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23:50:54

다모아자동차


파일:마포구 CI.svg서울특별시 마포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다모아자동차[a] 유성운수[b]
마을버스 마포운수 미금운수 승마교통 성암운수
신수동마을버스 아현운수 연희교통[b] 온누리운수
웅산교통 정암운수 합정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동남교통
[a] 주간선버스 회사 / [b] 마포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서울특별시 강서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a][b] 영인운수 정평운수
공항리무진 공항리무진 K-리무진
마을버스 대운교통 부민운수 염동운수 화곡운수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신원교통[c]
[a] 주간선버스 회사 / [b] 강서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c] 부도 이후, 일부 노선이 화곡교통으로 인수되었다.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c1d1f>파일:attachment/다모아자동차/damoatrs.gif 다모아자동차주식회사
DAMOA Co., Ltd.
}}}
설립일 2004년 6월 14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이경동, 이준석
주요 주주 자사주: 17.65%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352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29억 5,000만원(2023년 기준)
매출액 연결: 607억 736만 3,424원(2023년 기준)
별도: 309억 4,385만 3,805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연결: 20억 3,142만 7,932원(2023년 기준)
별도: 13억 5,687만 17원(2023년 기준)
순이익 연결: 27억 4,313만 4,244원(2023년 기준)
별도: 25억 1,980만 1,300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연결: 345억 4,798만 1,493원(2023년 기준)
별도: 266억 1,058만 1,808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연결: 167억 657만 3,510원(2023년 기준)
별도: 108억 6,335만 2,016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연결: 93.64%(2023년 기준)
별도: 68.99%(2023년 기준)
자회사 보광교통 (지분율: 84.08%)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가양대로 117 (상암동, 상암공영차고지)
강서영업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로8길 17 (개화동, 강서공영차고지)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다모아자동차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특징4. 영업소5. 운행 노선6. 폐선이나 철수한 노선7. 면허 체계8. 보유차량9. 여담10. 지배구조11. 둘러보기

1. 개요

파일:470_1374.png 파일:su601-ecf.png
470번 601번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공영차고지[1]에 본사를, 강서구 강서공영차고지에 영업소를 둔 주간선업체이다.

2. 역사

3. 특징

파일:다모아 시(재업).jpg
다모아자동차 차량에 적용한 시(詩) 문장

4. 영업소

영업소 위치 운행, 주박노선 비고 가스충전소
유무
전기충전소
유무
수소충전소
유무
상암공영
차고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가양대로 117 (상암동) 270, 470, 710, 8775 다모아자동차
본사
O O X
강서공영
차고지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로8길 17 (개화동) 601, N26, 서울02 - O X O

5. 운행 노선

5.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70
[본사]
상암공영차고지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신촌로터리 - 아현역 - 광화문 - 종로1~6가 - 동대문 - 신설동역 - 청량리역 - 중랑역.동부시장 - 망우역 - 망우동고개 양원역 7~12
470
[본사]
(→ 상암DMC홍보관.YTN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세대학교 - 서대문역사거리 - 광화문 - 종로1.2가 - 서울백병원 - 순천향대병원 - 신사역 - 강남역 - 양재역 - 매헌시민의숲 안골마을 7~12
601
[강서]
강서공영차고지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김포국제공항 - 송정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염창역 - 마포구청역 - 이대후문 - (→ 경복궁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서대문역사거리 ← 종로1~4가 ← 이화장 ← ) 혜화역 7~12
710
[본사][카드전용]
상암공영차고지 상암고등학교 - 서울월드컵경기장 - 연세대학교 - 경복궁 - (→ 혜화역 →/← 창경궁 ← ) - 길음뉴타운 - 미아사거리역 - 미아역 수유역 6~12
서울02출근
[동행][강서][카드전용]
풍무홈플러스 서해1차아파트 → 서해2차아파트 → 풍무푸르지오.풍무센트럴푸르지오 → 풍무역.트레이더스 김포공항역 10(평일 12회)
서울02퇴근
[동행][강서][카드전용]
김포공항역 풍무역.트레이더스 → 풍무푸르지오.풍무센트럴푸르지오 → 서해2차아파트 → 서해1차아파트 풍무홈플러스 20(평일 3회)

5.1.1. 심야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N26
[공동배차1][강서]
강서공영차고지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개화산역 - 공항시장역 - 송정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아현역 - 광화문 - 종로1~6가 - 동대문 - 신설동역 - 청량리역 - 중랑역.동부시장 - 망우역 - 능산지하차도 - 신내역 중랑공영차고지 25~35

5.2. 맞춤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8775
[공동배차2][본사]
상암공영차고지 DMC첨단산업센터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상암초등학교 →) - 월드컵파크4단지후문.JTBC - 월드컵경기장 - 마포구청역 한강버스망원선착장 15

6. 폐선이나 철수한 노선

7. 면허 체계

7.1. 공항버스

7.2. 김포교통

7.3. 도원교통

7.4. 선진운수

7.5. 양천운수

7.6. 중부운수

8. 보유차량

8.1. 현재 보유차량

8.1.1. 현대자동차

8.2. 과거 보유차량

8.2.1. 현대자동차

8.2.2. 자일대우버스

8.2.3. 이베코

9. 여담

2024년 6월 17일, 601번 버스기사가 성산대교 위에서 넘어진 오토바이를 세워주었다는 미담이 밝혀졌다. 관련 동영상

2024년 7월 24일, 601번 버스기사가 출근길에 우산 없이 서있는 사람에게 우산을 주었다는 미담이 밝혀졌다. 관련 동영상

270번 버스기사가 만원버스에 서서 가고 있는 임산부를 발견하고 승객에게 양해를 구해서 임산부가 앉아서 갈 수 있게 도와주었다는 미담이 밝혀졌다. 관련 동영상

2024년 9월 13일, 470번 버스기사가 비 내리는 날에 우산 없이 횡단보도를 건너던 휠체어에 탄 사람을 인도까지 데려다 주었다는 미담이 밝혀졌다. 관련 동영상

10.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자사주
17.65%
기타 82.35% 4인

11.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주간선버스 운영 업체
메트로버스 서울교통네트웍 한국brt 다모아자동차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보광교통 보광운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한남버스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그러나 상암동공영차고지에 입주해 있는 업체는 다모아뿐이라는 것. 물론 전체 면적이 타 공영차고지에 비해 좁다.[2] 당시 은평권역 2순위 입찰자는 '우리운수 컨소시엄'이었으며, 상진운수의 주도로 신촌교통, 서부운수, SM버스가 출자한 회사였다. 우리운수 컨소시엄은 은평 권역과 강동 권역에서 전부 2순위 입찰자가 되면서 결국 주간선 업체로 선정되지 못했다.[3] 다만, 보광교통은 다모아자동차와 비슷하게 HY울릉도B체로 스티킹을 하지만 중형차가 다수인 보광운수는 대형차량을 제외하고 중문이 아닌 앞쪽 유리창에 DIN체를 사용하여 붙인다. 그러나 최근들어 상암차고지 소속 일부 차량의 전면부 사명 폰트가 HY헤드라인M으로 교체된 차량들이 발견되고 있다.[4] 이 중 470번의 굴절버스는 풍양운수 출신 기사들에게 우선적으로 배치하였고, 중부운수 기사들 대부분은 64-1번 출신이었다고 한다.[5] 특이하게도 신촌교통은 한국brt에게 출자한 회사이다. 하지만 덕은동차고지가 상암차고지의 바로 옆에 있고, 상암차고지로 충전을 하러 오다보니 신촌교통의 기사들은 brt의 기사들과는 인사를 거의 하지 않고, 그 대신 다모아의 기사들과 인사를 자주 한다. 반대로 다모아에게 출자한 선진운수서울신성의 역촌동영업소로 시작된 회사라는 특성상 다모아가 과거에 입주했었던 차고지인 은평공영차고지의 선진운수 영업소인 수색영업소 차량이 아닌 이상, 일산영업소나 역촌동 본사의 차량이라면 다모아가 아닌 brt랑 인사를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약간 있다.[6] 또한, 다모아가 아닌 메트로버스에게 출자한 영인운수가 강서차고지로 충전을 하러 오고, 외발산동 버스 차고지 방화사건으로 강서차고지를 임시 본사로 사용하기도 하고, 방화로 인하여 정비 공간도 사라졌기 때문에 다모아자동차에게 정비를 위탁하는 상황이 생긴데다가, 260번이 2012년 이후로 662번으로 분할되어 메트로버스와 공동배차가 끝난 이후로부터는 영인운수 역시, 메트로버스와의 접점이 갈수록 사라지면서 인사를 하는 모습도 자연스럽게 없어졌기 때문에 다모아에게는 출자를 하지 않았음에도 오늘날에는 영인운수의 기사들이 오히려 메트로버스 대신 다모아의 기사들과 인사를 하는 모습이 상당히 많이 보이고 있다.[7] 정확히는 강서쪽의 6642, 6645번, 6647번의 얘기. 다만 구룡영업소인 4433번은 아예 강서쪽 본진과 전혀 관련이 없는 업체라고 보면 된다. 이쪽은 아예 강남구, 서초구 마을버스 계열사.[8] 이후 다모아자동차 계열사(보광운수, 보광교통), 중부운수, 진아교통 등 일부 업체들도 도입하였다.[9] 보통 7권역 회사들이 명성, 신성교통, 신일여객, 고양교통, 서울여객, 선진운수, 한남버스, 서울매일버스의 사례처럼 고양, 파주시 면허의 회사들은 물론이고 서울 소재의 회사들마저도 도가 넘은 난폭운전과 불친절로 매우 악명높다는 점을 생각하면 참 이례적인 부분이다. 그나마 다모아 다음가는 수준으로 7권역에서 모범적인 회사들을 찾으라면 신촌교통, 동해운수, 한국brt가 있다. 하지만 이 3개 회사들도 과거에는 역시 난폭운전이 심각했다가 최근 들어서 개과천선한 케이스이며, 아직까지는 태생부터 한 평생 모범을 보여왔었던 7권역 소재 회사는 다모아가 유일하다. 이 회사 외에 수도권에서 친절한 축에 속하는 업체로는 과거의 주주였던 중부운수김포교통, 도원교통, 경성여객, 화영운수, 원진운수, 공항버스, 정평운수 등이 있다.[10] 서울에서 사명 표기를 가장 명확하고, 요란(...)하게 하는 업체이다. 다른 업체들은 '우리(XX)는 신호위반을 하지 않습니다.', '승객을 친절히 모시겠습니다.', '한 걸음 물러서 주시기 바랍니다.' '양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등의 안전운전 캠페인 성격의 스티커만 전면, 후면부에 붙이거나, 자사 로고를 붙여도 신촌교통, 남성버스, 군포교통, 서울승합, 서울교통네트웍 처럼 전면부에 딱 하나만 붙인다. 그 외의 특이한 사명 표기 양식이라면 흥안운수 계열(흥안운수와 더불어서 삼화상운, 한성여객같은 노원 흥삼한이 주로 하는 방식이다.)의 전화번호 표기라거나 대원교통, 대원여객의 경우 KD 운송그룹 계열사 답게 차량 후면에 KD 로고를 붙인다.[11] 이게 차량 전면에 부착하는 것인지라 너무나도 선명해서 아예 '어라? 다모아자동차라는 자동차 메이커가 있었나?'라며 버스 회사가 아닌 자동차 제조사라고 오해하는 시민들도 은근 보이는 듯. 동아운수 역시 다모아자동차와 비슷하게 스티킹을 많이 하는 편이었으나, 차파트너스 인수 이후 대부분 제거하였다. 또, 최근 인수된 계열사인 보광교통, 보광운수는 다모아자동차 차량과 달리, 회사 로고(DMA)와 내부 안내문 정도만 부착하는 편.[12] 다모아자동차 외에는 도원교통, 경성여객, 신인운수가 이렇게 적용한다. 단 이 회사들은 노선 번호만 부착한다.[13] 당시 한국brt의 471번(現 741번)과 자사의 161번(現 710번)이 존재했다. 7권역에서 4권역으로 향하고, 6권역에서 1권역으로 향하는대도 불구하고 주간선업체라는 특수성 상 작은 번호부터 차례대로 노선을 설정했다. 471번은 서울역 구간 임시 우회가 끝나면서 741번으로 변경되었고 161번은 강서구에서 철수 후 다른 노선들과 함께 상암공영차고지에 정착하면서 시작점이 7권역이 되면서 710번이 되었다. 참고로 이 710번이 최초의 주간선버스 번호 규칙 예외 사례이다.[14] 은평구에 있는 업체들 대부분이 앨리슨을 주력으로 사용했지만, 출자사 중 하나인 선진운수는 그중에서도 골수 ZF 업체이다. 그밖에도 공항버스, 김포교통, 도원교통 등 대부분의 업체가 ZF 사용 업체이다.[15] 메트로버스는 사장의 공동 경영사인 북부운수의 영향으로, 한국brt는 당시 대주주였던 제일여객의 영향으로, 서울교통네트웍은 모기업인 흥안운수의 영향으로 하이백 시트를 채택한다. 그리고 세 업체 모두 고상차량은 2016년식 이하만 있고 이후로는 저상버스만 도입한다. 물론, 다모아자동차도 나중에 하이백 개선형 저상을 출고했다.[16] 해당 차량은 스펀지 좌석이다. 한국brt가 2017년식 로우백 고상차량 출고를 하려 했으나 저상으로 출고하면서 취소분이 태릉교통진아교통에서 출고되었다.[17] 심야버스는 제외, 아무래도 한밤중에 운행하는지라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18] 전에 있던 이베코 굴절버스의 영향으로 추정. 그리고 현재의 대표가 중부운수 대표이사였을 때도 현대차를 주로 출고해왔다.[본사] 상암본사 소속[본사] [강서] 강서영업소 소속[본사] [카드전용] 현금승차가 불가하며, 교통카드로만 승차 가능한 노선이다.[동행] 서울동행버스. 공항버스와 공동배차[강서] [카드전용] [동행] 서울동행버스. 공항버스와 공동배차[강서] [카드전용] [공동배차1] 메트로버스와 공동배차.[강서] [공동배차2] 선진운수와 공동배차[본사] [34] 마포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면허. 증차면허로써 7812호가 유일한데, 도원교통 출자분인 서울 74사 7561호에서 변경되었다.[35] 이 중 1300호 단위는 순수 공항버스 주면허이고, 1400호 단위는 김포교통 출신 면허인데, 개편 전 김포교통에서 도시형버스 9번, 412번(현 6632번) 등을 인수받은 과정에서 유입되었다.[신흥운수] 신흥기업(현 신흥운수) 면허[37] 순수 김포교통 주면허. 이 중 1419호는 공항버스에 도시형버스 9번, 412번(현 6632번) 등을 매각했을때 함께 넘겼다가 개편때 다모아자동차에 출자로 넘어갔다.[서울승합] 서울승합 면허[39] 구 신원교통 면허. 김포교통이 신원교통으로부터 도시형버스 9번을 인수받으면서 함께 받은 면허이다.[40] 김포교통 증차번호[41] 성북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면허로 정확히는 도원교통 면허이다.[42] 순수 도원교통 주면허[43] 관악교통 주면허. 1981년 도원교통이 관악교통으로부터 93번 폐선으로 인한 잉여차량을 인수받으면서 함께 받은 면허이다.[신흥운수] 신흥기업(현 신흥운수) 면허[45] 진화운수 면허. 2002년 4월 도원교통이 진화운수로부터 상암동영업소를 인수받으면서 함께 유입된 면허이다.[서울승합] 서울승합 면허[47] 선진운수 주면허. 이 중 2500호 단위는 구 선진여객 주면허이고, 4500호 단위는 순수 선진운수 주면허이다.[48]신진운수 주면허. 1984년 선진여객(당시 범양여객, 현 선진운수)이 신진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55-2번(현 5517번), 73번(현 7017번), 73-1번 등을 인수하면서 함께 받은 면허이다.[49] 유성운수 면허. 1984년 10월 6일 선진운수가 유성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136번을 인수받으면서 함께 받은 면허이다.[50] 선진운수 증차번호[51] 정확히는 구 화곡교통 주면허이자 구 풍양운수 주면허로 메트로버스에도 간접출자로 넘어갔다.[52] 양천구 면허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번호로 정확히는 중부운수 면허이다.[53] 서울시영버스 출신 면허[54] 중부운수 증차번호[55] 선진운수 출신이며 2005년경에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하였고 해당 차량들은 군포교통 등으로 매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