인천향교 포함)가 문학동으로 편입되어서 그렇다.
- 남동구는 인천의 남동쪽에 있는 것은 맞지만, 한자로 南東區가 아니라 南洞區이다. 부군면 통폐합 당시 남촌면(南村面)과 조동면(鳥洞面)의 '남'과 '동'을 따 왔다. 실제로 동양에서는 동서 방위명을 남북 방위명보다 앞에 붙이므로 방위를 기준으로 지명을 지었다면 동남구라고 지었을 것이다.[41]
- 부평구 일대는 원래 대부분 부평 지역에 속하긴 했으나 근대 이전까지 중심지가 아니었다. 경인선 개통과 일제강점기 이후로는 완전히 중심지가 현 부평구 일대로 넘어왔다. 과거 부평도호부가 들어섰던 부평의 일제강점기 이전 중심지는 계양구 계산동이었다.
- 옹진군은 옹진반도에서 유래했으나 현재 관할 지역에 옹진반도가 없다. 남북 분단과 관련이 깊은 지명이다. 옹진군, 옹진군(황해남도) 문서 참고.
그리고 옹진군청도 옹진군이 아니라 미추홀구에 있다. 옹진군은 여타 섬 지역들과는 달리 중심이 될 만한 섬이 없어서 관내에 군청을 두기가 심히 곤란하다. - 월미도는 원래 섬이었지만 현재는 간척지가 조성되었기 때문에 섬이 아니다.
- 중구는 인천광역시 본토(강화, 옹진 제외)의 정 가운데에 있는 게 아니라 서쪽 끝에 있다. 그 이유는 구청이 생길 당시에는 인천시청이 중구에 위치해서 그렇고, 인천이 점점 성장하며 시역확장을 하다보니 서쪽 끝에 몰린 것이다. 2026년 7월 행정구역 개편이 되면 육지지역(하인천, 동인천)은 제물포구로 개편될 예정이다.
- 도미노피자 삼산점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에 없고 갈산동에 있다. 다만 개업할 때는 삼산동에 있었다.
- 계양구 상야동은 아래쪽에, 하야동은 위쪽에 서로 접해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실제 지역의 방위를 기준으로 한 게 아니라 굴포천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이름을 지었기 때문이다.
- 하인천(下仁川)은 인천의 아래쪽이 아닌 중구 북성동2가(인천역)에 위치하며 상인천(上仁川)은 인천의 위쪽이 아닌 남동구 간석동에 위치하고 있다. 실제로 주안역을 기준으로 보면 하인천은 북서쪽에, 상인천은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 도원역은 중구 도원동이 아닌 동구 창영동에 위치하고 있다. [42]
- 동인천역은 동구가 아닌 중구 인현동에 위치하고 있다.[43]
- 문학경기장역은 미추홀구 문학동이 아닌 연수구 선학동에 위치하고 있다. [44]
- 제물포고등학교는 제물포역 부근(미추홀구)이 아닌 중구 전동에 위치하고 있다. [45]
- GS칼텍스 부흥로주유소는 부흥로에 없고 장제로에 있다. 도로명주소도 부평구 장제로 200이다.
2.5. 광주광역시
- 5.18 국립묘지, 그리고 국립묘지 조성 이전에 5.18 희생자들이 안치되었던 광주 시립묘원을 흔히 '망월동 묘지'라고 하는데, 사실 망월동이 아니라 각각 운정동, 수곡동에 있다.
- 상무대는 광주광역시 상무동에 있지 않고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에 있다. 이는 1995년까지만 해도 상무대가 상무동에 있었다가 이전했기 때문이다.
- 상무지구의 대부분은 행정동 상무1동 관할도, 상무2동 관할도 아닌 치평동 관할이다. 상무1동과 상무2동은 원래 법정동인 쌍촌동인데, 상무대가 광주에 있었을 적에 상무대가 있던 치평동과 상무대 옆의 주거지구였던 쌍촌동을 합쳐 행정동을 '상무동'이라고 했다가, 치평동의 상무대 후적지에 상무지구가 개발되어 분동될 때 치평동은 법정동명을 그대로 쓰고 쌍촌동이 상무1동, 상무2동이란 이름으로 계속 남아서 이렇게 돼버린 것.
- 서동은 남구에, 남동은 동구에, 광산동도 동구에 있다. 다만 북동은 북구에 있다. 이 중 서동은 1995년 서구에서 남구가 분구되기 전까지 서구 관할이었고, 북동은 1980년 북구가 신설되기 전까지 서구 관할이었다.
- 일곡엘리체아파트와 신일곡골드클래스아파트, CJ택배광주일곡영업소는 북구 일곡동이 아닌 삼각동에 있다.
- 광주광역시립 사직도서관은 남구 사직동이 아닌 남구 양림동에 있다.
- 광주광역시 학생교육원은 화순군 동면 구암리에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는 서쪽에 있지 않고 중앙에[46], 그것도 약간 동쪽으로 치우쳐져 있다. 옛 광주시 시절부터 광주직할시 승격 후 1988년까지는 확실히 광주 서쪽에 있었지만, 1988년에 광산군과 송정시를 광산구로 통합하여 편입하면서 광주 중앙으로 밀려난 모양새가 되었다. 그도 그럴 것이 광산구의 면적은 광주 전체면적의 45%를 차지한다.
- 광주광역시 동구, 서구, 남구 예비군훈련장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있다.
- 천주교 광주대교구 염주동성당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2동 염주마을이 아닌 쌍촌동 화정초교 맞은편에 있는데 염주마을 근처에는 화정3동성당이 있다. 그 이유는 화정3동 관할인 e-편한세상 옆에 있기 때문이다.
- 천주교 광주대교구 본촌동성당은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동에 있다. 그 이유는 임시성전 당시 본촌동에 있었기 때문이다.
- 광주호의 대부분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있으며 일부만이 광주광역시 북구에 속해있다.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소속기관인 광주과학수사연구소는 광주가 아닌 장성군에 있다.
2.6. 대전광역시
- 동구의 상소동, 하소동도 상하가 거꾸로 되어 있으며, 하소동이 더 상류이다. 이에 대해서는 위쪽에 평민이 살고 아래쪽에 양반이 살았는데 양반의 마을에 감히 하(下)라는 글자를 붙일 수 없다고 해서 아래쪽이 상소동이 되고 위쪽이 하소동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 옛 대덕군 지역: 지금의 대덕구는 대덕군 중 일부 지역만 물려받았기에 대덕군이 존속하던 시절 있었던 곳들이 꼭 대덕구에만 있지 않다.
- 대전 중구예비군훈련장은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다.
- 대전우편집중국과 대전교환센터는 계룡시 두마면에 있다.
- 대전교육연수원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다.
- 대전공원묘원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있다. 심지어 세종특별자치시가 연기군이었던 시절에도 공주시 장기면에 있었다.
- 둔산동에 있지 않은데도 둔산이란 이름이 붙은 지명 대부분[47]
- 둔산주공1~3단지는 둔산동에 있지않고 월평동에 위치한다. 둔산주공이 위치한 월평동이 둔산신도시로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둔산주공 1,3단지는 영구임대 아파트라서 영세민들이 주로 거주하고 2단지만 거래가 가능한 아파트이다. 2단지의 경우 영구임대 아파트와 차별화를 하고자 둔산주공이라고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은뜰마을 아파트라고 불린다. 실제로 아파트 도색에도 1,3단지와 다르게 은뜰마을이라고 적혀있고 등기부 등본에도 은뜰마을이라고 적혀있다.
- 둔산선사유적지는 도로 하나 차이로 둔산동이 아니라 월평동인데도 '둔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롯데시네마 대전둔산점(스타게이트) 또한 선사유적지의 바로 옆으로서 마찬가지로 도로 하나 차이로 월평동에 있다. 단, 1km 내외 남쪽으로 정말 가까이 붙어 있는 롯데시네마 대전센트럴점은 둔산동에 있다.
- 둔산전자타운의 정확한 소재지는 둔산동이 아닌 탄방동이다. 가까이에 있는 둔산 e편한세상 아파트 역시 탄방동 소재.
- 홈플러스 대전탄방점은 예전에 까르푸/홈에버 대전둔산점이었다. 홈플러스가 둔산1동에 홈플러스 대전둔산점을 낸 이후 탄방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지금은 둘 다 폐점 후 철거되었다.
- e편한세상 둔산 아파트는 둔산동이 아닌 탄방동에 있다. 원래 재건축을 하기 전에는 '탄방주공'이라는 이름이었으나 재건축을 하면서 둔산동의 부자 동네 이미지에 편승하기 위해 탄방을 빼고 둔산을 넣었다. e편한세상 둔산이 있는 곳의 경우 둔산신도시로 개발된 곳도 아니다.
- 이 외에도 둔산 자이 아이파크는 탄방동, 둔산 더샵 엘리프는 용문동, 둔산 엘리프 더 센트럴은 괴정동에 존재한다. 셋 다 둔산동에 인접하긴 하지만 둔산신도시 택지개발과는 무관한 곳에 지어질 단지이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대전지역본부는 원래 대전 동구에 있었으나 2018년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으로 이전했다. 원래는 둔산신도시나 유성에 새로 이전하려고 했으니 마땅한 부지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세종시로 이전하였다.
- 만년동성당은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이 아닌 옆동네인 서구 월평3동에 위치한다. 다만 만년동과 월평3동은 도로 하나를 두고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고, 실제로 만년동 주민이 많이 미사를 보러 다닌다.[48] 본래 만년동성당은 만년동에 위치했으나 2010년대에 월평동으로 위치를 옮긴 것이다. 즉 지금의 위치만 월평동일 뿐 원래 근본은 만년동의 성당인 것이 맞기는 하다.
- 문창동성당은 대전광역시 중구 문창동이 아닌 옆동네인 부사동에 위치한다. 다만 문창로 하나를 두고 생활권이 동일하며, 실제 관할 구역도 문창동에 속하므로 문창동 주민 역시 많이 미사를 보러 다닌다.
- 변동성당은 대전광역시 서구 변동이 아닌 옆동네인 서구 도마1동에 위치하며 실제로 변동 주민이 많이 미사를 보러 다닌다.
- 천주교 대전교구청은 원래 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에 있었으나, 2021년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으로 이전했다.
- 도룡포레미소지음 아파트는 도룡동에 있지 않고 도룡동과 한끗 차이로 가정동에 있다.
2.7. 울산광역시
- 굴화주공아파트는 24번 국도를 사이에 두고 남쪽인 남구 무거동에 1, 2단지가 있다. 다만 북쪽인 3, 4단지는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에 있다. 애초에 1962년까지 범서읍 굴화리와 남구 무거동 모두 범서면에 속했으며 현재도 연담화가 심하게 되어있어 구분을 하는 것 자체가 큰 의미는 없다.
- 삼산선경아파트는 삼산동이 아닌 달동에 있다.
- 울산광역시 중구/남구예비군훈련장은 울산광역시 남구 또는 중구가 아닌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해있다.[49]
- 울산남부경찰서 삼산지구대는 삼산동이 아닌 신정동에 있다.
- 신정자동차운전전문학원은 남구 신정동이 아닌 남구 두왕동에 있다.
- 울주군의 남부 읍면(청량읍, 온양읍, 온산읍, 웅촌면, 서생면)[50]은 남구보다도 더 남쪽에 있으며, 두서면과 두동면의 경우 북구보다도 더 북쪽인 동네가 많다.
- 울주군 웅촌면의 상대, 중대, 하대마을은 중대마을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대마을이 아래쪽에, 하대마을이 위쪽에 있다.[51]
- 울주군 청량읍내는 울산시민들에게 덕하라고 불리는데[52] 실제로 덕하시장, 덕하역 등의 덕하시가지와 덕하한양수자인, 덕하신일해피트리아파트는 덕하리가 아닌 상남리에 위치한다. 게다가 2020년 7월 11일 개통된 덕하공영차고지 역시 청량읍 상남리에 주소를 두고 있다. 이렇게 불리게 된 건 덕하역 때문인데 덕하역이라는 역명은 1935년 개통 당시에 면사무소가 있던 덕하리에서 따왔는데 점점 덕하역 주변으로 읍내가 커지고 1946년에 면사무소도 상남리로 이전하게 되면서 덕하역 일대를 덕하라고 퉁치게 된 것이다. 상남리라는 법정리 안에 '신덕하1리'와 '신덕하2리'라는 행정리가 있을 정도.
- 장생포에 있는 죽도(竹島)는 섬이 아니다. 원래는 섬이었지만 매립으로 육지와 붙어버렸다.
- 울산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대왕암은 경주시의 수중릉과 이름도 같고 비교적 서로 가까우나, '왕'과의 관련성이 입증된 바 없다. 문무대왕의 왕비인 자의왕후가 죽어서 용이 되어 동해를 지키겠다는 설화는 존재하나 구체적 증거는 없다[53]. 일단 울산시에서는 자의왕후의 수중릉으로 이곳을 밀고 있으며 구름다리설치와 케이블카 설치계획을 수립하는등 울산의 주요 관광지로 만들고자 하고 있다.
- 남구 신정현대홈타운 아파트 1,2단지는 행정구역 상 신정동이 아닌 야음동(대현동)에 있다. 3,4단지는 실제로 신정동(신정4동)에 있다.[54]
2.8. 세종특별자치시
엄밀히 따지자면 세종은 세종대왕에서 비롯된 이름이고 존경받는 위인의 이름이 지명으로 쓰이는 사례는 흔하기 때문에[55] 세종시가 세종이란 이름을 독차지할 수 있는 게 아니므로 이름과 실제가 다르다고 할 수 없다.- 금남면 소재지는 통칭 '대평리'로 불리며 시장 이름도 대평시장, 현재는 없어진 터미널 이름도 대평리 터미널이었는데, 정작 금남면 소재지는 용포리로 기존 금남면 대평리는 대평동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과거 현 대평동 자리에 있던 마을이 1946년 대수해로 폐촌이 되고 지대가 높은 용포리로 옮겨오면서 관습적으로 옛 마을 이름인 '대평리'로 계속 칭했던 것이다. #
- 안터반점[56]은 원래 안터와 가까운 신안리 세종e편한세상 아파트 근처에 있었으나 현재는 남리로 이전했다. 해당 위치에는 안쉐프 고기해물짬뽕이 들어서있다.
- 연동면의 명학산업단지는 연동면 명학리와 내판리 일대에 걸쳐있으나, 정작 관리사무소는 응암리에 위치해있다. 그런데 응암농공단지 관리사무소는 내판리에 있다.
- 조치원일반산업단지, 조치원장례식장은 조치원읍이 아닌 연서면에 위치해있다.[57] 그 외에 '조치원점'이라 이름 붙인 많은 업소들이 조치원읍과 인접한 연서면 월하리 등지에 소재하고 있다.
2.9. 경기도
- 광주시에 위치한 CJ대한통운 곤지암Megahub 터미널은 주소가 곤지암읍이 아닌 초월읍에 있다. 곤지암과는 엎어지면 코닿을거리에 있는지라 인지도가 더 높은 곳으로 이름을 지은듯.
- 고양시 일산신도시의 정발산, 정발마을, 정발초등학교, 정발중학교, 정발고등학교는 정발산동이 아닌 마두동에 있다.
- 과천경찰서 별양지구대는 별양동이 아닌, 갈현동에 위치해 있다. 원래는 별양동에 위치해 있었는데, 2024년 10월 15일 갈현동으로 이전하면서 생긴일이다.
- 과천면옥 냉면집은 과천시가 아닌 의왕시 월암동에 위치해있다.
- 광명시 내 맥도날드, 무교동낙지, 파리바게트, 미니스톱 등 몇몇 업체들의 '광명역점'은 KTX 광명역이 아닌 7호선 광명사거리역 인근에 위치해있다. 이는 현 광명역 개업 이전 광명사거리역이 광명역이라는 이름으로 영업할 때 붙은 이름이 여전히 바뀌지 않고 있는 것이다.
- 광명시 소하동의 역세권휴먼시아 1~5단지는 아무리 봐도 광명역 역세권이라고 하기엔 너무 먼 거리[58]에 위치해있다. 이 지역을 개발할 때 광명역세권 개발사업에 포함하여 승인을 받았기때문에 이렇게 되었다.
- 광주시 남종면은 '남쪽(南) 끝(終)'이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광주시의 북쪽 끝에 있다. 일제강점기보다 훨씬 앞서 양근군(1908~1914: 양평군)에 속해있을 때 이 이름이 붙었기 때문.
- 광주시의 "광"은 廣(넓을 광)을 쓰는데 원래 광주군 시절에는 지금의 하남시, 성남시, 서울특별시 강동구, 송파구, 강남구를 아우르는 넓은 행정구역이 맞았지만, 다 쪼개지고 남은 지금의 광주시의 면적은 光(빛 광)을 쓰는 광주광역시보다 면적이 작아지게 되었다.(광주시: 431.02km2, 광주광역시: 501.24km2)[59] 여담이지만 중국 광저우시도 경기도 광주처럼 廣州를 쓰는데 면적이 7,434km2으로 광주광역시보다 크다.[60]
- 광주향교는 하남시 교산동에 위치해있다. 이 향교가 문화재로 지정될 당시 하남시는 광주군 동부읍이었다.
- 도자기 및 증류식 소주 화요를 만드는 광주요(廣州窯)는 옛부터 조선 왕실에 도자기를 납품하던 경기도 광주의 관요에서 이름을 따왔지만, 실제로는 광주시가 아닌 이천시 신둔면에 위치한다.
- 곤지암리조트는 광주시 곤지암읍이 아니라 도척면에 있다. 곤지암IC와 가깝다는 이유로 곤지암리조트라는 이름이 붙었다. 곤지암이 워낙 유명한 지명이라는 이유도 있을 테고.
- 군자셀프주유소는 군자동이 아닌 월곶동에 위치해있다. 반면에 군자봉주유소는 진짜로 군자동에 위치해있다.
- 군자주공아파트 단지들은 전부다 시흥시 군자동이 아닌 안산시 단원구에 위치해있다. 이는 첫 입주 당시 단지 소재지가 시흥군(현 시흥시) 군자면이었기 때문이고, 1986년 1월 1일 시흥군 반월출장소(당시 군자면, 수암면 각 일부)가 안산시로 승격되면서 안산시에 속하게 되었다.
- "군포"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장소는 군포시에 있지 않고 안양시 동안구 호계3동에 있다. 단, 이는 여러 가설 중 하나일 뿐이라 확실하지는 않다.#
- 기아 오산교육센터는 오산시가 아닌,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에 위치해 있다.
- 기흥cc는 용인시 기흥구에 없고 화성시 동탄동에 있다. 반면 수원cc는 수원시에 없고 용인시 기흥구에 있다. 아리송히도, 둘 다 중동 근처인데 현재는 중심지도 아닐 정도로 이름까지 밀려 있는 시설들이다.
- 9호선 차량기지인 김포차량사업소는 김포시가 아니라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에 위치해있다. 반면에 김포골드라인 차량기지인 김포한강차량기지는 진짜로 김포시에 위치해 있다.
- 남수원두산아파트는 수원시가 아닌 화성시 병점동에 있다. 참고로 이곳은 과거 두산기계 병점공장 터를 재개발한 곳이다. 마찬가지로 남수원골프장, 남수원 현대아파트도 이름에 '남수원'이 붙었지만, 실제로는 각각 송산동, 안녕동에 있다.
- 남양주 지금도농뉴타운은 원래 지금동과 도농동 영역에 해당되었기에 붙여진 이름이나 해당 지역에 2017년 다산동이 신설되었다.
- 대원약국은 대원동이 아닌 남촌동에 위치해 있다.
- 동두천시 상봉암동은 하봉암동보다 남쪽에 위치한다. 보통 상, 하가 붙은 지명은 지도상 남,북을 기준잡을 뿐만 아니라 하천의 진행방향으로도 기준삼는데 동두천 시내를 흐르는 신천이 북쪽으로 올라가면서 한탄강과 합류한다. 하천 진행경로상 상봉암동이 상류에 위치하기에 상하가 지도와 반대로 붙은 듯하다.
- 동수원우체국은 영통구가 아닌 팔달구에 있다.[61]
- 동안양변전소는 안양시가 아닌 의왕시에 위치해있다. 다만, 흥안대로를 통해 건너편이 안양시이다.
- 매화주공아파트는 시흥시 매화동이 아닌 군포시 산본동에 위치해있다. 더구나 시흥시 매화동에는 주공아파트(현 LH아파트, 안단테)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 모다아울렛 곤지암점은 곤지암읍이 아니라 초월읍에 있다. 이곳 역시 곤지암리조트처럼 곤지암IC와 가깝다는 이유로 곤지암점이 되었다.
- 모다아울렛 행담도서평택점은 평택시가 아닌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해 있다. 이는 점포명을 근처에 있는 서평택IC에서 따 왔기 때문이다.
- 백운호수는 안산시 단원구 백운동이 아니고, 의왕시에 위치해 있다. 이는 2017년 7월 1일 백운동이 원곡동에서 분동되면서 생긴 일이다.
- 배스킨라빈스 수원세류점은 세류동이 아닌 권선동에 있다. 다만 앞에 길 하나만 건너면 세류동이다. 이러한 혼선이 생긴 이유는 롯데마트 권선점 근처에 배스킨라빈스 수원권선점이 이미 있기 때문인것으로 보인다.[62]
- 분당 스카이캐슬 추모공원이란 납골당은 분당구에 없고 신현동(광주)에 위치해 있다. 성남시와 아주 인접해 있긴 하다.
- 반월국가산업단지와 반월특수지역 시화지구는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과 먼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과 시흥시 정왕동에 걸쳐 있다.
- 반월호수는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에서 이름을 따왔지만 정작 반월동에 속하는 부분은 10%정도 밖에 안 된다. 거의 대부분은 군포시 둔대동에 속해있다.
- 과천경찰서 별양지구대는 별양동이 아닌, 갈현동에 위치해 있다. 원래는 별양동에 있었는데 2024년 10월 15일 건물 노후로 인해 갈현동으로 이전하면서 생긴 일이다.
- 세종텔레콤(구 온세텔레콤) IDC 분당센터가 위치해 있는 곳은 성남시 분당구가 아니라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이다. 참고로 수지구와 분당구는 생활권이 인접해서 그런지 '~수지점'이라고 되어있는데 분당구에 있거나, '~분당점'이라고 되어있는데 수지구에 있는 경우도 많다.
- 상갈동과 하갈동은 이름으로 따지면 위(上)와 아래(下)에 있어야 하지만 용인시 기흥구의 법정동 경계에 따르면 충청북도와 충청남도처럼 각각 오른쪽과 왼쪽에 있다. 다만 하갈동이 상갈동 옆에서 아래로 쭉 뻗은 형태이기 때문에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니다.
- 서오릉피자 본사는 서오릉이 위치한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이 아닌,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해 있다. 다만, 본점은 서오릉로 라인에 위치해 있다. 그런데 본점 조차도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에 위치해 있다.
- 수원국토관리사무소는 용인시에 있다.
- 수원남부경찰서는 수원시의 남쪽이 아닌 동쪽에 위치해 있다.[63] 오히려 위도상으로 수원서부경찰서가 남부경찰서보다 남쪽에 있다. 다만 실제로 수원시 동남부 지역을 남부경찰서가 관할하긴 한다.[64]
- 수원시 영통구 광교1, 2동 주민센터는 상광교동에도 하광교동에도 없고, 행정동 광교1, 2동은 이 두 동네를 관할 구역으로 삼지도 않는다. 광교1, 2동의 관할구역상 법정동은 각각 이의동과 하동이고, 상광교동과 하광교동은 장안구 연무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광교신도시, 광교호수공원 등은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 하광교동(법정동)과 무관하며, 광교저수지[65]는 광교신도시 영역인 수원시 영통구 광교동(행정동)에 위치한 광교호수공원에 속해있지 않다. 심지어, 광교호수공원 전역은 수원시 영통구 하동(광교2동) 관할 지역으로 원천호수는 원천동과도 무관하다.[66] 영통구가 장안구에서 갈라져 나오면서 '광교'라는 지명이 두 구에 걸쳐 생긴 것이다.
- 수원시 영통지구 북쪽에 영통빌리지 아파트가 있는데 이곳은 사실 용인시 기흥구이다. 42번 국도 중부대로에서 이 아파트 앞 부근은 용인시 구역이지만 본시가지와 멀리 떨어져있고 수원시 경계와 붙어 있기 때문에 용인 흥덕지구와 더불어 완전한 수원생활권이다. 그래서인지 이쪽 큰길을 지나가면 용인시 지역인데도 간판에 쓰는 지역이름에 전부 수원이라는 이름이 있다. (삼성전자 동수원센터, 벤츠 수원서비스센터, 기아차 동수원지점, 현대차 수원서비스센터, 스타벅스 수원IC DT점, 수원 프리미엄 아울렛 등등) 따라서 일부 수원시민이 재난지원금을 쓰려고 이곳을 찾았다가 재난지원금을 사용하지 못하고 돌아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수원 유천파출소는 매교동에 있다. 유천파출소의 이름 자체가 인근 수원천의 하류인 버드내를 한자로 표기한 '柳川'에서 유래했다보니 원래는 세류동에 있었으나, 2009년 치안센터가 파출소로 승격함에 따라 매교동으로 확장이전을 하게 된 것이다.[67]
- 안양 부림마을은 동안구 부림동이 아닌, 관양동에 위치해 있다. 참고로 부림동은 관양동 중에 평촌신도시를 관할하는 행정동인데, 같은 관양동에 있는 부림마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 안양공원묘원은 안산시에 위치해 있다.
- 안양빌딩은 안양시가 아닌 인근의 군포시 금정동, 심지어는 안양시와 한참 멀리떨어진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광진구 자양동 등에 위치해 있다.
- 안양시 만안구 선거관리위원회는 안양시 동안구에 있다. 만안구 선거관리위원회가 동안구 비산동에 있는 동안구 선거관리위원회의 건물을 같이 쓰고 있다.
- 양지 메가스터디기숙학원은 용인시 양지면이 아닌 백암면에 있다.
- 영통자이아이파크(입주예정)는 수원시 영통구에 위치한 것은 맞되, 영통지구에 없고, 영통동도 아닌, 매탄동에 위치해 있다.
- 천주교 수원교구 단대동성당은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이 아닌 중원구의 금광2동에 있다. 해당 두 동의 문서로 역사 참고.
- 천주교 수원교구 광교2동성당은 용인시 수지구 상현3동에 있다. 광교신도시 영역 내에 있으며, 원래 광교성당으로 신설 되었으나, 나중에 이의동에 위치한 성당이 광교1동성당으로 되었고, 이 성당이 상현동 광교신도시 영역 및 비광교신도시 영역 일부와 광교2동 영역 대부분을 관할하게 되면서 개칭한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진짜 상현동에 위치해 있으면서 수지지구에 속해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상현동성당과 달리 영통지구 소속이다!
- 팔당댐은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가 아닌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와 하남시 배알미동에 걸쳐있다.
- 하남21C운전전문학원은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다.
- 수원시 장안동은 장안구가 아닌 팔달구에 있다. 과거에는 1988년부터 장안구 소속이었으나, 2003년 영통구 신설에 따른 각 구간 경계 조정으로 장안동이 팔달구로 편입된 것. 다만 장안동과 장안구의 명칭 유래가 된 수원화성 장안문은 장안구와 팔달구의 경계에 걸쳐 있다. 차후, 수원팔달경찰서가 개서되면 수원중부경찰서는 수원장안경찰서로 개칭되지만 장안동의 관할인 행궁파출소는 수원팔달경찰서로 이관될 예정이다.
- 수원시의 역사적 위치는 현 화성시에 해당하는 지금의 융건릉 자리이다(수원화성 축조 이전까지). 실제로 화성에 수원고읍성이 있다. 반대로 화성시 명칭의 기원은 당연히 수원시 팔달구의 수원화성. 애초에 같은 지역에서 분화된 것이지만 명칭의 연원은 서로 바뀐 셈이다.
- 수원 원천성일아파트는 원천동이 아닌 매탄동에 위치한다.
- 수원 원천주공1단지 아파트는 매탄동에, 원천주공2단지 아파트는 원천동에 위치한다. 현재, 주소지에 맞게 원천주공1단지는 매탄레이크파크로, 원천주공2단지는 원천레이크파크로 개칭되었다.
- 바로 위아래의 항목들로 인해 시흥 없는 시흥시와 화성 없는 화성시 사이에 끼어 있는 시화호는 두 지역보다는 호수 동쪽 안산시에 속해 있는 호수 서쪽 대부도에서 주로 관리되는 만큼 대부분이 안산시의 관할 면적이다.
- 시흥동이라는 지명을 가지고 있는 곳은 두 곳이 있지만 둘 다 시흥시에 없다. 한 곳은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이고 나머지 한곳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이다.(한자도 '始興'으로 똑같다.) 게다가 지금의 시흥시는 구한말까지는 원래의 시흥군(시흥현)과 전혀 연관이 없는 지역이다. 다만 시흥시와 금천구 시흥동이라는 이름은 같은 연원을 두고 있는 것은 맞다. 자세한 내용은 시흥군, 시흥시 문서 참조.[68] 성남시 시흥동은 원래부터 광주군 소속이었다가 성남시로 이어지고 있다.
- 시흥문원리삼층석탑은 시흥시가 아닌 과천시에 속해있고, 그 것도 역시 문원동이 아닌 원문동에 속해있다. 해당 문화재의 명칭이 정해질 당시에는 과천시가 시흥군 과천면이었기 때문이다.
- 시흥시에 있는 오이도는 원래는 섬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조선 소금 착취 목적으로 인해 바다를 메우게 된 영향으로 육지가 되어버렸다. 또한, 지금의 옥구공원 자리에는 본래 옥구도라는 섬이 있었으나 이 섬도 오이도와 함께 본토와 연륙되었다.
- 안산시 상록구 해양동(법정동 사동, 구 사3동)은 한자로 海洋洞이지만 바다의 바로 옆에 붙어 있지 않다. 원래는 해안가였지만 간척으로 바다가 사라진 경우이다.
- 안산전원마을은 안산시가 아닌 용인시 처인구에 위치해있다.
- 농심 안양공장은 안양시가 아닌 군포시 당정동에 위치해 있다. 참고로 공장 소재지의 눈앞이 호계동이다.
- 안양시립 청계공설묘지는 의왕시에 위치해있다. 다만, 이름과 맞게 청계동에 위치해있다.
- 양주시 남면은 양주시의 북쪽에 있다. 원래 옛 적성군의 남쪽이라 하여 남면이라 명명된 것이고, 1914년 적성군이 연천군에 병합되어 연천군 남면이 되었다. 이후 1945년 해방과 함께 38선으로 인해 연천군의 38선 이남 지역인 적성면, 남면 등이 파주군에 편입되고, 이듬해인 1946년 남면이 다시 양주군에 편입된 이래 면 이름을 바꾸지 않고 현재에 이르게 된 것.
- 연천군 신서면은 연천군의 서쪽이 아닌 북쪽에 있다. 원래 철원군 관할이었다가 1963년 편입된 곳이다.
- 오산 공군기지(오산비행장)는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에 있다.
-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일부 아파트 단지는 광교신도시에 속해있지 않으면서도 이름 앞에 광교라고 써 붙여져 있는 경우가 있다. 심지어는, 광교신도시에 속하지 않았으면서 광교신도시 택지지구에 있는 마을 이름인 광교마을이라고 써 붙여진 아파트도 있다.[69]
- 원천주유소는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이 아닌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에 위치해있다. 서쪽으로 원천동이 눈앞이다.
- 이마트 안산고잔점은 안산시 고잔동이 아닌 초지동에 위치해 있다.
- 사회복지법인 인덕원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인덕원 일대가 아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위치해있다. 사회복지시설 인덕원도 역시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인덕원 일대가 아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위치해 있다.[70]
- 토요타 수원전시장은 수원시가 아닌 용인시에 위치해있다. 서쪽으로 2km만 가면 수원시가 나오긴 한다.
- 파주시 대성동은 행정구역 이름이 아니다. 공식적으로는 군내면 조산리 소재.
- 더샵판교포스힐, 판교디엔써밋오피스텔, 판교밸리제일풍경채, 판교밸리자이, 판교밸리포레자이아파트, 판교밸리호반써밋아파트, 판교아이스퀘어포레나오피스텔, 판교이노베이션랩 등은 판교신도시는 물론, 판교동에 조차도 아닌, 수정구에 존재한다. 참고로 더샵판교포스힐, 판교디앤써밋오피스텔, 판교아이스퀘어포레나오피스텔 등은 시흥동에 판교밸리제일풍경채, 판교밸리자이, 판교밸리포레자이아파트, 판교밸리호반써밋아파트 등은 고등동 성남고등공공주택지구 내에 판교이노베이션랩은 금토동에 각각 존재한다.
- 평촌자이아이파크, 평촌 래미안 푸르지오, 평촌 엘프라우드(공사중), 평촌우리병원, 남서울 평촌교회, 한양수자인평촌리버뷰, 삼영운수 평촌영업소, 에이스평촌타워, 에이스하에테크시티평촌, 평촌 더샵 센트럴시티, 평촌하이필드지식산업센터, 평촌대성유니드, 평촌 어바인 퍼스트, 평촌더샵아이파크, 평촌두산위버더프라임(공사중), 평촌두산위브리버뷰, 평촌 센텀퍼스트(입주예정), 평촌신원아침도시아파트, 평촌트루엘파크아파트, 평촌 트리지아(공사중), 평촌주유소 등은 평촌신도시[71]에 존재하지 않고, 평촌동에도 존재하지 않는다.[72] 다만, 조선일보 평촌사옥,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신도시셀프주유소, 평촌아크로타워, 평촌자이엘라, 힐스테이트에코평촌, 평촌고등학교, 평촌로데오거리 등은 평촌신도시에는 존재해도 평촌동에는 존재하지 않은 반면 노브랜드 안양평촌점, 롯데하이마트 평촌점, 삼성전자서비스 평촌센터, 상평촌어린이공원, 소담촌 평촌직영점, 평촌골프연습장, 평촌교회, 평촌 두산한의원, 평촌로데오, 평촌본사우나, 평촌볼링센타, 평촌세차장, 평촌소공원, 평촌아이에스비즈타워, 평촌온누리약국, 평촌 e-편한세상아파트, 평촌홈마트, 평촌훼밀리의원 등은 평촌동에는 존재해도 평촌신도시에는 존재하지 않는다.[73] 평촌초등학교, 평촌중학교, 평촌먹거리촌 등은 진짜로 평촌신도시에 위치해있자 평촌동에 위치해있다. 일반적으로 평촌신도시 건설 당시 행정지역에 "평촌" 이라는 지역명를 사용했으나, 계속해서 주변이 개발되어 같은 행정구역인 동안구 이면서, 평촌신도시에 인접 혹은 연접한 경우는 대체로 "평촌"이라는 지명을 붙이고 있다.
- 화성광주고속도로는 화성시도 광주시도 둘 다 아닌 용인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이 회사가 관할하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일부에 화성시 구간은 동탄JC, 동탄IC 등이 있고, 광주시 구간은 도척IC, 곤지암JC 등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신도시의 동판교성당은 실제로 경부고속도로의 서쪽인 판교동에 위치해 있다. 주소도 성남시 분당구 서판교로 125이다.
- 화서문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이 아닌 팔달구 장안동에 있다.[74]
- 옛 수려선 화성역은 화성시(당시 화성군)가 아닌 수원시에 위치해있었다. 그리고 화성역 첫 개통 당시에도 수원시는 수원군 수원면이었고, 화성시도 수원군이었다.
- 장안통닭은 장안구도 아니고 팔달구 장안동도 아닌 팔달구 남수동 남문통닭거리에 있다. 다만 장안구에 있는 만석공원에 직영점이 있다.
- LG전자 남수원서비스센터는 남수원이 아닌 동수원에 있다.[75]
- 부천예비군훈련장은 부천이 아닌 시흥시에 위치하고 있다. 다만 이름과는 달리 시흥시 북부 지역도 같이 담당하고 있다.
- 행궁동우편취급국은 행궁동이 아닌 중동에 있다.
- 중평떡볶이는 '중독성 강한 평택 떡볶이'라는 뜻이지만, 정작 본점은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에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도 평택시에 매장이 없다.
- KT&G 고양지사는 경기도 고양시가 아닌 파주시 와동동에 위치하고 있다.
- 다이소 여주백사점은 여주시 흥천면에 위치해있고, 백사면은 이천시에 위치해있다.
- 옆동네 사이인 여주시 가남읍 상활리와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에는 상활교회와 응암교회가 있는데, 상활교회는 응암리에 있고, 반대로 응암교회는 상활리에 있다.
- 삼성스토어 평택 본점은 안성시 공도읍에 위치해있다.
- 천주교 수원교구 매교동 성당은 인계동에 있다. 원래는 매교동에 있었으나, 2023년 7월부터 주소지가 인계동으로 바뀌었다.[76]
2.10. 강원특별자치도
- 망상동주민센터는 동해시 망상동이 아닌 발한동에 위치한다.
- 망상비치호텔&펜션은 동해시 망상동이 아닌 강릉시 옥계면에 위치한다.
- KT 북평지사(동해전화국 북평분국)는 동해시 북평동이 아닌 나안동에 위치해있다.
- 국제라이온스클럽 북평클럽은 동해시 북평동이 아닌 천곡동에 위치한다. 천곡동이 과거 북평읍에 속해 있긴 했다.
- 삼화아파트는 동해시 삼화동이 아닌 발한동에 위치한다.
- 한국청년회의소 북평청년회의소는 동해시 북평동이 아닌 천곡동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옛 북평읍이었긴 하다.
- NH농협은행 북평지점은 동해시 북평동이 아닌 송정동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옛 북평읍이었긴 하다.
- 용평리조트는 평창군 용평면이 아닌 대관령면에 있다.
- 양구대교는 양구에 있지도 않고 경계선에조차도 걸쳐있지 않으며, 오히려 인제군 남면 상수내리에 위치해있다. 심지어 해당 다리에서 양구군 경계까지는 3km를 더 가야한다. 사실 해당 지역이 다리가 완공되었을 당시에만 해도 행정구역상 양구군 소속이었지만, 1973년에 인제군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기 때문.
- 정선군 신동읍은 정선군의 동쪽이 아닌 서남쪽에 있다. 원래 평창군 동면이었는데, 1906년 정선군으로 넘어오면서 '신'자만 붙여 이렇게 된 것. 위의 양주시 남면, 연천군 신서면과 같은 사례.
- 춘천시 신북농협 로컬푸드직매장은 신북읍이 아닌 동면 장학리에 위치해 있다. 다만 바로 옆에 소양강을 가로지르는 맥국교라는 다리가 있는데 맥국교를 건너면 바로 신북읍 율문리이다.
- 홍천군에 있는 오션월드 익스트림 락카는 익스트림존이 아닌 메가슬라이드존 근처에 있다. 이는 2011년 이전에는 메가슬라이드존의 시설물 중 하이스피드 슬라이드와 패밀리 레프트 라이드가 익스트림존 소속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횡성군 갑천면에는 갑천리가 없고, 옆에 있는 청일면에 있다. 원래 갑천면이었다가 1973년 청일면으로 편입된 것.
- 철원군 서면은 철원군의 서쪽이 아닌 중앙부에 있다. 원래 김화군 서쪽이었다가 남북으로 분단되고, 1963년에 남한의 김화군을 철원군에 임시로 붙여 놓았기 때문이다. 정작 철원군의 서쪽이던 신서면은 같은 해 연천군으로 넘어갔다.
- 속초 기상 관측소는 고성군 토성면에 있다.
- 속초카페거리 역시 속초가 아닌 고성군 토성면에 있다.
- 대한민국이 실효지배하고 있는 고성군 지역은 옛 간성군 지역이다. 원래 고성군 지역은 대부분 북한이 실효지배 중이다.
-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은 행정구역상 사북읍에 걸쳐있지 않고 고한읍에 위치해있다. 단, 고한읍 중심지와 사북읍 중심지 사이에 위치해있으며 바로 옆이 사북읍 경계이다.
- 직전삼거리는 사북읍 직전리가 아닌 화암면 호촌리에 위치해있다.
- 강원특별자치도민회관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홍대입구역 근처에 있다. 물론 강원특별자치도가 관리하는 기관은 맞고 서울에 있는 건 중앙행정기관과의 교류 및 협조 강화, 지역 홍보 등의 이유에서이다.
- 양구군 양구읍의 하리와 상리는 이름과 다르게 하리는 북쪽에 있고 상리는 하리의 남쪽에 있다.
2.11. 충청남도
- 충청도 자체는 충주시와 청주시에서 한 자씩 따와 만들어진 지명인데, 그 충청도를 쪼개 만든 충청남도에는 정작 명칭의 유래가 된 충주시와 청주시가 모두 없다. 저 둘은 모두 충청북도 소재. 물론 충공도, 공청도, 공홍도 등으로 자주 바뀌기는 했지만 조선왕조 500년간 써온 이름을 가지고 이제와서 어원 의식을 따지기에는 너무 오랜 시간이 흘렀다.
- 충청남도는 충청도의 남쪽이 아닌 서쪽에 위치한다. 정확한 사실은 알 수 없으나 다른 도가 다 남북으로 나누었기에 행정편의 차원에서 이렇게 정해진 것으로 보인다.#
- 계룡산은 대전광역시, 공주시, 계룡시에 걸쳐있지만 계룡시 쪽에 있는 계룡산은 계룡대가 들어앉아있기 때문에 민간인은 들어갈 수 없다. 등산로가 있어서 계룡대의 허가를 받을 경우 출입이 가능하지만 군사보호구역이기 때문에 뚜렷한 이유가 있지 않는 이상 허가를 받을 수 없어 원칙적으로는 출입이 불가능하다. 계룡산의 이름에서 계룡대란 이름이 나왔고 또 계룡대에서 계룡시란 이름이 나왔으니 어쨌든 계룡시와 계룡산이 연관있는 것은 정확하다. 다만 계룡시와 공주시의 경계인 밀목재 인근에서 관암산, 수통골 방향으로는 등산이 가능하다.
- 계룡면은 계룡시가 아닌 공주시에 있다. 그래서 공주시는 논산시 두마면이 2003년 계룡시라는 이름으로 분리독립하는 것에 반발하여 소송을 걸었으나 패소했다. 계룡면이 계룡시 신도안면과 접한 지역이기는 하나 계룡산 때문에 서로를 잇는 도로는 없다.
- 논산시 강경읍 채운리는 채운면이 아닌 강경읍에 있다. 원래 채운면이었으나 1931년 강경읍에 편입된 것.
- 논산시의 사법과 관련된 기관 3개(대전지방법원 논산지원, 대전지방검찰청 논산지청, 충청남도경찰청 논산경찰서)는 모두 논산 도심이 아닌 강경읍에 있다. 사실 강경은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어마어마한 상권을 자랑하던 곳이고, 1931년 읍 제도 창설 이래 그대로 읍으로 남아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읍이기도 하다.[77] 그래서 논산군 안에 있기는 했지만 1938년에 읍이 되었던 논산읍보다 더 인구도 많고, 경제규모도 컸던 강경읍에 강경지원, 강경지청, 강경경찰서가 설치된 것. 그러다가 1996년 논산시가 되면서 일단 명칭을 '강경' 대신 '논산'으로 바꾸기는 했지만, 여전히 강경에 자리잡고 있으며, 3개 기관 모두 청사가 워낙 낡아서 도심으로 신축, 이전해야 한다는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78]
사실 위치만 보면, 강경읍은 조금만 가면,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망성면이고[79], 논산시 내에서도 거의 서쪽 끝에 자리잡고 있어서 이미 낡은 세 기관들이 거기에 있을 이유가 없긴 하지만, 신축은 하되 강경읍 내에서만 해야 한다는 강경읍 일부 주민들의 반발로 번번히 무산되고 있다. 심지어 지방선거 때마다 이 지역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기관 존치를 부르짖거나 이전을 해야 한다는 후보자의 경우 지역 유지들이 와서 항의하기까지 하는 일이 다반사[80]. 여기에 논산시 동 지역이나 강경 외의 지역으로의 이전을 전제로 하여서는 예산이 쉽게 나오지 않는 것도 문제이긴 하다. 게다가 논산시만 관할하는 경찰서[81]과 달리, 계룡시와 부여군까지 함께 관할하는 법원과 검찰청의 경우에는 이웃 시·군 주민들의 이해관계까지 얽혀 있다. 부여군 남부 면지역에서는 현재까지는 강경읍이 가깝긴 하지만, 부여군 북부 읍·면지역이나 계룡시에서는 논산시 동 지역이 가까운 편이다.
아무튼, 이러한 논란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건 해당 기관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이라, 최근에도 논의가 있기는 하지만, 입장차만 더 커지고 있으며, 오히려 이전을 바라는 기관들과 강경존치를 주장하는 논산시와의 입장 차가 첨예하게 대립양상으로 치달으며 날 선 공방이 전개 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 가지 분명한 건, 위 기사에도 나오지만, 한 차례 이전 논란이 있었던 2003년보다 강경읍의 인구가 무려 7,000명이나 줄어들어 기관의 존치로 인해 지역 발전이 이뤄졌냐는 대전지법 논산지원장의 쓴소리처럼 강경읍의 쇠퇴에는 외부적 요인뿐만 아니라 지역 유지들의 텃세도 일부 있다는 점. - 대산지방해양수산청은 본래는 서산시 대산읍 기은리에 위치해 있었으나 2015년 1월 6일로부터 잠홍동으로 신축 이전을 했다. 기은리에 사용했던 건물은 현재 해양경찰청이 주관하는 대산항 해상교통관제센터로 변경되었다.
- 안면도(安眠島)는 배로 이 근방을 지날 때 편히 잘 수 있다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한국 4대 험수로 중 하나인 안흥량[82]이 있기 때문에 편히 지나갈 수 없는 곳이다.
- 천안시 북면은 천안시의 북쪽이 아닌 동쪽에 있다. 이는 조선시대에 목천현의 북쪽이라 북면이라 한 것을 부군면 통폐합 이후에도 그대로 썼기 때문이다.
- 충청남도산림박물관이 위치해 있는 충청남도 산림자원연구소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위치해 있다. 공주시 반포면 일부 지역이 2012년에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었는데, 연구소의 소재지가 해당 편입 지역 안에 위치했기에 벌어진 일이며 충청남도 소속 기관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전화번호 국번은 041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2.12. 충청북도
- 충청북도는 충청도의 북쪽이 아닌 동쪽에 위치해있다.
-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과 분평동 - 이 그림을 참고.
- 분평동(법정동) 중 청남로 이서지역은 분평동(행정동)이 아닌 산남동(행정동) 관할이다. 본래 이 지역은 산미분장동이라는 하나의 행정동이었다가 2008년 산남동과 분평동으로 분동되었는데 동 경계를 청남로로 하면서 분평동(법정동) 중 청남로 이서지역이 이름은 그대로 분평동으로 유지하면서도 산남동(행정동) 관할로 들어가게 된 것.
- 산남동행정복지센터는 산남동(법정동)이 아닌 분평동(법정동)에 있다.[83]
- 충청북도해양교육원은 충청북도가 아닌 충청남도(본원)와 제주특별자치도(분원)에 분산되어있다. 물론 해안이 전혀 없는 충청북도의 지리적 특성상 관내에 지을 수는 없었기 때문에 그나마 가까운 충청남도를 택한 것이다. 참고로 이 기관은 해양수산부나 충청북도가 아니라 충청북도교육청 직속산하에 있는 기관이다. 마찬가지로 관내에 바다가 없는 대구광역시교육청은 경상북도 포항시에 대구교육해양수련원을 두고 있으며 광주광역시교육청 역시 전라남도 고흥군에 광주학생해양수련원을 두고 있다.
- 산남주공아파트는 산남동이 아닌 수곡동에 있다. 수곡지구 개발 당시에 지구 이름이 산남 1, 2지구였기 때문이다.[84] 그래서 산남동이 개발될 때 산남지구 이름이 산남지구가 아닌 산남3지구가 된 이유다.
- 가경주공3,4단지아파트는 가경동에 있지 않고 죽림동에 위치해 있다.[85][86]
- 가경아이파크5단지아파트는 가경동에 있지 않고 강서동에 위치해 있다.
- 강서동은 미호강의 서쪽이 아닌 동쪽에 위치해 있다. 본래 강서1·2동이 서강내일상면과 서강내일하면 일대였는데 부군면 통폐합 때 '서강'이라는 이름을 거꾸로 뒤집어 '강서면'으로 바꾼 게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온 것.
- 산남유수지는 산남동에 있지 않고 분평동에 위치해 있다.
- 제천시 교동행정복지센터는 교동에 있지않고 장락동에 있다.
2.13. 전라남도
- 나주시에 있는 빛가람코오롱하늘채아파트는 빛가람동이 아니라 금천면 석전리에 있다. 하지만 혁신도시 인근에 있고 999번 버스(배박물관 경유 차량)가 근처를 지나기 때문에 혁신도시 생활권에 가깝기는 하다. 이름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옆 촌곡리에 지어지는 나주 남양휴튼 프라우스 아파트 역시 홍보자료에 계속해서 혁신도시 생활권임을 강조하고 있다.
- 목포교도소는 무안군 일로읍에 있다. 1989년에 목포시 산정동(현, 일신아파트 자리)에서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 등록문화재 제132호 '보성여관'은 벌교읍에 있다. 행정구역상 보성군에 있기는 하다.
- 순천시 서면은 순천시+승주군의 도농통합시 출범 이후 현재 순천시의 서부가 아닌 동북부에 있다. 순천시의 시내 권역으로 보더라도 서면은 순천시내로 진출입하는 북서쪽 관문에 해당하지 완벽하게 서쪽에 해당하지는 않는다. 이곳이 어째서 서면으로 명명된 것인지에 대해서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일부 민간어원설 중에 하나로 광양현의 서쪽에 있어서 서면이었는데, 정유재란 이후 서면을 순천부에 편입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름을 '동면'이나 다른 이름으로 바꾸지 않고 쭉 서면이란 이름을 계승하다 보니 이렇게 된 것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정확하지 않다.
- 현재 광양시의 시내지역 일대에 있었던 동광양시는 시 승격 이전의 광양군의 남쪽에 있었다. 왜 동광양시라고 했냐면 광양제철소가 태금면에 있었기 때문에 그곳을 기준으로 동광양이라고 칭하게 된것이다. 하지만 제철소마저 완전히 동쪽은 아니고 남동쪽이다. 그래도 광양읍의 동쪽에 위치하긴 했다.
- 신안군의 지도는 원래는 섬이었으나 지속적인 간척으로 현재는 육지와 연결되었다.
2.14. 전북특별자치도
- 군산시 옥도면행정복지센터는 금동에 위치해 있다. 옹진군청과 비슷한 사례.
- 김제시 백산파출소는 백산면이 아닌 흥사동에 있다. 다만 시 승격 이전에는 흥사동도 백산면 관할이었다.
- 익산시의 이리영등중학교는 영등동 길 건너의 어양동에 있다.
- 전주시 덕진구 여의동행정복지센터는 행정동 여의동이 아니라 길 건너 조촌동에 있다.
- 전주우편집중국은 완주군 봉동읍에 있다.
- 전주 중앙시장은 완산구 중앙동이 아닌 완산구 태평동에 있다.
- 한국도로공사 전주지사는 김제시 금구면에 있다.
-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은 완주군 봉동읍에 있다.
2.15. 경상남도
- 경상도 자체는 경주시와 상주시에서 한 자씩 따와 만들어진 지명인데, 그 경상도를 쪼개 만든 경상남도에는 정작 명칭의 유래가 된 경주시와 상주시가 모두 없다. 저 둘은 모두 경상북도 소재. 물론 경상도란 지명은 고려시대부터 존재했던 유구한 지명이라 어원 의식은 거의 사라진 상태이다.
- 거제시 동부면은 거제시의 동부가 아닌 남부에 위치한다. 조선 세종대에 거제군 7면 중 '서부면'이 있었는데, 이 서부면의 동남쪽에 위치한다 하여 동부면으로 칭하였다 한다. 현재 관점에서 보면 엄연히 방위에 맞지 않는 지명이지만 명칭을 바꾸는 비용 대비 편익이 적었는지 시 차원에서 명칭을 변경하려는 움직임은 없으며 주민들의 변경요구도 없는 상태이다.
- 고성반도는 영역 대부분이 통영시에 속해 있다. 원래 역사적으로 통영시는 고성군의 일부였다가, 구한말에 진남군으로 분리되고 이후 용남군, 통영군/충무시를 거쳐 현재의 통영시가 된 것. 실제로도 통영과 고성은 국회의원 선거구도 같이 짜인다.
- 경남자동차운전전문학원은 울산광역시 남구 부곡동에 있다. 학원 설립 당시(1981년)에는 경상남도 울산시이기는 했다.
- 양산시는 경상남도의 행정구역이지만 사법과 관련된 업무는 울산지방법원 관할이다. 방송국 권역도 실질적으로는 KBS부산방송총국, 부산MBC가 수신되는 지역이다. 과거에는 케이블SO나 IPTV 사업자 일부가 MBC경남과 창원KBS를 송출했으나 현재는 전부 부산방송을 송출하는 것으로 바뀌면서[87] 양산시는 사실상 부산 방송국 권역이 되었다. 심지어 창원KBS와 MBC경남측은 양산시에 DTV 채널번호도 부여하지 않고 있다.[88]
- 창원시 성산구의 대규모 아파트단지인 성원토월그랜드타운 대동토월한마음타운은 성산구 토월동이 아닌 상남동에 있다. 토월동은 행정동인 성산구 사파동의 법정동 중 하나. 참고로 상남동은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다만, 이 두 아파트단지가 토월동과 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있긴 하다.
-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삼진 지역[89]에서 주거 및 상업적인 중심부는 진동면이다. 진북면행정복지센터도 진동면행정복지센터를 기준으로 봤을 때 '서쪽'에 있으며 차량으로도 3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사실 이는 진북 진동 진전을 나눌 때 지도상으로 봤을 때는 진북면이 북쪽에 있긴 한데 중심지가 1002번 지방도(삼진의거대로) 상에 줄줄이 사탕처럼 꿰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된 것이다. 즉 진북면행정복지센터가 있는 진북면 중심지는 면의 남쪽 끝에 있다. (그나마도 진동에 거의 흡수되어 작은 마을 수준이다.)[90]
- 위의 진동면에는 진해향교가 있다. 이는 원래 진해란 명칭을 가진 지역은 현재의 진해구가 아니라 현재의 삼진 지역에 있었던 진해현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일제는 원래 웅천현이었던 지역에 군사항만기지를 세우면서 이름을 진해면으로 바꿔버렸고 이와 동시에 새로운 진해를 만들기 위해 진해향교를 비롯한 옛 진해현의 흔적을 말살해 버렸다. 이후 1993년 창원군향교라는 이름으로 재건했다가 1995년 진동면이 마산시에 편입되면서 마산향교로 개칭했다.[91] 그러나 과거 진해향교의 흔적으로 남아있는 공자 위패 매안지 비석에는 여전히 진해향교란 이름을 쓰고 있다.[92]
- 고려 말기 회원현이 설치된 곳은 창원시 마산합포구 자산동부터 현재의 회원동을 이르는 지역이었다. 그리고 회원과 더불어 창원 지명의 유래가 된 의창은 구 의창군(창원군) 지역이 아닌 구 창원시 소답동에 있었는데, 이는 현재의 의창구가 되면서 이름과 실제가 같게 되었다. 그런데 또 조선 초 창원도호부가 설치되었던 합포성은 마산회원구 합성동에 있다.(...) 즉 합포와 회원은 원래 있던 곳에서 서로 뒤집어져 굳어진 지명이다. 이는 합포라는 게 원래 현재의 합포초등학교 앞부터 신세계마산점 앞까지 여러 개의 강줄기가 바다로 흘러든다고 해서 이르던 지명이었기 때문이다. 합포성도 여기에서 따 온 지명인 것인데, 조선 초기에는 합포를 통해 현재의 양덕동으로 물산이 날라들었다. 임진왜란 이후 현재의 마산어시장이 있는 마산포로 중심지가 옮겨지면서 합포성은 쇠퇴하게 된다.
- 양산시에 있는 유산마을은 유산동에 없고 어곡동에 있다. 또한 문재인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평산마을은 평산동에 있지 않고 하북면 지산리에 있다.
- 양산시 하북면(下北面)은 상북면(上北面)의 위쪽, 그것도 양산시의 최북단에 있다. 두 면에 걸쳐 흐르는 양산천의 상하류 개념으로 보아도 반대로 돼 있다(하북면이 상류쪽).
- 율하2지구와 율하카페거리는 율하동에 속해 있지 않다. 율하2지구는 옛 장유리 였던 장유동에 속해있고 율하카페거리는 관동동에 속해있다. 카페거리는 율하천 근처에 있어서 율하카페거리라고 했을지도 모른다.
- 지리산 청학동마을은 실제 청학동이 아니라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에 있다.
- 진주만은 진주시가 아닌 사천시에 위치해 있다. 이는 진주만이 위치해있는 축동면이 1914년 당시 진주군(훗날 진양군)에서 사천군으로 편입되면서 벌어진 일이다.
- 진주햄은 설립 당시에는 진주시에 있었지만 1983년 본사 및 공장을 양산시로 이전했다.
- 진주시 금곡면에는 금곡저수지와 금곡리가 없고, 모두 옆 도시인 사천시에 있다.
- 한국전력공사 신양산변전소는 기존의 양산변전소를 대체하기 위해 지어졌지만, 정작 위치는 양산시가 아닌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에 있다.
- 메가박스 양산증산점은 증산리가 아닌 가촌리에 있다. 다만 증산역 근처라는걸 나타내기 위해 ‘증산’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 함안군 군북면은 함안군의 북쪽이 아닌 서쪽에 있다. 함안군청 공식 지명 유래에 따르면 원래 지명은 궁북(宮北)이었는데 알 수 없는 이유로 이렇게 정해졌다는 설이 유력하며 명칭 변경이 필요하다고 말하지만 어째서인지 바꾸지 않고 있다.
2.16. 경상북도
- 김천시 남면은 김천시 정 동쪽에 위치한다. 그냥 동쪽도 아니고 최동단이다. 동지역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그냥 김천시 전체로 봐도 북동쪽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현제 김천 중심 지역을 기준으로 지어진 지명이 아니라, 예전 김천시 지역에 있었던 행정구역인 개령군(또는 개령현)의 중심지인 현재 개령면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지어진 지명이기 때문이다. 개령면을 기준으로 보면 동남쪽에 남면이 있다.
-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일본은 그곳을 다케시마(竹島, 죽도)라고 부르고 있는데 정작 독도에는 대나무가 전혀 없다. 아마 울릉도 옆에 있는 죽도와 혼동한 것으로 추정되거나 송죽매 순서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울릉군 울릉읍에 위치한 저동파출소, 저동우체국, 저동 버스정류장은 저동리가 아니라 도동리 소속이다. 그래서 틈만 나면 편입 떡밥이 올라온다.
- 울진 망양휴게소는 행정구역상 기성면 망양리가 아닌 매화면 덕신리에 있다. 단 망양리와 아주 가까이 인접하고 있기는 하다.
- 이마트 포항이동점[93]은 포항시 남구 이동이 아닌 북구 득량동에 있다. 다만 횡단보도만 건너면 포항 이동이긴 하니 틀린 건 아니다. 참고로 이 근처에 있는 포항이동삼성아파트와 이동풀니스10차아파트도 북구 득량동에 있다.
- 포항은 섬과 섬 사이를 매립하여 만든 도시인지라 끝에 "섬 도(島)" 로 끝나는 지명이 많다. 그래서 원래 섬이었지만, 아닌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죽도시장.
- 경상북도 포항시에는 행정구역상의 소속과 지리적 위치에 차이가 있는 경우가 꽤 많다. 대표적으로 포항시 북구의 죽도동과 포항시 남구의 송도동, 둘은 행정구역상의 소속과 반대로 명백히 죽도동이 비교적 남쪽에, 송도동이 비교적 북쪽에 위치한다.
- 포항시의 번화가 중 하나인 '육거리'는 이름만 육거리일 뿐 사실 오거리다.
- 경북지방경찰청 차량정비창은 대구광역시 서구 중리동에 위치해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동문동(東門洞)은 서문동(西門洞)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동문동은 행정동, 서문동은 법정동으로만 있다.
- 청도면은 바로 북쪽에 있는 경상북도 청도군과 한자가 같지만(淸道), 청도군이 아닌 밀양시에 있다. 실제로 밀양시 청도면의 '청도'는 청도군에서 따온 이름이 맞는데, 구한말까지 청도군 외서면이었다가 1912년 밀양군에 편입하면서 원래 소속 고을의 이름인 '청도'를 따 면명을 개칭한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청도면은 청도군과 바로 붙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연결하는 도로가 없다.
2.17. 제주특별자치도
- 토끼섬은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 있다. 옛날에 토끼가 살았다는 이유로 저런 이름이 붙었는데 현재는 토끼가 살고 있지 않다.
- 서귀포시 정방동[94]에는 정방폭포가 없다. 정방폭포는 동홍동에 있다. 다만 정방폭포와 가까운 곳에 있다.
- 대정읍 하모리와 상모리는 지리상 반대가 되어야 한다. 제주도 본섬으로는 상모리가 최남단이며 하모리가 리 최북단 기준 더 북쪽에 위치한다.
- 이어도(離於島)는 섬 도(島)가 들어있긴 하나, 국제법상 섬이 아니고 암초이다. 정상이 해수면으로부터 4.6m나 밑에 있어서 폭풍이 불 때 정도나 드러나기 때문이다.
2.18. 북한
- 북한의 정식 명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지만 사실상 민주주의도 아니고 공화국은 더더욱 아니며 주체사상을 기반으로한 일인독재 및 일당독재 국가이다. 사실상 전제군주국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한민국은 헌법상 북한을 제대로 된 국가로 인정하지 않으며 언론에서도 북한이라고만 부른다.
- 단군릉은 단군의 능묘인지는 불분명하다.
- 대동군은 대동강에서 따온 이름인데 북한의 행정구역상으로는 대동강이 지나가지 않는다.[95] 다만 이북 5도 행정구역상으로는 대동강이 지나간다.[96]
- 이북5도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다. 당연히 현 상황에서는 북한 지역에 둘 수가 없으니 어쩔 수 없다.
- 판문점은 실제로 판문점 이름의 유래가 된 '널문다리'로부터 남동쪽으로 약 1km 지점에 위치한다. 원래는 널문다리 지역에 휴전회담장이 있었으며 실제 휴전회담과 정전협정도 이곳에서 이루어졌지만 북한령에 위치하고 있다는 이유로 1953년 10월에 군사분계선 바로 위에 위치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원래 휴전회담장은 북한 측에서 관광시설로 운영하고 있다.
- 황해남도는 황해도의 서부, 황해북도는 동부에 있다.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비슷한 경우인데 도명의 유래가 된 지역들을 기준으로 본다면 황주는 황해북도에, 해주는 황해남도에 있으며, 도인민위원회(도청) 소재지를 기준으로 볼 때도 황해북도의 사리원과 황해남도의 해주가 남북으로 놓여 있어 알맞긴 하다.
-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강원도가 분단되면서 휴전선 이북과 이남에 모두 강원도가 존재하게 되었는데, 정작 강원도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강릉과 원주는 모두 이남에 있어 북한의 강원도는 강릉, 원주 없는 강원도가 되었다. 물론 굳이 그런 이유로 조선시대 내내 사용해왔던 이름을 바꿔야 할 이유는 없다.
2.19. 기타
-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동발전은 중부지방과 남동임해공업지역에만 발전소가 있을 것 같지만, 한국중부발전은 남부지방인 제주도에도 발전소가 있으며, 한국남동발전은 중부지방인 인천에도 발전소가 있다.
- 육군 학군단 권역은 일반적인 행정구역 구성과 다르다.[97]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울산대가 대구경북권역이고, 천안에 소재한 대학이 경기남부권역이다. 심지어, 용인시 최북단 대학 단국대가 경기남부권역에 있고 단국대보다 남쪽에 있는 강남대가 경기북부권역이다.
- 프랜차이즈 카페나 편의점, 제과점, 레스토랑 등의 점포 명칭. 한 동네에 한 종류의 가맹점이 하나면 문제가 되지 않으나, 신촌, 세종로 등 번화가에 매장이 여러 개씩 들어서거나, 본점에서 돈독이 올라 여기저기 가맹점을 살포하면 점포 명칭을 정하는데 애로사항이 꽃핀다. 예를 들어 신촌, 이대에만 10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는 별다방의 경우도 신촌'대로'점, 신촌'명물거리'점, '연대'점, 신촌'아트레온'점, 이대점, 이대'ECC'점 등 끌어올 수 있는 명칭은 눈물겨울 만큼 죄다 끌어다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일례로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의 경우 연세대학교 앞에 위치한 점포가 신촌점을 먼저 가져간 덕분에 2호선 신촌역 앞에 있는 점포의 명칭은 엉뚱하게도 이대점이다. 매장망이 좀 더 촘촘한 편의점 등은 더 심각하여, XX점, XX중앙점, XX제일점, XX역점, XX으뜸점, XX2호점, 신XX점 등이 뒤엉켜서 명칭만 가지고는 위치 연상이 도저히 불가능할 정도인 곳들이 많다. 예를 들면 XX역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XX역점이 있었는데, XX역 바로 앞에 신XX점이 생기고, 동네 한 쪽 구석에 XX중앙점이 생겨서 XX역점은 XX역 바로 옆에 없고, XX중앙점은 XX동 중심지에 있지 않은 등등 이수역스러운 사태들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래서 그런 프랜차이즈 카페 점포로는 웬만하면 길 찾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XX은행 XX지점과 같은 형식이 더 정확하다. 단, 여기에는 예외도 있어서 특히 은행 지점들이 밀집한 강남이나 서울 도심 등 주요 거점지역은 이것마저도 주의해야 한다. 이를테면 국민은행 역삼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은 역삼역지점이 아닌 스타타워지점이다.
- 대한민국은 북한을 현재도 대한민국의 영토로 인식하므로 중부라는 표현이 실제와 다르다고 보기는 어렵다.[98] 이로 인해 대한민국에는 북구에 해당하는 관할구역을 가진 곳이 아니면 '북부'라는 이름을 가진 공공기관이 없다. 다만 '북'자 하나로 한정하면 동북지방통계청과 같은 사례는 있다.
- 중구는 보통 시청이 있는 시의 중심지를 일컫는 말이지만, 2022년 기준 중구에 있는 특별시/광역시청은 서울특별시청과 대구광역시청뿐이다. 예전에는 모든 특별시/광역시의 중구에 시청이 있었지만, 부산광역시청은 연제구, 인천광역시청은 남동구, 대전광역시청은 서구, 울산광역시청은 남구로 옮겨졌다. 2030년부터는 대구광역시청이 달서구로 옮겨짐에 따라 중구에 있는 광역시청은 없어진다.[99]
3. 동음이의어 지명 때문에 헷갈리는 경우
- 공릉천은 조선 예종의 정비인 장순왕후의 묘 공릉(恭陵)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孔陵)과는 전혀 상관없다.[100]
- 광주의 난은 광주광역시나 경기도 광주시가 아닌 광둥성 일대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있는 금산사(金山)는 충청남도 금산군(錦山)과 전혀 관련없다.
-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은 고성군의 동쪽 바다(진해만)에 접한 면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동해와는 아무 상관없다.
- 충청남도 당진시 행정동(杏亭洞)은 행정동(行政洞)이 아니고 법정동이다. 행정동 상으로는 당진2동에 속해 있다.
- 대전(Daijeon)기계공업은 대전(Daejeon)광역시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한글로는 같지만 로마자 철자를 다르게 쓰는 것으로 볼 때 회사명을 대전광역시에서 따온 것이라고 볼 수 없다. 본사의 위치는 경기도 평택시
- 보라매공원은 관악구 보라매동이 아니라 과거 이 곳에 있었던 공군사관학교의 상징 보라매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학교 이전 이후 인근의 관악구에서 인근의 봉천1동을 보라매동으로 개칭하였고 이 때문에 공원의 부지 대부분을 차지하는 동작구가 권한쟁의심판까지 청구했었다.
-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에 있는 문현아이파크 아파트는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과는 아무 상관없다. 문현아이파크 근처에 문현시장이 있다.
- 설악산의 울산바위는 울산광역시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 울산에서 올라온 바위가 설악산에 자리를 잡아 울산바위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지만 이건 발음이 같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끼워맞춘 이야기일 뿐, 실제로는 바위의 형상이 '울타리'처럼 생겨서 그런 이름을 붙인 거라고 한다. 혹은 이 바위에 번개가 칠 때 천둥소리가 메아리쳐 울리는 현상 때문에 산이 운다, 또는 산이 울린다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 순천시 해룡면 신대리에 있는 중흥S-클래스는 건설사인 중흥건설에서 딴 이름으로 중흥리와는 상관이 없다.
- 아산시(牙山)는 현대아산(峨山)과 무관하다. 현대아산의 '아산'은 정주영회장의 호에서 따온 것이고, 이 호는 그의 고향인 강원도 통천군 송전면 아산리에서 따 온 것이다.
- 고령가야(古寧伽倻)는 경상북도 고령군(高靈郡)과 상관없다. 만약 상관이 있었으면 고령읍을 ‘고령가야읍’으로 바꿨지 왜 ‘대가야읍’으로 바꿨겠는가. 고령가야의 위치는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또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발리(鉢里)는 인도네시아 발리 섬(Pulau Bali)과 관련이 없다.[101]
- 부안군(扶安)과 인접한 고창군 부안면(富安)은 관련이 없다. 때문에 고창군 사람과 부안군에 대해 이야기할 경우, 가급적 '군'을 붙여 말해야 혼동의 여지가 없다.
- 충청북도 영동군(永同)은 강원도 영동(嶺東)과 무관하다.
- 안산(鞍山)이라는 지명은 안산(安山)시와는 전혀 관계 없다.[102]
-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亥安面)은 해안(海岸) 지역이라서 붙여진 이름이 아니다. 이곳은 산지가 많은 분지라 펀치보울(punch bowl)이라는 별명이 붙어있는 내륙 지역이다. 다만, 옛날에는 진짜로 바다 해(海)를 썼다가 뱀이 들끓자 바다 해를 돼지 해(亥)로 고치고 마을에서 돼지를 기르면서부터 뱀이 사라졌다는 지명 유래가 있긴 하다.
- 가곡 '동무생각'에 나오는 청라언덕과 인천의 청라는 둘 다 한자로 똑같이 '菁蘿'를 쓰지만 유래는 다르다. 대구의 청라언덕은 '푸른 담쟁이가 우거진 언덕'이라는 점에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인천의 청라동은 과거 매립하기 전 존재했었던 섬 '청라도'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 순천시 해룡면은 구 순천군 해촌면과 용두면이 통합되면서 만들어진 이름으로 도사동에 있는 해룡산과는 상관없다.
- 광주 광산구는 광산(鑛山, mine)이 아니라 광주의 조선 시대 별호인 광산(光山)에서 따온 것이다.
- 삽교호는 예산군 삽교읍이 아닌 삽교천에서 따온 명칭이다. 아산시와 당진시 사이에 결쳐있다.
- 남양주시 퇴계원읍은 퇴계 이황과는 관계없다. 예종이 선왕인 세조의 능(광릉)을 참배하려고 행차하는데 교통이 불편하므로 하천 바닥으로 길을 만들기 위하여 당시의 하천을 바깥쪽으로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참고로 예종의 본명이 이황(李晄)이기는 하나 퇴계 이황(李滉)과는 한자가 다르다.
- 북한산(北漢山)은 서울특별시와 고양시에 걸쳐 있는 산이며, 북한(北韓)과는 아무 상관 없다. 북한산성(北漢山城)도 마찬가지. 남한산(南漢山)과 남한산성(南漢山城)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에 위치해 있는 산과 산성인데, 이쪽도 남한(南韓)과는 전혀 관련 없다. 북한(北漢), 남한(南漢)이란 이름은 한강의 북쪽, 남쪽에 있는 산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103]
- 제주시청 일대를 가리키는 광양(廣壤)이란 지명은 전라남도 광양시(光陽)와 아무런 상관없다.
- 금천구에 위치한 말뫼고개는 고개의 지세가 마치 말의 머리나 말의 꼬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말머리고개, 말미고개라고 불렸던 것이 지금의 명칭이 된 것으로 스웨덴의 도시인 말뫼(Malmö)와는 발음이 유사한 것 이외에는 관련이 없다.
- 파주시 법원읍은 법원(法院)과 한자가 똑같지만, 일제강점기 때 '법의리'와 '원기리'라는 두 마을을 통합하면서 각 앞글자를 따 새로 지은 이름일 뿐 법원의 존재 유무와는 상관이 없다. 참고로 읍 승격 전에는 천현면이었다.
- 고양시 탄현동(炭峴洞)과 파주시 탄현면(炭縣面)은 12km 정도 거리로 가까운 지역이다보니 혼동하는 경우가 있지만 한자가 다르고 지명유래부터 전혀 다른 지역이다.
- 거창군 거창읍에 있는 김천리(金川)는 김천시(金泉)와 무관하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三成洞)은 삼성(三星)그룹과 연관 자체가 없다. 영어 표기도 삼성동은 Samseong이지만 삼성그룹은 Samsung이다. 삼성타운은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해 있다. 삼성동에는 현대자동차그룹 소유의 글로벌비즈니스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104]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大成里)는 대성학원(大成學院)과 발음과 한자가 모두 같지만 무관하다. 대성학원은 대성리의 원래 유래와 무관하게 설립자인 김만기의 뜻에 의해 지어졌지만 확실한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위치상 대성리와 어느정도 떨어진 남양주대성기숙학원이 있긴 하지만 남양주가 아니라 대성리에 대성기숙학원이 있었다면 같은 발음과 한자명으로 유명해졌을지도 모른다.
- 영덕군 영해면 대진리 건달마을은 건달과 무관하다.
- 영등포구 대림동의 대림(大林)은 신대방동과 신도림동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붙인 지명으로 커다란 삼림지대와 전혀 무관하다. 오히려 지금의 대림동 일대는 원래는 도림천변 풀밭 및 목장지대였다고 한다. 동네 이름도 원래는 원지목리(遠芝牧里)였다.
- 양천구 신정동에 있는 오금교는 송파구 오금동과 한자가 같기는 하지만(梧琴) 오금동이 아니라 과거 이 일대에 있었던 자연부락의 지명인 오금리(梧琴)에서 유래한 것이다.
- 온천천에 흐르는 물은 온천 물이 아니다. 하천이 온천동에 위치해서 붙은 이름일 뿐이다.
- 수원 한일타운은 한일합섬 터에서 지어졌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한일건설, 한일관계와는 상관이 없다. 건설사는 태영건설, 쌍용건설, 우성건설, 대림산업 컨소시움.
- 부천이란 지명은 1914년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 당시 인천부[105]와 부평군을 통합하면서 부평의 '부(富)'와 인천의 '천(川)'을 따서 새로 지은 명칭이다(富川). 그런데 정작 오늘날에는 인천광역시와 부천시, 부평구와 부천시가 서로 별개의 행정구역으로 존재한다는 게 아이러니. 오해의 소지도 있는데, '부평의 부+인천의 천'인 줄 모르는 사람들이 한자 뜻으로만 보아 '부유한 내'라든지, '하천이 많아서 부천이라 불리는구나' 등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부천에는 시가지 개발과 함께 대부분 복개되어 하천이 거의 없다.
-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팔달시장은 팔달교에서 유래한 것으로 수원 팔달문과는 무관하다.팔달문 근처에도 시장이 있긴 하지만, 명칭이 '팔달문시장'으로 대구에 있는 곳과 한끝차이이다. 다만 한자(八達)는 같다.
- 포천시 내촌면 신팔리에 있는 수원산(水源山)은 수원시(水原市)와 아무 관련없다.
- 포천시에 있는 파주골은 궁예가 왕건에게 패해 도주했던 곳이라고 하여 '패주골'이라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며, 파주시(坡州市)와는 전혀 상관없다.
- 화산(華山, 花山, 和山)은 화산(火山)이 아니다.
- 화성시(華城市)는 행성 화성(火星)과는 관련이 없다.
- 황해북도 연산군(延山郡)은 연산군(燕山君)과 관련이 없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있는 당리마을과 사하구의 당리동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 당리마을은 1825년 세운 당집인 영숙사(永肅祠)에서 유래한 이름이고 당리동은 동의 북쪽에 위치한 승학산과 산불량(山不良) 사이 계곡인 제석곡에 제석단을 쌓고 기우제를 지낸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있는 명동마을과 서울특별시의 명동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있는 신평마을과 사하구의 신평동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신평마을은 신흥(新興)과 평소(平召) 두 마을을 합치면서 두 마을의 머리글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고, 신평동은 서쪽에 접한 낙동강 하구의 충적지에 제방을 쌓아 새로 농경지를 조성하면서‘새로운 평지’라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다.
- 대구광역시 인동촌시장은 과거 인동 장씨들이 많이 모여살았다는 사실에 유래한 이름이다. 물론 인동 장씨의 본관은 구미시 인동(과거 인동군)이 맞기 때문에 아무 상관없는 것은 아니지만, 어찌됐건 지명의 유래 자체는 구미시 인동은 아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과 하남시는 한자는 같지만(河南) 유래가 다르다. 하남동은 과거 마을 안에 큰 우물이 있다는 점에서 따와서 '한우물','하나물'이라고 부르던 것을 적당히 음차해서 만든 이름이지만, 하남시는 1989년 시 승격 당시 백제의 도성으로 알려졌던 하남위례성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있는 미추홀도서관과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는 미추홀구가 아니라 인천의 옛 지명인 미추홀에서 따온 이름이며 설립시기도 남구가 미추홀구로 이름을 바꿨을 때보다 더 빠르다.
-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에 있는 영흥공원은 영통의 영과 인근 흥덕지구의 흥에서 한글자씩 따온 것으로 옹진군 영흥면과 영흥도와는 아무 상관없다. 다만 한자(靈興)로는 동일하다.
- 망향휴게소와 망향비빔국수는 서로 연관이 없다. 한자(望鄕)로는 동일하지만 전자는 휴게소 맞은편의 망향의동산에서 따왔으며, 후자는 경기도 연천군에서 출발했다.
- 귀주 대첩, 귀주성 전투의 무대인 '귀주'는 구이저우성이 아니라 평안북도 구성시다.
- 홍성군에 있는 학교법인 신암(信岩)학원은 예산군 신암면이나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둘 다 한자로는 新岩)과 무관하다.
4. 작중 장소와 실제 촬영 장소가 다른 경우
세트장 촬영은 끝 없이 많아서 세트장은 제외. 사실 이런 경우는 영상물 특성상 굉장히 많을 수밖에 없다.
- 감기의 주 배경은 분당이지만, 이마트 폐쇄 장면은 이마트 분당점이 아닌, 이마트 양산점[106]에서 찍었다.
그리고 신분당선 정자역 씬은 대전지하철 반석역에서 촬영하였고, # 분당수서로 씬도 양산신도시에서 촬영하였다. - 감시자들에서 삼각지역에는 유령승강장이 있다고 나왔지만 문을 열고 들어간 곳은 신설동역 유령승강장이었다.
- 갯마을 차차차의 주 배경 공진은 강원도의 가상의 바닷마을이지만, 주 촬영 장소는 경상북도 포항시이다
- 거침없이 하이킥, 지붕뚫고 하이킥의 주 배경은 각각 동작구, 성북구이지만, 주된 촬영은 일산, 파주에서 진행되었다.
- 곤지암은 실제 곤지암과는 하등 관련 없는 정 반대방향 지역인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에 위치한 (구)해사고등학교를 리모델링하여 촬영한 것이다.
- 대장금의 주 활동무대는 경복궁이지만, 화성행궁에서 찍은 장면들도 상당수 있다.
- 동백꽃 필 무렵의 주 배경인 옹산은 충청도의 가상의 바닷마을이지만, 실제 주 촬영장소는 포항시 구룡포 근대문화 역사거리이다.[107]
- 댄싱퀸의 대화역 장면은 대화역이 아닌 노포역에서 찍었다.
- 러브레터의 명장면인 나카야마 미호가 '오겡키데스카(お元気ですか)'를 외치는 장면은 홋카이도 오타루시가 아닌 나가노현에서 찍었다.
- 라이프 온 마스에 나오는 서울지방경찰청 외부 씬은 부산의 국립해양박물관 외부에서 촬영 된 것이다.
- 러브스토리 인 하버드는 하버드 대학교가 아닌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USC) 및 캘리포니아 대학교/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에서 찍었다.
- 로봇, 소리의 사건 배경은 대구 중앙로역이지만, 대전 중앙로역에서 촬영된 장면이 있다.
- 모가디슈는 소말리아에서 촬영되기에는 너무 위험해서 모로코에서 촬영되었다.
- 미나 문방구의 배경은 무주군이지만, 실제 촬영지는 경주시의 계림초등학교 일대이다.
-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의 크렘린 잠입 장면은 100% 러시아 크렘린에서 찍힌게 아니다. 모종의 이유로 크렘린 내부의 촬영허가는 나지 않았는지 크렘린 내부는 체코 프라하의 프라하 성에서 찍었다.
- 베를린의 배경은 전부 독일 베를린에서만 찍은 게 아니다. 사실은 라트비아에서 촬영된 분량이 더 많았다. 독일 촬영분은 9회차, 라트비아 촬영분이 15회차다. 라트비아 촬영분이 더 많은 이유는 독일보다 더 물가가 싸기 때문이다. 예로 한 장면을 들자면 거의 마지막 장면에 나온 표지판에 라트비아어가 적혀있다.
- 베테랑의 명동 장면은 명동이 아닌 청주시 성안길에서 찍었다.
- 부산행의 대전역 장면은 동대구역과 삽교역에서 찍었다.[108] 그리고 동대구역 장면은 가야역에서 찍었다. 천안아산역도 세트장에서 촬영된 것이다.
-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수리남은 수리남이 아닌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주로 촬영되었으며, 외에도 전주시의 만성지구와 전북혁신도시, 제주도, 안성시, 인천광역시[109] 등에서 촬영했다.
- 스카이 캐슬에 나오는 스카이캐슬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다고 나오지만, 실제 촬영지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하고 있다. 단 내부장면은 세트에서 촬영했다.
- 스파이더맨 2의 뉴욕 지하철 씬은 뉴욕이 아닌 시카고 전철이다.
- 식샤를 합시다 2의 세종빌라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다는 설정이지만 실제 촬영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동(마장동주민센터 맞은편) 모 연립주택에서 했다.
- 아이 앰 어 히어로의 배경은 일본이지만 아울렛 씬은 일본이 아닌 대한민국 파주시에서 찍었다.
- 알 포인트의 배경은 베트남 전쟁이지만, 대부분 캄보디아에서 촬영되었다.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서울 장면 중 일부는 경기도 안양시와 의왕시에서 찍었다.
- 어벤져스: 엔드게임에서 뉴 아스가르드의 위치는 노르웨이 퇸스베르그이지만 촬영 장소는 스코틀랜드이다.
- 열아홉 순정에서 극중 강남길이 역장으로 나오는 금촌역(전철 개통 전)은 실제로는 구 일산역에서 찍었다.
- 열혈사제2에서 극중 김남길이 근무하는 신학교는 부산에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 촬영지는 대구 성모당에 있는 '유스티노 신학교'이다. 또, 극중의 또다른 주요 장소로 등장하는 우마성당도 신학교와 마찬가지로 천주교 부산교구 소속으로 나오지만, 사실은 천주교 인천교구 소속의 답동성당[110]과 근처에 있는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인천 내동성당[111]에서 촬영했다.
- 왕의 여자의 배경은 창덕궁이지만, 주로 화성행궁에서 촬영했다.
- 응답하라 1988의 배경은 쌍문동이지만 정작 쌍문동에서 촬영한 씬은 하나도 없다. 세트장도 의정부시 녹양동에 있었고[112], 쌍문고등학교는 인천보건고등학교, 쌍문여자고등학교는 인천광역시의 신명여자고등학교에서 촬영했다.
- 응답하라 1994의 신촌 하숙은 설정상 주소가 서대문구 창천동이지만 실제 촬영지는 종로구 평창동에 있었다.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우영우의 아버지 우광호가 운영하는 분식집 '우영우 김밥'은 합정역 인근에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 '우영우 김밥'은 수원시 팔달구 행궁동에 위치한 '카자구루마'라는 일식집이다.
- 인셉션에서 도미닉 코브가 장인어른과 아리아드네를 만나는 곳은 설정상 프랑스이지만 실제 촬영지는 영국에 있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이다.
- 전원일기의 작중 배경인 '양촌리'는 청주시 남이면에 실재하는 지명이지만 딱히 해당 장소를 의식한 설정이나 내용도 아니며 실제 촬영지는 이웃 문의면, 그리고 양평군 양서면 등이다. 또 김포시 양촌읍과도 상관 없다.
- 조작된 도시에서 청담동 펜타포트가 언급되지만 실제 촬영지는 천안 펜타포트이다.
참고로 청담동엔 펜타포트는 없다. - 출국의 배경은 베를린이지만,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촬영되었다. 헌데 이 곳은 한때 독일의 지배를 받은 곳인지라.
- 허브의 배경은 이천시이지만, 대부분의 장면은 춘천시에서 촬영되었다.
-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에서 지축역으로 나오는 장면은 실제로 문산역에서 촬영했다.
- 콜로설의 서울 장면 중 일부는 경기도 부천시에서 찍었다.
- 클로버필드의 무대는 뉴욕이지만 몇몇 장면은 LA 시내에서 촬영했다.
- 펜트하우스 시리즈를 촬영한 장소는 강남이 아니고, 일산, 목동 세트장과 남양주에 있다. 거기에 설정상 김포로 되어 있는 곳은 강원도 동해시다.
- 프라하의 연인의 엔딩은 남녀주인공이 체코 프라하의 소원의 벽[113]에서 만나는 것으로 마무리 되는데, 이를 위해서 엔딩 장면을 방영 시작 전 로케이션 촬영 때 같이 찍어 왔어야 하나[114] 그렇게 하지 않고, 전북 부안에 프라하를 재현한 세트장을 건립하여 촬영하였다. 뿐만 아니라 극중 형사인 최상현(김주혁 분)의 근무지는 종로경찰서였으나[115] 실제로 촬영이 진행된 곳은 서울용산경찰서였다.
- 피아노의 극중 배경은 부산광역시이지만 적지 않은 장면이 인천광역시에서 촬영됐다.[116] 특히 극중 신혜림(조민수 분)이 운영하던 피아노학원 건물과 변학수(임동진 분)가 운영하던 빵집, 동네 병원이던 구민병원 등이[117] 인천에서 찍은 씬들이다.
5. 혼동하기 쉬운 널리 쓰이는 지명
- 강남
- 런던
- 레논 벽(존 레논)
- 릴리
- 링컨(에이브러햄 링컨)
- 먼로(제임스 먼로)
- 밴쿠버(조지 밴쿠버)
- 빅토리아
- 산후안
- 세종(세종대왕)
- 시드니
- 아르바트 거리
- 알렉산드리아
- 오바마
- 워싱턴(조지 워싱턴)
- 조지아
- 충무[118]
- 트리폴리
6. 해외 사례
-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중앙공동묘지(Zentralfriedhof)는 이름과는 달리 빈 도심부에 위치해 있지 않다. 지하철 L3를 타고 종점 Simmering 역에서 내린 뒤 71번 S-Bahn을 타고 몇 정거장을 더 가야 하는, 도심부에서는 대중교통으로 최소 40-45분은 걸리는 곳에 위치해 있다.
- 각국의 주교황청 대사관(주교황청 대한민국 대사관 등)은 바티칸 시국이 아닌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해 있다. 바티칸 시국이 너무 좁아서 주교황청 대사관을 둘 곳이 없기 때문.
- 그리스 제2의 도시 테살로니키는 이 도시의 이름을 딴 테살리아 주의 도시가 아닌 중마케도니아 주의 도시이다. 애초에 테살로니키는 마케도니아 왕국에서 계획적으로 만든 도시였고, 이곳 출신들이 그리스 쪽으로 내려와 살자 이들이 많이 사는 지역을 그리스인들이 테살리아라고 칭하였기 때문이다.
- 그린란드(Greenland)는 푸르지 않고 얼음으로 뒤덮여서 하얗다. 아이슬란드 출신 바이킹인 붉은 에이리크가 처음 이 땅에 발을 댄 때에 붙여준 이름인데, 실제로 처음 발견된 땐 풀밭이어서 그랬는지, 아니면 이 땅이 푸르러지면 좋겠다는 희망사항이었는지는 전승에서도 오락가락한다. 이름을 사실대로 지었다간 이민자들이 안 올까 봐 일부러 낚으려고 이렇게 지었다는 설도 있다. 다만 수도 누크의 경우 얼음대지가 아니지만 그렇다고 풀밭도 아니다.
- 나우루 하우스는 나우루가 아닌 오스트레일리아의 멜버른에 있다. 나우루가 구아노를 팔아 한창 잘나가던 시절 멜버른에 대통령 집무실로 쓰려고 지은 빌딩이었고 실제로 꼭대기층에 대통령 집무실이 있었다. 구아노 고갈 이후인 2004년 나우루 정부가 방을 빼고 퀸즐랜드 투자공사에 빌딩을 매각하면서 '나우루'라는 이름만 남고 나우루 공화국과의 연관성마저 사라진 상태다.
- 내몽골 자치구는 몽골의 지방이 아니라 중국의 지방이다.
- 널 아일랜드는 섬이 아니다.
- '노브고로드'는 러시아어로 '신도시'라는 뜻이지만 사실 벨리키 노브고로드나 니즈니 노브고로드나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고도들이다. 그 당시를 기준으로 보면 신도시가 맞기 때문에 그리 이상한 것은 아니다.
- 노이브란덴부르크 시는 독일 브란덴부르크 주가 아닌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에 있다.
- 뉴멕시코는 멕시코의 주가 아니라 미국의 주다.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미국이 승리한 후에 멕시코의 산타페데누에보메히코(Santa Fe de Nuevo México) 준주를 자국 영토로 편입한 것이다. 뉴멕시코가 애초에 산타페데누에보메히코에서 누에보메히코(Nuevo México, 새로운 멕시코) 부분을 영어로 번역해 따온 것이다.
- 대영박물관의 유물 중에 영국 유물은 거의 없다(...) 대부분 대영 제국 시절 다른 나라에서 훔처 온 유물이라서 우스갯소리로 대영박물관의 영국 것은 건물과 경비병 밖에 없다.(...)는 말이 있다.
- 도미니카 연방은 연방 국가가 아니다. 'Commonwealth'를 '연방'으로 번역하는 습관도 있고 영연방(Commonwealth of Nations) 회원국이라서 도미니카 연방이라고 불리고 있다.[120]
- 독일을 통일한 프로이센 왕국의 본체는 쾨니히스베르크가 있는 프로이센 공국이 아니라 베를린이 있는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이었다. 선제후가 독립적인 국가의 칭호인 '왕(König)'을 사용할 시 독일왕(Rex in Germania)과 구분이 안되는 문제 때문에 신성 로마 제국 권역이 아니었던 프로이센 공국의 이름인 프로이센을 빌려와 프로이센 왕국을 칭하면서 브란덴부르크가 아니라 프로이센이 대외명칭으로 굳어졌다. 실제로 1806년 신성 로마 제국 해체 전까지 프로이센 왕국의 외교적인 대외 명칭은 프로이센이 아니라 브란덴부르크였다. 오히려 18세기까지 프로이센은 슬라브 색채가 더 강한 이름이었다.
- 디즈니랜드 파리는 파리에 없고 그 근처 도시인 쉐씨(Chessy)에 있다.
- 러시아의 유대인 자치주는 이오시프 스탈린이 유대인들을 한곳에 모으기 위해 1934년 만들어졌으나 이후 유대인의 지속적인 감소로 현재는 유대인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도 되지 않는다.
- 로드 애틀랜타, 애틀랜타 모터 스피드웨이, 애틀랜타 모터스포츠 파크는 애틀랜타가 아니라 각각 브래슬턴, 햄프턴, 도슨빌에 위치해있다.
- 로드아일랜드주는 이름에 섬(Island)이 들어가지만 실제로는 섬이 아니며 주의 대부분이 육지로 이루어져 있고, 섬 몇 개가 포함되어 있을 뿐이다. 한국으로 치자면 인천광역시와 비슷한 셈.
- 도시 림뷔르흐(랭부르)는 벨기에령 림뷔르흐 주와 네덜란드령 림뷔르흐 주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고 벨기에 리에주주에 속한다.
- 모리타니는 로마 제국 시절 마우레타니아에서 나라 이름을 따 왔지만, 로마 제국기 마우레타니아는 오늘날 마그레브 지역의 지중해 연안부에 있었기에 오늘날 모리타니의 영토와는 동떨어져 있다.
- 몰도바의 국명 어원이 된 몰도바 강은 몰도바가 아니라 루마니아령 몰다비아[122]에 있다. 원래 현재의 몰도바는 루마니아령 몰다비아와 몰다비아 공국이라는 같은 역사를 공유하는 단일 지역이었으나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지배로 인해 분리되었다.
- 에티오피아의 어원이 된 아이티오피아는 오늘날 수단 공화국에 있었던 쿠시 왕국의 그리스어 이칭이었는데 악숨 왕국에 의해 병합되면서 악숨 왕국의 이칭으로 넘어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 미국 워싱턴주와 워싱턴 D.C.는 별개의 행정구역이다. 원래는 인근 강의 이름을 따 (아메리칸) 컬럼비아주가 될 예정이었으나, 컬럼비아 특구와 겹친다는 이유로 더 혼란을 막고자 워싱턴 주가 되었다.[123]
- 위와 연계하여, 영국령 컬럼비아 주는 있는데 미국령 컬럼비아 주는 없다. 본래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영국령 버진아일랜드, 미국령 사모아/독일령 사모아(현 사모아)처럼 인근에 있는 다른 국가 소속 지명과의 혼선을 막기위해 안배해둔 이름이었으나, 정작 미국령 컬럼비아 주는 상술하였듯 워싱턴 주로 대체되었다.
-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의 대표 번화가인 '매그니피센트 마일(Magnificent Mile)'은 이름처럼 1마일(약 1.61 km)이 아니라 약 0.83마일(약 1.34 km)이다.
- 미국 중서부(Midwest)는 지리적으로는 중부 서쪽이 아니라 중앙에서 동북쪽이다. 대표 주가 일리노이, 위스콘신, 미시간, 오하이오 등이다. 미국 건국 당시 지리적 분류의 흔적이다.
- 발칸(Balkan) 반도는 무기인 발칸(Vulcan)포와 아무 상관없으며 애초에 철자부터가 다르다. 정확한 구분을 위해 벌컨포라고 부르기도 한다.
- 버클리(Berklee) 음악대학은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Berkeley)에 없다. 창립자인 리 버크(Lee Berk)에서 명칭이 유래됐으며, 매사추세츠 보스턴에 본관이 있고, 뉴욕시와 스페인 발렌시아에 캠퍼스가 있다. 대신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가 있다.
- 1830년 이전의 벨기에는 당시의 네덜란드와 마찬가지로 네덜란드와 벨기에 모두를 의미하는 단어였다. 벨기에의 독립 이후 네덜란드는 개신교를 믿는 북부지역을, 벨기에는 가톨릭을 믿는 남부지역을 의미하는 단어로 굳어졌다. 즉, 1830년 이전에는 벨기에=네덜란드이자 네덜란드=벨기에였다.
- 벨리즈에는 국명과 같은 이름의 도시(벨리즈 시티)가 있지만 정작 수도는 그 곳이 아니라 벨모판이다. 본래 벨리즈 시티가 수도였는데 1961년 허리케인의 피해를 너무 크게 입는 바람에 1970년에 벨모판으로 천도하면서 이렇게 된 것. 다만 그 당시 벨리즈는 '영국령 온두라스'라는 이름의 자치령이었다.
- 북예멘과 남예멘은 /모양을 경계로 해서 남북이 아닌 동서로 나뉘어져 있었다. 서쪽이 북예멘, 동쪽이 남예멘. 심지어 통일 예멘 영토의 최북단 지점은 북예멘이 아닌 남예멘에 위치해 있었다.
- 다만 수도 기준으로는 북예멘의 수도인 사나가 북쪽에, 남예멘의 수도인 아덴이 남쪽에 위치해 있다.
- 보스턴의 사우스엔드, 사우스보스턴 지역은 행정구역 상 보스턴 시의 중앙에 위치한다.
- 빅토리아 폭포와 빅토리아 호 모두 아프리카 대륙에 있는 것은 맞는데, 빅토리아 폭포와 빅토리아 호가 가까운 거리에 있지는 않다. 빅토리아 폭포는 짐바브웨와 잠비아 사이에 있고, 빅토리아 호는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사이에 있다.
- 서인도 제도는 인도 서부에 있는 제도가 아니다.
- 세비야에 있는 황금의 탑은 황금색이 아니고 건물 외관에 그 어떤 황금도 장식되어 있지 않다. 이름이 황금의 탑인 이유는 건설 초기 금으로 탑의 겉면을 덮었기 때문이라는 설과 16~17세기에 신대륙에서 가져온 금을 이 곳에 보관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 시에라리온은 '사자의 산(Serra de Leão)'이지만 사자가 살지 않는다.
- 싱가포르도 시에라리온과 마찬가지로 사자의 도시라는 뜻이지만 사자가 살지 않는다.
- 아르헨티나의 국가명 의미는 은의 나라라는 뜻이며 원래는 은이 엄청나게 많아서 은의 나라라고 불리웠지만 계속된 채굴로 인한 고갈로 인해 과거처럼 은이 넘쳐나지는 않다. 참고로 그렇게 채굴된 은은 계속 중국으로 유입되었으며 영국이 이걸 빼내려고 중국에 아편을 유입시킨 결과 아편전쟁이 벌어졌다. 추가로, 은이 워낙 넘쳐나게 많아서 나라 이름을 아르헨티나가 되게 한 원인인 포토시 광산은 이 당시에는 아르헨티나 영토였으나 그 자리에서 볼리비아가 건국되는 바람에 현재는 볼리비아 영토이다.
- 아이슬란드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북극권이고 빙하도 있지만 섬 전체가 화산지대이다. 그린란드와 반대인 셈.
- 아이티는 현지어로 '나무가 많다'는 뜻이지만, 정작 무분별한 벌채로 인해 현재는 대부분이 민둥산이다.
- 예루살렘은 '평화의 도시'라는 뜻이지만 단 한 번도 평화로운 적이 없다. 실제로 먼 옛날부터 현재까지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간 분쟁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이 때문에 국제사회에서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지 않는 편.
- 우한시의 화난 수산물 시장은 수산물뿐만 아니라 육상 야생동물의 고기도 유통한다. 이로 인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을 촉발시켰다.
- 이탈리아를 통일한 사르데냐 왕국의 중심지는 사르데냐 섬이 아니라 이탈리아 반도의 피에몬테였다. 위의 프로이센 왕국과 비슷한데, 사보이아 공국의 사보이아는 신성 로마 제국의 라인강 상류 관구, 피에몬테는 이탈리아 왕국에 속해서 국왕을 칭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미 기존의 왕국이었던 사르데냐 왕국을 칭했다. 나폴레옹 전쟁으로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되고 전후 빈 회의에 따라 구질서가 복원되면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가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Regno di Sardegna-Piemonte)으로 개칭했다.
- 제트추진연구소는 제트엔진을 연구하는 곳이 아니다. 초창기에 창립멤버들이 로켓이란 이름이 너무 양판소스럽다고 제트추진이라는 이름을 썼고, 지금은 외행성 탐사선 등의 우주선을 제작하고 있다.
- 중난하이(中南海)는 바다 이름이 아니라 자금성 근처에 있는 옛 황실 원림으로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등 집무실이 위치한 지역 이름이다.
- 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 중앙아프리카는 아프리카 중앙부에 있어서 중앙아프리카로 불리었으나, 좀 더 정확히 따지면 중아공을 포함한 해당 지역 국가들은 아프리카 남서부에 걸쳐 있다(중아공, 차드는 아프리카 북서부로도 본다). 다만 아프리카의 중심 지역이 중아공에도 걸쳐 있고 중아공 인근 접경 국가들도 포함하여 중앙아프리카로 분류하다보니 이렇게 되었고, 서아프리카도 아프리카이므로 무게중심을 따지면 실제로도 중앙에 있는 거 맞다.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는 체르노빌시가 아니라 프리피야트시에 위치하고 있다. 정확히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에 맞춰서 프리피야트 강 근처에 도시 건설 계획을 수립한 것.
- 카보베르데는 '베르데 곶 (녹색의 곶)'이라는 의미지만, 애초에 곶이 있을 수 없는 섬나라이다. 실제 지명인 베르데 곶은 건너편인 세네갈에 있다.[127] 유럽인들이 카보베르데를 섬이 아닌 곶으로 착각했기 때문이다.
- 캐나다 온타리오 주 토론토의 대표 쇼핑가인 '밍크 마일(Mink Mile)'은 1마일(약 1.61 km)가 아니라 약 0.39마일 (약 0.62 km)이다.
- 캔자스시티는 캔자스 주와 미주리 주 경계에 걸쳐져 있지만, 실제로 더 인구가 많은 쪽은 미주리 쪽이며 사실상 미주리 주의 도시로 간주되고 있다.
- 캘리포니아 반도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가 아닌 멕시코쪽에 있다. 그래서 결국 이름도 그에 맞춰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가 되었다. 다만 캘리포니아 주는 단지 북캘리포니아를 지배하는 지역일 뿐이지 캘리포니아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므로 엄밀히 말하면 틀린 말이다.
- 콩고 자유국은 이름과는 달리 원주민들에게는 자유가 아예 없다.
- 쿠르스크 전투는 쿠르스크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한국으로 치면 대전 방어전이 서울에서 시작되어 적 진군이 천안쯤에서 돈좌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쿠르스크 돌출부를 한반도와 비교하면 서울~전주거리 정도 된다.
- 텍사스 주 댈러스 시의 업타운 (Uptown) 구역은 더 이상 업타운이라고 볼 수 없다. 정확히는 달라스의 도시 규모가 훨씬 작았던 시절에는 확실히 다운타운과 대비되는 업타운의 지형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후 달라스 광역권의 규모가 메트로플렉스(Metroplex)라고 불릴 정도로 커지면서 더 이상 업타운이라고 할 수가 없게 된 것. 지금은 그냥 다운타운의 일부로 밖에 보이질 않는다.
현대에 실질적으로 달라스 시의 업타운이라고 인식되는 동네들은 북쪽의 플라노(Plano)나 리차드슨(Richardson)과 같이 아예 달라스와 법적으로 다른 지자체로 분류되어 있는 동네들이다. 결정적으로, 위와 같은 시대적 변화의 결과로 이제 달라스의 미드타운 (Midtown) 구역이 오히려 업타운보다 북쪽에 위치해 있다. (...)
- 포트 오브 스페인은 스페인에 있는 항구가 아니라 한국인한테는 생소한 카리브해 남쪽에 있는 국가인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수도다.
스페인에 있다면 Puerto españa(푸에르또 에스빠냐)라고 표기하겠지.그래도 스페인의 식민지였기 때문에 스페인과 완전히 무관한 건 아니다. 애초에 국호 중에 트리니다드 부분이 섬 내에 존재하는 3개의 산봉우리를 보고 스페인어로 표현한 것이다.
- 폴란드의 비엘코폴스카(Wielkopolska)주는 대(Greater) 폴란드라는 뜻인데 마워폴스카(Małopolska)주/소(Lesser) 폴란드보다는 커도 폴란드 국가보단 작다. 두 지명은 크기와 관련해서 명명된 것이 아니기 때문.
-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는 베네치아를 포함하는 행정구역이 아니다. 원래 '베네치아'는 베네티족[129]이라는 고대 민족이 살던 땅을 모두 가리키는 명칭이었고,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의 일부인 '베네치아줄리아' 지방이 그 중 하나였는데, 해당 지방과 이웃한 베네토 주에 위치한 베네치아 시가 베네치아 공화국이라는 도시국가를 세워 유명하지는 바람에 수식어 없이 그냥 베네치아라고 하면 해당 도시를 뜻하게 된 것이다.
- 허우퉁 마을은 원숭이 마을이라는 뜻인데 탄광이 폐광된 이후 원숭이는 줄었고 고양이가 많이 산다. 그리고 허우퉁 고양이 마을은 행정구역상 허우퉁리(猴硐里)가 아닌 광푸리(光復里)에 속해 있다.
- 대만의 최남단인 헝춘(恆春)의 지명 의미는 영원한 봄이란 뜻이지만 실제로 헝춘은 무더운 열대기후 지역이다. 근데 이건 항상 온난한 지역이라고 해서 비유적으로 따뜻한 이미지의 계절을 뜻하는 春 자를 붙였다고 해석하면 그리 이상한 것은 아니다. 한편 중국 지린성의 창춘(長春)시의 지명 뜻은 '봄이 길다'라는 뜻인데, 여긴 진짜 지명과 기후가 안 맞는 곳으로 실제로는 동북 지역 내륙이라 굉장히 춥고 봄/가을도 짧은 곳이다.
- 호텔 우크라이나(스탈린의 일곱 자매중 하나, 현재는 래디슨 로열 호텔이라고 불린다.)는 우크라이나가 아니라 러시아 모스크바에 있다. 재미있게도 우크라이나 키이우에도 호텔 우크라이나가 있다.[130] 두 건물 다 스탈린 양식으로 지었다는 점 때문에 혼란을 증가시킨다. 그래서 현지 사람들은 모스크바 우크라이나와 키이우 우크라이나로 구분한다고 한다.[131]
- 중국의 허난성은 하남성인데 정작 황하의 이북에도 관할구역이 제법 위치해 있으므로 이 또한 사례로 들 수 있겠다.
6.1. 일본
- 교토부, 교토시(京都)는 경도(京都)라는 단어 자체가 수도라는 뜻이지만 현재 일본의 수도가 아니다.하지만 사실 교토는 명치유신 이전 천년 넘게 일본의 수도였으므로 사실 아주 관계가 없는 건 아니다.
- 가고시마현에 있는 사쿠라지마(桜島)는 이름과 달리 반도다. 물론 원랜 섬이었으나 1914년 분화로 흘러내린 용암이 흘러내렸다가 굳으면서 오스미 반도와 이어졌기 때문이다. 결국 반도의 반도가 되어버린 셈.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의 니시구(서구)는 요코하마시의 서쪽이 아닌 동쪽에 위치해 있다. 이는 1944년 나카구(중구)에서 분구될 때 나카구의 서쪽에 있다는 이유로 니시구가 되었기 때문이다.
- 니가타현 니가타시의 키타구(북구)는 니가타시의 북쪽이 아닌 동쪽에 위치해 있다. 심지어 히가시구(동구)보다 동쪽에 있다. 다만 지형상 이렇게 될 수밖에 없는데, 실제로 니가타시는 북쪽으로 동해가 위치해 있어 동서로 길게 뻗어 있는 형태이다. 니가타시의 최북단인 니시 방파제가 키타구에 위치해 있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키타구가 히가시구보다 동쪽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 도치기시, 야마나시시, 오키나와시는 도치기현, 야마나시현, 오키나와현의 현청 소재지가 아니다. 이들 현의 현청 소재지는 각각 우츠노미야시, 고후시, 나하시다.[133]
- 도쿄 게임쇼는 도쿄도에서 안 열린다. 도쿄 모터쇼도 1989년 이후 20년 동안에 치바현에서 열렸으나 이제 다시 도쿄로 돌아갔다. 그 대신에 도쿄 오토살롱이 치바현 마쿠하리 멧세에서 열린다.
- 도쿄 디즈니랜드, 도쿄 디즈니 리조트는 도쿄도가 아니라 치바현 우라야스시에 있다.
- 야마구치현 카미노세키정(上関町)은 같은 현의 시모노세키시(下関市)와 호후시의 나카노세키항(中関港)보다 아래쪽에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나카노세키가 시모노세키보다 수도(교토, 도쿄)에 더 가까워서 상경하는 방향으로 간다면 시모노세키-나카노세키 순으로 거쳐가게 되기 때문이다.[134]
- 오키나와현 니시하라정(西原町)은 섬의 서쪽이 아닌 동쪽에 있다. 원래 오키나와어로 니시(にし)는 북쪽을 뜻하는 단어로 류큐 왕국의 수도였던 슈리(현 나하시 동부)의 북쪽에 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었다. 오키나와어로 서쪽은 이리(いり)라고 한다.
- 오키나와현 야에야마 제도에 있는 타케토미정[135]의 사무소는 타케토미정에 없다. 때문에 행정업무를 보려면 배타고 이시가키시까지 가야한다. 이는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에 있는 같은 현의 도시마촌과 미시마촌, 한국의 인천광역시 옹진군청[136]도 마찬가지.
- 후쿠시마현(福島県)은 이름에 복(福)자가 들어가 있지만, 2011년 3월 11일, 이 곳에서 대형 참사가 나면서 더 이상 축복받은 지역이 아닌 저주받은 지역이 되어버렸고(서양에서는 Fu**ushima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이름에 섬(島)이 들어가지만 섬이 아니다.
-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일어난 곳은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가 아니라 후쿠시마현 후타바마치와 오쿠마마치 쪽이다.
7. 스포츠
팀의 지명 이름과 홈구장의 위치와 주소가 다른 팀도 많이 있다. 대부분은 홈구장을 연고지에서 못 구하고 근처 지역에 확보하는 경우다.- 프리미어 리그, 잉글리시 풋볼리그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맨체스터 시가 아닌 트래포드 시에 있다. 물론 행정구역상 그레이터맨체스터에 속한다.
- 첼시 FC - 런던 풀럼에 위치해있다. 이유는 각팀 항목 참고 바람.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 서쪽을 뜻하는 West가 이름에 있지만 실제로 이 구단은 동런던에 위치한 팀이다.
- 한국프로농구
- 1997~1998 시즌부터 2006~2007 시즌 초기까지 인천 연고 프로농구팀의 부천실내체육관 시절. 1997년 원년 시즌 홈구장이었던 인천도원체육관의 시설이 심하게 열악해서 당시 새로 문을 연 부천실내체육관에서 경기를 했지만 팀 명칭 속 연고지는 그대로 '인천'이었다. 다만 구단 홍보 현수막이나 포스터, 장내 방송에서는 "부천·인천시민과 함께 하는 여러분의 농구단"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나마 부천실내체육관이 인천시 경계에서 차로 5분, 걸어서 20분 걸릴 정도로 가까운 거리여서 인천에서도 많은 팬들이 찾았다. 2006-07 시즌 초에 삼산동에 건립한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 들어가 정착하는가 했으나 전자랜드가 구단을 한국가스공사에 매각하면서 대구로 연고 이전을 했고 그 자리에는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배구단이 들어갔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캘리포니아주 오렌지 카운티, 에인절 스타디움. 정확한 사유는 해당 문서 참조.
- 우루과이 프로축구 1부리그
-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연고지가 도네츠크가 아닌 키이우에 있다. 원 연고지인 도네츠크가 우크라이나에서 사실상 독립을 선언한 후 노보로시야 연방국을 구성하면서 리그를 참가를 위해 연고지를 키이우로 이전했으나 팀명은 키이우로 바꾸지 않았다.
8. 관련 문서
[1] 폐지, 설치, 분할, 통합을 통틀어 이르는 말.[2] 2014년 7월 1일에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해서 지금은 아니다.[3] 서울대공원의 경우 당시 과천시가 서울시 도시계획 구역에 속해있었기에 서울시가 과천시(당시 시흥군 과천면)로 이전한 것이다.[4] 다만 서울소년원은 대외적으로는 고봉중고등학교라는 명칭을 쓴다.[5] 고양시 1곳, 남양주시 1곳, 용인시 2곳.[6] 예전에 서울시 도시계획에 속했던 과천시에 서울대공원이 조성된 것처럼 광명시 북부지역도 당시에는 서울시 도시계획 구역에 속했다.[7] 다만, 법정동이 3개에 걸쳐 있지만 왕십리도선동주민센터에서 모두 관할한다.[8] 사실 도봉구가 1995년에 분구되며 강북구가 생긴 것이라 도봉세무서가 생길 당시에는 도봉구 관할이 맞았다. 분구되며 세무서가 2개일 필요가 없어 굳이 강북세무서를 만들지 않았다. 이후 노원세무서는 1999년 10월 도봉세무서에 합쳐졌다가 2004년 4월에 다시 분리되었다. 창동 전체는 합병 이전이나 재분리 이후나 변함없이 도봉구 소속임에도 도봉세무서가 아닌 노원세무서 관할이다.[9] 시내버스에도 '신창동'이라 표기되어 있고, 이 일대 상업시설의 점포 명칭도 "신창동점" "신창점" 등이 9할 이상 사용되고 있다.[10] 사실 '당고개'라는 이름은 '사당이 있는 고개'라는 의미로, 서울 뿐만 아니라 경주시, 여주시 등 곳곳에 있다.[11] 다만 소유는 육군이 하고 있다[12] DMC래미안이편한세상, DMC파크뷰자이 등이 해당한데다 가재울뉴타운 재개발 이전부터 있었던 인근의 아파트들도 대부분 DMC라는 이름을 붙였다. DMC래미안 클라시스(구 남가좌 삼성래미안 1차), DMC한양(구 연희한양아파트) 등이 대표적이다.[13] 동교동이면 홍대 술집이 유명한 곳이지만 정작 왜 신촌을 갖다 붙였을까...[14] 역시 위와 마찬가지로 홍대 주변에 위치해 있는데 이름만 신촌지점이다.[15] 다만 1차 아파트의 경우는 단지 입구 바로 앞에 공덕역이 있다.[16] 법정동: 공덕동, 행정동: 아현동[17] 법정동: 아현동, 행정동: 공덕동[18] 따라서 마포대로 서쪽 마포경찰서 이남지역의 법정동은 공덕동이지만 행정동은 아현동이며, 마포대로 동쪽 마포경찰서 이북지역은 법정동은 아현동이지만 행정동은 공덕동이다.[19] 참고로 통화권 거리 측정 기준점이 되는 곳으로도 유명한데, 이는 1990년대에 경기도 남부의 어느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로비로 한국통신이 해당 지역과 서울 간의 통화에 시내요금을 적용시키고자 그 기준점을 혜화전화국에서 구로전화국으로 옮겨놓는 꼼수를 썼기 때문이라고 한다.[20] 원래는 구로세무서와 붙어있다가 이전했다.[21] 관악구 관악로30길 27,동작구 관악로30길 27.[22] 반포역 6번 출입구로 나와서 150m 정도 직진하면 나온다. 물론 잠원역에서도 충분히 걸어갈 만한 거리이기는 하다.[23] 압구정동(행정동)과 신사동(행정동)의 경계는 논현로이고, 압구정동(법정동)과 신사동(법정동)의 경계는 압구정로이다.[24] 이러한 학원들은 주로 교대역 부근에 있다.[25] 단, 1988년 7월 1일부터 2009년 2월 28일까지는 압구정1동, 압구정2동이 존재했다. 압구정1동은 구현대아파트(10동~87동, 201~211동)를, 압구정2동은 현대아파트(91동~94동), 한양아파트를 관할했다.[26] 舊 송파중앙학원[27] 이를 반영한 듯, 서호와 동호 사이를 지나는 송파대로의 다리 이름은 '석촌호수교'가 아닌 '잠실호수교'이다. 드물긴 하지만 실제로 '잠실호수'로 불리기도 한다. 참고로 호수 남쪽을 끼고 있는 석촌호수로가 잠실·석촌동(서호 쪽) 및 신천·송파동(동호 쪽)의 경계선이다.[28] 각각 고덕주공 1, 2단지 재건축[29] 각각 고덕주공 3~7단지 재건축[30] 참고로 서울남부지방법원의 전신은 서울지방법원 영등포지원인데, 당시에는 양천구 신정동 일대가 영등포 관할인데다 처음에 문래동에 영등포지원이 있었다.[31] 금곡동의 아파트는 앞에 일부러 화명이라는 지명을 넣는 경우가 많다. 이는 최근 지어진 신화명리버뷰자이에도 나타난다.[32] 다만 부산진세무서는 2009년 이전까지 부산진구에 있었다. 이후 수정동에 신청사를 짓고 이전한 것이다.[33] 현재의 가야교회는 부전교회의 구 교회당을 인수하여 가야동에서 이전하였다.[34] 명지오션시티는 2014년 부로 모든 아파트가 들어서 더 이상 아파트 지을 곳이 없다.[35] 북구 선관위와 같은 건물을 사용한다. 대구 9개 구·군 선관위 중 유일하게 관할구역 밖에 있다. #[36] 지금처럼 거대한 도시가 아니었다. 현대 인천의 대다수 지역은 인천이 경기도에서 독립할 때나 독립 이후에 경기도에서 할양한 것.[37] 방위 기준 인천광역시 내륙 지역과 영종도 지역 중 제일 동쪽에 있는 지역은 계양구 하야동, 제일 서쪽에 있는 지역은 중구 을왕동(내륙 한정시 중구 항동7가), 제일 남쪽에 있는 지역은 연수구 송도동, 제일 북쪽에 있는 지역은 서구 대곡동이다.[38] 1988년 서구로 분구되기 전 행정구역은 북구이다.[39] 본래는 계양구와 서구도 북부교육지원청 관할구역이었으나, 2004년에 서부교육지원청이 신설되어 오늘날에 이른 것이다.[40] 바로 위에 언급된 남동구 예비군훈련장과는 경명대로 바로 건너편 거리에 있었다.[41] 전국에서 유일하게 충청남도 천안시에 존재한다.[42] 다만, 승강장 절반 정도는 미추홀구 숭의동에 속해 있다.[43] 다만, 북광장이 있는 4번 출구 지역은 동구이다.[44] 다만, 문학경기장은 미추홀구 문학동에 속해있다.[45] 가장 가까운 전철역은 동인천역이다.[46] 광주는 무등산의 존재로 인해 기존의 중심지이던 충장로 부근에서 서쪽으로만 확장이 된 탓에 타 시의 중구 역할을 하던 곳이 동구였다. 서구에 상무지구가 생긴 이후는 사실상 이름만 서구인 중구가 도심으로서 기능하고 있다.[47] 여기서 말하는 둔산은 좁은 의미의 둔산동이 아닌 둔산신도시, 범 둔산권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갈마동, 탄방동, 월평동, 만년동 소재의 시설에 둔산이 들어가는 경우가 꽤 많다.[48] 우스갯소리로 만년동 주민들은 월평4동으로 이름을 바꿔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사실 만년동 자체가 월평2동에서 분동하긴 했다.[49] 남구예비군훈련장의 경우 본래 남구 옥동에 위치해 있었다가 2008년경에 울주군 청량읍으로 옮겨갔는데, 2022년 12월 1일 부로 제19해안감시기동대대로 전환되고 남구지역 예비군훈련 임무는 중구예비군훈련장에 통합되었다.[50] 흔히 남울주라고 불리는 곳이다.[51] 단, 남쪽을 위로 보았을 때는 상중하 순서가 올바르다.[52] 골짜기를 넘어 울주군청이 있는 '율리'는 제외.[53] 반면 경주 대왕암은 실제 문무대왕의 장례를 치렀던 곳이라고 알려져 있다.[54] 비슷한 생활권이긴 하나, 1,2단지와 3,4단지의 초등학교 학군이 다르고(1,2단지는 대현초 배정, 3,4단지는 동백초 배정) 또 달동에 비교적 가까운 1,4단지는 달동 생활권과 겹치고, 2,3단지는 비교적 야음동(대현동) 생활권과 겹친다(사실 거기서 거기다).[55] 을지문덕에서 따온 을지로, 이순신에게서 따온 충무로 등[56] 조치원의 유명 짬뽕집 중 하나이다.[57] 조치원일반산업단지의 일부 업체들은 연기면에 위치해있다.[58] 가장 가까운 2단지 기준으로 1.5km 이상을 걸어야 한다.[59] 송정시와 광산군을 편입하기 전의 광주직할시 시절에는 215.11km2로 광주시(당시 광주군)가 더 크긴 했다.[60] 중국의 광저우시는 지급시이고 지급시는 광역행정구역이다. 넓은게 당연한 것이다.[61] 장안구와 팔달구를 관할하는 수원우체국은 따로 있다. 다만 경계지역이라 그런지 인계동 주변의 소포는 전부 동수원우체국으로 들어간다.[62] 비슷한 예로 배스킨라빈스 세류점과 같은라인에 처갓집양념치킨, 명량시대쌀핫도그, 컴포즈커피가 있는데, 이들 또한 주소지는 권선동임에도 '세류점' 혹은 '권선세류점'으로 병기되어 있다.[63] 다만 동쪽에서도 약간 남쪽으로 치우쳐 있다.[64] 서남부 지역은 서부경찰서가 관할한다.[65] 하광교동에 있으며, 광교호수공원과는 관계없는 호수다.[66] 무관하다고 보기는 약간 애매한 게, 호수공원 바로 앞부터가 원천동이다. 그리고 호수공원이 속해 있는 하동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는 행정동 원천동 관할이었다.[67] 다만 세류3동 중 일부가 유천파출소 관할이다.[68] 간단히 정리하자면, 지금의 금천구 일대에 있던 시흥군이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서 구 과천군, 구 안산군, 구 시흥군이 통합되었고, 이후 서울에서 가까운 지역부터 서울시로 편입이 이뤄졌고, 그 과정에서 진짜 시흥지역은 1963년에 서울로 편입되었다(...). 남은 지역 중에서 나름 규모가 되던 지역들은 각각 과천, 안양, 의왕, 군포, 안산, 광명시로 승격되었고 1973년에 부천군에서 시흥군으로 편입된 소래읍과 구 안산군 땅인 수암면과 군자면을 1989년에 억지로 묶어서 시로 승격시키는데 그것이 지금의 시흥시이다. 그 시흥시에 안산동이 있는 괴랄함까지 볼 수 있었으나 안산동은 1995년에 안산시로 편입되었다.[69] 실제로 신도시가 들어서면 신도시 지역에 속해있지 않은 신규 아파트 단지가 그 신도시 이름 네임밸류를 노리고 그 신도시 이름에서 아파트 이름을 따오는 경우가 많다.[70] 참고로 사회복지법인 인덕원은 정식명칭이 사회복지법인 인덕원삼천사복지재단으로 불교계 사회복지법인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사회복지시설 인덕원은 안양 인덕원과 한자명이 동일한 仁德院이다.[71] 평촌동, 관양동, 비산동, 호계동 일대[72] 이 중 평촌자이아이파크, 평촌래미안푸르지오, 평촌 엘프라우드, 평촌우리병원, 남서울 평촌교회, 한양수자인평촌리버뷰 등은 비산동에 삼영운수 평촌영업소, 에이스평촌타워, 에이스하이테크시티평촌, 평촌 더샵 센트럴시티, 평촌서울나우병원, 평촌하이필드지식산업센터 등은 관양동에 평촌대성유니드, 평촌 어바인 퍼스트, 평촌더샵아이파크, 평촌두산위버더프라임, 평촌두산위브리버뷰, 평촌 센텀퍼스트, 평촌신원아침도시아파트, 평촌트루엘파크아파트, 평촌 트리지아 등은 호계동에 평촌주유소는 의왕시 내손동에 각각 위치해 있다. 게다가 평촌자이아이파크는 평촌동과는 거리가 한참 멀고, 평촌신도시하고도 거리가 약간 멀다. 아이러니하게도 관양동에 위치한 에이스하이테크시티평촌은 평촌동 바로 서측에 있다.[73] 참고로 평촌신도시 내에 조선일보 평촌사옥,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신도시셀프주유소, 평촌아크로타워, 평촌자이엘라, 힐스테이트에코평촌 등은 관양동에 평촌고등학교, 평촌로데오거리 등은 호계동에 각각 위치해있다.[74] 다만 화서동의 명칭을 화서문에서 따오긴 했으며, 화서문의 위치도 화서동과 장안동의 경계에 있다.[75] 과거 수원버스터미널 건너편 LG전자 베스트샵 남수원본점 건물에 있었으나, 2022년 인계예술공원 건너편에 수원본점을 개점하면서 서비스센터 또한 같이 이사를 갔다.[76] 하지만 카카오맵에서 검색하면 위치는 인계동임에도 주소는 매교동으로 되어있다.[77] 함께 읍이 된 대전면은 지금 무려 광역시이다. 강경읍 외에 철원읍과 조치원읍이 아직 읍으로 남아 있다.[78] 해당 블로그를 보면, 1960년대부터 이러한 논란이 벌어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79] 특히나 대전지법 논산지원과 대전지검 논산지청 입구에서 보면, 익산과의 경계지점까지 1km 정도 된다.[80] 사실 논산시의 유권자 수로는 논산시 동 지역(구, 논산읍 지역. 2020년 11월 기준으로 51,401명)이 강경읍( 2020년 11월 기준으로 8,384명)보다 훨씬 많지만, 원래, 법원, 검찰청, 경찰서는 평생 한 번 갈까말까할 곳이어서 논산시 동 지역의 유권자들은 별 이해관계가 없는 데 반하여, 강경읍 주민들의 경우에는 그나마 공공기관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권이 소멸됨으로 인한 읍의 존폐문제가 달린 일이므로 사생결단으로 후보자들에게 존치 공약을 요구할 수밖에 없고, 후보자들 입장에서도 존치를 내세워 잃는 논산 동 지역의 유권자들 표는 많지 않지만, 이전을 내세웠다가는 강경읍 지역의 유권자들 표를 다 잃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밖에 없다.[81] 물론 현재 논산경찰서는 계룡시도 관할한다.[82] 나머지 셋은 인당수, 손돌목, 울돌목.[83] 다만 산남동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한 지역은 법정동으로만 분평동이고 행정동은 산남동인 곳이라, 청사의 소재지가 불일치하는 행정구역의 사례에 해당하지는 않는다.[84] 개발 전에는 산남동과 수곡동의 경계가 산남1·2지구에 걸쳐있었으나, 지적정리와 경계 조정으로 경계가 1순환로로 변경되어 모든 부분이 수곡동에 위치해있다.[85] 거기다가 가경동은 흥덕구에 있는데 죽림동은 서원구에 있다.[86] 다만 가경주공3,4단지 바로 건너편에 가경동 홈플러스가 있다.[87] 정확히는 양산에서 가장 가입자 규모가 큰 가야방송이 방송전파를 세분화하면서 양산지역 한정 부산방송을 수신하는 것으로 바꾸면서 부산방송 권역이 된 것이다.IPTV등은 이미 예전부터 부산방송을 주로 송출중이었다.[88] 안테나 등을 통해 직접 수신하려해도 김해 등 인근 경남지역과는 산으로 막혀있어 어렵다. 그나마 경남쪽 라디오는 양산 구시가지 일대에서 어느정도 수신이 된다는듯.[89]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1908년 이전에는 진해군이었다.[90] 한편 진전면은 삼진 중 유일하게 방위명이 붙지 않았는데, 1914년에 창원군 진서면과 진주군 양전면을 통합하면서 만들어진 이름이기 때문이다.[91] 일제강점기 때 철폐되었던 창원의 마산향교[92] 진해향교 공자 위패 매안지 비석[93] 본래는 월마트 매장이었다. 참고로 월마트코리아의 마지막 개점 점포.[94] 법정동 상으로는 서귀동 일부이다.[95] 반대로 대동강구역에는 북쪽에 대동강이 지나간다.[96] 이렇게 된 이유는 원래 대동군은 대구 교외 지역을 분리해 설치한 달성군처럼 평양 교외 지역을 분리해서 설치한 군이었는데, 북한이 자체적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여 대동군의 상당 지역을 평양에 편입시키는 과정에서 대동강이 지나는 지역은 모두 평양에 재편입시켰지만 정작 대동군 자체는 완전히 통폐합하지 않고 일부나마 그대로 존속시켰기 때문이다.[97] 육군학생군사학교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어서 일반인도 확인 가능하다.[98] 이와 비슷한 예로, '한반도의 배꼽'이라는 별명을 두고 양구군, 충주시, 포천군이 삼파전을 벌인 일이 있었다.[99] 원래 2025년 이전 예정이었지만 홍준표 시장이 재원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중단시켰다. 그러다 주민들의 반발로 2030년까지 완공키로 결정했다.#[100] 그리고 공릉동은 원래 공덕리였으나 서울 편입 후 마포구 공덕동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공덕리의 '공'과 태릉의 '릉'을 따서 새로 만든 지명이다.[101] 1박 2일에도 발리 특집으로 나왔다.[102] 실제로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에 출연한 장위안이 자신의 고향이 안산이라며 소개하자, 다른 멤버들이 경기도 안산 드립을 치기도 했다.[103] 이 때문에 오늘날 서울과 광주는 삼국시대에 북한산주(北漢山州), 남한산주(南漢山州)라 불렸다.[104] 정확히는 한국전력공사 부지를 두고 삼성과 현대차가 경쟁을 했다가 10조를 부르면서 현대차가 인수해 간 것이며 문서 참조.[105] '제물포'라 불렸던 개항장(현 중구, 동구 지역) 일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 즉 인천 미추홀구, 남동구, 연수구와 경기 시흥시 북부 지역.[106] 촬영 약 1년 후 개점[107] 다만 극중 옹산초등학교와 옹산역은 각각 충청북도 태안군의 근홍중학교와 충청남도 영동군 심천역이다.[108] 정작 극중 대전역 광장으로 내려가는 계단 촬영씬은 행신역에서 촬영되었다.[109] 작중 수리남의 수도 파라마리보 내 한인교회가 성공회 내동성당이다.[110] 외부 모습.[111] 내부 모습.[112] 현재는 철거된 상태.[113] 실제로 프라하에 '소원의 벽'이라는 장소는 없다. 드라마 제작을 위해 얀 후스 동상을 둘러싼 형태로 가상으로 세운 것.[114] 실제로 파리의 연인, 발리에서 생긴 일, 미안하다 사랑한다 등이 이런 식으로 엔딩을 미리 촬영해 왔다. 이 때문에 생긴 스포일러 유출은 덤.[115] 극중 여주인공인 윤재희(전도연 분)가 대통령 딸이었기 때문에 설정상 두 사람이 만나려면 우연이자 필연으로 청와대가 있는 동네인 종로경찰서여야 했다.[116] 드라마가 제작되던 당시까지만 해도 SBS는 업력이 10년에 불과한 신생 방송국이었고 특별기획이 아닌 단순 미니시리즈를 지방 올로케로 찍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그래서 부산과 분위기가 가장 유사한 인천을 대체 촬영지로 정한 것이다.[117] 이 중에서 피아노학원 건물과 구민병원 건물은 지역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자유공원 내 제물포 구락부 건물이다.[118] 충무공 하면 거의 대부분 이순신 장군을 떠올리기는 하나 충무공이란 시호를 받은 사람이 이순신만 있는 건 아니다.[119] 55마일은 약 88km이다.[120] 당초 민중의 정치적 결사체를 의미하는 Commonwealth를 단순히 '연방'으로 번역했기 때문에 벌어진 혼동이므로 오역 사례로 볼 수 있다. 가령 미국의 주 가운데 'Commonwealth'를 명칭으로 쓰는 곳이 4개인데, 이들을 '연방'으로 번역하는 일은 없다. 한편 일본에서는 그냥 '도미니카코쿠(ドミニカ国)'로 번역한다. 영어로는 'Dominica'라고 하면 보통 여기를 가리키고(굳이 헷갈림을 방지하려면 풀네임을 써서 'Commonwealth of Dominica'), 도미니카 공화국은 'Dominican Republic'이라고 부른다. 중국어에서는 원래 우리처럼 '연방'을 써서 '多米尼加聯邦'라고 했지만 지금은 '多米尼克國', 약칭은 그냥 '多米尼克'가 일반적인 듯하다. 참고로 중국어에서 도미니카 공화국은 '多明尼加(共和國)' 또는 '多米尼加(共和国)'인데, 도미니카 연방(도미니카'국')의 '도미니카' 부분의 한자 표기가 달라져서 현재는 두 '도미니카'의 중국어 표기가 달라 구별되고 있다.[121] 여담으로 파리에는 서울공원이 있고, 서울 목동아파트 인근에 파리공원이 있다. 또, 여의도에는 앙카라 공원이 있다. 그 외에 서울에 테헤란로가 있고 테헤란에 가면 서울로가 있다. 각주의 사례 경우는 양국 우호증진에 따른 경우.[122] 루마니아어로는 '국가 몰도바'와 단어가 동일한 몰도바(Moldova)이며 프루트강 동쪽의 몰다비아인 '국가 몰도바'와의 구분을 위해 서몰다비아라고도 한다.[123] 아무리 '워싱턴'이 전 세계에서 많이 쓰이는 지명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라지만 혼란을 막기 위한 이름이 더 큰 혼란을 불러왔다.[124] 사실 정식 명칭은 ‘끄룽 텝 마하나콘 아몬 라따나꼬신 마힌타라 유타야 마하딜록 폽 노파랏 랏차타니 부리롬 우돔랏차니웻 마하사탄 아몬 피만 아와딴 사팃 사카타띠야 윗사누깜 쁘라싯’ 이지만, 너무 길어서 줄여 부르는 것이다.[125] 단, 카스피해는 주변의 나라들이 아예 바다로 정의해버렸으며, 아랄해는 현재 너무 말라버려서 문제가 되고 있다. 참고로 카스피해와 아랄해는 옛날엔 정말로 바다였던 적이 있다.[126] 여기서 제국은 帝國(empire)가 아닌 諸國으로 여러나라란 뜻이다.[127] 베르데 곶에 세네갈의 수도인 다카르가 있다.[128] 2022년 기준이며, 2021년에는 뒤에서 4위였는데, 이것도 점수 소폭 상승 및 미얀마와 아프가니스탄의 점수가 급락해서 순위가 위로 올라간 것이다. 2020년에는 뒤에서 2위, 다시 말해 북한 다음으로 낮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국호를 쓰는 북한도 이 점에서는 마찬가지긴 하다.[129] Adriatic Veneti[130] 이곳은 아직도 호텔 우크라이나라고 부른다.[131] 러시아인은 아직도 호텔 우크라이나라고 부른다고 한다.[132] 유인도 11개, 무인도 52개[133] 그 외에도 현의 이름과 현청 소재지의 이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들이 있으나, 이 셋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의 경우 현의 이름과 동일한 하위 행정구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가령, 미야기현의 경우 현청 소재지는 센다이시이지만 '미야기시'라는 이름의 행정구역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미야기정'이라는 행정구역이 있었지만 센다이시에 통합되었다.[134] 비슷한 예로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좌수영이 우수영보다 동쪽에 있는 이유 역시 군주의 시점인 남향 시점에서 동쪽이 왼쪽이고 서쪽이 오른쪽이 되어서 생긴 일이다.[135] 이리오모테 야마네코로 유명한 이리오모테지마를 관할하는 지자체이다.[136] 미추홀구에 소재한다.[137] 20세기 초에 발견될 당시에는 섬이었지만, 해수면 상승으로 수몰되었다.[138] 텍사스 레인저스의 홈구장이 위치하고 있다.[139] 2014년부터 입주.[140] 여담으로 남미 축구에 유사한 사례가 제법 있다. 아르헨티나의 아르세날이나 칠레의 레인저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