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2 11:38:33

쌍문동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83f8f,#083f8f>
파일:도봉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창제1동 창동
창제2동
창제3동
창제4동
창제5동
도봉제1동 도봉동
도봉제2동
쌍문제1동 쌍문동
쌍문제2동
쌍문제3동
쌍문제4동
방학제1동 [[도봉구청|
구청
]] 방학동
방학제2동
방학제3동
}}}}}}}}} ||
도봉구법정동
쌍문동
雙門洞 | Ssangmun-dong
<colbgcolor=#083f8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도봉구
행정표준코드 1132010500
관할 행정동 쌍문1~4동
하위 행정구역 91통 686반
면적 2.79㎢
인구 74,086명[A]
인구 밀도 26,554.12명/㎢

1. 개요2. 지명 유래 및 연혁3. 행정동 일람
3.1. 쌍문1동3.2. 쌍문2동3.3. 쌍문3동3.4. 쌍문4동
4. 교육5. 주변 시설6. 교통
6.1. 버스
6.1.1. 간선6.1.2. 지선급 및 마을버스6.1.3. 경기도 버스
6.2. 철도6.3. 주요 도로
7. 아파트8. 대중매체9. 출신 인물

1. 개요

서울특별시 도봉구법정동.

동쪽은 창동, 서쪽과 남쪽은 강북구 수유동, 북쪽은 방학동과 접해 있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1동과 3동은 갑(甲) 선거구, 2동과 4동은 을(乙) 선거구에 속한다. 시의원 선거구는 1동과 3동이 도봉구 2선거구, 2동과 4동이 3선거구이다.[2]

2. 지명 유래 및 연혁

마을에 살던 계성이라는 사람과 그의 부인이 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그의 아들이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면서 부모 묘 앞에 움집을 짓고 여러 해 동안 기거하다가 죽자, 마을 사람들이 그의 효성을 지극히 여겨 묘 근처에 효자문 2개를 세운 데서 쌍문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다른 유래로는 마을에 열녀문이 2개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쌍갈래 길에 이문(里門)이 있었으므로 쌍갈무니가 쌍문으로 되었다고도 한다.

시기별 행정구역의 소속과 명칭 변화는 아래와 같다.

3. 행정동 일람

3.1. 쌍문1동

도봉구행정동
쌍문제1동
雙門第一洞 | Ssangmun 1(il)-dong
<colbgcolor=#083f8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도봉구
행정표준코드 3090047
관할 법정동 쌍문동
하위 행정구역 26통 198반
면적 1.24㎢
인구 20,912명[A]
인구 밀도 16,864.52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도봉구 갑

김재섭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홍국표 (초선)
도봉구의원 | 나 선거구

박상근 (초선)

정승구 (초선)

황수빈 (초선)}}}}}}}}}
행정복지센터 노해로 147 (쌍문동 378-45)
쌍문1동 주민센터
노해로의 북서쪽이며 덕성여자대학교, 서울특별시교육청도봉도서관, 경기푸른미래관이 있다. 강북구와는 쌍우교까지는 우이천으로 경계를 이루다가 쌍우교 북쪽부터 우이천 서쪽으로 경계가 넘어가버린다. 숭미초등학교, 쌍문초등학교, 효문중학교, 효문고등학교, 백운초등학교도 이곳에 있다. 3대 이상 대대로 살아온 토박이들이 제법 많은 지역. 약 800명 정도라고 추정하고 있다.

도봉구에서 유일한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역세권 지역이다. 솔밭공원역의 1번출구 건물[4]이 위치하며 4.19민주묘지역북한산우이역의 역세권에 해당한다. 2017년 우이신설선의 개통 이전의 쌍문1동은 대중교통을 통한 접근성이 매우 떨어졌던 곳이었다. 지금도 우이천 서쪽 삼양로 인근은 사정이 나으나 우이천로와 노해로, 시루봉로로 둘러싸인 주택 지역은 마을버스만 다닌다.

방학3동 및 쌍문4동과의 경계 부근에는 도봉산 줄기의 야산을 끼고있다. 둘레길과 쌍문근린공원[5]이 있다. 해등로가 야산을 관통하며 생태길이 조성되어 있고 쌍문4동과의 경계에 생태육교가 있다. 언덕쪽으로 '꽃동네'라는 이름의 주택 단지가 있다. 꽃동네 언덕 끝자락에 군부대가 자리잡았으나 이전하였고 2022년부터 책쉼터가 개관했다.

도봉구 유일의 대학교 덕성여대가 있는 것 치고는 상권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다.[6] 우이신설선이 개통되기 전까지 덕성여대 학생들의 주된 등교루트가 수유역에서 도봉02 마을버스를 타고 후문으로 등교했던 것의 영향이다. 상술된 불편한 교통사정까지 더해져 동네 분위기는 조용하고 한적하다. 인프라가 부족한 대신 우이천과 쌍문근린공원 야산, 근처의 솔밭공원[7], 북한산둘레길까지 녹지가 풍부한 지역이라 자연의 혜택을 받는다. 유해업소도 찾아보기 어려워 조용하게 살거나 자녀 교육에 괜찮은 환경이다.

여담이지만 이곳에 해등로와 우이천로 50길을 넓게 차지하는 넓은 담장이 있는데, 항공사진으로 보면 그안에 한옥주택 비슷한 게 있긴 하다. 하지만 어떤 곳인지는 해당 동네 사람들도 잘 모른다고 한다. 우스개 소리로 "귀신 나올 거 같다"는 농담이나 "혹시 과거 정보기관 아니냐"는 농담이 나오기도 한다. 이 넓고 거대한 담장이 있는 집의 정확한 주소명은 해등로 359이다. 근처의 강북구 우이동과 이곳에 걸쳐 무언가 알 수 없는 대저택들이 꽤 많은데, 이곳도 그 중 하나인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이중에는 딱 봐도 높으신 분들이 쓰는 곳도 있어서, 위의 정보기관 설이 그리 농담스럽지도 않다. 하지만 해등로 359의 이 높은 담장을 자랑하던 이 대저택이, 2018년 7월 다음 로드뷰의 검색결과 담장 전체가 허물어지고 그 안의 나무들과 저택도 싹 밀리면서 신축 빌라들이 우수수 지어지는 걸로 확인되어, 동네에서 나름대로의 볼거리가 사라지게 되었다.

조사 결과, 해당 저택은 덕성여자대학교의 오너 일가의 일원인 '박토마스상진'[8]의 명의로 되어있다. 박토마스상진이 어떤 사람인지 궁금하다면 이 기사 참조.

오징어 게임에 등장한, 작중 상우 어머니의 생선가게가 있는 백운시장이 이 동에 있다.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솔밭공원역 1번 출구로 나가서 우이천을 건너면 접근할 수 있다.

쌍문근린공원에 둘리뮤지엄이 2015년 7월 24일 개관했다. 덕성여대 정문 앞에는 헌책방 신고서점이 있다.[9]

3.2. 쌍문2동

도봉구행정동
쌍문제2동
雙門第二洞 | Ssangmun 2(i)-dong
<colbgcolor=#083f8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도봉구
행정표준코드 3090048
관할 법정동 쌍문동
하위 행정구역 22통 183반
면적 0.54㎢
인구 18,231명[A]
인구 밀도 33,761.11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도봉구 을

오기형 (재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박석 (초선)
도봉구의원 | 다 선거구

고금숙 (재선)

손혜영 (초선)}}}}}}}}}
행정복지센터 도봉로 137길 21 (쌍문동 713-31)
쌍문2동 주민센터
도봉로의 서쪽[11]이며 평범한 주거지구이다. 창경초등학교, 백운중학교, 도봉구보건소[12]가 있다.

3.3. 쌍문3동

도봉구행정동
쌍문제3동
雙門第三洞 | Ssangmun 3(sam)-dong
<colbgcolor=#083f8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도봉구
행정표준코드 3090049
관할 법정동 쌍문동
하위 행정구역 20통 138반
면적 0.50㎢
인구 16,681명[A]
인구 밀도 33,362.00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도봉구 갑

김재섭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홍국표 (초선)
도봉구의원 | 나 선거구

박상근 (초선)

정승구 (초선)

황수빈 (초선) }}}}}}}}}
행정복지센터 노해로44길 9 (쌍문동 327)
쌍문3동 주민센터
노해로의 남동쪽이자 도봉로의 북서쪽에 있는 서울 지하철 4호선 쌍문역이 위치하고 있다. 신도봉중학교, 한일병원, 쌍문시장이 있다. 한 동에 종합병원, 관광호텔[14], 지하철역이 동시에 존재하며, 현재는 소방서와 도봉우체국이 들어서 있다.

지하철 4호선 쌍문역사에 드라마에 등장한 쌍문동 음식점 등의 과거와 현재 상태를 보여주는 ‘응답하라 2016 쌍문동, 응팔 속 모티브가 된 그 장소' 지도를 설치했다. #

3.4. 쌍문4동

도봉구행정동
쌍문제4동
雙門第四洞 | Ssangmun 4(sa)-dong
<colbgcolor=#083f8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도봉구
행정표준코드 3090050
관할 법정동 쌍문동
하위 행정구역 23통 167반
면적 0.52㎢
인구 18,262명[A]
인구 밀도 35,119.23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도봉구 을

오기형 (재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박석 (초선)
도봉구의원 | 다 선거구

고금숙 (재선)

손혜영 (초선) }}}}}}}}}
행정복지센터 시루봉로 62-7 (쌍문동 59-7)
쌍문4동 주민센터
정의여자중학교, 정의여자고등학교, 한신초등학교, 선덕중학교, 선덕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동북초등학교가 있다. 쌍문1동, 쌍문3동과 인접한 정의여중고 인근의 주택가, 도봉산 줄기의 야산을 넘어가면 나오는 선덕고등학교 일대의 아파트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쪽은 방학3동 청구아파트, 신동아아파트와 이어져있다.

4. 교육

5. 주변 시설

6. 교통

6.1. 버스

6.1.1. 간선

6.1.2. 지선급 및 마을버스

6.1.3. 경기도 버스

6.2. 철도

6.3. 주요 도로

7. 아파트

8. 대중매체

대한민국의 대중매체에서 유독 많이 등장한 지역이다. 이는 과거 1970년대~1990년대에 서울특별시의 서민층과 중산층이 많이 모여서 살던 외곽 지역이었고, 아파트보다 단독주택이 많았으며 도심 출근이 편리하다는 특성 때문이었다. 응팔의 봉황당 골목만 보아도 부잣집(정환이네)와 중산층(교사와 금은방 주인), 서민층(덕선이네와 선우네) 등 다양한 계층이 섞여 사는, 보편적인 서울 시민의 삶을 보여주기에 적절했던 지역이었던 것. 당시 미아리나 동대문구, 성동구 일대는 슬럼가였고, 성북동, 평창동 및 강남은 부촌이었으니 말이다.

9. 출신 인물


[A]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2] 도봉구 갑은 4호선 연선, 도봉구 을은 1호선 연선이라고 보면 된다.[A] [4] 2018년부터 서울특별시청에서 삼각산시민청을 운영하였으나 2023년 12월 폐지되었다.[5] 꽃동네 지역에 거주하는 정의여중고생의 등굣길이 되기도 한다.[6] KFC 우이동점과 써브웨이 덕성여대점이 입점해 있기는 하다. 위치는 쌍문동인데 우이동점으로 되어있는게 특기할 만한 점이다. 도봉구에 창동역점과 함께 KFC 매장이 두 개 뿐인데 그중 하나이며 2024년 4월 수유역점이 오픈하기 전까지는 1995년까지의 도봉구 권역에서 단 3개 중 하나인 매장이었다.[7] 강북구 우이동에 위치한다.[8]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어머니가 미국인이다.[9] 본래 이문동 한국외대 앞에 있던 그 신고서점이 재개발로 인하여 이전한 것이다.[A] [11] 방학사거리 아래 방학천에서 정의여중교차로까지.[12] 쌍문2동 주민센터가 이 건물 2층에 있었지만 2023년 10월 16일부터 도봉로137길 21(쌍문동 713-31)에 완공된 새 건물로 이전해 업무를 보고 있다.[A] [14] 최소 7년 전 폐업으로 확인된다.[A] [16] 원래는 종로구 연건동에 있었으나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1989년에 쌍문동으로 이전했다.[17] 사립초등학교로 선덕중학교, 선덕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와 같은 재단 소속.[18] 사립초등학교로 개신교 미션스쿨이다. 정의여자중학교, 정의여자고등학교와 같은 재단 소속.[19] 정확히는 쌍문동과 창동의 경계선상에 있다. 그리고 역무실이 경계 한가운데에 있긴 하나 창동 쪽에 더 가깝다.[20]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41가길 16[21]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당로 13[22]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 231[23]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25길 36[24]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25길 41[25]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루봉로 58[26]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당로 10[27]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129길 45-12[28]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45길 26[29]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 195[30]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26길 20-1[31]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 241-14[32]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루봉로2길 80[33]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루봉로 8[34]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천로32길 67[35]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당로 7[36]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천로 328[37]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 242-11[38]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 566[39]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40길 71[40]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천로 367[41]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천로 304[42]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루봉로6길 53[43]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천로38가길 32[44]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 242-12[45]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5길 33[46]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 144[47]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38길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