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7:32

분당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노선이 속한 수도권 전철 노선에 대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과거 이 노선이 속한 수도권 전철 노선에 대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분당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철도 노선에 대한 내용은 신분당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분당선/역 목록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운행 예정
}}}}}}}}}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선 인천 ~ 수원
(51.6km, 48.27%)
분당선 수원 ~ 왕십리
(52.9km, 49.49%)
경원선 왕십리 ~ 청량리
(2.4km, 2.25%)
역 목록 | 운행 계통(수도권 전철 수인선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역사 | 연장(오산지선) | 문제점 | 사건 사고
<colcolor=#fff><colbgcolor=#fabe00> 분당선
盆唐線 | Bundang Line
파일:분당선노선도.png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노선번호 318
노선명 분당선 (盆唐線)
종류 간선철도, 일반철도
광역전철
노선
전 구간
영업거리 52.9㎞
궤간 1,435㎜
역수 36
기점 왕십리역
종점 수원역[1]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
선로최고속도 100km/h
선로 구성 복선
개업일 1994년 9월 1일 수서오리
2003년 9월 3일 선릉수서
2004년 11월 26일 오리보정
2011년 12월 28일 보정기흥
2012년 10월 6일 왕십리선릉
2012년 12월 1일 기흥망포
2013년 11월 30일 망포수원
운영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1. 개요2. 상세3. 지선 철도4. 수도권 전철 분당선5. 연혁6. 역 목록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역경기도 수원시 수원역을 잇는 총 연장 52.9㎞의 철도다. 이 노선에 운용되는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가 있다.

2. 상세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84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8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20190422_101956.jpg
일산선 개통 당시 차내 노선도의 분당선 부분. 3호선과 비슷한 색깔로 되어 있다. 선릉~수서 구간은 미개통으로 '개포', '개포고', '영동' 이라는 공사역명이 적혀있다.

1990년대에는 노선색이 주황색이었지만, 현재 네이버 지도카카오맵 등에서도 분당선을 노란색으로 표기하고 있다.

분당선이라는 명칭과는 달리 역은 강남구에 더 많다. 강남구에 10개, 분당구에 7개의 역이 있으며, 성남시 전체로 넓히면 강남구처럼 10개의 역이 있다. 그리고 강남구를 지나는 지하철 중에서 강남구(다른 구와의 경계선 상에 있는 역 제외)에 가장 많은 역이 있다. 2호선은 4개(강남역서초구-강남구 경계에 있음), 7호선도 4개(논현역은 경계에 있음), 9호선은 5개(신논현역은 경계에 있음)이다. 3호선은 9개이나 신사역양재역이 경계에 있다. 양재역은 강남구와 서초구의 경계선 상의 역이지만 주소가 서초구이다. 만약 양재역을 강남구에 있는 역으로 포함시키면 10개이므로 분당선과 역 개수가 같을 것이다. 분당선/강남 구간 역 설치 논란 문서를 참고하면 좋다.

분당신도시를 잇는 수서 ↔ 오리 구간은 상당히 오래된 노선이다. 1994년에 건설되었으며 이는 2기 지하철들보다도 이른 시기에 건설된 것이다. 또한 1기 지하철 4개 호선을 제외한 지하철 중 가장 이른 시기에 건설된 노선이기도 하다.

노선의 이름답게 서울특별시분당신도시를 연계하는 노선으로 건설되었으며 '광역철도'로서 교류에 좌측통행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간이 지하이기에 이 노선은 전 세계 지하철 노선 중에서 상당히 보기 드문 교류 단일 급전 방식 노선이다. 일반적으로 교류는 직류에 비해 전압이 높으므로 절연 거리를 길게 갖춰야 하고, 이는 터널 면적이 더 커져야 함(공사비 상승)을 의미하기에, 지하철은 교류보다 직류가 더 적합하다. 물론 교류 저전압이면 상관없는 문제겠지만 교류는 고전압 변환을 통해 송전효율을 높이고자 채택하는 것이므로, 교류 저전압은 의미가 없다.

분당선이라는 명칭만 놓고 보면 분당 ↔ 서울을 빠르게 잇는 광역철도일 것 같지만 실제 역할은 도시철도에 가깝다. 특히 개포동 구간은 역이 너무 많아서 강남 3리 마을철도라 자주 비판받는다. 꼭 이 구간뿐만 아니라 다른 구간도 역간거리가 짧고, 최고속도가 80km/h로 낮으며 지하구간이 대부분인 이유로 대피선 등이 부족해 급행 운영에 제약이 많은 등 분당과 이남 지역과 서울을 고속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데는 실패했다.

그래도 분당선, 특히 왕십리 - 죽전 구간은 이용객이 꽤 많다. 이는 인구 밀집지역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역간 거리와 노선이 수원 도심 - 영통 - 용인 서부 - 분당 - 성남 도심 - 서울 강남 - 왕십리 간 구간수요를 뽑기에 적절하기 때문이다. 수원역의 불안한 치안이나 노후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품질을 우려해 수원에서 서울을 갈 때 그곳이 서울 어디건 분당선만을 고집하는 사람들도 있다. 강남에서는 우회 노선인 3호선이나 별도운임이 필요한 신분당선에 비해 분당선이 남북을 관통하는 거의 유일한 노선이고 성남시, 용인시, 수원시는 경기도 인구 순위 각각 4위(약 95만명), 2위(약 107만명), 1위(약 120만명)를 차지한다. 이는 분당선 최고 혼잡도가 2018년 기준으로 오전 8시대 하행선 강남구청 → 선정릉에서 182%#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역까지 최종 개통 후 성남~수원 간 수요가 상당히 많이 늘면서 흥하고 있다.

사실 성남/분당에서 수원으로 가는 대중교통편은 광역좌석버스인 수원 버스 2007, 수원 버스 4000, 성남 버스 4500이나 일반버스인 경기광주 버스 720-1, 경기광주 버스 720-2가 있는데, 포은대로용구대로교통 체증이 심하다. 대표적으로 풍덕천사거리~죽전역~오리역 구간. 광역좌석버스들은 배차간격이 길고 일반버스들은 수지, 분당 투어질을 일삼는데다, 자가용으로 1시간 이내면 갈 거리를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그보다 오래 걸렸다. 그런데 분당선의 최종 개통으로 선형이 직선은 아니지만 수원역까지의 소요시간이 성남 본시가지에서 약 50분~1시간, 분당에서 약 35분~50분 정도로 단축됐다. 또한, 용인시 서부의 난개발로 인한 도로 교통의 불편함 때문에도 성남~수원 간 수요가 많이 늘었다. 한편으로는 보정역 이남 지역의 용인 북서부와 영통에서 수원역으로 들어가는 교통편 또한 상당히 개선됐다. 보정역-상갈역이 있는 기흥구 지역은 신갈오거리로 나와 수원역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 가는게 일반적이다. 수원 버스 37처럼 수원역으로 한번에 가는 버스가 있으나, 배차간격은 10~15분 내외로 보통 수준이다. 그 외에도 수원 영통 ↔ 강남 수요도 꽤 보이고, 동수원, 용인, 성남 일대에서 서울 동북부로 갈 때도 좋은 노선이다.

환승처나 주택 지구, 상권을 다수 지나치다 보니 전 구간 수요보다는 일정 구간별 수요가 주를 이룬다. 아무리 수원역이나 죽전역에서 사람들을 한 가득 싣고 와도 이곳저곳에서 사람이 내리므로 자리를 차지하는 건 크게 어렵지 않다. 메인이라 볼 수 있는 분당 구간을 예로 들자면 신분당선 환승역인 정자역이나 AK플라자 분당점을 필두로 한 상권이 발달되어 있는 서현역,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이 있는 야탑역 등 많은 역에서 수시로 사람들이 내리고 타고를 반복한다. 수원시내 구간수요도 많다. 수원역청명역은 과거부터 버스 수요가 많았던 구간을 그대로 관통하기 때문에 수원 시내 단거리 이동을 하기 위해서도 분당선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다. 환승역이 별로 없고 이용객들이 대부분 구간 이동보다는 서울로의 왕래라 금정역부터 사당역 구간에서 웬만하면 절대 자리가 안나는 과천선과 대조적이다.

환승역은 왕십리역(2호선,5호선,경의·중앙선), 강남구청역(7호선), 선정릉역(9호선), 선릉역(2호선), 도곡역(3호선), 수서역(3호선), 복정역(8호선), 모란역(8호선), 이매역(경강선), 정자역(신분당선), 미금역(신분당선), 기흥역(용인 경전철), 수원역(1호선, 수인선)이다.
<rowcolor=#fff> 경기순환철도 계획
<row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0003047457_001_20170309094604537.jpg
<rowcolor=#fff> 경기순환철도
京畿循環鐵道 / Gyeonggi Circle Railway (가칭)
<rowcolor=#fff> 노선명 구간
서해선 선부역 ~ 소사역 ~ 대곡역
교외선 대곡역 ~ 의정부역
별내의정부선 의정부역 ~ 별내별가람역
별내선 별내별가람역 ~ 별내역 ~ 암사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암사역 ~ 복정역
분당선 복정역 ~ 수원역
수인선 수원역 ~ 한대앞역
선부~한대앞 직결선 한대앞역 ~ 중앙역 ~ 선부역
GTX C선
(순환 2선)
동두천역 ~ 의정부역 ~ 창동역 ~ 삼성역 ~ 금정역 ~ 한대앞역, 수원역
함께 보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F선
}}}}}}}}} ||

계획 중인 경기순환철도 노선 중 하나이다.

3. 지선 철도

노선번호 노선명 기종점 철도거리 역수
31801 분당기지선 오리역분당기지 2.3km 2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로 오산지선이 반영되었다.

4. 수도권 전철 분당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분당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연혁

연혁
연도 일자 연혁
1994년 9월 1일 수서오리 개통
1996년 11월 23일 복정 개업[2]
2003년 9월 3일 선릉수서 개통
2004년 1월 16일 이매 개업[3]
9월 24일 구룡 개업[4]
11월 26일 오리보정(임시역) 개통
2007년 12월 24일 죽전 개업
2011년 12월 28일 보정기흥 개통, 보정임시역 폐지
2012년 10월 6일 왕십리선릉 개통[5]
12월 1일 기흥망포 개통
2013년 11월 30일 망포수원 개통, 노선 전 구간 완공[6]
2020년 9월 12일 수원인천 분당선과 수인선 직결 운행

==# ARS #==
역명코드 한글 한자 로마자 비고
0836 파일:SBLine_icon.svg 왕십리 往十里 Wangsimni 정차(경원선)
파일:SBLine_icon.svg 서울숲 서울숲 Seoul Forest
파일:SBLine_icon.svg 압구정로데오 狎鷗亭로데오 Apgujeongrodeo
파일:SBLine_icon.svg 강남구청 江南區廳 Gangnam-gu Office
파일:SBLine_icon.svg 선정릉 宣靖陵 Seonjeongneung
0895 파일:SBLine_icon.svg 선 릉 宣 陵 Seolleung
0986 파일:SBLine_icon.svg 한 티 한 티 Hanti
0897 파일:SBLine_icon.svg 도 곡 道 谷 Dogok
파일:SBLine_icon.svg 구 룡 九 龍 Guryong
0898 파일:SBLine_icon.svg 개포동 開浦洞 Gaepo-dong
0899 파일:SBLine_icon.svg 대모산입구 大母山入口 Daemosan
0867 파일:SBLine_icon.svg 수 서 水 西 Suseo
0868 파일:SBLine_icon.svg 복 정 福 井 Bokjeong
0869 파일:SBLine_icon.svg 가천대 嘉泉大 Gachon Univ.
0870 파일:SBLine_icon.svg 태 평 太 平 Taepyeong
0871 파일:SBLine_icon.svg 모 란 牡 丹 Moran
0872 파일:SBLine_icon.svg 야 탑 野 塔 Yatap
0900 파일:SBLine_icon.svg 이 매 二 梅 Imae
0873 파일:SBLine_icon.svg 서 현 書 峴 Seohyeon
0874 파일:SBLine_icon.svg 수 내 藪 內 Sunae
0875 파일:SBLine_icon.svg 정 자 亭 子 Jeongja
0876 파일:SBLine_icon.svg 미 금 美 金 Migeum
0877 파일:SBLine_icon.svg 오 리 梧 里 Ori
0745 파일:SBLine_icon.svg 죽 전 竹 田 Jukjeon
파일:SBLine_icon.svg 보 정 寶 亭 Bojeong
파일:SBLine_icon.svg 구 성 駒 城 Guseong
파일:SBLine_icon.svg 신 갈 新 葛 Singal
파일:SBLine_icon.svg 기 흥 器 興 Giheung
파일:SBLine_icon.svg 상 갈 上 葛 Sanggal
파일:SBLine_icon.svg 청 명 淸 明 Cheongmyeong
파일:SBLine_icon.svg 영 통 靈 通 Yeongtong
파일:SBLine_icon.svg 망 포 網 浦 Mangpo
파일:SBLine_icon.svg 매탄권선 梅灘勸善 MaetanGwonseon
파일:SBLine_icon.svg 수원시청 水原市廳 Suwon City Hall
파일:SBLine_icon.svg 매 교 梅 橋 Maegyo
0003 파일:SBLine_icon.svg 수 원 水 原 Suwon 고속(경부선만)
정차(경부선만)

6.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당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003990; border-right: 10px solid #003990"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3990,#ddd><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인사
여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정책 및 방향 신경제 5개년 계획 · 금융실명제 · 고용보험제 · 역사바로세우기 (12.12 군사반란 · 5.18 민주화운동 재조사 ·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하나회 숙청 · 지방자치제 재실시 · 농어촌특별전형 · 대학수학능력시험 · 금모으기 운동
평가 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 논란이 있는 평가
타임라인
1993년 역사바로세우기 운동 · 하나회 숙청 · 신경제 100일 계획 발표 · 구포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 ·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 · 한총련 출범 ·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 한강 영화촬영 헬기 추락 사고 · 소말리아 평화유지군 파병 · 신경제 5개년 계획 확정 시행 · 율곡사업 비리 사건 ·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 1993 대전 엑스포 · 금융실명제 실시 · 우리별 2호 위성 발사 · 제1회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시 · 정부 제3청사 착공 ·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 쌀 시장 개방 파동
1994년 1994년 재보궐선거 · 교육개혁위원회 구성 · 북미 제네바 합의 · 서울불바다 망언 · UR비준 반대시위 · 1994년 주사파 파동 · 1994년 폭염 · 대한항공 2033편 활주로 이탈 사고 · 지존파 사건 ·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 · 성수대교 붕괴 사고 · 충주호 유람선 화재 사건 ·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 분당선 개통 · 환경부 개청
1995년 WTO 가입 · 도농복합시 제도 실시 · 쓰레기 종량제 실시 · KEDO 설립 · 영광 원전 3, 4호기 가동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출범 ·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 1995년 한국통신 파업 사태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 지방자치제 전면 실시 · 부동산 실명제 실시 · 고용보험제 실시 · 씨 프린스호 좌초사고 · 무궁화 1호 위성 발사 · 조선총독부 철거 ·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 중앙고속도로 일부 개통 · 광주비엔날레 개최 · 노태우 비자금 사건 · 앙골라 평화유지군 파병 ·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 민주노총 출범 · 도로명주소 시범사업 · 금산분리 도입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5.18 특별법 국회 통과
1996년 무궁화 2호 위성 발사 · 일산선 개통 · 국민학교초등학교 명칭 변경 시행 · 중소기업청 설립 · 노수석 사망 사건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이철수 대위 미그기 귀순 · 산아제한 인구정책 공식 폐지 의결 · 2002 월드컵 한·일 공동 개최 확정 · 무함마드 깐수 간첩 사건 · OECD 가입 · 해양수산부·해양경찰청 개청 · 연세대 사태 · 페스카마호 선상 살인 사건 · 강릉 무장공비 침투 사건 · 최덕근 영사 피살 사건 · 막가파 사건 · 노동법 날치기 · 전두환 사형, 노태우 무기징역 선고
1997년 당산철교 철거 ·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 · 신창원 탈옥 사건 · 한보 사태 ·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 황장엽 망명 사건 · 이한영 암살 사건 · 청소년보호법 제정 · 이태원 살인 사건 · 공덕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 청주국제공항 개항 · 이종권 치사 사건 · 이석 치사 사건 · 울산 광역시 승격 ·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 1997년 재보궐선거 · 청소년보호법 파동 · 박초롱초롱빛나리 유괴 살인 사건 · 한일어업협정 · 최정남·강연정 부부간첩 사건 · 외환 위기 발생 · IMF 구제 금융 신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 · 제15대 대통령 선거 · 전두환, 노태우 특별사면
1998년 금 모으기 운동 · 노사정위원회 출범 · 금속노조 출범 · 김훈 중위 사건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김영삼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김영삼 참고
}}}}}}}}}}}}





[1] 실질적으로는 바로 다음 역인 고색역에서 운행계통 분리가 이루어진다.[2] 수서역경원대역 (지금의 가천대역) 사이이다. 1994년 분당선 개통 시기에 이미 완공했지만 8호선 환승연계로 인해 연기된 것이다.[3] 야탑역서현역 사이이다. 수도권 전철에서 최초로 터널 한복판에 지어졌다. 이는 2005년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1호선동묘앞역서울 지하철 2호선(성수지선)의 용두역과 같은 사례이다.[4] 도곡역개포동역 사이이다. 건설비용을 대주기로 약속했던 강남구청의 공사비 조달 차질로 인해 개통이 늦어졌다.[5] 왕십리역 연장 이전에는 한국철도공사 소속 다른 노선과 만나지 않았다.[6] 동시에 국토해양부 고시 2013-585호에 따라 철도거리표가 변경됐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