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환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서울 방면 평 택 ← 9.4 ㎞ | <colbgcolor=#f55839> 경부선 무궁화호 | 대전·부산 방면 | ||
천 안 12.2 ㎞ → | |||||
용산 방면 평 택 ← 9.4 ㎞ | 호남선 무궁화호 | ||||
목포·광주 방면 | |||||
전라선 무궁화호 | 여수엑스포 방면 천 안 12.2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성환역 (남서울대) | ||||
광운대 방면 평 택 ← 9.4 ㎞ | <colbgcolor=#0052a4> 1호선 (P166) | 신창 방면 직 산 5.4 ㎞ → | |||
청량리 방면 | 1호선 ''' 경부선 급행 A ''' | 신창 방면 | |||
평 택 ← 9.4 ㎞ | 두 정 9.2 ㎞ → | ||||
1호선 ''' 경부선 급행 B ''' | |||||
서울 방면 | 천안 방면 |
역명 표기 | ||||
경부선 | 성환 Seonghwan 成歡 / 成欢 / [ruby(成歓, ruby=ソンファン)] | |||
1호선 | ||||
주소 |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237-5 (성환리 449-128)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248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3급) (천안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 ||||
운영 기관 |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일반열차 | |||
경부선 | 1905년 1월 1일 | |||
무궁화호 | 1995년 2월 9일 | |||
수도권 전철 | ||||
1호선 | 2005년 1월 20일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4면 10선 4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 평 택 ← 9.4 ㎞ | 경부선 성 환 | 부산 방면 직 산 5.4 ㎞ → |
현 역사(2004년 준공)[1] |
구 역사 (1905년 준공, 2003년 철거)[2] |
[clearfix]
1. 개요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출발, 청일 전쟁 당시 성환 전투의 격전지
성환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과거 성환역 일대는 청일 전쟁 당시 일본군이 승전한 성환 전투의 격전지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성환역과 성환역장에게 많은 신경을 썼으며, 다른 역장들에 비해 고위 인사를 임명했다고 한다. 1972년 서울철도국에서 대전 철도국으로 이관되었으며 1992년 군 전용선이 부설되었다. 2003년 현재의 역사가 신축 개통되었으며 2005년 수도권 전철이 개통하며 전철역사로도 역할하고 있다. 인근에 남서울대학이 위치하고 있다. 성환은 오래 전부터 개구리 참외로 유명한데 둥근 역사 지붕이 개구리 참외를 연상시킨다고도 한다. 최근에는 성환배로 이름을 떨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의 철도역·수도권 전철 1호선 P166번.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237-5 (성환리 449-128) 소재.성환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과거 성환역 일대는 청일 전쟁 당시 일본군이 승전한 성환 전투의 격전지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성환역과 성환역장에게 많은 신경을 썼으며, 다른 역장들에 비해 고위 인사를 임명했다고 한다. 1972년 서울철도국에서 대전 철도국으로 이관되었으며 1992년 군 전용선이 부설되었다. 2003년 현재의 역사가 신축 개통되었으며 2005년 수도권 전철이 개통하며 전철역사로도 역할하고 있다. 인근에 남서울대학이 위치하고 있다. 성환은 오래 전부터 개구리 참외로 유명한데 둥근 역사 지붕이 개구리 참외를 연상시킨다고도 한다. 최근에는 성환배로 이름을 떨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맞이방 |
청일전쟁 당시 일본군이 청군에 대해 승전한 성환 전투가 일어난 곳으로, 초기 경부선 개통 당시 통감부 철도관리국은 성환역장에 대하여 보통역장보다 조금 더 높은 직위의 인사를 임명하였다.
1992년 6월 10일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같은 해 12월 14일에 제2방공포병여단 전용선이 부설되었다.
2003년 11월 6일 지금의 역사가 준공되었고 개업 100주년을 맞은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병점역에서 천안역까지 연장되며 광역전철이 운행하게 되었다.
2006년 9월 1일 부역명이 남서울대(南서울大)로 제정되었다.
1호선 개통 후에도 일반열차 정차는 유지되어 현재 무궁화호 상행 5편, 하행 4편이 정차한다. 다만 경부선 하행의 경우 2편 모두 대전행이라 대구, 부산 방면으로 가려면 천안역까지 1호선을 타고 가서 부산행 열차로 갈아타야 한다.
무궁화호 하행의 경우 소란스러운 열차 내부에서 안내방송의 "성환"과 다음 역인 "천안"을 혼동하여 천안역에서 내려야 하는데 이 역에서 잘못 내리는 사례가 종종 있어 승무원은 '성/환역'이라고 끊어서 발음하거나, "천안역에 내리실 손님은 다음 역에서 하차하시기 바랍니다"라는 육성방송을 넣는 경우가 있다.
일반열차를 이용할 때 게이트 옆을 열어 두는 방식으로 들어가게 한다. 천안역, 아산역, 온양온천역, 신창역도 유사한 문제가 있으므로 이론상으로는 신창역까지 무임승차가 가능하다.[3]
하행 기준으로 이 역부터는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수도권에서는 5㎞에 100원이던 구간요금이 4㎞당 100원씩 올라가기 시작한다.
전철 개통 직후 역사에 비가 새서 역무원들이 고생했다고 하며 현재는 보강공사를 마친 터라 비가 샐 일이 거의 없다고 한다.
2.1. 평택역과의 먼 역간거리
성환역과 상행 방면 다음 역인 평택역 사이의 거리는 9.4km로, 수도권 전철 전체에서 3위에 해당한다. 2005년 개통 당시에는 전체 1위였지만 현재는 GTX-A의 구성역~동탄역이 11.1km로 가장 멀다. 전국 도시철도/광역전철 노선으로 범위를 넓히면 전체 5위이다.[4] 동해선 광역전철 태화강역~북울산역(9.7km) 구간이 개통하면 6위로 밀려날 예정이다.역간거리가 이렇게 긴 이유는 두 역 사이에 딱히 이렇다할 만한 시가지가 없고 대신 소사평야(또는 평택평야)를 따라 드넓은 논 지대가 펼쳐져 있기 때문이다. 논 사이사이에 조그마한 마을들이 흩어져 있지만 중간에 역을 세울 만한 정도는 안 된다. 평택역부터 천안시내에 진입하는 두정역까지는 쭉 논 지대이기 때문에 역간거리가 널찍널찍한 편이다. 성환역과 직산역 사이 역간거리도 5km가 넘는다.[5]
평택역을 출발하여 성환역에 정차하는 완행 및 급행, 무궁화호는 이 구간을 불과 6분 30초만에 달리는데 이때의 표정속도는 약 86.8㎞/h이다. 평택역을 출발하고 6분만에 주행하여 성환역에 정차하지 않는 여객열차는 그 구간을 최소 98.5㎞/h로 통과해야 안정적이라는 것이 전자와 함께 정밀계산을 통해 밝혀졌다(가/감속 시간 및 거리계산 포함).[6][7]
2.2.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후 1호선 성환역 승강장 |
평택 방향 역명판 |
↑ | ↑ 평택 | 평택 ↓ | |||||||||||||||
| | | | | | | | 8 | 7 | | | 6 | 5 | | | | | 4 | 3 | | | 2 | 1 | | | | |
↑ 직산·두정 | ↑ 천안 | 천안 ↓ | 직산·두정 ↓ |
1·2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A급행·B급행 | 천안·아산·신창 방면 |
3·4 | 경부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조치원·신탄진·대전 방면 |
호남선 | 서대전·광주·목포 방면 | ||
전라선 | 서대전·전주·여수 방면 | ||
5·6 | 경부선·호남선·전라선 | 수원·용산·서울 방면 | |
7·8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A급행·B급행 | 서울·청량리·광운대 방면 |
- 2018년 1월 기준 전철 승강장 2, 7번 홈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2020년 9월 기준으로 1, 8번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 두정역을 제외한 충남 구간에는 전광판이 오래된 경우가 많다. 성환역도 교체가 되지 않았으나, 최근에 전광판 교체를 했다. LED가 심하게 고장났기 때문.
3. 역 주변 정보
성환역 서쪽은 논밭과 작은 마을들이 보인다. 철로가 시가지를 가로지르는 전형적인 시골 철도역이다. 조금 멀리 떨어진 곳에 1번 국도가 보인다.반면 1번 출구 앞은 그나마 읍내다운 모습을 하고 있다. 역 앞에 상점가가 조성되어 있고 역에는 두 개의 매점이 있다. 2012년 7월 역사 안에 스토리웨이가 새로 들어섰다.
역 바깥의 건물에는 Why black(버블티·밀크티카페), 슈퍼마켓, 동네빵집, 신협365, 브라보꽈배기집이 있으며, 2층에는 술집이 있다. 엉클조 떡볶이는 남서울대 학생들이 나름 들리면서 먹는 분식집이지만, 최근 브라보명품찹쌀꽈배기가 들어서면서 신흥 군것질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맞은편에는 배스킨라빈스와 이디야커피가 입점해 있어 간간이 동네주민들의 카페로 사용 중이다.
배스킨라빈스 뒤쪽으로 넘어가면 오르막길이 보이는데, 이쪽에서 남서울대학생들이 자주 가는 양꼬치집과 닭갈비집이 있다. 뒤쪽 오르막길 쪽으로 올라가서 좌회전을 한 뒤 삼거리 쪽으로 걸어가면 성환의 유명한 중식집인 동순원이 있다.
삼거리에서 위로 올라가면 바로 성환버스터미널이 나온다. 성환역에서 걸어서 10분 정도이니 읍내가 상당히 좁다. 가는 길목에는 PC방과 노래방이 있다.
인근에 남서울대학교가 있으나 시내버스나 셔틀버스를 타야 한다(도보로는 20-30분 정도).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2005년 | 5,827명 | [8] |
2006년 | 6,650명 | |
2007년 | 6,885명 | |
2008년 | 7,791명 | |
2009년 | 8,410명 | |
2010년 | 8,935명 | |
2011년 | 9,794명 | |
2012년 | 9,944명 | |
2013년 | 10,096명 | |
2014년 | 10,412명 | |
2015년 | 10,126명 | |
2016년 | 9,861명 | |
2017년 | 9,807명 | |
2018년 | 9,596명 | |
2019년 | 9,532명 | |
2020년 | 5,681명 | |
2021년 | 6,309명 | |
2022년 | 8,587명 | |
2023년 | 9,847명 | |
2024년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천안 착발 급행열차 정차역 중 가장 한산한 역이지만, 경부선 수원역 이남 구간에서 역세권 인구에 비해 가장 승객이 많은 역이다. 성환읍 인구는 2018년 5월 기준 2만 7천 명 수준인데, 이 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만 명 정도이니 거의 서울 위성도시급 수준의 분담률을 보인다.
- 성환역 이용객이 적지 않은 이유는 주변의 군부대와 대학교 때문이다. 입장면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군부대가 있기 때문에 이곳을 이용하는 군인들이 많으며, 부역명에 붙은 것처럼 남서울대학교로 가는 대학생들 역시 성환역에 주로 의존한다.
- 또한 성환읍이 천안 북부 지역에서 교통 거점 역할을 하는 것도 성환역 수요에 약간의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기차나 시외버스를 이용하려면 천안역이나 천안아산역까지 한참 돌아가야 하고, 직행좌석버스도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서울로 가는 최적의 경로가 광역전철인 것도 있다.
4.2. 일반철도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5583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무궁화호)] ||<bgcolor=#f55839> 비고 ||
2004년 | 542명 | |
2005년 | 162명 | |
2006년 | 137명 | |
2007년 | 138명 | |
2008년 | 126명 | |
2009년 | 202명 | |
2010년 | 374명 | |
2011년 | 400명 | |
2012년 | 398명 | |
2013년 | 431명 | |
2014년 | 399명 | |
2015년 | 381명 | |
2016년 | 306명 | |
2017년 | 156명 | |
2018년 | 176명 | |
2019년 | 200명 | |
2020년 | 133명 | |
2021년 | 143명 | |
2022년 | 171명 | |
2023년 | 185명 | |
2024년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연계 교통
6. 사건 사고
1994년 12월 4일 오전 6시 40분 역 구내 둔포건널목에서[9] 부산발 서울행 화물열차가 16톤 유조차와 충돌한 사고가 있었다.이 사고로 인해 기관조사가 화재로 사망하고 기관사가 중상을 입는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고 화물열차의 기관차(7235호)는 언더프레임이 휘는 등 크게 파손되어 폐차되었다.
7.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
천안시의 교통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철도 | 고속 철도 | 경부고속선 | 천안아산* |
일반 철도 | 경부선 | 천안, 성환 | ||
광역 전철 | 성환, 직산, 부성, 두정, 천안, 봉명, 쌍용 | |||
도로 | 고속 도로 | 경부선, 논산천안선, 세종포천선, 당진청주선 | ||
국도 | 1번 국도, 21번 국도, 23번 국도, 34번 국도, 43번 국도 | |||
국지도 | 23번 지방도, 57번 지방도, 70번 지방도 | |||
지방도 | 618번 지방도, 623번 지방도, 624번 지방도, 628번 지방도, 629번 지방도, 691번 지방도, 693번 지방도, 696번 지방도 | |||
버스 | 버스 터미널 | 천안종합버스터미널, 성환버스터미널 | ||
버스 정류소 | 쌍용시외버스정류소, 병천정류소, 천안3공단정류소, 천안TG.단대.천안대정류소 | |||
시외버스 · 고속버스 |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 |||
*주소지상으로는 아산시 소속이나 천안시와의 경계에 있음 | ||||
충청남도의 교통 |
[1] 역 앞에 폴싸인이 있었으나 철거되었다.[2] 춘포역사보다 더 오래되었던 역사였으나, 안타깝게도 춘포역사가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기 2년 전에 철거되어버리고 말았다.[3] 오산역, 서정리역, 성환역은 QR코드를 찍는 게 없고 천안역은 일시 고장으로 비상게이트를 열고 운영하며 아산역부터는 비상게이트를 폐쇄하고 감시요원을 투입해 무임승차를 단속하고 있다. 평택역은 전철 게이트가 상대식으로 운영하기에 어쨌거나 개찰구를 통과하고 일반열차를 이용해야 한다.[4] 1위는 대경선 왜관역~서대구역(23.3km), 2위는 대경선 동대구역~경산역(12.3km), 3위는 상술한 GTX-A, 4위는 인천국제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영종역(10.3km).[5] 그래서인지 평택역으로 갈때는 9.4km라서 기본요금인데 반해 천안역으로 갈때는 같은 관내라도 1호선 이용시 13.2km로 10km가 초과되어 100원 추가운임 그리고 온양온천역은 29.4km로 400원 가량 추가운임이 발생하고 또 돌아서 가는터라 차라리 성환역-온양온천역으로 갈경우 버스 시간에 맞춰 아산 버스 240을 타고 가야 빠르고 기본 운임으로 알뜰하다.[6] 후자의 예로 간단히 생각해보자면 이 구간을 1시간의 1/10인 6분에 주파하려면 평균 속도가 94㎞/h이어야 하는데, 전철의 특성상 가속도가 자동차에 비해 상당히 느리며, 9량의 열차(전체 열차 10량 중 맨 앞 1량을 제외한 나머지)의 무게에 의해 역에 도착하기 한참 전부터 속도를 계속 낮춰야 하기 때문에 6분만에 주파하려면 최소한 시속 94㎞/h는 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7] 참고로 2018년 6월 말까지 있던 주말특별급행의 수원-평택 간 표정속도는 95.7㎞/h이었고, 두정-평택 또한 89.3㎞/h이고 역간거리는 각각 33.5㎞, 18.6㎞이었다. 수도권 일반 전동열차 중 표정속도가 가장 빠른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최고 주행속도는 110㎞/h, 표정속도는 69.3㎞/h이며, 평균 역간 거리도 평택역-성환역 간 거리의 절반 수준이다.[8] 개통일인 1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34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두포건널목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실제 명칭은 둔포건널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