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06:29:28

우신운수

파일:서초구 CI.svg서울특별시 서초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내버스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a]
마을버스 계현운수 구민버스 광일운수 부생운수
서애운수 서일교통 서초교통 서초그린교통
선흥상운 양재운수 청암운수 청진교통
청진운수 청화운수
[a] 경기도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우신운수 계열사
우신운수 우신버스

우신운수 주식회사
宇信運輸 株式會社
Woosin Trs Co., Ltd.
파일:woo_main02.jpg
설립일 1966년 1월 18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조희삼, 조상현
주요 주주 조영모: 49.17%
조영재: 27.29%
조상현: 23.54%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238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1억 4,00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 226억 9,682만 2,074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 1억 3,279만 7,908원(2022년 기준)
순이익 -4,081만 8,389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 111억 4,829만 6,143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 104억 171만 6,954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 1,393.25%(2022년 기준)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과천대로 796 (방배동)
풍납영업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한가람로 437 (풍납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우신운수 홈페이지

1. 개요2. 운행 노선
2.1. 방배본사 소속2.2. 풍납영업소 소속
3. 폐선된 노선4. 면허 체계5. 보유차량6. 갤러리7. 지배구조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우신버스와는 계열사 관계이다. 경기도도 운행하는 우신버스의 노선들과는 달리 이 회사 소속 전 노선은 서울 시내만을 운행한다.

1966년에 설립했다. 초기 사명은 영진교통이었으며[1], 10년 뒤인 1976년 우신운수로 사명을 변경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1984년 본사 및 차고지를 도봉구 창동 665-4번지에서 강남구 방배동 2922번지(현 서초구 방배동 2922번지)로 이전했다.

1987년 대진운수로부터 86번과 810번을 인수했다.[2] 서울시 명령에 의거 북부운수와 205번을 공동 배차를 실시했으나, 얼마 못 가 북부운수에 운영권을 전부 넘겨줬다.[3] 또 567번 노선을 당시 과천여객(現 우신버스)과 공동 배차를 시작했다. 비슷한 시기에 창동 영업소(7-1번 운행)를 한성버스에 매각했다.

1990년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 현 선진운수)에서 도시형버스 146-1번(풍납동왕십리)을 인수받았다.

1993년 8월 5일 우신버스로부터 567번의 공동배차 운행분을 전량 양수했다.

1994년 과천선 개통과 더불어 86번, 810번을 폐지했다.

1995년 1월 28일 한남여객운수와 차량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이때 70##호대 상당수와 6574호 등이 한남운수로 매각됐으며, 8586, 9517호를 비롯한 일부차량이 우신운수로 넘어왔다.[4]

1998년 도시형버스 146-1번이 폐지됐으며, 이로 인한 잉여차량들을 선일교통에 매각했다.

우신버스와 계열사가 된 것은 2000년의 일로, 규모가 좀 작아보이지만 본사가 이쪽 우신운수고 우신버스가 계열사다.

본사 및 차고지는 일단은 방배2동에 위치하지만 남태령역 인근에 있으며 버스 행선지는 방배동이 아닌 사당역 및 사당동으로 표기한다. 이는 사당역이 근처에 있기도 하고, 사당역이 유명하다 보니 그러는 듯.[5]

과거에는 자일대우버스를 주로 뽑는 회사였지만 2006년 이후로 한동안 우신버스처럼 현대자동차 버스만 출고했다. 그러다 2011년 5월, 5년만에 대우저상을 출고해 버스 동호인에게 충격과 감동을 선사했다.[6] 이로 인해 2014년 어떤 차량으로 들여올지는 예측불허였지만 자일대우버스의 잔고장 문제로 학을 떼고 계속 현대차만 들어온다. 자동변속기는 계열사 우신버스와 달리 앨리슨 선호업체였지만, 2008년 첫 저상 출고 때는 ZF로 뽑았고, 2017년에 다시 ZF를 뽑으면서 ZF로 전향했다.

의외로 현대차를 출고하는 업체임에도 불구하고 NSAC F/L 고상 첫 출고일이 2017년 12월 29일로 한참 늦고 그 마저도 남성버스 취소분을 2대 구매했다.

2022년에는 전기버스를 도입했으며, 일렉시티를 출고하였다. 2023년에도 일렉시티를 출고하려 했으나 대폐차 일정문제로 출고를 취소했으며 해당 차량은 신도양에서 출고 후 재도색해 운행한다.

남태령차고지에 CNG 충전소가 있어서 다른 버스 회사 노선들이 새벽에 단체로 충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7] 물론 한남운수 신림2동 차고지에 충전소가 생긴 이후로는 충전 차량이 많이 줄은 듯.

N15번을 제외하면 모두 지선버스다.

2015년 2월 이후로 돌출형 버스번호판을 달고 다닌다.

한때 4318번은 저상버스 통행이 어렵다는 이유로 4318번에서 교체할 차량이 생기면 저상버스로 구입해 타 노선에 넘기는 바람에 4318번은 07년식 동글이 NSAC이 주류인 적이 있었다. 2019년부터 4318번도 저상버스를 운행하지만 풍납지사 주차장의 경우에는 입구 급경사 때문에 저상버스 진입이 여전히 불가능하다.

삼양교통과 더불어 저상 의무화 대상 노선에 회색봉이 달린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고상 신차를 출고한 업체다.

이 회사도 외부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계열사인 우신버스와 더불어 운전기사 복지 및 처우가 가장 열악한 업체 중 한 곳으로 이미 버스 기사들 사이에서 열악하다고 악명이 높다. 관련댓글, 현직 버스기사가 밝힌 우신운수 만행[8]

서울에서 최후로 BS106 F/L과 BS110CN F/L를 굴린 업체다.

최근 교통카드를 못찾아서 당황하고 있는 손님을 배려한 우신운수 기사의 따뜻한 선행이 화제가 되었다. #

2. 운행 노선

2.1. 방배본사 소속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4212 남태령역 사당역 - 이수역 - 구반포역 - 고속터미널 - 논현역 - 신사역 - 도산공원사거리 - 프리마호텔 - 영동대교 - 건대입구역 - 군자역중곡역 → 면곡시장 → 중마초등학교 → 군자역 중곡역 5~10
4318
방배
사당역 - 이수역 - 구반포역 - 고속터미널 - 잠원한신아파트 - 압구정역 - 압구정로데오역 - 청담역.경기고교 - 한국무역센터.삼성역 - 탄천교 - 잠실새내역 - 영동일고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나루역 - 올림픽회관 - 서울아산병원 → 풍납동 → 천호역 → 풍납2동주민센터 → 서울아산병원 풍납동 6~20
4319 사당역 - 이수역 - 방배역 - 남부터미널 - 양재역 - 도곡역 - 은마아파트 - 삼성역 - 잠실종합운동장 - 잠실새내역 잠실역 10~15
<rowcolor=#ffc600>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N15[심야] 남태령역 사당역 - 서울대입구역 - 신림역 - 신대방삼거리 - 노량진역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남대문시장 - 종로2~6가 - 동대문 - 신설동역 - 성북구청.성북경찰서 - 길음뉴타운 - 미아사거리역 - 미아역 - 수유역.강북구청 - 방학사거리 - 연산군.정의공주묘 우이동 30~35

2.2. 풍납영업소 소속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4318
풍납
풍납동 (→ 천호역 → 풍납2동주민센터 →) - 서울아산병원 - 올림픽회관 - 잠실나루역 - 잠실역.롯데월드 - 영동일고 - 잠실새내역 - 탄천교 - 한국무역센터.삼성역 - 청담역.경기고교 - 압구정로데오역 - 압구정역 - 잠원한신아파트 - 고속터미널 - 구반포역 - 이수역 - 사당역 남태령역 6~20

3. 폐선된 노선

4. 면허 체계


===# 타 회사 출신 면허 #===

5. 보유차량

5.1. 현재 보유차량

5.1.1.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차량

5.2.1. 자일대우버스

5.2.2. 현대자동차

5.2.3. 기아

6. 갤러리

파일:IMG_8334(4318_3348).jpg

7. 지배구조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영모 49.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영재 27.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상현 23.54% 대표이사

8.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영인운수
정평운수 다모아자동차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여객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물론 현재의 대구 영진교통(구.일신교통)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2] 이 과정에서 서울 74사 1600호 단위 전반부 차호 일부, 3000호 단위 차호 일부가 유입됐다.[3] 이 과정에서 북부운수에 7021, 7031, 7048, 7052 ~ 7053호가 유입되었다. 7021호를 제외한 나머지는 메트로버스에 차출되었다.[4] 이 중 9517호는 한남운수 소속이었을 때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 현 선진운수)에서 도시형버스 129번(현 5712번)을 인수와 동시에 유입된 면허이다.[5] 재밌는 사실은 맞은 편은 사당동이 아닌 관악구 남현동이다. 사실 남현동도 원래는 사당동에 속했지만 동작구가 분구되는 과정에서 관악구에 남은 지역이 이름을 바꾼 것이라 사당동이 아주 틀리다고 할 수는 없다.[6] 해당 차량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특별 연장으로 무려 12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운행하다가 전부 대차됐다.[7] 특히 동작구, 서초구 마을버스들이 그 곳에 자주 등장한다.[8] 전현직 종사자들에게 이 회사와 더불어 범일운수, 북부운수, 선일교통, 아진교통, 선진운수, 한성운수(번동지사 한정), 태릉교통, 서울매일버스는 평이 안좋기로 유명하다. 그나마 동아운수, 북부운수, 한성운수의 번동본사는 나아지는 추세라 노려볼만하다는 평이 많지만, 선일교통과 태릉교통, 선진운수, 범일운수, 우신계열은 죽어도 가면 안될 곳으로 지목하고 있다. 선일교통도 차파트너스에 인수된 후, 도원교통 대표의 관리로 변경되면서 나아졌다는 추세이다.[심야] 심야버스. 동아운수와 공동배차[10] 비슷한 사례로 삼성여객이 있다. 이쪽은 잠시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용산구 소재였다.[A] 567-1번 좌석노선에서 운행했으며 2000년에 폐선하면서 우신버스에 양도했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