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14:59:37

구파발역

구파발(은평성모병원)
파일:Seoulmetro3_icon.svg
역명 표기
3호선 구파발 (은평성모병원)
Gupabal (Eunpyeong St. Mary's Hospital)
舊把撥 / 旧把拨 / [ruby(旧把撥, ruby=クパバル)]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2로 지하15-25 (진관동 67-26)
소속 영업사업소
3호선 경복궁영업사업소 구파발역
운영 기관
3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3호선 1985년 7월 12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노선거리표
지축차량사업소
← 2.2 ㎞
③ 지축기지선
시종착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
6.1. 구파발역 환승센터6.2. 구파발역입구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3호선 320번[1].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2로 지하15-25 (진관동 67-26) 위치.

2. 역 정보

파일:구파발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2]
파일:20190421_163812.jpg
구파발역 옛 폴사인
파일:20190421_164043.jpg
구파발역 옛 종착역 표시[3]

역명의 유래는 이 역이 건설될 당시의 일대 행정구역이던 구파발동에서 유래했다. '구파발'이라는 명칭은 이 역 길목에 과거 파발()[4]이 있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현재는 2007년 은평뉴타운 재개발 과정에서 구파발동, 진관내동, 진관외동[5]이 통합되면서 진관동 관내에 위치하게 되었다. 또한 본래는 통일로 지하에 위치해 있었으나, 마찬가지로 은평뉴타운 재개발에 따라 통일로 구간이 서쪽으로 이설되고 일대의 舊 통일로 구간이 진관2로로 지정되면서 도로명주소도 변경되었다.

1985년 3호선 구파발역 ~ 독립문역 구간이 처음 개통될 당시 기점이자 시종착역이었으며, 1990년 지축역이 연장 개통되면서 기점의 지위는 지축역으로 넘어갔다. 다만 지축차량사업소 인입선로가 구파발역 다음에 있다보니 여전히 3호선 일부 열차의 시종착역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당 열차는 구파발에서 운행을 마치고 지축차량사업소로 입고하거나 회차하여 오금역으로 되돌아간다. 지축역 방면으로 가다 보면 회차 선로 및 차량기지 입고선을 볼 수 있으며, 지축역에서 내려오다 보면 중간에 유치선 비스무리한 대기선이 하나 있어서 운행을 시작하기 전에 대기 중인 3호선 열차도 볼 수 있다.[6] 한 마디로 구파발역에서 사람이 많을 때 약간의 운으로 빈 차를 탈 수 있다는 것이다.[7] 그래서 한때 토요일 낮에 음중[8] 가는 아이돌 팬들이 구파발행 열차가 먼저 오거나 구파발행 열차를 잘못 타면 그렇게 불편했다고 한다.[9] 은평뉴타운의 대중교통을 책임지는 역이다. 주변시설로는 환승주차장(유료)이 있다.

옛날에는 주로 북한산 관광객들과 진관내동(현: 진관동) 주민들이 주로 이 역을 이용했다. 1번 국도를 따라 박석고개를 넘어가면 바로 연신내역이 나타나는데, 이 연신내역이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시설과 연계가 잘 되어 있어서 은평구 북부의 승객 수요 거의 전부를 흡수한다. 구파발행 열차에서는 연신내에서 거의 70% 이상이 우르르 내린다. 구파발역은 舊 진관외동과의 대중교통 연계가 잘 안 되었을 뿐만 아니라 연신내역의 강력한 시장권에 눌려 승하차 수요가 제대로 안 나왔었다. 당시 거주했던 원주민의 기억에 의하면, 은평뉴타운 개발 전 '기자촌' 지역(진관외동 중심부)에서 연신내역 방면으로 가는 버스는 720번, 7211번, 7720번, 571번, 7722번(당시 박석고개 경유)가 있었으나, 구파발역으로 가는 버스는 현 7723번의 전신인 마을버스 1대 뿐이었으며, 이마저도 배차간격이 영 좋지 않았다. 주민들은 구파발역과 인접한 주민들이 아니면 연신내역을 이용하는 게 자연스러웠으며, 구파발역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통 도보 또는 택시를 이용했다. 하지만 출근 시간대는 오금방향 쪽은 앞의 서술이 안 먹힌다. 교통이 편리한 연신내도 출근 시간대 구파발역 출고열차 앞에서는 장사 없게 되었다. 일산선 승객들이 대기를 했다가 타는 바람에 연신내역에선 거의 못 앉게 되기 때문이었다.

이 역부터 백석역까지 롤러코스터 구간이 시작된다.[10]

출구가 도로 방향과 어긋나 있는데[11], 이는 구파발역 건설 당시 도로 선형에 맞추어 지었던 출구들이 은평뉴타운 개발로 도로들이 이설되면서 출구들이 도로와 어긋나게 된 것이다.[12]

2020년 11월에는 2번 출구가 에스컬레이터 공사로 인해 임시로 폐쇄되었다가, 2022년 2월 25일에 에스컬레이터 공사가 완료되어 출구가 다시 개방됐다.

코로나19의 여파로 1번 출구 앞에 은평구 임시선별검사소가 생겼다. 지금온 종식된 관계상 없어졌다.

이 역과 다음역인 연신내역 간 역간거리는 2km로, 서울 지하철 3호선 지하 구간에서 가장 길다. 서울 지하철 3호선 전체에서도 한강 통과 구간인 옥수~압구정(2.1km)을 제외하면 가장 길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병기역명(은평성모병원)까지 방송하지만,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구파발 역명만 방송한다.

3. 역 주변 정보

은평뉴타운 개발 전에는 1~3층 단위의 저층 건물들이 많았고, 동네가 전체적으로 낡았다는 느낌을 주었다.

은평뉴타운 개발 당시 은평뉴타운을 환경친화적-대중교통친화적으로 설계한다는 방침에 따라 구파발역을 모든 은평뉴타운 구역의 대중교통 중심지가 되도록 설계, 기존의 도로를 바꾸는 등의 작업을 하여 은평뉴타운 건물에 사람들이 모두 입주하게 될 경우, 많은 승하차인원이 예상되었지만 실제로는 큰 폭의 변화는 없었다.

가장 큰 이유는 구파발역의 핵심수요 중 하나인 파주 등 경기 북서부지역 주민이 구파발역을 이용하기가 어려워졌다는 것이다.[13] 은평뉴타운을 개발하면서 통일로 구간이 서쪽으로 이설된 결과 기존 통일로에 있었던 구파발역은 도로와 버스정류장에서 무려 500m나 떨어지게 된 것인데, 물론 환승주차장이 있으니 아주 나쁜 것은 아니지만 버스를 이용한 3호선 환승은 불편하게 되어 연신내역이나 불광역으로 사람이 몰린다. 하지만 출근시간대는 제외이며, 구파발에서 출발하는 빈 열차에 탑승(정확히는 착석)하기 위해 일산선에서 출발한 열차승객 중 일부 하차+불광, 연신내에서 구파발로 역주행해오는 승객+은평 뉴타운 자체 승객이 뒤엉켜 상당히 혼잡하다. 게다가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마저 입석으로 채우는 경우가 출근시간에 많이 있기 때문에, 이 때는 연신내역에서 오금 방향으로 승차시에는 좌석 보장은 매우 높은 확률로 포기해야 한다.

즉, 경기 북부 주민들이 버스를 이용해 구파발역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는 것이 불편해진 만큼 차라리 연신내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더 유리하게 된 것이다. 통일로변 버스 정류장에서 5분 이상 걸어서 이동해야 한다. 이 불편은 구파발역 중심 상업지구가 개발되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현실은 5년이 넘도록 착공도 되지 않은 상태라고 오랫동안 적혀 있었다.

여기에 더해 은평뉴타운 지구 특성상 구파발역보다 연신내역을 이용하는 것이 나쁘지 않은 것도 승차량 감소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14] 은평뉴타운에서 연신내역이 인접한데다 연신내로 향하는 버스교통편이 잘 되어 있는데, 통일로의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간선버스들 + 7211번이나 571번, 701번 등 은평뉴타운 내에서 연신초등학교/은평경찰서를 경유해 연신내역으로 직행하는 노선도 많다. 이런 상황때문에 6호선을 이용하려면 굳이 구파발에서 3호선을 타고 환승하지 않고 바로 연신내역으로 이동하는게 더 효율적이기도 하고, 연서로에 인접한 몇몇 단지들은 바로 연신내로 이동하는 것이 구파발로 가는 것보다 더 빠른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줄어든 교통 수요가 은평뉴타운 개발에 따른 자체 수요 상승으로 벌충되면서 일 평균 승차량 기준 이용 수요는 2000년대 초반에 기록했던 16,000명대를 뛰어넘었다. 은평뉴타운 내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여전히 구파발역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 은평뉴타운에서 구파발역을 연결하는 서울 버스 7723의 운행 간격이 줄어들었는데다, 704번이나 7211번, 720번[15] 등 지구 내에서 구파발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노선도 많이 있다.

롯데몰 은평점이 오픈하면서 다시금 대격변을 거치고 있다. 기존의 4번 출구는 롯데몰 건물에 흡수되었고, 대합실에는 롯데몰 지하 1층과 연결되는 연결통로가 건설되었다.

2019년 11월 5일, 기존 뚝섬유원지역 인근에 있던 한국산업인력공단 서울동부지사가 이 역 인근 은평뉴타운으로 이전하였고, 그 과정에서 지명과 실제 위치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이름도 '한국산업인력공단 서울서부지사'로 개명하였다. 국가기술자격 자격증 발급을 이 곳에서 맡는다. 구 동부지사는 동부상설시험장으로 격하되었다. 구파발역 앞 신청사에서도 자격증 상설시험장이 생겨났는데 여기는 서부상설시험장(서부상설)로 이름이 붙었다.

구파발역과 이 인근의 진관2로 지역(서울은평우체국 등 위치)은 지자체에서 지정한 금연거리이기 때문에 이곳에서 담배를 피면 벌금을 물게 된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3_icon.svg 구파발(은평성모병원)역 출구 정보
1진관지구대
서울은빛초등학교
은평뉴타운7·8·9단지
진관중·고등학교 방면
서울주택도시공사 서대문은평종로센터
한국산업인력공단 서울서부지사
2진관동주민센터
구파발교회
구파발성당
은평우체국
구파발역환승주차장
진관지역아동센터
은평뉴타운1·2·3단지
은평뉴타운5단지
하나고등학교 방면
신도초·중학교 방면
한국고전번역원
은평구민체육센터
은평메디텍고등학교
서울은진초등학교 방면
은평소방서
3연신내 방면
서울소방행정타운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은평노인종합복지관
서울둘레길 7코스
4롯데몰 은평점
구파발검문소
은평뉴타운10단지
통일로 방면

4. 일평균 이용객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ef7c1c><bgcolor=#ef7c1c> 연도 ||<|2> 파일:Seoulmetro3_icon.svg ||<bgcolor=#ef7c1c> 환승객 수 ||<|2><bgcolor=#ef7c1c> 비고 ||
파일:Seoulmetro3_icon.svg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4년 48,875명 10,000명
1995년 51,895명
1996년 38,438명
1997년 33,606명
1998년 30,107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27,494명 비고
2001년 27,191명
2002년 26,495명
2003년 25,330명
2004년 25,056명
2005년 22,940명
2006년 20,325명
2007년 17,498명
2008년 18,465명
2009년 19,907명 }}}}}}}}}
2010년 22,422명 자료없음
2011년 27,249명
2012년 28,889명
2013년 30,340명
2014년 31,836명
2015년 32,020명
2016년 33,550명 8,867명
2017년 38,814명 10,438명
2018년 40,346명 9,964명
2019년 43,159명 9,835명
2020년 33,460명 자료없음
2021년 33,763명
2022년 37,418명
2023년 40,700명
2024년 41,859명
출처
파일:Seoulmetro3_icon.svg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파일:삼태극.svg : 철도통계연보

구파발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40,700명(2023년 기준)으로 2010년대 이전과 비교하면 2배 이상 승객이 증가했다. 이처럼 2010년대 이전과 이후의 승객 숫자, 이용 패턴, 역세권 분위기 등이 아주 극명하게 차이가 나는 역 중 하나다. 그 이유는 원래 이 지역은 개발제한구역에 오랫동안 묶여 기자촌과 같은 오래된 1층짜리 단독 주택 마을로 구성된 지역이었다. 이러던 곳이 구파발역 역세권이 재개발로 죄다 철거되면서 2005년부터 승차량이 감소가 가시적으로 나타났다. 지역 주민들이 사라지고 고양시, 파주시통일로 연선, 양주시 장흥면 및 북한산 등산객만 이용했던 2007~2008년에 바닥을 찍고 은평뉴타운 1지구의 입주가 시작된 2009년부터 다시 승차량이 점차 증가하다가 2013년에 이용객이 3만 명을 넘었다. 아직까지는 연신내역불광역의 아성을 뛰어넘진 못했으나 10여 년 전과 비교하면 괄목할만한 성장을 했다. 2023년 현재는 불광역의 전체 이용객 수(41,769명)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구파발역의 주 수요처는 단연 은평뉴타운 주민이다. 은평뉴타운 개발 전에는 구파발역 역세권의 단독주택단지와 더불어 고양시, 파주시의 통일로 연선[16], 양주시 장흥면 및 북한산 등산객이 주된 수요처였다. 그러나 은평뉴타운 개발을 하면서 구파발삼거리가 해체되고 통일로가 약 200m 떨어진 곳으로 밀려나게 되어 경기도권 환승객이 크게 감소하였다. 환승 거점의 역할은 상당 부분 연신내역에 넘겨준 상태로, 환승 거점의 역할이 크게 축소되었음에도 수요가 오히려 대폭 늘어난 희한한 사례이다.

군인 이용객도 꽤 많은 편이다. 역에서 버스로 10분 이내 거리에 군부대만 3곳이 있는 데다[17] 북한산성~송추 일대의 군부대들에서도 가장 접근성 좋은 전철역이 구파발역이기 때문이다.[18]

2017년 승하차량이 갑자기 5천 명 이상 뛰어올랐는데, 이는 급격하게 발달되는 은평뉴타운 상권과 롯데몰 은평점점이 들어선 것이 영향을 줬다. 롯데몰 은평은 구파발 4번 출구와 연계되어 있다. 즉 구파발역 4번 출구에서 지상으로 올라가지 않고 그대로 지하에 있는 롯데몰 출입구로 가면 들어갈 수 있다.

2018년 승하차량이 4만 명을 넘었다. 불광역의 3호선 이용객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19] 2019년 승하차량이 2,800명 가량 급격히 증가하였다.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개원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2020년대에는 북측으로 가까운 거리의[20] 지축역에도 아파트 단지가 조성중에 있어 지축지구와 구파발역을 연결하는 버스편의 배차간격이 원활해진다면 이용객 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도 예측된다.[21]

5. 승강장

파일:attachment/gupabal.jpg
3호선 승강장[22]
파일:2015112206240615837.jpg
시운전 당시 3호선 승강장[23]
지축
연신내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지축·백석·정발산·대화 방면/당역종착
연신내·불광·충무로·오금 방면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역 구내에 2.5퍼밀의 구배가 있다.

특이사항은 지축역 방향에 지상으로 나가는 출구가 보인다. 다만 상하행선은 지상으로 올라가기에 경사가 있지만 회차선은 경사 없이 수직구처럼 위에만 뚫려있다. 고양시에 진입하기 전에 지상으로 완전히 나오며, 구파발역과 지축역 사이에는 터널형 방음벽이 존재한다. 터널형 방음벽이 끝나고 곧바로 고양시에 진입한다.

연신내역 방향에 X자 회차선이 있다. 다만 연신내역도 섬식승강장이여서 그런지 복선으로 좁히지 않고 3복선 노반 그대로인[24] 구조 탓에 회차선이 특이하게도 길게 뻗어있다.

이 역부터 금호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6. 연계 버스

6.1. 구파발역 환승센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파발역 환승센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7년 5월 17일에 구파발역 환승센터가 개통하여 구파발역 일대를 지나는 시내버스가 구파발역을 경유하는 노선이 일부 변경되었다.

파일:qTrZ9Sm.jpg

서울특별시에서 구파발역 역세권 재개발 사업 조감도를 내놓았는데, 알파로스 사업이 무산되기도 했고 이대로 진행될 지는 알 수 없다. 그리고 이미 조감도 속 부지 일부에는 롯데몰과 은평스카이뷰자이가 들어섰기 때문에 조감도대로 진행하는 것은 어려워보인다.

6.2. 구파발역입구

통일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은평뉴타운10단지 구파발역입구 박석고개.신도고등학교
구파발역입구 정류소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구파발역입구(중)
(12012)
<colcolor=#ffffff> 지선
맞춤
시내
간선
심야
직행좌석
구파발역입구(중)
(12011)
지선
시내
간선
심야
직행좌석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f7c1c> 일산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개정 전 10번. 현재 3호선의 10번은 주엽역이 가져갔다.[2] 4번 출구 에스컬레이터가 빠져 있다.[3] 당역종착(현 대화 방향) 승강장에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4] 여기서 '파' 부분의 한자는 로 바뀌었다.[5] 본래 이 지역들은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에 속했다가, 1973년에 서울로 편입된 곳이다. 단순 경계 조정을 제외하면 마지막으로 서울로 편입된 지역.[6] 이 유치선 자체는 사당역이나 청량리역(지하), 군자역 등 다른 중간 시종착 기능이 있는 지하철역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Y자 회차선인데, 구파발역의 회차선은 다른 곳과는 다른 특이한 점이 있으니 바로 본선과 높낮이가 다르고, 일부 구간이 지상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구파발역에서 지축역 방향으로 출발하자마자 지상구간이 나오게 되고 다음 역인 지축역이 고가역이다보니 본선에는 구배가 있는데, 회차선이 온전히 지하 구간에 놓이기에 부족할 정도로 지하 구간이 짧고, 회차선에 굳이 구배를 둘 이유가 없다보니 이런 특이한 형태의 회차선이 탄생한 듯하다. 시간이 잘 맞으면 지축역에서 구파발역으로 가는 열차 안에서 지하로 들어갈 무렵 구파발에 종착하여 회차 대기 중인 지하철이 마치 잠수함이 떠오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붕부터 서서히 나타나는 광경을 볼 수도 있는 것이다.[7] 물론 오금역 방향 얘기이며, 출근시간엔 빈차가 와도 얄짤없다. 일산선 연선에서 자리에 못 앉은 승객들이 착석을 위해 출발차를 노리고 이미 구파발역 승강장에 내려서 기다리고 있어서 정작 은평뉴타운 사람들은 출발차에서 바로 앉아갈 가능성이 희박하다.[8] 지금은 MBC가 그렇게도 좋아하는 DMC에서 한다. 일산 드림센터에서는 쇼챔을 하며, MBC 가요대제전 때 가끔 일산에서 사전녹화를 하기도 한다.[9] 사실 3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주로 일산선) 사이에서 구파발 시종착 열차에 대한 불만이 많은 편이며, 오금역 연장개통 전까지만 해도 수서행 열차에 대한 불만이 경기 동남부권 거주자들로부터도 있었다. 유치선이 있는 백석역의 시설을 이용해서 회차하는 방식으로 구파발역 시종착에서 백석역으로 연장해 달라는 의견도 많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코레일은 수요가 많지 않다고 해 증편에 부정적인 입장.[10] 구파발(지하)-지축(지상)-삼송(지하)-원흥(지하)-원당(지상)-화정(지하)-대곡(지상)-백석(지하). 삼송 - 원흥을 제외하면 전부 지하와 지상을 오간다. 원흥역 개통 전에는 지하역과 지상역이 번갈아 나타나는 식이었다.[11] 롯데몰에 먹힌 4번 출구, 3번 출구 제외.[12] 이 출구들 방향을 보고 과거 도로가 어디에 있었는지 유추도 가능할 정도였다. 옛날에 있었던 구파발 삼거리의 위치도 확인 가능하다.[13] 다만 같은 경기 북부 지역이라도 일영, 송추 등 양주시 장흥면쪽 지역은 버스가 구파발역을 거쳐 가도록 노선이 조정되어 큰 지장은 없다. 하지만 은평뉴타운 내를 거쳐가는 관계로 전보다 운행 시간이 늘어났다.[14] 연서로 인접 지역은 연신내로 가나 구파발로 가나 큰 시간차이가 없거나 연신내로 가는게 더 효율적이다.[15] 7211과 720은 연신내역 셔틀의 역할도 겸한다.[16] 벽제(관산동), 고양동, 봉일천, 금촌, 문산, 광탄, 법원리 등이 있다.[17] 56사단 본부, 30기보여단 예하부대, 방패교육대[18] 문산 일대 부대에서 경의선이 아닌 9710을 타고 구파발까지 내려오는 군인들도 있다. 인근의 56사단이나 30기보여단 외에도 역 주변에서 꽤 다양한 경기권 전방부대 마크를 볼 수 있다.[19] 2019년에 불광역과 화정역의 이용객수를 뛰어넘는다.[20] 지축역 방향으로 선로가 심하게 꺾여 있고 이 구간에서 속도가 느려서 열차로 소요시간이 3분 정도 걸리지만 실제 지축과 구파발의 직선거리는 걸어가도 큰 무리가 없을만큼 가깝다. 구파발역에서 걸어서 7~8분 거리인 상림마을(은평뉴타운 6~10단지)에서 횡단보도 하나만 건너도 지축이다.[21] 바로 옆에 지축역이 있지만 구파발 시종착 열차의 존재로 인한 더 짧은 배차간격+앉아갈 수 있는 구파발 출발차라는 메리트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출고열차는 구파발역의 수입요인이다. 그런데 출근시간에는 일산 화정 원당에서 타고 오다가 구파발에서 내려서 출고차량을 기다리는 무수한 인파들 때문에 별 의미가.... 4호선도 시흥, 안산, 군포, 안양, 과천에서 타고오는 사람들도 사당에서 내려서 사당발 열차를 기다리는 경우가 있지만 사당역이 엄청난 인파가 몰리는 헬게이트인만큼 입석은 거의 당첨이라 이렇게 하는 사람들이 많이 없다.[22] 역명판 교체 전[23] 사진의 열차는 현 333편성과는 무관한 구 317편성이며, 10량 이후 이 차량번호는 3019호(현 319편성)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역번호는 10이며 표기는 Gupabal이 아닌 Kup'abal이다.[24] 보통 섬식정거장 너비는 3복선 터널 너비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