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12:40:43

군포교통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군포시의 전반적인 교통 환경}}}에 대한 내용은 [[군포시/교통]]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군포시/교통#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군포시/교통#|]]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군포시의 전반적인 교통 환경: }}}[[군포시/교통]]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군포시/교통#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군포시/교통#|]]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구로구 CI.svg 서울특별시 구로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내버스 군포교통[a] 보성운수서울매일버스[a]서울교통네트웍[b]
마을버스 개웅운수고척운수구로운수서북교통
수빈운수 수현운수 신오류운수오봉운수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광명운수[a]
[a] 주사무소는 경기도에 소재 / [b] 구로구 이외 지역에 면허를 둔 업체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파일:안양시 CI.svg 파일:군포시 CI.svg 파일:과천시 CI.svg 파일:의왕시 CI.svg 경기도 안양시·군포시·과천시·의왕시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안양시 보영운수 삼영운수 경원여객공공 화영운수공공
군포시 군포여객 산본여객 경기고속공공 보영운수공공
과천시 과천여객
의왕시 의왕교통공공 학의운수 삼영운수
서울특별시 군포교통 서울매일버스 우신버스
공공: 경기도 공공버스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마을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안양시 학운교통 호계운수 동안운수 만안교통
편안운수 대성운수 평촌교통 신안운수
군포시 군포운수 행복운수 사랑교통 오성교통
과천시 과천운수
의왕시 덕장운수 백운여객 의왕운수 의왕교통
청계운수 학의운수
}}}}}}}}} ||
군포교통 주식회사
軍浦交通 株式會社
Kunpo Bus Co., Ltd.
설립일 1967년 11월 6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피정권
주요 주주 피정권: 53.83%
피정만: 15.64%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보유 대수 94대(2024년 5월 기준)
직원 수 245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18억 5,353만원(2023년 기준)
매출액 236억 8,013만 9,845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9,887만 7,526원(2023년 기준)
순이익 -13억 2,928만 4,456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141억 9,778만 5,261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98억 7,946만 9,024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228.78%(2023년 기준)
자회사 미성산업개발 (지분율: 100%)

1. 개요2. 연혁3. 특징4. 소재지
4.1. 면허등록지4.2. 부곡본사4.3. 시흥영업소
5. 운행 노선6. 과거 운행 노선 (2004년 이전)7. 과거 운행 노선 (2004년 이후)8. 면허 체계9. 보유차량10. 지배구조11. 둘러보기

1. 개요

파일:5531_8333.png 파일:서울 버스 500_8351.jpg
지선버스
5531번
간선버스
500번
군포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업체. 면허지는 구로구 구로동이다.[1]

2. 연혁

3. 특징

4. 소재지

4.1. 면허등록지

서울특별시 구로구 도림로 84, 3층 (구로동, 보성운수)[11]

4.2. 부곡본사

경기도 군포시 번영로 179-46 (부곡동, 군포공영차고지)

4.3. 시흥영업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 33 (시흥동)

5. 운행 노선

총 94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업체에 소속된 3개 노선 모두 시흥대로를 주행한다.[12]

5.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500
[공동배차1]
[카드전용]
석수역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난곡입구 - 신림역 - (→ 당곡중학교 → 봉천역 →/← 봉천역.관악초등학교 ←) - 상도4동약수맨션 - 장승배기역 - 노량진역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을지로입구 7~10

5.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5531 군포공영차고지 당동주공아파트 - 군포역 - 금정역 - 명학역 - 안양1번가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역 - 대방역 - 노량진역 노들역 5~8
5623 당동주공아파트 - 군포소방서 - 군포문화예술회관 - 금정역 - 명학역 - 안양1번가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역 - 샛강역 - 여의도역여의도환승센터 → 한국거래소 → 여의도역 여의도환승센터 7~10

5.2.1. 맞춤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8561
[공동배차2]
[카드전용]
신림동별빛거리 롯데백화점관악점 - 신대방삼거리 - 서울지방병무청 - 샛강역.여의도자이 - 여의도역 여의도환승센터 10~15

6. 과거 운행 노선 (2004년 이전)

7. 과거 운행 노선 (2004년 이후)

8. 면허 체계

이 회사에는 비슷한 한쌍의 차량번호가 몇 대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5531번에서 운행중인 서울 74사 8330호가 있고, 다른 하나는 5623번에서 운행중인 서울 70사 8330호가 있다. 이 경우 74사 차호인 차량에는 측면 차량번호 표기를 할 때 30이라고 표기하고, 70사 차호인 차량에는 030이라고 구분하여 표기한다. 이는 군포교통 면허지가 구로구라서 생긴 일이다.
===# 타 회사 출신 면허 #===

9. 보유차량

9.1. 현재 보유차량

9.1.1. 자일대우버스

9.1.2. 현대자동차

9.1.3. KGM커머셜

9.1.4. 우진산전

9.1.5. 하이거

9.2. 과거 보유차량

9.2.1. 자일대우버스

9.2.2. 현대자동차

9.2.3. 기아

10.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피정권
53.83% 대표이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피정만
15.64% 사내이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피정석
15.63% 사내이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피정현
8.3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피정란
6.54% 감사

11.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한남버스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명시 범일운수 보영운수 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 동해운수 서울매일버스 선진운수 신촌교통
부천시 신길교통
안양시·군포시·의왕시 서울매일버스 군포교통 우신버스
성남시 남성버스 동성교통
구리시 대원여객
남양주시 태릉교통
의정부시 대원여객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군포시 면허의 경기도 마을버스 업체 군포운수와는 다른 곳이다. 다만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공동배차 형태가 된 500번과 맞춤버스인 8561번을 제외하곤 군포와 서울을 잇는 노선이라 이름값은 한다.[2] 버스공제조합 정보 기준.[3] 부산일광여객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4] 현재 사용하는 군포교통의 면허는 이때의 사명으로 발급받았다.[5] 이로 인해 도봉구 차적 시내버스 회사 주면허를 한 차들이 일부 존재하게 됐다.[6] 이 주소지는 보성운수의 주 사무소 겸 차고지 소재지이다.[7] 99번의 산본 경유 노선이며, 이후 시흥공구상가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 구간을 단축 후 499번으로 변경.[8] 이 때문에 우신버스, 신촌교통에 군포교통 차적인 74사 83##호 단위 차량번호가 상당수 남아 있다.[9] 이런 영향인지 몰라도 가전제품도 대우전자 제품만 애용했고, 대표이사 차량도 아카디아였다.[10] 이 때 NEW BS110 저상버스도 같이 구입하였다. 각 4대씩 출고.[11] 상법상 본점[12] 세 노선 모두 노량진(실질적으로는 시흥IC)에서 갈린다. 5531번은 노량진으로 들어가면서 노들역에서 회차, 5623번은 노량진 직전 갈라져 여의도환승센터에서 회차, 500번은 5531번과 같이 노량진으로 가지만 노들역에서 회차하는 5531번과 달리 한강대교와 용산을 거쳐 시청(을지로입구)에서 회차한다.[공동배차1] 서울교통네트웍과 공동배차.[카드전용] 현금승차가 불가하며, 교통카드로만 승차 가능한 노선이다.[공동배차2] 보영운수, 한성운수와 공동배차.[카드전용] [17] 선진운수와는 다르다! 2000년 서울시 부실버스업체 퇴출명령에 의해 폐업한 회사로 당시 83-1번, 83번, 288번 도시형버스를 운행했었다. 지금은 진화운수가 노선을 계승중.[18] 시흥유통센터는 석수역 지나면 바로다. 즉 코앞이 바로 안양시라는 소리.[19] 서울교통네트웍에 출자되면서 도봉구 증차면허로 전환되어 사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