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곡역 | ||
대화 방면 매 봉 ← 0.8 ㎞ | 3호선 (344) | 오금 방면 대 치 0.8 ㎞ → |
청량리 방면 한 티 ← 0.7 ㎞ | 수인·분당선 (K217) | 인천 방면 구 룡 0.6 ㎞ → |
역명 표기 | ||
분당선 | 도곡 Dogok 道谷 / [ruby(道谷, ruby=トゴク)] | |
수인·분당선 | ||
3호선 | ||
주소 | ||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2814 (도곡동 339-2) | ||
소속 영업사업소 및 관리역 등급 | ||
3호선 | 도곡영업사업소 도곡역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 | |
분당선 | 보통역 (3급) (수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 |
역 운영기관 | ||
3호선 | 서울교통공사 | |
수인·분당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3호선 | 1993년 10월 30일 | |
분당선 | 2003년 9월 3일 | |
분당선 | ||
수인·분당선 | 2020년 9월 12일 | |
역사 구조 | ||
지하 4층 (3호선) 지하 6층 (수인·분당선)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3호선) 복선 섬식 승강장 (수인·분당선) | ||
철도거리표 | ||
왕십리 방면 한 티 ← 0.7 ㎞ | 분당선 도 곡 | 수원 방면 구 룡 0.6 ㎞ → |
[clearfix]
1. 개요
2. 역 정보
역 안내도 (크게보기) |
3호선 역명판 |
3호선 승강장의 스크린도어는 진작에 가동하고 있었고 수인·분당선 승강장의 스크린도어는 2011년 중순 들어 가동을 시작했다.
3호선은 오금방향 한정으로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 1대가 존재한다.[2]
역은 3호선 구역의 서울교통공사와 분당선 구역의 코레일 관할 구역이 구분되어 있다. 역 디자인 자체가 판이하여 구분이 쉬운 편이다. 대신 4개 출입구 모두가 분당선 구역을 잠깐 거쳐가기 때문에 지상 역명판이 모두 코레일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역이 상당히 깊고 구조가 단순치 않다. 3호선에서 하차하더라도 바깥으로 나오는 데 상당히 많이 오른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3호선에서 하차하여 버스[3]를 타고 개포동으로 향할 예정인 승객들이라면 당역 말고 매봉역[4]에서 하차하는 편이 낫다.[5]
그렇지만 3번 출구 옆에 엘레베이터가 존재하는데, 이는 수서·오금 방향 3호선 승강장[6]까지 한 번에 이동시켜 준다. 엘레베이터에서 내리자마자 개찰구가 있고, 수인·분당선 또한 에스컬레이터 하나만 이용해 내려가면 돼 편리하다. 반대로 수서·오금행 열차를 타고 내릴 때에도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바로 출구 밖으로 나갈수 있기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다.
2.1. 환승
역의 규모가 상당히 큰데, 그 이유는 이 역이 미리 환승하기 쉽게 그리고 수서역에서 미어터지던 분당선과 3호선의 환승 인구를 감당할 수 있게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3호선 도곡역의 두 선로 사이가 넓어진 이유는 이 역에서 회차를 담당해야 했는데 마침 바로 위의 도로인 남부순환로가 상당히 넓었기 때문이다. 다만 이럴 경우 3호선 승강장을 섬식 승강장으로 할 여지가 남을 수도 있는데 위에서 말했듯 분당선의 많은 환승 승객을 포용하기 위해서 양 선로 사이 빈 공간을 버리고 저 멀리 양 옆으로 상대식 승강장을 만든 것이었다. 쉽게 설명하면 아현역과 산성역 승강장 중심부의 선로 측 벽이 뚫린 형태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도곡역 위쪽이 연약 지반인 것도 한 몫 했다.[7]그리고 큰 규모 때문에, 수인분당선 도곡역은 특히 에스컬레이터가 많다.
역의 형태는 십자환승으로 충무로역, 천호역과 같은 개념환승 축에 당당히 들어간다. 참고로 3호선 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이고, 분당선 승강장은
3호선의 오금역 연장 개통 이전에는 수서역이 시종착역이었기 때문에 원래의 목적인 환승인구 분산이 별로 이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수서역 환승이 썩 좋은 편은 못 돼서 환승이 편한 도곡역에서 갈아탄 사람도 있긴 하지만 수서역보단 이 역에서 환승을 더 많이한다. 3호선 → 분당선의 경우면, 수서역에서는 자리에 앉을 확률이 더 낮아지기 때문이다.[9] 분당선 → 3호선 환승도 이 역에서 하는 사람도 많은데 3호선 상행선은 양재역에 도착 전까진 거의 공기수송이라 도곡역에서도 자리에 앉을 확률이 높다. 3호선 하행선은 이 역부터 빈칸이 생기고 제대로 공기수송을 시작한다.
분당선이 청량리역까지 연장되어 종축 노선이 형성됨과 함께 서울 도심 동부와 강남이 연계되었다. 청량리행은 평일 9회, 주말 5회 운행한다.
3. 역 주변 정보
역 이름은 도곡역인데 도곡동+대치동 절반씩 걸쳐 있는 형태다. 오히려 주변 전체가 도곡동인 매봉역이 '도곡역'이란 명칭이 더 어울리는 상황이다. 다만 타워팰리스를 비롯한 고급 주상복합 단지가 역세권이라서 사람들이 생각하는 도곡동의 부촌 이미지는 도곡역 쪽이 강하긴 하다.인근에 있는 것은 대치동 학원가와 아파트들하고 고등학교 2곳이다. 주택 단지가 크게 조성된 곳이라 그와 관련한 근린 상권도 발달해 있다.
1번 출구로 나오면 숙명여자중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가 붙어있고 도곡삼성래미안이 숙명여자고등학교 옆에 있다. 도곡렉슬아파트도 1번 출구 역세권이나 이쪽은 한티역이 더 가깝다.
2번 출구 계단 왼쪽으로 동부센트레빌 지하 2층이 도곡역과 바로 연결이 되어 있으며, 2번 출구 바깥으로 나오면 래미안 대치팰리스 단지로 갈 수 있다.
3번 출구로 나오면 그랑프리백화점[10]과 개포우성아파트로 갈 수 있다.
4번 출구 옆에 출구 번호가 지정되지 않는 연결통로가 있는데, 타워팰리스 2차와 연결된 상가인 신세계 SSG 마켓 도곡점하고 통로가 연결되어 있다. 4번 출구 바깥으로 나오면 타워팰리스 1,3차, 군인공제회관[11], 우성캐릭터빌, 대림아크로텔, 캐릭터199, 인스토피아 등으로 갈 수 있다. 고층 오피스텔이 즐비한 지역이라, 이 쪽은 인구밀도가 상당히 높다.
이 역 근방은 상권 형성이 미약하고, 주택가와 학교가 늘어선 것을 볼 수 있다. 4번 출구 쪽에 회사들이 있기는 하나 상권 형성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다. 흔히 뉴스에 나오는 도곡동과 대치동(대치1동)이 이 곳이다. 한티역 쪽의 대치동(대치4동)은 아파트 밀집 구역이 아닌 단독, 다세대 주택 구역이고 전통시장인 도곡시장과 강남 롯데백화점을 중심으로 먹거리 상권이 포진해 있어 그나마 시끌벅적한 동네이다. 도곡역 3번 출구 쪽에 그나마 가게들이 있으나 역시나 규모는 작다.
3.1. 출구 정보
도곡역 출구 정보 | |
1 | 숙명여자중·고등학교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서울대도초등학교 도곡렉슬아파트 매봉삼성아파트 도곡동삼성래미안아파트 래미안도곡카운티아파트 |
2 | 대치1동주민센터 래미안대치팰리스 대치동부센트레빌아파트 대치아이파크아파트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소프트웨어고등학교 선경3차아파트 대치롯데캐슬리베아파트 큰골근린공원 |
3 | 개포고등학교 서울개일초등학교 우성아파트 늘벗근린공원 대청중학교 서울대치초등학교 선경1·2차아파트 |
4 | 구룡중학교 군인공제회관 타워팰리스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ef7c1c><bgcolor=#ef7c1c> 연도 || || ||<bgcolor=#ef7c1c> 총합 ||<bgcolor=#ef7c1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14,711명 | 14,094명 | 비고 | |||||
1995년 | 15,756명 | ||||||||
1996년 | 13,599명 | ||||||||
1997년 | 14,472명 | ||||||||
1998년 | 14,123명 | ||||||||
1999년 | 자료없음 | ||||||||
2000년 | 16,471명 | ||||||||
2001년 | 19,162명 | ||||||||
2002년 | 19,040명 | ||||||||
2003년 | 20,174명 | 6,821명 | 26,995명 | [12] | |||||
2004년 | 16,744명 | 6,334명 | 23,078명 | [13] | |||||
2005년 | 17,235명 | 7,883명 | 25,118명 | ||||||
2006년 | 18,353명 | 8,127명 | 26,480명 | ||||||
2007년 | 18,070명 | 8,058명 | 26,128명 | ||||||
2008년 | 17,273명 | 8,029명 | 25,302명 | ||||||
2009년 | 17,319명 | 8,085명 | 25,404명 | }}}}}}}}} | |||||
2010년 | 18,891명 | 7,716명 | 26,607명 | ||||||
2011년 | 19,447명 | 7,319명 | 26,766명 | ||||||
2012년 | 17,704명 | 7,763명 | 25,467명 | ||||||
2013년 | 16,363명 | 12,788명 | 29,151명 | ||||||
2014년 | 14,640명 | 13,697명 | 28,337명 | ||||||
2015년 | 14,160명 | 13,486명 | 27,646명 | ||||||
2016년 | 13,862명 | 14,094명 | 27,956명 | ||||||
2017년 | 13,221명 | 14,107명 | 27,328명 | ||||||
2018년 | 12,112명 | 13,764명 | 25,876명 | ||||||
2019년 | 11,635명 | 13,949명 | 25,584명 | ||||||
2020년 | 8,458명 | 10,389명 | 18,847명 | ||||||
2021년 | 8,796명 | 10,930명 | 19,726명 | ||||||
2022년 | 9,271명 | 12,503명 | 21,774명 | ||||||
2023년 | 9,810명 | 13,544명 | 23,354명 | ||||||
2024년 | |||||||||
출처 |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14]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이웃 매봉역보다 역세권이 훨씬 발달했지만 실제 승하차객 수는 3호선, 분당선을 모두 포함해도 매봉과 비슷한 수준이다.
- 심지어 분당선 단독 역인 한티역보다도 이용객이 적다. 도곡역의 두 노선 승하차객의 합은 2023년 기준 23,354명이지만, 한티역은 30,754명의 승객이 이용한다.
- 3호선 탑승 수요는 분당선 개통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았다. 2003년에 하루 평균 2만 명으로 정점을 찍다가 분당선이 개통된 이후 1만 명대 중후반으로 승하차 숫자가 내려갔고, 분당선이 왕십리역까지 연장 개통된 2012년 이후 또다시 승객이 급감하여 2014년을 기점으로 일평균 1만 명대 후반에서 1만 명대 초중반으로 크게 내려갔다.
- 특히 2012년 개통 때 3호선 승객의 상당수가 분당선으로 이동했는데, 이러한 배경에는 도곡역에서 강북 동부지역 및 압구정동, 삼성동, 잠실 등지로 갈 때 우회하는 3호선 대신 분당선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많아져서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S자로 선형이 좋지 않은 3호선보다 분당선을 탔을 때 타지로 더 쉽고 빠르게 갈 수 있어서 2016년에 분당선의 승하차객 수가 3호선을 역전했다.
- 3호선 환승역 중 대곡역 다음으로 승하차객 수가 적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3호선
3호선 승강장 |
매봉 ↑ | |||
하 | ㅣ | ㅣ | 상 |
↓ 대치 |
상 | 3호선 | 양재·교대·옥수·충무로·대화 방면 |
하 | 대치·일원·수서·오금 방면 |
이 역은 상대식 승강장임에도 이 역과 대치역 사이에 있는 회차선 때문에 반대편 승강장과 멀리 떨어져 있다. 3호선의 다른 상대식 승강장 역 대비 약 3배 정도 된다. 산성역이나 아현역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예 벽으로 막혀 있는 이 두 역과는 달리 이 역은 중간 부분에 기둥이 설치되어 있어서 반대편 승강장을 볼 수 있다.[15]
5.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승강장 |
↑ 한티 | |||
ㅣ | 2 | 1 | ㅣ |
구룡 ↓ |
1 | 수인·분당선 | 서현·수원·인천 방면 |
2 | 선정릉·서울숲·왕십리 방면 |
2020년 12월부터 21년 2월까지 스크린도어 개량공사를 진행하였다.
이 역에서 상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오른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7정거장 차이나는 왕십리역이며, 하행 열차를 타면 5정거장 차이나는 복정역이다.
2021년 10월에 역내 행선지 전광판이 LED에서 LCD 스크린으로 교체되었다.
6. 사건 사고
6.1. 열차 방화 사건
자세한 내용은 도곡역 열차 방화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2014년 5월 28일에 하마터면 제2의 대구 지하철 참사가 생길 뻔했다.
6.2. 도곡역 스크린도어 오작동 사고
2014년 9월 30일에 수인분당선(당시 분당선) 승강장에서 스크린도어가 오작동하여[16] 열차가 5분간 지연되었다.7. 연계 교통
7.1. 남부순환로 정류소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도곡역(23219)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선릉로 방면 | |
지선 | ||
강남대로(북) 방면 | ||
공항 | ||
심야 | ||
간선 | ||
지선 | ||
강남대로(남) 방면 | ||
시내일반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도곡역(23228)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삼성로(북) 방면 | |
지선 | ||
삼성로(남) 방면 | ||
마을 | ||
영동대로(북) 방면 | ||
시내일반 | ||
지선 | ||
영동대로(남) 방면 | ||
공항 | ||
심야 | ||
간선 | ||
남부순환로 방면 | ||
지선 | }}}}}}}}} |
7.2. 선릉로 정류소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중대부고앞(23333)
* 1번 출구 뒤쪽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선릉로 남쪽 방면으로 운행한다. 신호에 걸리기 때문에 승차할 때는 4번 출구 뒤쪽 "그랑프리백화점" 정류소 또는 3번 출구에서 약 300m 전방의 "대치동우성아파트" 정류소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 3414번은 구룡마을입구교차로~구룡터널교차로~매봉터널교차로의 경로로 편도회차하는 노선으로, 회차구간이 목적지가 아니라면 2번 출구 뒤쪽 "중대부고" 정류소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직행 | |
간선 | ||
지선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중대부고(23220)
* 2번 출구 뒤쪽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선릉로 북쪽 방면으로 운행한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직행 | |
간선 | ||
지선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그랑프리백화점(23232)
* 3번 출구 뒤쪽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선릉로 북쪽 방면으로 운행한다. 신호에 걸리기 때문에 승차할 때는 2번 출구 뒤쪽 "중대부고" 정류소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 강남10번은 3번 출구 정류소에도 정차한다.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간선 | |
지선 | ||
마을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그랑프리백화점(23456)
* 4번 출구 뒤쪽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선릉로 남쪽 방면으로 운행한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간선 | |
지선 | ||
마을 | }}}}}}}}} |
8. 기타
- 어느 트위터 유저가 외국인에게는 Dogribmun과 비슷한 원리로 역 이름이 웃겨보이는 뉘앙스의 글을 올린 적이 있다. # 이 역의 역명이 dogok 인데 dog(개) ok(응)을 합치면 개가 알겠다고 하는 것과 같아서인 듯 하다.
- 이 역에서 수서역까지는 3호선과 수인·분당선 모두 9분이 소요된다.
9.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f7c1c> 일산선 |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
서울 지하철 3호선 | 지축 - 구파발 - 연신내 - 불광 - 녹번 - 홍제 - 무악재 - 독립문 - 경복궁 - 안국 - 을지로3가 - 충무로 - 동대입구 - 약수 - 금호 - 옥수 - 압구정 - 신사 - 잠원 - 교대 - 남부터미널 - 양재 - 매봉 - 도곡 - 대치 - 학여울 - 대청 - 일원 - 가락시장 - 경찰병원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abe00> | |
서울숲 - 압구정로데오 - 강남구청 - 선정릉 - 선릉 - 한티 - 도곡 - 구룡 - 개포동 - 대모산입구 - 복정 - 가천대 - 태평 - 모란 - 야탑 - 이매 - 서현 - 수내 - 정자 - 미금 - 오리 - 죽전 - 보정 - 구성 - ## 구성 - 신갈 - 기흥 - 상갈 - 청명 - 영통 - 망포 - 매탄권선 - 수원시청 - 매교 - | ||
수원 - 고색 - 오목천 - 어천 - 야목 - 사리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 달월 - 월곶 - 소래포구 - 인천논현 - 호구포 - 남동인더스파크 - 원인재 - 연수 - 송도 - 인하대 - 숭의 - 신포 - | }}} ※ 볼드는 급행열차 정차역 (고색 ~ 죽전 구간) ※ 기울임체는 급행열차 정차역 (인천 ~ 오이도 구간)}}}}}}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분당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개정 전 34번. 현재 3호선의 34번은 금호역이 가져갔다.[2] 유치선이 있지만 독립문역처럼 주박하지 않고 수서기지로 들어간다. 이후 대화행 첫차시간대에 다시 출고되어 공차회송 후 이 역부터 운행한다.[3] 강남02, 406, 4433, 4435 등[4] 승강장이 지하 2층에 위치하고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기에 출구로 나오는 것이 훨씬 수월하다.[5] 양재역은 워낙 이용객이 많아 출퇴근 시간이라면 수많은 사람들로 인하여 신속히 나오기가 곤란하다.[6] 지하 4층이다.[7] 그 대신 도곡역의 회차&주박 선로용 용지의 여파로 바로 옆 대치역이 섬식이긴 하다.[8] 계단으로 내려가다 보면, 일부 계단과 계단 사이에 철문을 볼 수 있다.[9] 출근 시간대는 왕십리역부터가 환승역에서 시작하는 바람에 어림없게 되었다. 물론 선릉역 종착시절 때도 상황은 비슷했는데, 결론은 강남리 마을 전철만 아니었어도 이 역의 환승분담 효과는 상당했을 것이다.[10] 이름만 백화점이지, 그냥 큰 아파트 상가 정도로 보면 된다. 은행 및 부동산이 많이 입점해 있으며, 지하 식당가에는 VIPS가 들어와 있다.[11] 웨딩홀, 삼성물산 패션부문 본사 입주[12] 수인·분당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9월 3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3] 수인·분당선의 자료는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인용하였다.[14]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15] 정확히는 양끝 1량 길이의 벽이 있으며 중간 부분만 벽없이 트였다.[16] 열차는 가만히 있는데 스크린 도어가 혼자서 열리고 닫히고 열리고 닫히고를 반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