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20:58:51

신이문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망우선의 이문역 및 이문차량사업소에 대한 내용은 이문차량사업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이문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외대앞
0.8 ㎞ →
역명 표기
경원선 신이문
Sinimun
新里門 / 新里门 / [ruby(新里門, ruby=シニムン)]
1호선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이문동 7)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월계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1]
(광운대역 관리[2]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3]
운영 기관
경원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원선 1980년 1월 5일
1호선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경원선
신이문

1. 개요2. 역 정보
2.1. 역명 관련2.2. 노후화 문제
3. 일평균 이용객4. 승강장5. 역 주변 정보6. 연계 교통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신이문역.jpg
남부역사(2007년 준공)
수도권 전철 1호선 121번[4].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이문동 7) 소재.

2. 역 정보

파일:신이문역 1호선.jpg
맞이방
1980년 경원선 상에 신설된 역이다. 이 역이 개통될 당시 서울시내에서 청량리역 북쪽의 전철역이라고는 휘경역성북역 밖에 없던 시절이라 이문동, 석관동, 중화동 일대의 철도 이용이 불편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이문역이 설치됐다. 신이문역 개통 전인 1979년에 한천로가 개설되었으며, 한천로가 경원선 철길 위로 지나가므로 역을 이문고가교 구조물 아래에 지었다.
파일:attachment/Sinimuni.jpg
역 안내도
개통 당시에는 현재의 북부 역사 역할을 하는, 승강장 북쪽 끝에만 선상역 형태로 맞이방이 있었고 출구도 1번과 2번밖에 없었다. 2004년 즈음에 이문차량기지의 시설을 활용해 대우아파트 쪽으로 통하는 3번 출구를 만들었고, 2007년 4월 15일 승강장 남쪽 끝에 남부 역사로써 새 맞이방과 출구(4번, 5번)를 만들었다. 새 역사를 크게 짓기에는 주변 땅이 부족해 선로 양쪽으로 난 4번과 5번 출구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즉, 4번 출구로는 동두천 방향, 5번 출구로는 서울역/인천 방향 승강장으로만 갈 수 있다. 4번 출구와 5번 출구 사이에 지하차도가 있어 왕래가 쉽다.

다른 역의 스크린도어와는 달리 이 역의 스크린도어 개폐음이 특이하다. 이 개폐음은 과거 옛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의 스크린도어 설치 초기의 개폐음이다.

하행 막차가 일찍 끊긴다. 평일에는 23시 38분에, 주말에는 23시 37분에 구로행 막차가 이 역을 출발한다.

경사가 있어서 승강장 틈새가 매우 넓다. 그래서 2010년에는 서울지하철공사 시절의 구형 승강장 안내방송[5]인 "딩동댕~ 우리역은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습니다. 타실 때 발이 빠질 염려가 있사오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를 잠시 인용하였다.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에는 승강장 하부에 발빠짐 주의용 경보버저를 설치했었다.[6]

이 역부터 청량리역까지 모든 역의 주역명이나 부역명은 대학 이름이거나 한때 대학 이름이었다: 신이문역 옛 부역명(한국예술종합학교), 외대앞역(한국외국어대학교), 회기역 옛 부역명(경희대학교), 청량리역 부역명(서울시립대학교) 등이다. 석계역을 건너뛰면 광운대역과 월계역 부역명(인덕대학)도 대학 이름이다.

2.1. 역명 관련

역명을 지을 때는 망우선 이문역과의 명칭 중복을 피하기 위해 '신'이문으로 정했다. 이문역이 이문차량사업소로 전환된 지금은 신이문이라는 명칭이 주변 주민들에게 익숙해졌고, 바꾸려면 비용도 발생하니 그대로 신이문역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래서 신이+("신이"라는 이름의 문)이 아닌 신+이문(새로운 이문)이다.

新里門을 어떻게 발음해야 맞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은데, 대개 [시니문녁]으로 발음한다. 신이문은 지역명인 '이문'에 구 이문역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신(新)'을 넣은 것으로, '신+(이문+역)'의 형태로 어절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므로 [실리문]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한글 맞춤법 제11항에 따르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두음법칙을 적용해야 한다. 여기서 "신"은 "새로운"이라는 의미를 더하는 접두사로 쓰였으므로 신룡산, 신리문이 아니라 신용산, 신이문으로 표기한다. 한편 표준발음법 제7장 제29항을 보면 접두사에 받침이 있고 뒷 단어가 '이'로 시작하면 []로 발음하며, 이에 의하면 [신니문녁]으로 읽어야 되겠지만, 동 항의 예(송별-연/송ː 벼련/, 등-용문/등용문/ 등)처럼 규정과 실제 발음이 다르다면 실제 발음을 따르는 별도 규정이 있기 때문에 결국 [시니문]이 맞다.

만일 지역명이 처음부터 "新里門"이었다면 [실리문]으로 발음될 수 있으나, 이때는 표기 자체가 '신리문'이 된다. 신례원(新禮院)역이라는 유사 사례가 있다.

로마자 역명과 가나 문자 역명 표기도 [시니문]의 발음을 따라 각각 'Sinimun', 'シニムン'으로 표기한다.

부역명은 한국예술종합학교이었으나 부역명 계약기간 만료로 해지되었다. 이 때문에 안내방송에서도 빠졌다. 정문 기준으로는 신이문역이 가까우나, 후문이나 쪽문 등의 부수적 출입구까지 생각하면 오히려 6호선돌곶이역이나 상월곡역 쪽이 더 가깝다.

2.2. 노후화 문제

1980년에 개통되어 40년 가까이 쓰이고 있는 역이지만 관리가 미흡한 탓에 건물 일부가 갈라지고 군데군데 부식되어 떨어져나간 모습을 볼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공간과 밟고 다니는 승강장까지 이런 노후화가 심각한데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JTBC 뉴스룸 '밀착카메라'에서 2017년 11월에 1호선 노후화를 문제삼는 뉴스를 내보낼 때 이 역과 광운대역을 취재하였다.[7]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외관이 상당히 오래되어 보이고 비둘기도 많이 살았지만 차차 공사가 진행되어 현재는 그런 모습이 많이 사라졌다.

역 위의 고가도로에도 문제가 있다. 2020년 8월 5일 오전 5시에 고가도로 하부에 물받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떨어졌다. 보수 작업을 위해 오전 6시 10분부터 지하 청량리역광운대역 구간은 약 6시간 동안 운행을 중단했다.[8]

역을 다시 지으려는 계획이 있지만, 고가도로 때문에 무기한 연기된 상태이다(VOC답변 받음).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80년 13,778명 [9]
1981년 16,048명
1982년 16,173명
1983년 16,891명
1984년 16,579명
1985년 16,720명
1986년 17,725명
1987년 18,322명
1988년 17,861명
1989년 16,889명
1990년 21,099명
1991년 19,093명
1992년 19,247명
1993년 20,392명
1994년 24,525명
1995년 26,252명
1996년 30,509명
1997년 29,486명
1998년 28,975명
1999년 28,738명
2000년 24,341명 비고
2001년 26,121명
2002년 26,557명
2003년 29,912명
2004년 25,455명 [10]
2005년 24,773명
2006년 21,838명
2007년 21,952명
2008년 22,074명
2009년 21,504명 }}}}}}}}}
2010년 20,949명
2011년 20,807명
2012년 20,107명
2013년 19,990명
2014년 19,604명
2015년 19,040명
2016년 18,624명
2017년 18,323명
2018년 17,997명
2019년 17,724명
2020년 13,748명
2021년 13,671명
2022년 14,563명
2023년 15,383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4. 승강장

파일:121_신이문_20230504_청동새.jpg
역명판
파일:신이문역 승강장.jpg
승강장

개통 당시에는 역사 홈에 보도블럭 마감조차 없었고 시멘트로만 발라놨다. 그리고 고가구조물 아래에 창문도 없었다.
석계
1 2
외대앞
1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광운대·의정부·동두천·연천 방면
2 인천·서동탄·천안·신창 방면

5. 역 주변 정보

파일:attachment/114DD7364EE6CC2C0E2FBC.jpg

2007년 개통된 남부역사 5번 출구에는 남태령역의 3초 역세권을 뛰어넘는 '1초 역세권'이 있다. 생생정보통에도 소개됐다.[11] 그러나 신이문역은 지상 역이다. 여기는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구간이라 화물열차가 지나다니고 일부 주택은 한쪽 담벼락이 철도 방음벽일 정도로 완전히 붙어 있어 소음이 심하다. 광운대역 이남 구간의 철도 통행량도 매우 많다. 이러한 요소들이 작용하여 이 역세권의 집값은 오르지 않고 내려간다. 사진 속의 집은 이문휘경뉴타운 이문4구역에 속하며 이문4구역은 사업진행이 매우 느리다. 이문4구역 재개발이 시행되면 저 집은 철거될 예정이다.

이문휘경뉴타운 사업으로 인해 신이문역 5번 출구 주변 건물들은 전부 철거되고 있다. 대신에 지금의 5번 출구도 집과 상당히 가깝다.

인근에 이문차량사업소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가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도 인근에 있어 이른 아침 역전에서는 교직원들과 학생들이 택시를 타고 가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학교 측 셔틀버스는 아침에만 운행하기 때문에 그 외 시간대에는 걸어가거나 택시를 타야만 한다.

1번 출구를 빠져나오면 바로 앞에 오래된 지역 명물과도 같은 튀김가게가 있으며 현재(2022년 3월 기준)는 평일, 토요일에만 운영한다.

5번 출구 쪽에는 작은 시장이 존재한다. 4번 출구 쪽에서 오려면 오른쪽으로 돌아서 가다 약간 큰 골목으로 가면 승강장 밑인데, 왼쪽으로 돌아서 직진하면 나오는 지하 통로를 통과하면 바로 시장이다. 지하보도 높이는 1.7m이다. 예전에는 과일가게 몇 개와 마트밖에 없었는데 두부, 식당, 횟집, 치킨집, 수선집 등이 생기며 규모가 커졌다.

6. 연계 교통

신이문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신이문역
(06253)
<colcolor=#ffffff> 마을
지선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원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여객영업 중지
광역전철 전용역: 파일:GJ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정차, 파일:Gyeongchun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춘선 정차, 파일:Seoulmetro1_icon.svg:수도권 전철 1호선 정차
}}}}}}}}}

[1] 철도노선도에서 신이문역이 직원배치역으로 잘못 표시되어 있다. 실제로는 업무위탁역이다.[2] 외대앞역 책임[3]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가 신이문역 3번 출구와 연결된 이문차량사업소 내부에 있다.[4] 동묘앞역 개통 전 122번[5] 1996년 부터 사용했었다.[6] 한남역, 구 옥수역, 과천역, 삼송역 등 에도 설치했었다.[7] 「[밀착카메라] 갈라지고 파이고…불안한 '낡은 지하철역'」, JTBC, 2017-11-14[8] 「서울 지하철 1호선 광운대역∼청량리역 구간 운행 중단됐다 6시간만에 재개」, 한겨레, 2020-08-05[9] 수도권 1호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1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36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0] 여기까지는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11] 관련 게시글, 뽐뿌, 2013년 12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