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00:47:58

한남여객운수

파일:관악구 CI.svg 서울특별시 관악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내버스 관악교통[a] 보성운수[a] 양천운수[a] 한남여객운수
마을버스 금강운수 난곡운수 세광운수 신림운수
신호운수 은천운수 인헌운수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부흥교통[a][b] 삼원여객[a][b]
상마운수 영일교통 풍양운수
[a] 주사무소를 관악구 이외 지역에 둔 회사 / [b] 주사무소를 경기도에 둔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삼이택시 계열사
택시 회사 서울특별시
삼이택시 선일관광콜택시 삼이운수
버스 회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중부운수 한남버스 한남여객운수 성민버스 삼성여객 신화여객
한남여객운수주식회사
漢南旅客運輸株式會社
Hannam Passenger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 1962년 2월 19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박진성
주요 주주 박진성: 69.72%
박복규: 30.28%
(2024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554명(2024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23억 920만원(2024년 기준)
매출액 551억 9,263만 7,250원(2024년 기준)
영업이익 14억 3,736만 7,444원(2024년 기준)
순이익 3,474만 2,829원(2024년 기준)
자산총액 325억 3,624만 7,545원(2024년 기준)
부채총액 133억 8,908만 2,395원(2024년 기준)
부채비율 69.93%(2024년 기준)
자회사 한남버스 (지분율: 100%)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 87-8 (신림동)
서림영업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 98 (신림동)
가산영업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56길 76 (가산동)
신정영업소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로 232 (신정동)

1. 개요2. 상세3. 여담4. 연혁5. 차량6. 운행 노선 및 영업소7. 과거 운행 노선8. 면허 체계9. 보유차량10. 지배구조11. 둘러보기

1. 개요

파일:501_3729.png 파일:5616_8557.png
간선버스
501번
지선버스
5616번

2. 상세

3. 여담

4. 연혁

5. 차량

6. 운행 노선 및 영업소


밑줄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 한다.

6.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501
[본사]
[카드전용]
대학동 서울대학교 - 관악구청 - 숭실대입구역 - 상도역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서울시청 → 종로2가 → 을지로입구 → 남대문시장서울역버스환승센터 종로2가 7~9
506
[서림]
[카드전용]
서림동 (← 서울대학교 ←) - 미림고개 - 삼성동주공아파트 - 우림시장 - 난곡입구 - 신림역 - 서울대입구역 - 숭실대입구역 - 상도역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서울시청 → 을지로입구역남대문시장숭례문서울역버스환승센터 을지로입구역 10~15

6.1.1. 심야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N75
[공동배차1][서림]
서림동 쑥고개입구 - 신림역 - 서울대입구역 - 사당역 - 방배동래미안타워 - 방배역 - 남부터미널 - 교대역 - 강남역 - 논현역 - 고속터미널 - 반포대교 - 용산구청 - 삼각지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서울시청 - 광화문 - 충정로역 - 신촌로터리 - 모래내시장.가좌역 - 명지대학교 - 응암역 - 연신내역 - 구파발역 진관공영차고지 30~60

6.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5511
[서림]
[카드전용]
서림동 서울대학교정문 - (→ 법대.사회대입구 → 건설환경연구소 → 에너지자원연구소 → 법대.사회대입구 →/← 법대.사회대입구 ← 에너지자원연구소 ← 건설환경연구소 ← 에너지자원연구소 ← 관악사삼거리 ←) - 관악구청 - 숭실대입구역 - 상도래미안3차 중앙대학교 8~11
5513
[본사]
[카드전용]
서울대제2공학관 (→ 제1공학관 → 관악사삼거리 →/← 공대입구 ← 법대.사회대입구 ←) - 서울대학교정문 - 관악구청 - 관악푸르지오 - 관악드림타운 벽산블루밍아파트 8~14
5515
[공동배차2][서림]
[카드전용]
대학동고시촌 대학동고시촌입구 - 서울대학교 - 관악구청 - 관악푸르지오 청림동 5~10
5516
[서림]
[카드전용]
서림동 대학동고시촌입구 - 서울대정문 - 관악사삼거리 - (→ 에너지자원연구소 →/← 제2공학관 ←) - 공대입구 - 법대.사회대입구 - 서울대학교정문 - 쑥고개입구 - 신림역 - (→ 보라매병원 →) - 신대방삼거리 - 노량진역 노들역 7~9
5517
[본사]
[카드전용]
대학동 (→ 서울대정문 →) - 미림고개 - 삼성산주공아파트 - 벽산아파트1단지.호압사입구 - 삼성산주공아파트 - 미림고개 - 쑥고개 - 관악구청 - 숭실대입구역 - 장승배기역 - 노량진역 - 흑석역 중앙대학교 9~15
5522B
[공동배차3][본사]
[카드전용]
난곡종점 삼성산주공아파트 → 미림고개 → 신림역신대방역난곡우체국사거리 → 우림시장 → 난곡종점 → 삼성산주공아파트 → 미림고개 → 신림역 → 호림박물관 → 난곡우체국사거리 → 우림시장 난곡종점 10~15
5611
[가산]
가산디지털단지역 (→ 솔길공원 →/← 구로2동지하차도입구 ←) - 구로역 - (→ 제중병원 →/← 신도림현대아파트 ←) - 신도림역 - (→ 현대3차아파트 → 기림약국 → /← 현대2차아파트 ← 대림3동주민센터 ← ) 대림동우성아파트 12~25
5616
[가산]
[카드전용]
디지털단지오거리 - (→ 독산사거리 → 독산3동주민센터 →/← 구로디지털단지 ← 구로디지털단지역 ←) - 난곡우체국사거리 - 난곡종점 - 난곡우체국사거리 - 구로디지털단지역 - 신풍역 - 우신초등학교 → 신길역 → 당산동진로아파트 → 오목교역목동역 → 영도중 → 등촌역염창역당산역영등포시장영등포역 → 우신초등학교 등촌동[51] 8~11
5712
[가산]
[카드전용]
(→ 디지털단지오거리 →) - 고대구로병원 - 구로역 - 고척시장 - 신정네거리역 - 까치산역 - 화곡중앙시장 - 화곡역 - 강서구청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홍대입구역 7~11
6411
[신정]
신정동 계남초교 - 은정초교 - 구로역.구로공구상가 - 신도림역 - 구로구청 - 남구로역 - 대림역 - 신풍역 - 대신시장 - 노량진역 - 동작역.국립현충원 - 고속터미널 - 논현역 - 논현아이파크 → 선정릉역 → 선릉역 → KT강남지사 → 논현아이파크 선릉역 9~19
6511
[신정]
계남초교 - 고척시장 - 구일역 - 신도림역 - 구로구청 - 대림역 - 신대방역 - 당곡시장 - 현대시장 - 관악구청 서울대 17~27

6.2.1. 맞춤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8551
[공동배차4][본사]
[카드전용]
봉천역 현대시장 - 상도4동약수맨션 - 장승배기역 노량진역 10~12

7. 과거 운행 노선

8. 면허 체계


===# 타 회사 출신 면허 #===

9. 보유차량

9.1. 현재 보유차량

9.1.1. 현대자동차

9.1.2. 우진산전

9.1.3. BYD

9.2. 과거 보유차량

9.2.1. 자일대우버스

9.2.2. 현대자동차

9.2.3. 기아

10. 지배구조

2024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박진성
69.72% 대표이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박복규
30.28% 이사

11.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한남버스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과거에는 관악교통, 풍양운수, 상마운수 등이 관악구에 본사를 두었지만 모두 다른 회사에 합병되거나 다른 지역으로 쫓겨나는 바람에 이렇게 됐다.[2] 마찬가지로 삼화상운의 관계사인 한성여객도 정식 사명은 '한성여객운수'(漢星旅客運輸)지만, 한성운수와 구분하기 위해 한성여객으로만 불린다.[3] 다만 중부운수 인가댓수 1대를 빼서 한남여객운수로 옮기거나, 한남여객운수의 6411번 단축으로 인한 대체노선 8641번을 중부운수가 신설하는 점을 보면 오너가 같아서 효율적인 면이 있다.[4] 3개사 모두 203대를 보유하고 있다. 참고로 1위는 291대의 선진운수이며, 2위는 208대의 동아운수, 공동 3위 3개사 다음의 6위는 196대의 북부운수이다.[5] 비슷한 사례로 문단의 흥안운수 계열과 한남여객운수 외에도 동성교통, 남성버스, 대성운수, 서울승합, 대원여객, 신수교통(구.신성교통 서울법인), 제일여객의 사례가 있다. 개편 이전에는 난폭운전과 불친절이 서울 내에서도 독보적으로 심각했으나, 현재는 스스로의 차원에서 개선된 업체들이다. 하지만 정 반대인 사례도 존재한다. 즉, 오늘날에 들어서야 처우가 안좋아진 케이스로는 선진운수, 우신운수, 선일교통, 태릉교통, 동아운수, 범일운수, 송파상운, 한성운수, 북부운수의 사례가 있다. 이 중에서도 선일교통은 마을버스 출신의 기사가 입사했다가, 상당히 빡빡한 스케줄로 인해 결국에는 마을버스로 복귀했다는 소문이 있을 정도로, 리즈시절의 흥삼한이나 동남성을 뛰어넘을 정도로 일이 빡세다는 평이 다수이다. 동아운수와 범일운수 그리고 선진운수는 개편 이전에는 서울에서도 모범업체로 자주 거론되던 업체였으나, 대표자가 바뀌면서 처우가 악랄해진 케이스이다.[6] 참고로 타 방송사에서 버스가 등장하는 씬이 나올 때는 KBS화곡교통풍양운수의 차량을, SBS신성교통의 차량을 대여했었다. 주 거래 은행 쪽도 비슷했었는데 MBC는 중소기업은행, KBS는 조흥은행신한은행, SBS는 KEB외환은행하나은행이 주 거래 은행이었다.[7] 90년대 중반까지는 55-2번 AM버스를 자주 빌려갔었다.[8] 이 외에는 상진운수가 당시엔 한남운수처럼 아시아자동차의 버스를 주로 사용했다.[9] 그러나 난곡공영차고지는 가스충전 문제로 인하여 공차회송 거리가 긴 편이다.[10] 당시 범양여객은 신성교통(훗날 서울운수, 현 신수교통) 계열사였고, 이 과정에서 신성교통 관련건을 첫번째로 인수받았다.[11] 이 과정에서 신성교통 관련건을 두번째로 인수받았다.[12] 개편 후 지선버스 5514번이었다가 지선버스 5515번에 통폐합[13] 지분율이 줄었음에도 계속해서 주주 자격을 유지했고 이후 자사 지분을 분리하여 500번 공동 배차를 시작했다.[14] 그래서 5616번이 가산동에서 출발하여 난곡을 찍고 등촌동으로 가는 기이한 선형을 가지게 됐다.[15] 동시에 서울교통네트웍의 지분이 정리되면서, 자연스럽게 흥삼한 계열사로 편입되었다.[16] 동시에 버스 기사들과 정비사들 모두 고용 승계됐다.[17] 이에 따라 양천차고지에서 나온지 15년만에 다시 양천구에 영업소를 설치하게 되었다.[18] 이 과정에서 신성교통 관련건을 세 번째로 인수받았다.[19] 1990년대 초, 중반 MBC의 몇몇 프로그램에서 이 회사 소속의 AM927/937/938AT 차량이 많이 나왔었다. 대우의 BS106L 하이파워 무냉방 차량(군청색+황토색 도색)도 간간히 나왔었고, 드물게도 현대의 RB520SL도 등장했었다.[20] 이때부터 하이백에서 로우백 시트로 바꾸어 출고하게 되었다. 변속기는 이전부터 사용하던 ZF.[21] 전기버스 도입과 관련해 5616번, 5712번 가스저상 몇대가 506번, 5513번, 5516번, 5517번, 5522B번으로 넘어갔다. 5712번 가스저상 일부는 5616번으로 간 차도 있었으나 가산동 영업소의 가스저상은 공동예비로 바꿔 1대를 제외한 전부 대학동 본사와 서림동 영업소로 이동했다.[22] 서울 최초이며 전국적으로 보자면, 대전 대전운수, 부산 남부여객에 이어 3번째이다.[23] 이에 따라 한남여객운수가 자체출고분으로는 건너 뛴 흰색 하차벨 연식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2019년식은 89대로 불어났고, 2010년대와 달리 연식이 무척 다양해졌다.[24] 이후에 인수한 한남버스 역시 일렉시티만 출고중이며, 개선형 저상도 같이 도입중이다. 다만, 로우백이 아닌 하이백을 도입한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25] 5412번이 폐선됐을 정도로 충전소를 용납하지 못했던 관악교통 시절과는 달리 한남여객운수가 소유하는 지금은 충전소를 갖춘 차고지가 됐다. 길 건너 본사 노선들과 관악구의 여러 마을버스들, 여전히 신림동에서 운행하는 관악교통 일부 신림동 잔류 노선들이 충전하러 드나든다. 최근에는 전기버스 출고 추세와 맞물려 가스 충전 용량에 여유가 생기면서 5524번 또한 이 곳으로 충전하러 온다.[26] 보영운수의 면허 등록지이기도 하다. 관악구가 아니다 보니, 여기서 가스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양천공영차고지광명공영차고지, 온수공영차고지 등지로 가야 한다. 물론 이 3곳의 공영 차고지 중에서는 가장 가까운 양천공영차고지로 자주 충전하러 가는 편이다. 이 때문에 가산동에서 운행하는 차량은 공용 예비차량 1대와 5611번 투입 차량을 제외하고 모두 전기버스로 교체되었다.[27]태진운수 구로동영업소 이전. 양천공영차고지 못 가서 있는 금옥여고 근처며, 정류장명은 "정랑고개"이다.[본사] 대학동본사 소속[카드전용] 현금승차가 불가하며, 교통카드로만 승차 가능한 노선이다.[서림] 서림영업소 소속[카드전용] [공동배차1] 한남버스과 공동배차.[서림] [서림] [카드전용] [본사] [카드전용] [공동배차2] 관악교통과 공동배차.[서림] [카드전용] [서림] [카드전용] [본사] [카드전용] [공동배차3] 보성운수와 공동배차.[본사] [카드전용] [가산] 가산영업소 소속[가산] [카드전용] [51] 행선판에서는 가산동 ~ 가산동 이렇게 나온다.[가산] [카드전용] [신정] 신정영업소 소속[신정] [공동배차4] 범일운수, 한성운수와 공동배차.[본사] [카드전용] [A¹] 일부 차량 중 경기교통 출신 중고차도 있었다.[A²] 전 차량 도원교통에 매각했다.[61]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자사의 주력차량이었고 1993~1994년식의 경우 무냉방에서 냉방으로 개조된 차도 존재했다.[A¹] [A²] [64] 129-1번에서 개편 직전까지 운행하였으나 전 차량 수출/말소되었다.[65] 울산 경진여객 출신 중고 차량이었다.[66] 2002년에 폐업한 상마운수 인수분이었다. 일부는 삼성여객에서 개편 전 151번을 넘겨 받으면서 차량도 같이 넘어왔다.[67] 그랜버드의 직행좌석형 차량이며, 이 회사에서만 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