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9:47:29

신도림역

신도림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구 로
1.1 ㎞ →
영등포
← 1.5 ㎞
1호선
경인선 급행
1호선
경인선 특급
1호선
경부선 급행 A
영등포
← 1.5 ㎞
구 로
1.1 ㎞ →
1호선
광명셔틀
시종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GTX-B
건설 중
}}}}}}}}} ||
역명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신도림
Sindorim
新道林 / [ruby(新道林, ruby=シンドリム)]
1호선
2호선 }}}}}}}}}
주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1호선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688 (신도림동 460-26)
2호선
서울특별시 구로구 새말로 지하117-21
(신도림동 460-26)
}}}}}}}}}
관리역 등급 및 소속 영업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보통역 / 3급
(구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2호선 당산영업사업소 신도림역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
}}}}}}}}} ||
운영 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2호선 서울교통공사
GTX-B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1984년 5월 22일
1호선
2호선
GTX-B 2030년 예정 }}}}}}}}}
역사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지상 1층
2호선 지하 2층 }}}}}}}}}
승강장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3면 6선 복합식 승강장
2호선 3면 4선 쌍상대식 승강장 }}}}}}}}}
철도거리표
경부선
신도림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
6.1. 1, 5, 6번 출구6.2. 2, 3, 4번 출구
7. 사건 사고8. 매체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도시철도역 중 이용률이 단연 돋보이는 분주한 역
신도림역은 지하철 1호선의 개통과 함께 서울과 인천, 서울과 수원을 잇는 역으로 이용되다가 1984년 서울지하철 2호선의 개통과 함께 주요 환승역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인천행과 천안행의 급행 전동 열차가 운행되면서 철도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지하1층의 2면 4선의 승강장을 갖춘 역사였으나 이용객이 증가하면서 상행선 승강장 등을 증설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내 도시철도역 중 이용률이 단연 돋보이는 분주한 역이다. 특히 압도적인 환승 인구를 자랑하는데 서울은 물론 인천, 부천, 안양, 군포, 의왕, 수원, 광명 등의 지역 주민들이 환승을 위해 거쳐 가는 역이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1]

2. 역 정보

파일:신도림역 안내도(2023.7).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1984년 5월 22일 2호선 개통과 함께 서울 - 수원/인천 전철(1호선)과 2호선의 역으로 개업하였으며 대한민국 최초로 개통 당시부터 환승역인 역이다. 원래는 영등포역에서 직접 1·2호선 환승을 하려 했고 구자춘 당시 서울특별시장이 계획한 원안에 있었으나, 당시에는 대규모 선로와 시설[2]이 있는 영등포역의 지상에는 영향이 없이 온전히 굴착할 기술이 부족해서 이 방안은 폐기되었다. 1977년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보용으로 제작된 영상에는 구로역에서 환승하는 것으로 노선이 안내되는 것으로 보아 구로역 환승안도 있던 것으로 보이며[3], 최종적으로 영등포역-구로역 사이에 1·2호선간 환승역을 신설하는 것으로 결정되어 신도림역이 만들어졌다.

1983년 6월 30일 역의 이름이 문래역으로 정해졌고[4] 지금의 문래역은 원래 문래3가역이 될 예정이었으나, 같은 해 10월 17일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5] 역명은 이 역이 위치한 신도림동에서 왔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환승객이 많은 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역은 언제나 혼잡하고 그래서 붙여진 별칭이 '헬도림'(hell(지옥)+신도림)이다.

대한민국 최초로 통근형 전철 지상역↔지하역 간 환승역이다.

2호선 본선 역 중에서 가장 서쪽에 있다. 가장 동쪽에 있는 역은 잠실나루역이다.

1호선 측의 선상역사가 신설되어 주소가 달라졌다. 행정자치부에서는 주소가 이미 변경되었으며, 2015년 6월 1일부터 고시됐다.

2.1.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AKR20150518130900004_01_i.jpg
현 1호선 역사(2015년 준공)
1974년 1호선 초기 개통 때는 없다가 2호선 환승을 목적으로 2호선 개통과 함께 1호선 선로상에도 생긴 역이며 그런 이유로 전역인 구로역에서 700m 앞에 있다. 구로역을 빠져나오자마자 서행하다가 1분 후에 안내방송이 들릴 정도로 간격이 짧다. 이는 완행열차 선로의 굴곡이 상당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특히 경부선 계통(경부2선)의 상행 열차의 속도 제한이 가장 강력하게 걸려있다. 이 속도 제한이 해제될 때 즈음에 이미 열차는 신도림 지하차도 위를 지나고 있는 시점이며, 여기서 신도림역까지 200m가 채 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구로역에서 신도림역까지는 제대로 된 가속을 하지 못한다. 또한 신도림역의 상행 완행 승강장인 1번 승강장이 다른 승강장에 비해 구로역에 가깝게 지어진 탓도 있다. 반면 하행 열차는 이런 제한에서 비교적 여유로워 구로역 진입 속도가 빠르며, 같은 상행선이라도 급행선으로 달리는 동인천급행/특급이나 광명셔틀 열차는 큰 문제없이 신도림역으로 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출퇴근 시간에는 신도림역 승하차 지연도 있고, 이곳이 경부선과 경인선 계통의 실질적 합류 지점이 되기 때문에 이런 선로 사정이 없더라도 열차가 원활히 달리기 어려운 구간이다.

1호선 경인/경원선과 경부/장항선의 공용 구간(연천-구로 구간)에서 하행(인천/서동탄·신창 방향) 열차를 잘못 탔을 경우 또는 구로행 열차를 탔을 경우 이 역이 환승 가능한 사실상 마지막 역이다. 다음 역인 구로역에서 환승할 경우 계단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 역인 구로역을 마지막으로 부평행, 인천행 열차는 구일역으로, 병점행, 서동탄행, 천안행, 신창행 열차는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갈라져 나간다. 전동차 내 안내방송으로도 신도림역 도착 전 이 내용을 방송한다.

2.1.1. 혼잡 문제

1984년 첫 개통 때는 지금의 1호선 급행 전철선에만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었다. 현재의 2번 승강장이 청량리·성북 방면(상행), 3번 승강장이 인천/수원 방면(하행) 승강장이었다. 그러나 역 개설 초창기부터 몰려드는 인파에 역이 터져나갔던 모양이다. 그 때의 기사를 보면 '하루 15만 명 수용 가능한 역 시설에 50만 명이 몰렸다'와 같은 기사가 있을 정도이다.


1990년 7월 5일 뉴스데스크카메라 출동」에 담긴 모습이다. 1호선 신도림역은 게이트를 통하지 않고 담을 넘나드는 이용객이 매우 많았다. 담을 넘어 들어오는 이용객은 없고 모두 나가는 이용객이며 이들은 이미 요금을 내고 탔다고 주장하지만 승차권을 보여달라고 하니 무임승차 때문에 보여주지 못한 승객들도 있었다. 이렇게 담을 넘나드는 근본적인 원인은 유동인구에 비해 게이트 수가 너무 적고 혼잡도가 매우 심해 통과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렸기 때문이다. 이는 환승수요 예측 실패와 신도림역의 구조적인 문제 때문인데, 이 때에는 승강장이 영등포역 쪽에 치우쳐져 2호선과 T자 구조를 이루고 있어, 1호선 신도림역 승강장에서 나가는 계단(출구로 나가는 길 겸 서울 지하철 2호선 환승통로)이 모두 구로역 방면 끄트머리에 하나만 있었다. 그래서 모든 승객이 승강장 끝으로 몰릴 수밖에 없던 것이다.

처음에는 승강장 길이를 늘리고 열차를 엇갈려서 정차시키는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했다. 그러나 이 시도는 실패했는데 승강장 길이를 늘려도 빠져나가는 계단은 그대로이니 혼잡은 그대로였다. 거기다 얼마 가지 않아 6량 편성이던 열차가 10량 편성으로 바뀌며 이용객이 늘어 혼잡은 더욱 가중되었다.

1991년에 영등포-구로 간 3복선화 공사를 하면서 기존의 상대식 승강장을 2면 4선식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개조하였다. 이와 동시에 승강장 길이를 구로역 쪽으로 크게 늘려 2호선 환승통로를 추가로 하나 더 개설하여 혼잡 완화를 노리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넘쳐났다. 전성기의 신도림역 1호선 승강장은 여차하면 기다리던 승객이 몇 명쯤 선로로 떨어질 듯할 만큼 혼잡했다. 그리하여 영등포 방면 완행 선로 옆으로 승강장 하나를 더 만들어서 이쪽으로 수요를 분산시켰다. 이게 지금의 1번 승강장으로, 1996년에 착공해 1997년 말에 완공했다. 1번 승강장은 다른 승강장들에 비해서 폭도 넓고, 계단이 하나 뿐이지만 그 폭이 매우 크다. 이 1번 승강장은 다른 승강장에 비해 구로역 쪽으로 치우쳐져 있는데 현재 디큐브시티 자리가 원래 대성산업의 연탄공장이 있던 곳으로, 철도로 수송한 석탄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가 있었고, 그 저장소로 연결된 선로를 피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이 선로는 2013년까지 남아 있었는데, 디큐브시티가 들어서고도 남아있었으나 임시육교를 설치하기 위해 철거되었다.

이런 노력 때문에 1호선 신도림역은 완행과 급행은 물론이고 상하행의 정차 위치까지 전부 어긋나 있다. 신도림역 4개 승강장에 열차가 모두 들어왔을 때, 열차 네 대가 가지런히 정렬된 형태가 아니라 하나는 영등포쪽으로, 다른 하나는 구로쪽으로, 다른 하나는 그 중간, 이런 식의 형태가 된다.

1번 승강장을 제외한 신도림역 승강장을 보면 열차 길이에 비해서 승강장이 지나치게 긴 것을 볼 수 있는데 승강장이 영등포역 쪽으로 치우쳐 있던 흔적이다. 나중에 구로역 쪽으로 승강장 길이를 늘리면서 영등포역 쪽 승강장 부분은 방치되었는데, 1호선 신도림역 역사 신축공사 때 승강장 일부를 폐쇄하면서 이 부분에 임시육교를 설치하고 다시 사용한 적이 있으며 경부선 ITX-청춘을 그 부분에 정차시켰던 적도 있다. 구로역과의 거리가 가까운 이유 중 하나가 이것이다.

1번 승강장의 선로는 2번 승강장과도 바로 맞닿아 있다. 승객들의 혼동을 유발할 수 있고 2번 승강장의 혼잡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어 2번 승강장과 맞닿은 곳은 막아두었다. 개봉역처럼 여차하면 내릴 수 있게 쇠사슬로만 막아둔 게 아니라 고정된 철책을 세워두어서 이쪽으로 문이 열릴 일은 없다.

2017년 5월 1일부터 운행되는 경부선 ITX-청춘의 필수 정차역이 되면서 역이 건립한 지 33년 만에 일반 여객열차가 정차하는 역이 되었다. ITX-청춘은 1호선 급행선로로 운행하였기 때문에 1호선의 3,4번 승강장을 사용하였으며 정차 장소는 전동열차가 전혀 서지 않는 영등포역 쪽으로 뻗어있는 유휴 플랫폼에 정차하다가 그 승강장에 문제가 발생해 1호선 전동열차와 같은 위치에 정차하였다. ITX-청춘은 저조한 수요로 2018년 3월 23일부로 운행을 중단하여 현재는 일반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대체 경로가 많이 생긴 현재까지도 1호선 상행은 신도림역까지 5호차에만 승객이 몰린다. 5-1과 5-2 문이 환승통로 계단 바로 앞에 있기 때문이다. 승강장을 따로 쓰는 경인선 계열 급행과 특급, 광명셔틀은 몰리지 않는다.

2.1.2. 선상역사

1호선 신도림역은 2호선과의 환승을 위해 지어진 역이라 2015년도까지도 1호선 신도림역은 맞이방과 출구가 따로 없이 2호선과 같이 사용하였고, 1호선의 매표 및 개찰 업무도 서울메트로가 담당했다.

한국철도공사는 2호선 신도림역 맞이방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1호선 신도림역 신역사를 건설하였다. 1호선 승강장 위를 가로질러 1호선 역사를 짓고, 지하로는 테크노마트 - 신도림역 - 디큐브시티 - 푸르지오를 잇는 지하통로를 만들었다. 이 역사는 2013년에 공사를 시작해 2015년 5월에 완공되었다.[6] 선상역사 개통과 함께 1호선 승강장에 설치된 기존의 노후된 안내표지와 역명판을 신형으로 교체하였다.
파일:attachment/shindolim_pic.jpg [[파일:attachment/sindorimsinyeoksa.png|width=100%]}
당초에 알려진 신도림역 신역사 조감도 2013년 2월 14일 다시 나온 신도림역 신역사 조감도
파일:external/biz.newdaily.co.kr/art_1432186051.jpg
파일:신도림역1.jpg
새로 완공된 신도림역 역사
선상역사 공사에 따라 2013년 2월 16일부터 한동안 급행 승강장 계단이 없어지면서 전술하였듯이 영등포 방향에 1호선 각각의 승강장을 연결하는 임시육교가 가설되었고 급행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은 소요산 방면 1번 승강장, 인천/신창 방면 2번 승강장을 통해 우회하도록 하였고, 급행열차를 타고 내리는 승객들이 다른 승강장으로 우회하면서 한동안 두 배 이상으로 혼잡했다가 재개통되었다.
파일:attachment/hellgate.jpg
공사 중 우회 안내판
공사가 더 진행되면서 11월 16일부로 인천/신창 방면 2번 승강장으로 가는 2개의 계단 중 영등포 방향 계단이 폐쇄되었다. 하지만 나머지 한 개의 계단 만으로는 버틸 수가 없어서 혼잡 시에는 그나마 계단이 큰 소요산 방면 1번 승강장을 통해 전술한 임시육교로 우회토록 하고 있었다. 하지만 2호선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는 입장에서는 일단 지하 1층 2호선 맞이방으로 나오는 길에도 에스컬레이터가 거의 없다시피 하고, 상행전용 3대가 있는데 1호선 가는 길목에는 한 대 뿐이었으며 그것도 2호선 문래 방향 끝부분에서 내려야 시야에 들어온다. 게다가 거기서 지상 1층 1호선 승강장까지 또 무지막지한 계단을 지나 1번 승강장까지 올라간 후 영등포 방향 승강장 끝까지 우회하여 또 다시 에스컬레이터 없는 육교를 올라갔다 내려와서 2번 승강장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했다. 그나마 2014년 8월경에 폐쇄된 계단이 다시 복구되며 그러할 필요가 없어졌다.

1호선 출구는 3개가 있다. 4번 출구는 새말로에 접해 있고, 5번 출구와 6번 출구는 각각 경인로 디큐브시티 방향, 경인로 도림교 방향으로 나 있다.

이 선상역사가 상당히 묘한 위치에 있어 이용객이 많지 않은 데다가, 엘리베이터와 계단 구조물이 플랫폼을 점유하면서 좁은 플랫폼을 더 좁게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선상역사에서 2호선으로 가려면 무조건 1호선 승강장을 지나야 한다는 점이 발목을 잡고, 특히 급행 승강장은 지상역사로 올라가는 계단 바로 앞에 엘리베이터가 있어 상당히 혼잡하다.

2.2. 서울 지하철 2호선

파일:xx6jnVc.jpg
개통 초기의 2호선 신도림역 본선 승강장
파일:2000_2015112204242048263.jpg
개통 전의 신도림역 및 플랩식 행선기 급행은 무시하자[7]

2호선 신도림역은 지하 1층의 넓은 대합실 및 환승통로와, 지하 2층의 3면 4선식 승강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선은 중앙에 있는 섬식 승강장을 사용한다. 좌우 양 끝의 상대식 승강장은 신정차량기지를 염두에 두고 미리 만들어둔 것으로 개통 때는 사용하지 않다가 신도림-까치산신정지선이 개통되면서 신정지선을 3번 승강장에서 처리하고, 4번 승강장에서는 출·퇴근 시간에 신정차량기지에서 출고되는 신도림역 출발 열차를 일부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본선을 위한 승강장이 1·2번 승강장, 즉 가운데의 섬식 하나뿐이라서 수요를 따라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구조개선 공사를 하였다. 평일 출퇴근 시간에 열리는 4번 승강장을 넓혔고, 3번 승강장에 계단을 추가로 만들었다. 또한 2호선 외선에서 4번 승강장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건넘선을 신설해 외선 신도림역 종착 열차를 신정기지 출고 열차와 함께 4번 승강장에서 처리하고 있다.[8] 기존에 2번 승강장에서 승객이 내리느라 본선을 오래 점유하며 지연을 일으킬 수 밖에 없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었다. 출퇴근 시간 때에 이곳에서 출고열차를 타면 조금이라도 쾌적하게 자리에 앉아갈 가능성이 높다.

단, 4번 승강장은 사용 시간[9] 이외에는 불을 모두 끄고 하차 전용 승강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런 탓에 저녁 퇴근시간 대부분의 외선 출고열차는 신도림역에서 승객을 받지 않는다.[10]

이 역에서 시종착하고 심야 시간대 구내 플랫폼에 주박하는 2호선 첫차와 막차가 양방향 모두 1대씩 존재한다. 입출고 승강장인 3,4번 승강장이 아닌 본선 1,2번 승강장에 종착하고 그대로 주박 후 첫차로 다시 순환 운행을 시작한다. 그래서 첫차가 영업을 개시하기 전에는 입출고 승강장(3, 4번)이 아닌 1,2번 승강장에서 미리 문을 열고 있다가 바로 본선 영업을 들어간다.

위처럼 승강장이 4개가 있고, 신도림에서 종착하는 내/외선 열차의 경우 이 역에서 영업을 종료하고 3번 내지 4번 승강장에서 승객을 내린 뒤 신정차량기지로 들어가기에 신도림행 종착열차는 적어도 두 세 역 전부터 기관사가 안내방송을 한다. "우리 열차의 종착역인 신도림역의 경우, 도착하는 승강장이 (본선이 아니라서) 계단을 오르내리는 불편이 있으므로, 전역/전전역인 OO역에서 내리신 뒤 다음 열차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방송한다.

2호선 승강장에서 맞이방으로 올라가는 계단 4곳 중 2곳에는 각각 2인용 에스컬레이터가 2개씩 설치되어 있는데, 모두 올라가는 방향 전용이다. 이는 출근시간대에 인천, 천안 방면에서 온 승객들이 2호선으로 갈아타기 위해 내려오면서 올라오는 환승객들을 숫자로 누르면 내려는 가는데 올라오지는 못하면서 좁은 지하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압사와 같은 만일의 사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바쁜 시간대에 역무원이나 사회복무요원이 다른 일을 보는 사이에 끄고 뛰어 내려가는 이용객이 있다고 한다. 2012년 여름 공사를 통해 문래역 방향 쪽으로 나있는 2대의 에스컬레이터 중 노후된 3호기는 신형으로 교체되었고 4호기는 급한 일 있는 승객들이 걸어 갈 수 있도록 철거되었다.

승강장 밑으로도 2호선 각 승강장으로 갈 수 있는 환승통로가 있다. 신정지선으로 갈아탈 때에는 이 통로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일반적인 때에는 다른 통로보다 이용객이 적지만 신정지선이나 내선 종착 열차가 3번 승강장에 도착하면 이 통로 또한 갑자기 이용객으로 넘친다. 3번 승강장에서 이 통로로 내려가는 계단의 폭이 매우 좁기 때문이다. 특히 회송 열차 도착 시에는 3번 승강장에서 까치산행을 기다리는 승객, 1호선을 타거나 출구로 나가려고 계단을 올라가려는 승객, 2호선 본선으로 갈아타려고 내려가려는 승객, 본선에서 신정지선으로 갈아타려는 승객에다 평소와 다른 곳에서 갑자기 내리다보니 어딘지 몰라서 헤매는 승객들까지 교착해 몇분씩 승객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일어난다.

을지로순환선 본선 열차에서 성수지선 환승 안내방송과 달리 신정지선 환승 안내방송을 할 때 5호선 환승 안내방송을 하지 않는다. 5호선을 이용하기 위해 신정지선으로 갈아타는 것은 승강장을 오르내린 뒤 10분마다 있는 까치산행 신정지선 출발을 기다린 뒤 신정지선 끝까지 다섯 정거장을 거쳐 까치산으로 가야 하므로 20분은 훨씬 넘으므로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며, 바로 다다음 역인 영등포구청역에서 편리하게 5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기 때문이다.

1호선 용산급행 기준으로는 5-4번 문에서 내리는 것이, 2호선 내선순환(문래 방향) 기준으로는 2-3번 문에서 내리는 것이 갈아타기에 가장 빠르다.

2호선 대합실에 연결된 출구는 1번, 2번, 3번이다. 1번 출구는 큰길인 경인로에 접해 있고, 2번 출구와 3번 출구는 새말로 방면에 접해 있다. 1번과 2번 출구는 개통 때부터 있었고 3번 출구는 2009년에 추가된 출구로 신도림 테크노마트 측에서 테크노마트 지하로 연결되는 통로를 뚫으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 출구는 서울특별시의 허가 없이 굴착을 해서 서울특별시와 서울메트로(현 서울교통공사), 테크노마트 쪽에 분쟁이 생겨서 만들어 놓고도 막혀 있어 이용할 수 없었는데, 2013년에 운영을 개시하였다. 2011년에는 디큐브시티가 1번 출구 인근에 공원을 조성하면서 출구 인근을 반지하 성큰광장(디큐브파크 광장)으로 만들어 모습이 크게 바뀌었고 디큐브시티 지하와의 연결통로도 만들어졌다.

2호선 신도림역은 일반적인 출구 번호 매기기 공식을 따르지 않은 역이다. 출구 번호는 기점 방향의 출구를 1번으로 매긴 후, 1번 출구로부터 시계방향대로 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현재의 2번이나 3번 출구가 1번 출구가 되어야 한다. 이렇게 된 것은 2번 출구 자리는 지난날 공장 건물만 많은 뒷골목이었고, 1번 출구는 경인로와 접해 있어 1번 출구의 이용객이 훨씬 많았기 때문이다. 접근이 더 쉽고 이용객도 더 많은 쪽이라고 번호를 반대로 붙인 것이었다.

이 역과 도림천역 사이 신정지선 구간에는 급곡선 구간이 있어 속도가 신도림역 4번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남측 선로의 경우 60km/h, 3번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북측 선로의 경우 45km/h로 제한되어 있어 운행이 느리다.

환승띠에 방화역이 적혀 있다.
파일:2호선방화역.jpg

2.3. 환승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도림역/환승 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도림역은 한국의 전철역 중 가장 환승객이 많은 역이다. 환승통로는 비교적 합리적으로 설계됐지만, 환승객이 너무 많아 출퇴근시간대에는 갈아타기가 힘들다.

3. 역 주변 정보

신도림역은 환승을 위해 만든 역이고, 주변 지역은 별 볼일이 없는 공장지대였다. 하지만 주변의 공장지대가 재개발되어 2007년에 신도림 테크노마트가, 2011년에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이 각각 문을 열면서 나름대로 유동 인구를 확보한 역이 되었다.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도림역 출구 정보
1, 5, 6번 출구
1 경인로
신도림역광장
신도림동우체국
디큐브시티
서울남부지방법원 등기국
구로세무서
5경인로
신도림동우체국
디큐브시티
신도림아이파크
하나로마트 신도림점
6경인로
서울남부지방법원 등기국 / 구로세무서
에이스하이테크시티
7

경인로에 접한 1, 5, 6번 출구는 경인로 중앙차로 정류장과 디큐브시티, 홈플러스 신도림점 등이 있다.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영등포, 여의도, 구로, 광명 등으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

2011년, 테크노마트 맞은 편에 대성산업이 디큐브시티라는 오피스, 백화점, 호텔, 아파트가 어우러진 대형 쇼핑몰을 완공했다. 원래 대성산업의 연탄공장이 있던 곳이었으나 석탄산업 사양화로 연탄공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지은 건물이다. 옛 연탄공장으로 들어가는 인입선은 2013년 철거되었다. 후술할 공원 한 구석에 당시 석탄공장에서 사용된 기계들과 석탄들이 전시되어 있다. 한편 디큐브시티에 있는 백화점은 2015년부터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으로 바뀌었다.

나가는 길에 공원이 있는데 이 공원은 디큐브시티 측에서 짓고 시에 기부채납한 공원이다. 노점상들이 이곳에서 영업하자 2011년 11월 디큐브시티 측에서 강제로 철거를 시킨 적도 있다. 노점상들은 '두 시간 밖에 영업을 안 하는 생계형 노점인데 철거는 너무하지 않냐'라고 항변했지만 디큐브시티 측이 지어서 시에 기부채납한 것이고 관리권도 갖고 있으니 법리적으로는 노점상들이 영업권을 침해한 것이다. 현재는 나무로 계단 쉼터를 만들어 공원을 더욱 쾌적하게 이용하도록 만들었다.

신도림역이 터져나가는 만큼 바깥에 있는 경인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신도림역 정류장도 터져나간다. 특히 심야에는 1호선 운행이 뜸하거나 종료되는 만큼 죄다 버스 환승수요로 몰려들어 정류장을 가득 메울 정도이다. 덩달아 디큐브시티 개장으로 인해 더더욱 인파가 몰리고 있다. 타고 내리는 승객이 많다 보니 버스들도 기본으로 신호대기를 한 번 하고 승객들을 더 태우고 간다. 물론 앞차에서 승객들이 계속 타고 내리느라 강제로 신호대기를 하는 뒷차도 있다. 부천 88번, 160번, 600번, 6637번 등의 버스들은 가축수송을 하고 간다.

이 정류장은 현재 경인로 중앙버스전용차로에서 유일하게 추월차로가 설치된 정류장이다. 하지만 신도림역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고 내리는 승객이 많기 때문에 정류장을 지나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물론 88번 등이 막고 있다면 추월할 수 있으니 쓸모없지는 않다.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도림역 출구 정보
2, 3, 4번 출구
2도림천
3테크노마트
구로거리공원
신도림역 헌혈의집
4디큐브시티
도림천

대림역, 대방동 등으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으며, 택시 승강장도 있다. 출입구가 상당히 넓다.

지하철에서 테크노마트 출입구로 들어오기 전 왼쪽에 이마트로 직접 내려가는 에스컬레이터가 운행 중이며, 중앙 엘리베이터 14번부터 23번 엘리베이터가 이마트까지 운행 중이다.

4번 출구는 1호선 역사와 바로 연결되는 출구는 위치에 있어서 이용하는 승객이 매우 적다. 2, 3번 출구와 달리 에스컬레이터가 있다.

헌혈의 집도 있는데 규모는 매우 작다. 근래에는 구로미래도서관이 개장했다.

현재 6번 출구 하부에 1호선 1번 승강장과 연결되는 바로타 구조의 7번 출구 개통이 예정되어 있으나 출구 인근 횡단보도 및 신호등 설치로 인해 개통이 지연되고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84d><bgcolor=#00a84d>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2_icon.svg ||<bgcolor=#00a84d> 총합 ||<bgcolor=#00a84d>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4년 8,325명 85,571명 137,770명
1995년 84,553명
1996년 76,395명
1997년 68,454명
1998년 67,849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74,174명 비고
2001년 75,600명
2002년 74,562명
2003년 72,267명
2004년 73,930명
2005년 77,101명
2006년 78,692명
2007년 82,044명
2008년 96,138명
2009년 103,930명 }}}}}}}}}
2010년 단독
개찰구
없음
107,767명
2011년 117,425명
2012년 125,671명
2013년 130,389명
2014년 135,357명
2015년 7,091명 130,679명 137,770명 [11]
2016년 7,587명 126,079명 133,666명
2017년 7,989명 122,269명 130,258명
2018년 7,825명 119,414명 127,239명
2019년 8,325명 118,082명 126,407명
2020년 6,582명 83,017명 89,599명
2021년 6,802명 80,554명 87,356명
2022년 7,451명 88,022명 95,473명
2023년 7,511명 94,988명 102,499명
2024년 98,023명
출처
파일:Seoulmetro1_icon.svg: 서울열린데이터광장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교통공사 자료실[12]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140_신도림_20230517_청동새.jpg
1호선 역명판 (2번 승강장)[철거]
파일:신도림역 1호선 승강장.jpg
1호선 승강장 (1번 승강장, 안내 표지 개정 전)

3면 4선의 쌍섬+상대식 승강장이다. 1~2번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2010년 말에 설치되어 운용 중에 있다. 3-4번 승강장은 2018년 10월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2번 승강장은 1번 승강장 자리에서도 탈 수 있으나 막아 두었다.
영등포
1 2 3 4
구로 광명·안양
1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완행
경원선 급행
서울역·광운대·의정부·연천 방면
2 완행
경부선 급행
인천·서동탄·천안·신창 방면
3 광명행
경인선 급행·특급
영등포·용산 방면
4 광명행
경인선 급행·특급
동인천·광명 방면
노선 및 방면 출입문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완행 (연천·광운대역·청량리 방면)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 지하역사(1~3번 출구)
5-1
→ 지상역사(4~6번 출구)3-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완행·경부선 급행 (인천·신창 방면)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 지하역사(1~3번 출구)
2-3, 6-2
→ 지상역사(4~6번 출구)4-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경인선 급행·광명셔틀 (영등포·용산 방면)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 지하역사(1~3번 출구)
8-3[광명셔틀]
→ 지상역사(4~6번 출구)8-4[광명셔틀]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경인선 급행·광명셔틀 (동인천·광명 방면)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 지하역사(1~3번 출구)
3-2, 6-1[광명셔틀]
→ 지상역사(4~6번 출구)4-4

5.2. 서울 지하철 2호선

파일:신도림역승강장.jpg 파일:신신도림역역명판.jpg
2호선 본선 승강장 2호선 본선 역명판
파일:234_신도림_신정지선_20220611_완.jpg 파일:신도림신정지선스도.jpg
2호선 신정지선 역명판 2호선 신정지선 스크린도어

3면 4선식의 쌍상대식 승강장이다. 한동안 중간의 본선 승강장(1~2번 승강장)에만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역 확장공사가 완료되어 신정지선 및 입출고열차 승강장(3~4번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를 설치했다. 신도림역 본선 승강장에서 약 1~2분 간격으로 위에서 진동음이 들리는데, 이는 위에 KTX나 일반열차 등이 신도림역을 빠르게 통과하는 소리이다. 2호선 신도림역 1~2번 승강장 스크린도어는 2006년에 설치되었고 신정지선 승강장은 2011년 8월 말 설치됐다. 신도림역 스크린도어는 열차 출입문 열고 닫는 속도보다 더 빠르다. 피에쓰에쓰텍 초기 설치분으로, 신도림역과 비슷한 스크린도어는 같은 노선의 사당역, 교대역, 합정역 등에 설치되어 있다.

신정지선 승강장이 본선 승강장보다 다소 낮은 곳에 놓여 있다.[18] 또한 도림천역 방면으로 갈수록 순환선 선로와 간격이 벌어진다.
대림
3 1 2 4
도림천 문래 기지
1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영등포구청·홍대입구·시청 방면
당역 출발 (문래 방면 출고 열차)
2 사당·강남·잠실 방면
일부 당역 출발 (대림방면 출고 열차)
3 양천구청·까치산 방면
당역 종착 (대림에서 온 열차)
4 당역 출발 (대림 방면 출고 열차)
일부 열차 당역 종착 (문래에서 온 열차)
노선 및 방면 출입문 비고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순환 (문래 방향)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신정지선 (까치산 방면)
→ 1~6번 출구
2-2, 4-2, 6-4, 7-3, 9-24-2, 7-3에 에스컬레이터 가동
7-3은 내려오는 계단 없음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신정지선 (까치산 방면)6-11호선으로 환승 불가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외선순환 (대림 방향)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신정지선 (까치산 방면)
→ 1~6번 출구
2-2, 4-2, 4-4, 7-3, 9-24-2, 7-3에 에스컬레이터 가동
4-2는 내려오는 계단 없음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신정지선 (까치산 방면)5-31호선으로 환승 불가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신정지선 (당역 종착)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본선
→ 1~6번 출구
3-1, 3-4, 6-4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본선3-31호선으로 환승 불가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도림역 종착 열차
(대림역 방향에서 온 열차)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순환 (문래 방향)
→ 1~6번 출구
2-2, 6-1, 6-4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순환 (문래 방향)6-21호선으로 환승 불가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신정지선 (까치산 방향)3-1 ~ 8-4 사이 모든 문동일 홈 환승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도림역 종착 열차
(문래역 방향에서 온 열차)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외선순환 (대림 방향)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신정지선 (까치산 방면)
→ 1~6번 출구
2-2, 4-2, 7-3, 9-3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외선순환 (대림 방향)5-41호선으로 환승 불가

5.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부천종합운동장
1 2
여의도
1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GTX-B 인천대입구·부평·부천종합운동장 방면
2 여의도·서울역·청량리·마석 방면

환경영향평가에서 GTX-B 신도림역 승강장의 심도는 85.39m로 결정되었다. #

6. 연계 버스

6.1. 1, 5, 6번 출구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신도림역(17001)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일반시내
일반좌석
심야
공항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신도림역(17002)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일반시내(여의도환승센터행)
일반좌석(여의도환승센터행)
심야 }}}}}}}}}

신도림역(17834)
지선
신도림역(17412)
마을
신도림역(17947)
지선
마을
신도림역(17775)
공항

6.2. 2, 3, 4번 출구

신도림역(17102)
지선
직행좌석
마을
신도림역2번출구(17909)
마을
신도림역(17101)
지선

7.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attachment/d0113599_4f2a011998df4.jpg

7.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황/국가별/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집단감염 사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2023년 이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현황 / 평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대한민국의 법률과 정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단계적 일상회복 / 과학방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경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반응/대한민국 여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사건 사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주요 국가 (2023년 5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fff> 공통
개요
<colbgcolor=#ccc,#222>
경과 / 현황
경과 · 발생 국가 · 전 세계 현황 · 국가별 현황
사회적 영향
대응 아시아(대만, 북한, 인도, 일본, 중국 (본토 (경과), 홍콩),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미얀마,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이란,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 유럽(영국, 튀르키예, 러시아, 스위스,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 아메리카(미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 · 아프리카(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기구 · 출입국 현황 · 중국 책임론 · 대중국 소송
반응 아시아인 혐오 · 논란 · 루머
영향 경제 · 교육(등교 관련) · 문화 · 물류 · 시험 · 스포츠 · 종교 · 환경
마스크 착용 의무화 · 코로나 세대 · 코로나 블루 · 코로나 학번 · 완치 이후 · 포스트 코로나 · 단계적 일상회복 · 방역 부조리 및 형평성 문제 · 손실보상 문제 · 사생활 침해 논란 · 코로나 버블 · 물류 대란 · 식량·에너지 대란 · 단백질 식품 대란
사건 사고 군대 · 병원 · 종교 · 기타
의학 정보
질병 SARS-CoV-2(원인 · 전염성 · 예방)
변이 및 변종(Α 알파 · Β 베타 · Γ 감마 · Δ 델타 · Δ+ 델타 플러스 · Ε 엡실론 · Η 에타 · Κ 카파 · Λ 람다 · Μ · Ο 오미크론 · 델타크론 · A.VOI.V2 · AV.1 · Π 파이 · Ω 오메가 · B.1.640.2 · BA.2 · XE · XJ · XL · XM · BA.2.12.1 · BA.2.75 · BA.5)
증상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 털곰팡이증
진단 및 검사(신속항원키트) · 완치 및 후유증
치료 치료제 종류 · 대증요법 · 음압병실 · 인공호흡기 · 에크모
알약(팍스로비드 · 라게브리오) · 주사(렘데시비르 · 악템라주 · 렉키로나주항체 · 이부실드항체) *
백신 종류 · 논란 · 백신 음모론 · 온실 면역(방역의 역설) / 혼합 면역(하이브리드 면역) · 집단 면역 · 돌파감염 · 코백스 퍼실리티 · 부스터샷 · 항원 결정기 / 항원 결합부 / 항원의 원죄
Ad26.COV2-S(존슨앤드존슨 / 얀센) · Vaxzevria(AZD1222)(아스트라제네카 / 옥스퍼드대) · Comirnaty(BNT162) (화이자 / 바이온테크) · Spikevax(mRNA-1273)(모더나) · Nuvaxovid(NVX-CoV2373)(노바백스) · SKYCovione(GBP510)(SK바이오사이언스) *
그 밖의 정보
인물
단체
인물(T. A. 거브러여수스, 권덕철, 백경란, 앤서니 파우치) · 사망자
파일:세계보건기구기.svg 세계보건기구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의약품청 · 파일:러시아 국기.svg 로스포트레브나드조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청 · 식품의약품안전처 · 국립보건연구원 · 씨젠 · 셀트리온 · SK바이오사이언스 · 파일:북한 국기.svg 국가비상방역사령부 ·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앤드존슨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 FDA · 화이자 · 모더나 · 파일:중국 국기.svg 국가위생건강위원회 · 국가질병예방공제국 · 파일:일본 국기.svg 후생노동성 · 내각감염증위기관리총괄청 · 파일:영국 국기.svg 아스트라제네카 · MHRA · 파일:대만 국기.svg 위생복리부 · 파일:벨기에 국기.svg 얀센
의료시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선별진료소 · 생활치료센터 ·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콥 K. 재비츠 컨벤션센터 · 매코믹 플레이스 · 파일:중국 국기.svg 훠선산 병원 · 파일:일본 국기.svg 마쿠하리 멧세 · 오다이바 · 파일:영국 국기.svg ExCeL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라 밀라노
기타 마스크 불량 착용 · 마기꾼 · 예스마스크 · 정보감염증 · 포스트 코로나 · 다함께 이겨내요 · 덕분에 챌린지 · 관련 웹사이트 · 엄격성 지수 · 창작물 · 학생 건강상태 자가진단 · 신속항원키트
* 최종 서술 시점 기준 대한민국에서 유통 중인 백신 및 치료제만 표기함.
}}}}}}}}}

7.2. 2023년 경부선 신도림역 공중교통사상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부선 신도림역 공중교통사상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부선 하1선을 통해 서울역에서 부산역으로 가려던 KTX 열차가 이 역 옆을 지날 때 신원 미상의 남성이 뛰어들어 사망한 사고이다. 기사에 따라서는 영등포역을 지목하기도 하였지만 사고 조사를 조사한 측에서는 이 역을 통해 남성이 선로에 무단침입한 것으로 봤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

8. 매체

9. 기타

10.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84d>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만 정차,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만 정차
}}}}}}}}}



[1] 다만 저 정보는 틀렸다. 신도림역은 2호선 환승용으로 1호선(경부선)에 신설된 역이다.[2] 지금은 여객사업에만 집중하지만 당시(1974년) 영등포역은 서울 남부권 화물 운송의 허브의 역할을 맡았고. 특히 열차 생산과 수리하는 공장인 영등포 공작창이 1980년까지 건재하던 시절이였다.[3] 해당 영상, 출처: 유튜브[4]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5]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 서울특별시고시 제541호[6] 「23일 신도림역 선상역사 개통…"혼잡 완화 기대"」, 헤럴드G밸리, 2015-05-19[7] 역명판에 Sindorim이라 되어있는데 개통 직전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라 Shindorim으로 바뀌었다.[8] 관련 게시글, 출처: 다음 카페(Rail+철도동호회)[9] 평일은 첫차부터 출근시간까지, 주말은 첫차부터 오전 10시까지[10] 내선은 반대로 4번 승강장을 거친 뒤 대림역 방향 중간에 있는 회차선에서 대기하다 본선 승강장(1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승객을 받는다. 외선 승강장은 구조상 출고열차가 바로 본선으로 들어오는게 불가능하다.[11] 1호선의 자료는 역사 개장일인 5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2]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13] 애초에 금정역은 인근에 안양역, 범계역, 산본역과 같은 거대 상권이 자리 잡아서 상권 발달이 매우 어려운 구조라서 환승이용객은 많지만 상권이 매우 미흡하다.[철거] 현재는 철거되었다.[광명셔틀] 광명셔틀 열차를 탔다면 그 열차가 4량인 관계로 맨 뒤에 있는 문인 4-4에서 내려야 한다.[광명셔틀] [광명셔틀] [18] 대림 방향으로는 본선과 높이가 동일한데 도림천역 방향으로 구배가 생기면서 서서히 낮아진다.[19] 관련 게시글, 2023년 6월 14일 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 출처: 이글루스[20] 「지하철 2호선 지연, 출근길 대란 발생…신도림역 신호장치 고장이 원인」, 엑스포츠뉴스, 2017-04-28[21] 「2호선 신도림역 미화직원 8명 코로나19 확진」, YTN, 2020-09-26[22] 「[종합]수도권 확산 계속...신도림역 집단감염 총 9명」, 파이낸셜뉴스, 2020-09-27[23] 「수도권 중심 소규모 집단감염 지속… 신도림역 관련 누적 확진 10명」, 쿠키뉴스, 2020-09-28[24] 「의료기관서 코로나19 확진자 잇달아 발생…부산 평강의원 10명」, 이투데이, 2020-10-01[25] 「이번 역은 희망역입니다 - 신도림역」, KBS, 2011-11-13[26] 「뮤지 신곡 '신도림', 지하철 안 청량·섹시·시크 다 담았다」, 엑스포츠뉴스, 2017-11-03[27] 자우림이 이 노래를 부를 당시의 신도림역은, 영등포역 방향으로 승강장을 늘렸다가 실패하고 추가 승강장을 짓고 있던 중이었다. 1997년에 나온 노래인데, 그러니까 자우림이 이 노래를 부를 때의 신도림역은 1~2호선 모두 섬식 승강장이던 리즈시절이자 수도권 전철 5호선 개통으로 강서 쪽 사람들이 신정지선을 타고 몰려들면서 하루 50만 명 이상의 환승객이 승강장 하나에 몰려들던 시절이었다. 참고로 1호선, 2호선의 추가 승강장이 개통된 건 1999년(1호선)과 2002년(2호선)이다. 그래도 막장환승인 건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다.[28] 「[NocutView] 50만 오가는 신도림역 '피사의 기둥'」, 노컷뉴스, 2013-11-22[29] 「지난달 안전 'A등급' 신도림역 육교 돌연 아래로 '푹'(종합2보)」, 연합뉴스, 2023-01-03[30] 「6년 만에 엿가락처럼 휘어진 육교‥주민들 "큰일 날 뻔"」, MBC, 2023-01-03[31] 「'툭' · '푹' 하더니 '털썩'…육교 주저앉기 전 조짐 있었다」, SBS, 2023-01-03[32] 「‘A등급’ 육교 주저앉은 CCTV 보니…‘늑장 대응’도 논란」, KBS, 2023-01-03[33] 「주저앉은 ‘도림육교’ 결국 철거…세금 33억 날렸다」, 채널A, 2023-04-0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 (이전 역사)
문서의 r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