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13:47:24

동대구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에 대한 내용은 동대구역(도시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환승역 분리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환승역 분리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동대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da5>
경부선파일:KTX BI_middle White.png
(구포 경유)
경 산
12.3 ㎞ →
경부선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서대구 경유)
경부선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서대구·구포 경유)
밀 양
55.3 ㎞ →
경전선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서대구 경유)
경부선파일:SRT BI_White.png
(서대구 경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종착
부산·신해운대 방면
경 산
12.3 ㎞ →
경 산
12.3 ㎞ →
시종착
하 양
21.2 ㎞ →
하 양
21.2 ㎞ →
태화강·포항 방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광역철도 노선 보기 (미개통)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 ||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으로 갈아타기
다른 문자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마자 Dongdaegu
한자 東大邱
간체자 东大邱
가나 [ruby(東大邱, ruby=トンデグ)] }}}}}}}}}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 (신암동)
관리역 등급
관리역(1급)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1]
경부고속선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1969년 6월 10일
경부고속선 2015년 8월 1일[2]
파일:KTX BI_White, Red.svg 2004년 4월 1일
파일:Untitled-1.png 2016년 12월 9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파일:누리로 BI.svg 2022년 11월 5일
대구권 광역전철 2024년 12월 예정
대구선 1969년 6월 10일~
2005년 10월 31일[3]
}}}}}}}}}
역사 구조
경부선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경부고속선
승강장 구조
7면 14선 혼합형 승강장
철도거리표
경부선
동대구
경부고속선
동대구

1. 개요2. 역 정보
2.1. 역사2.2. 열차 운행
3. 일평균 이용객4. 승강장5. 주변 교통
5.1. 시내버스
5.1.1. 동대구역(BRT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5.1.2.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정류장5.1.3. 동대구버스터미널 승차장(청도 농어촌)5.1.4. 동대구역 북측 정류장
5.2. 동대구역 광장5.3.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5.4.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단지 셔틀버스
6. 사건사고7. 미디어에서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Dongdaegu_Station.png
현 역사(1969년 개업, 1971년 준공)[4]
파일:동대구역 스탬프.jpg
동대구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갓바위를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이다. 현재 주입식 스탬프로 바뀌며 글씨체가 약간 달라졌다.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1969년 6월 보통역으로 개업하였다. 2004년에 이르러 KTX운행이 시작되었으며 경부고속철도 2단계 공사와 더불어 증축공사를 진행, 복합환승센터가 완공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도심에 위치하여 확장이 어려운 대구역을 대신하여 탄생하였지만, 오늘날에는 그 이용객이 대한민국의 두 번째로 서울역 다음이다. 명실공히 대구광역시 대표철도역이자 대한민국 교통의 요충지인 것이다.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는 2010년 국가시범사업으로 선정되었으며 동대구역과 백화점을 연결하는 부지 3만6천㎡, 지하7층, 지상 9층의 거대 규모를 자랑한다.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의 개장으로 늘어나는 교통량을 위해 왕복 6차로였던 동대구로가 10차로로 확장되었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경부선경부고속선철도역.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 (신암동 294) 소재.

2. 역 정보

2.1. 역사

파일:동대구역 배경 제거 버전.jpg
과거 모습[5]

대구 동부 지역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대구역의 여러 철도 시설들을 당시까지만 해도 미개발지였던 대구 동부 지역으로 이전해 1969년 6월 10일 개업하였다. 최종 완공은 1971년 12월 29일. 더불어 대구차량사업소도 문을 열었다. 흔히 대구역이 처음부터 지금과 같은 규모의 부지와 시설만을 가지고 있었고, 이 때문에 1950년대 이후 경부선의 수송량이 날이 갈수록 증가해 대구에도 입환/정비/주박 시설을 갖춘 대형 역이 필요해졌고, 대구역은 일대가 대구의 중심지로 성장함에 따라 건물들이 들어서면서 확장이 불가능에 가까운 상태였으며, 이 때문에 대체 목적으로 동대구역을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동대구역 건설 이전인 1954년 대구역 일대 항공사진과 동대구역 건설 이후인 1974년 대구역 일대 항공사진을 비교해 보면 오히려 원래 대구역은 현재의 동대구역과 비교해도 꿀리지 않을 정도의 철도 시설들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동대구역으로 여러 철도 시설들을 이전시키고 대구역의 철도 시설들을 축소한 후 빈자리에 시가지가 들어섰음을 알 수 있다.# 즉, 주변 시가지로 인해 확장이 불가능했던 것이 아니라 같은 해 이전한 광주역처럼 도시개발 과정에서 철도역이 외곽으로 이전한 쪽에 가깝다. 다만 실제로 시가지의 확장을 당시부터 염두에 두었던 건 사실이기에 대구의 관문역 이전이 시가지와 전혀 무관하진 않다. 시가지의 확장을 위해 시가지 한가운데에 있던 관문역을 시가지의 조금 바깥으로 이전한 것이라 보면 된다.

KTX 개통 전에는 동대구역과 대구역의 이용객 수가 지금처럼 격차가 크지 않아 2003년까지만 해도 동대구역 승·하차 인원이 대구 전체 철도 이용객의 약 5~60% 수준이었다.#

2004년 경부고속철도 1차 개통을 맞아 남쪽에 새 역사를 짓고 구 역사와 통합했다. 이때 구 역사도 외관을 리모델링했기에 밖에서는 잘 구분이 안 되지만, 안으로 들어가 보면 어디까지 구 역사인지 알 수 있다. 그 후에도 맞이방을 하나 더 만들어 놓았는데, 이 제2맞이방에서 영화 부산행대전역 대합실 장면을 촬영했다. 대전역 대합실을 통제하고 영화를 촬영하려면 엄청난 혼란을 불러올 수 있지만, 여기는 촬영 당시 한산했기에 통제가 훨씬 쉬워서였다.[6]

본래 자체 화물 취급(소화물 등) 및 화물 중계역(조차장)의 기능도 담당했으나, 2005년 11월 대구선 이설과 함께 가천역이 새로 생기고 나서부터는 화물 중계 기능을 가천역으로 대부분 이전했고 결국 2009년 공식적으로 화물 취급을 중단했다. 여객열차의 대피 및 승무교대를 위해 동대구역에 정차만 하고 있다.

2010년 11월까지는 서울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전 새마을호가 섰으나, 그 후 분리되어 서울 - 동대구/동대구 - 부전으로 다니다가 동대구 - 태화강/부전은 무궁화호로 통합되었고, 서울 - 동대구 새마을호는 모두 서울 - 부산 간 ITX-새마을로 변경되었다.

2015년 8월 1일부터 경부고속선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되면서 운행 시간이 10분 이상 단축될 것이라는 말과 달리 6~7분 단축됐다. 심지어 김천구미-부산 하행은 400원 비싸지고 2분 연장되었다. 다행히 상행은 2분 단축되었지만, KTX 요금은 전용선 탄다고 더 비싸게 받는다. 서울역, 광명역, 천안아산역, 오송역, 대전역 등에서 탑승 시 일반석 기준으로 1,000원 오른다.

철로를 건너는 고가교 바로 옆에 붙어 있는 선상역사며, 주 출입구가 고가교 쪽으로 나와 있는 형태라 역사가 주변 지형보다 약간 높게 세워져 있다. 그래서 서울역, 용산역 등 타 선상역사와 달리 역 입구 높이가 맞이방 높이 그대로며, 거기서 한 층 내려가면 바로 승강장이다. 즉 올라갔다가 내려가지 않아도 된다. 선상역사가 아닌 다른 역들도 규모있는 역들은 육교나 지하도를 오르락내리락 해야 되기 때문에 계단은 확실히 덜 오르락내리락 해도 된다.

2016년 연말에 대구신세계동대구터미널과 함께 들어왔기 때뭉에 동대구역 쪽의 유동 인구는 자연히 늘어났다. 2017년에 고가교가 확장되고 동대구역 광장이 완공됐다.

2.2. 열차 운행

파일:동대구역전광판.jpg
동대구역 전광판의 모습
상행은 서울, 수서[7]행과 하행은 부산, 마산, 진주, 포항행 모든 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가 필수정차[8]하며 대구의 관문역이다. 한국에서 열차 정차 순위 1위,[9] 이용 승객 순위는 2위[10]인 역이다.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대구역 등의 민자역사들과 달리 본래 업무에 충실한 철도역으로서의 기능만 가졌으나, 역 바로 옆에 복합환승센터가 완공되면서 위 역들처럼 상업시설의 기능도 갖게 되었다.

경유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한다. 덕분에 위 사진처럼 출발안내 전광판이 승차준비로 도배되는 것은 예사다. 그래서 표만 있으면 영주, 동해 등 일부 행선지를 제외하고 시간표 안 알아보고 그냥 가도 상관이 없을 정도이다.

그리고 이 역은 경부선대구선의 사실상 분기역[11]이기도 하며, 부산, 마산·진주와 포항 착발 KTX-산천과 SRT 복합열차가 분리, 결합 운행되는 역이다.

2017년 철도통계연보에 의하면 한국철도공사주식회사 SR을 포함한 전 열차역 가운데 승객 수가 서울역에 이어 2위[12]이다. 또한 서울역을 제치고 열차 정차 횟수 1위를 자랑하는 거대한 역이다.

동대구역은 경부선, 중앙선, 동해선, 경전선, 영동선, 충북선을 취급하고 SRT도 필수정차하니 자연적으로 열차 정차 편수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 대구를 지나가는 여객열차 중 동대구역에 정차하지 않는 건 없다. 반면 서울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수서역, 영등포역 등으로 분산된다. 특히 서울역용산역은 배타적 정차가 일어날 때가 많다.[13] 서울역 출발 열차는 대부분 경부선을 따라 내려오다가 대부분 동대구를 출발하며 분기되므로 부산역보다도 정차 횟수가 훨씬 많고, 호남/전라/장항선,[14] 충북선, 강릉선, 대전역 종착 등의 극히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울역 착발 열차는 동대구역에 정차한다.

한 마디로 이 역이 경부선에서 가장 중요한 역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운행중단이나 지연도 대개 이 역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실제로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로 대전의 경부선 선로가 침수되었는데 열차들은 모두 동대구역에 멈출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무려 16대가 멈췄으며, 경부선 전체가 지연되었다. 그리고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 발생으로 인해 KTX경전선 구간 운행이 중단되어 원래 마산역, 진주역 착발 열차들이 동대구 착발로 변경되면서, 기존 동대구 종착 열차를 제외하고 낮 시간대에 동대구 착발 열차가 잠시나마 생겼다.

13개씩이나 되는 승강장에, 열차들 사이 시간 간격이 좁아 열차를 잘못 타는 일이 없도록 유의해야 한다. 한 마디로 빗자루질이 일어나는 역이다. 거기다 부산·마산·진주·포항행 KTX/SRT 열차를 탈 때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서로 다른 목적지로 가는 복합열차가 이 역에서 분리되어 각자의 목적지로 가는 역이므로 승차권에 표시된 열차 번호와 승차할 호차 위치를 유의해서 살피지 않으면 엉뚱한 곳에서 내릴지도 모른다. 실제로 열차를 타야 할 승강장을 찾지 못해 해메는 탑승객들이 정말 많다.

그리고 대구역에는 KTX가 안 선다. 애초부터 대구역의 관문역 기능을 대체할 목적으로 지어졌기 때문에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이는 새마을호가 최상급 열차이던 시절에도 그랬다.[15] 실제로 대구역과 크기를 비교하면 철도역 부분만 치더라도 대략 2~3배 이상 크다. 그래서 철도업계 종사자나 철도 동호인들에겐 서울-대전-대구-부산보단 서울-대전-동대구-부산. 줄여서 서대동부가 훨씬 익숙한 것이다. 철도여행정보센터도 동대구역에는 있지만 대구역에는 없다.

또한 누리로의 터미널역인데, 동해역 ~ 강릉역 간 영동선 열차를 제외하면 모두 동대구역에서 발착한다.
===# 미래 #===
2024년 의성 - 북영천중앙선 복선전철화가 완료된다면 중앙선 KTX-이음 일부 편성이 대구선을 거쳐 동대구역까지 들어올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KTX-이음 최고시속이 250km 전후이고, 영천시를 거쳐 상당히 돌아가는 선형이라서 전 구간 완주는 경부고속선 대비 경쟁력이 별로 없지만 경북 북부와 충북 일부 지역, 원주와 대구 사이의 중단거리 수요를 상당수 가져올 수 있으며,[16] 동절기에는 서원주역에서 갈아타 강릉선을 이용하려는 관광 수요도 챙길 수 있다. 표를 구하기 힘든 명절 등 성수기에는 서울 방면 이동을 위해서도 충분히 매력적인 대안이다. 대구경북선이 개통한다면 이 대구선 경유 KTX-이음은 일반열차로 대체할 가능성이 높으며 대신 대구경북선을 경유하게 될 것이다.

2025년 1월 포항-동해동해선 복선전철화가 완료된다면 동해선 KTX-이음도 일부 편성이 포항역을 거쳐 동대구역에 들어올 가능성이 크다. 개통되면 기존 6시간이 넘게 걸리던 무궁화호와 대비하여 2시간대로 빠르게 갈 수 있게 되고, 영덕, 울진, 삼척, 동해, 정동진, 그리고 강릉으로 한번에 KTX를 타고 갈 수 있게 된다. 다만 부전으로 가는 계통도 있고 단선전철이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편성이 갈 수 있을지는 아직 모른다. 또한 동해선 ITX-마음도 운행을 할 예정이다.

이렇게 중앙선동해중부선과의 KTX-이음을 통한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경부축선상 지역 이외 지역과 대구간의 교통에 있어서도 철도의 경쟁력이 매우 크게 상승할 것이다.

2027년 완공 목표였지만 아무래도 2030년이 유력해 보이며 달빛고속철도도 계획중이다. 이 노선의 종점은 서대구역이지만, 개통한다면 실제 열차는 동대구역까지 들어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17]

KDI 한국개발연구원이 2023년 2월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안에 따르면 수서~김천~동대구KTX-이음 열차(중부내륙선 경유)를 2030년 왕복 7회씩 운행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되면 중앙선이 커버하지 못하는 경북 서부와 괴산, 충주[18], 이천도 커버할 수 있다. 물론 수서역까지 가기는 하지만 지금도 1시간 40분에 꽂아주는 SRT가 잘 다니는 현재로서는 주말이나 연휴 기간 좌석공급이 부족할 때나 대체경로로 사용할 수 있을 듯하다.[19]

아직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정식으로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영남권 광역급행철도인 MTX대구선과 이어지는 영천안강선, 대구산업선과 직결될 예정인 창원산업선 등이 개통하게 된다면 동대구역에서 더욱더 다양한 행선지로 가는 열차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경부고속선 대구 도심 구간을 건설할 때, 경부선 지하화 논의도 했으나, 여러가지 난제[20]가 겹쳐서 결국 지상화를 유지하고 철로변을 정비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2020년대 들어 대구광역시에서는 서대구역 동측 구간부터 고모역까지 경부선 대구 도심 구간의 지하화를 다시 추진 중이다.# 지하화 후 기존 경부선 상부 및 주변 지역은 대구월드클래스 도심으로 (재)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동대구역도 지하화 구간에 포함되어 지하화될 예정이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선로 하부를 통과할 예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문제들로 인하여 지하화가 쉽게 이루어질지는 미지수이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SRT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
2004년 23,900명 미개통 5,651명 12,694명 42,245명 [21]
2005년 29,311명 3,547명 12,759명 45,617명
2006년 32,456명 2,985명 11,935명 47,376명
2007년 32,438명 2,770명 11,369명 46,577명
2008년 32,190명 3,305명 11,565명 47,060명
2009년 31,640명 3,645명 10,968명 46,253명
2010년 32,629명 3,335명 11,497명 47,461명
2011년 28,082명 3,044명 12,672명 43,798명
2012년 28,007명 2,704명 13,491명 44,202명
2013년 28,221명 1,746명 14,960명 44,927명
2014년 28,571명 1,933명 15,191명 45,695명
2015년 35,711명 1,929명 14,760명 52,400명
2016년 36,652명 10,313명 2,018명 14,356명 63,339명 [22]
2017년 32,246명 12,497명 2,591명 15,272명 62,606명
2018년 33,166명 13,896명 2,569명 15,694명 65,325명
2019년 34,791명 14,302명 2,882명 15,394명 67,369명
2020년 19,670명 9,521명 1,659명 9,133명 39,983명
2021년 24,074명 11,388명 1,970명 10,847명 48,279명
2022년 30,775명 13,288명 2,640명 11,966명 58,669명
2023년
출처
철도통계연보

4. 승강장

파일:동대구역-부산방향 역사풍경.jpg
동쪽 방면(부산->서울방향 진입부) 출입구 및 동고가교와 승강장, 구내 선로 풍경
역사 앞쪽에 위치한 동고가교를 지지하고 있는 기둥 중 왼쪽 돌출부를 지지하고 있는 기둥 하부 승강장이 13·14번이며 13,14번 기둥을 기준으로 오른편 기둥 하부에 위치한 순서대로 11·12, 9·10, 7·8, 5·6, 2·3, 1번 승강장이다.
1번이 타 승강장보다 동쪽 방면으로 더 돌출이 되어 있으며 14번 선로 남쪽 방향으로 4개 선로가 추가로 선상역사 및 동·서고가교 하부를 관통하고 있다.
대구 김천(구미) · 서대구 대구 당역종착
14 13 12 11 10 9 8 7 6 5 3 2 1
14 13 6 5
경산 경주 · 포항 ↓ 경산 하양
1 영동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안동·영주·동해 방면
동해선 파일:누리로 BI.svg 영천·경주·태화강 방면
2·3 대구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영천·서경주·포항 방면
동해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파일:누리로 BI.svg·파일:ITX-마음 BI.svg
경주·태화강·부전 방면
5 경부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밀양·구포·부산 방면
경전선 밀양·마산·진주 방면
6 경부고속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경주·울산·부산 방면
경부선 파일:KTX BI.svg·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무궁화호|
무궁화호
]]
밀양·부산·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파일:KTX BI.svg·파일:ITX-새마을 BI.svg 밀양·마산·진주 방면
7·8 경부고속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경주·울산·부산 방면
경부선·경전선 밀양·부산·마산·진주 방면
동해선 포항 방면
9·10 경부고속선 파일:KTX BI.svg 대전·천안아산·서울 방면
11·12 경부고속선·경부선
경전선·동해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대전·수원·서울·수서 방면
13 경부선·경전선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대전·천안·서울 방면
14 충북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대전·청주·제천·영주 방면
파일:43336219380_852257e662_o.jpg
1981년의 동대구역 승강장
서울역과 함께 여객철도를 취급하는 역 중에 가장 많은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6면 12선에서 7면 14선으로 확장하면서 승강장을 확보한 것이라 승강장으로 가는 통로 형태가 독특하다. 13, 14번은 제 2 맞이방으로 가서 내려가거나 11, 12번 에스컬레이터 입구에서 ㄱ자로 꺾어 들어가야 한다.

1번과 2번은 본래 대구선 방면 열차 승강장이었으나 대구선이 이설되고 나서 동대구 - 제천 무궁화호가 사용하다가 다시 대구선 방면 승강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이하게 상행 방향 계단은 리모델링된 다른 승강장 계단과 달리 개통 당시 구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4번은 통과 선로이기 때문에 결번이며, 기존 11/12번 위치에 있었던 통과 선로는 13/14번 승강장을 신설하면서 철거되었다.

KTX와 SRT는 7~12번에서 취급하는 중이다. 9, 10번은 2016년 12월 9일 시간표 개정 후에 생긴 동대구 시종착 KTX[23]열차가 이용하고 있다.

대구권 광역철도가 1, 2번 홈을 사용하도록 예정되어 있었으나, 엄청난 평면교차[24]로 인해 경부선 승강장(상행 13•14번, 하행 5•6번)을 사용하는 것으로 계획이 바뀌었다. 선로 서쪽 끄트머리(상행 방향)에 승강장이 들어오는 대구역서대구역과 달리, 대구권 광역철도 동대구역은 선로 동쪽 끄트머리인 하행 쪽에 승강장이 들어선다.

환승통로는 확보되어 있지 않아 도시철도 ↔ 광역철도간 환승은 2010년 이전 청량리역 사례처럼 역사 밖으로 완전히 나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5. 주변 교통

바로 앞에 지하철 동대구역동대구터미널이 있다.

도시철도 동대구역과 생각 외로 거리가 멀다. 중앙 개찰구를 중심으로 대략 400m 가량 떨어져 있다.

2번 출구 옆 연결 통로를 정면에서 볼 때 기준으로 2갈래로 나뉘어 있는데, 좌측은 대구신세계가 있고 우측은 동대구터미널 연결 통로다. 무빙워크를 통해 동대구터미널 이동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동대구터미널 매표소가 3층에 있다.[25]

역과 좀 떨어진 곳에 파티마병원, 평화시장, KT 동대구지사가 있으며, 지하철 동구청역 너머로 동구청 및 성동고가차도, 동명의 전철역 너머 동대구역네거리에 동부소방서가 있다. 소방서는 대구신서혁신도시 이전설이 들리고 있다.

대구역과는 전철로는 3개 역 거리 정도로 가까워서 동대구역 ~ 대구역 구간은 새마을호 정차역 중에서는 가장 간격이 짧다. 그리고 차로 10~15분 거리에 대구국제공항도 있으며, 공항으로 가고 싶으면 경부선 철로변 동대구역지하도 정류장에서 시내버스를 타야 한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이 역사 바로 밑에 있으며, 시내버스를 타기에도 매우 좋은 대중교통의 요충지다. 대구국제공항 방면으로도 3개 노선[26] 많은 시내버스가 동대구역을 경유하며 지하철, 택시 모두 편리하니 웬만하면 집에서, 혹은 대중교통으로 동대구역에 나와 전송을 하고, 굳이 자차를 몰고 와야 하는 상황이면 유료 주차장을 이용하면 주차료는 천원 안팎이다. 물론 주차장이 작아 대개 만차가 된다.

동대구터미널 연계는 그야말로 환상적이다. 옆으로 걸어나와서 들어가면 끝. 단 동대구역 끄트머리라서 만약 이게 전철역이었다면 막장환승 소리를 들었겠지만, 이건 보통 많은 대도시에서 철도역과 거리가 있는 대형 종합 버스 터미널이다. 서울역은 일부 시외버스만 근처에서 취급한다.[27]

5.1. 시내버스

2017년 8월 2일 동대구역고가교 개체/확장공사가 마무리됨과 동시에, 대구광역시 최초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건너편에 생겼다. 대구광역시 BRT 참조.

5.1.1. 동대구역(BRT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09-060)
* 파티마병원건너2 방면
||
간선
지선
순환
출근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 건너(09-061)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건너 방면
||
간선
지선
순환
출근

5.1.2.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정류장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앞(09-059)
* 동대구역앞 방면
||
간선
지선
순환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건너(09-193)
* 대구지방법원등기국앞 방면
||
간선
지선
순환
일반
좌석

5.1.3. 동대구버스터미널 승차장(청도 농어촌)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버스터미널 4층 28번 승강장 ||
농어촌

5.1.4. 동대구역 북측 정류장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수화물취급소앞(00-546)
* 동대구역지하도2 방면
||
간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수화물취급소건너(00-533)
* 동대구초등학교앞 방면
||
간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지하도1(09-198)
* 동대구역수화물취급소건너 방면
||
간선
급행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지하도2(09-058)
* 산림조합중앙회 방면
||
간선
지선
급행

5.2. 동대구역 광장


2017년에 고가교를 왕복 10차로로 확장하면서 함께 준공됐다. 시설은 다음과 같다.

5.3.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파일:ㄷㄷㄱㅇ.jpg
동대구역과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의 모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단지 셔틀버스

동대구역 ▶ 물산업클러스터
동대구역 시티투어버스 승강장 09:30분/14:20분
낙동강물환경연구소 후문 앞 10:25분/15:15분
물산업클러스터 글로벌BIZ 앞 10:30분/15:20분
물산업클러스터 ▶ 동대구역
물산업클러스터 글로벌BIZ 앞 13:20분/16:20분
낙동강물환경연구소 후문 앞 13:25분/16:25분
동대구역 시티투어버스 승강장 14:20분/17:20분
달성군 구지면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단지까지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공문에는 상시 운행이라고 되어있으나 주말이나 휴일 운행여부는 그 셔틀버스 차량 기사에게 직접 확인하기 바란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물산업클러스터 홈페이지 공지사항 내 관련 공문을 확인하자

6. 사건사고

7. 미디어에서

8. 기타

9. 둘러보기

경부고속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시흥연결선
- - - - - - - - - -
}}}}}}}}}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대구선의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취소선:폐역
}}}}}}}}}

파일: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대구권 광역철도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일반철도 경부선 · 대구선 · 중앙선
전용철도(인입선) K-2인입선
탑승
행선지 등급 탑승역
서울 · 부산 · 진주 파일:KTX BI_White, Red.svg 서대구역 · 동대구역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대구역 · 동대구역
서울 · 부산 · 영주 무궁화호
수서 · 부산 파일:Untitled-1.png 서대구역 · 동대구역
부산 · 태화강 파일:누리로 BI.svg 동대구역
포항 파일:KTX BI_White, Red.svg
부전 · 진주 · 포항 · 동해 무궁화호
부전 · 동대구 · 청량리 · 영주 화본역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olor: #fff; min-width: 50%"
{{{#!folding [ 최초 14개 광장 ]
{{{#!wiki style="margin:-6px -1px 5px"
<rowcolor=#fff>
번호
지명
도시철도역
도로
소재지
1 파일:Daegu1.svg 파일:Daegu2.svg 반월당
2 캠프 워커 - 중앙대로-대덕로
3 본리네거리 - 구마로-와룡로
4 불로삼거리 -
5
체육관삼거리
- 연암로-대구체육관로
6
7 서대구로-두류공원로-달구벌대로
8
9 달서로-침산남로-옥산로-오봉로-팔달로
10
대구역네거리
11
대구역북측교차로
12
와룡로-북비산로
13
달서천로
14
- 성서공단로-성서로
}}}}}}}}}
[ 그외 광장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08837><rowcolor=#fff>
번호
|| 지명 ||
도시철도역
|| 도로 ||
소재지
||
13
동대구로-동부로
17
금호JC -
19
죽전네거리 와룡로-달구벌대로
20
파군재IC - 대구외곽선-동화천로-이시강변로
23
북대구IC -
24
신당네거리
25
성서IC -
26
연호네거리 범안로-달구벌대로
27
화원옥포IC -
28
유천네거리 달서대로-상화로-월배로-비슬로
29
달성IC - 중부내륙지선-논공중앙로-옥포로-논공로
30
동대구IC - 중앙선-화랑로
31
수성IC - 중앙선-월드컵로
32
서변IC - 대구외곽선-호국로
33
용계삼거리 동촌로
41
다사IC -
||

[1] 한국철도공사에서 SRT 매표업무를 위탁계약에 따라 함께 처리한다.[2] 대구 도심 구간 최종 개통일이다. 대구남연결선을 비롯한 대구 이남 고속전용선 구간은 2010년 11월 1일 개통.[3] 동대구역 ~ 청천역 구간 이설로 인한 대구선 기점 변경[4] 2004년 1차 증축, 2017년 2차 증축[5] 1969년 개업 후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2004년 리모델링하여 외관이 달라진 것을 제외하면 내부 구조는 개업 당시의 모습과 같다.[6] 동대구역 고가도로 전면 재보수를 하면서 새로 들어서는 도로(성동고가교)측 출입을 위해 만든 공간이고, 촬영 당시 제2맞이방은 완성된 반면 성동고가교는 한창 공사 중이었기에 한산할 수 밖에 없었다.[7] SRT[8] 서울 - 부산 무정차 직통 KTX 노선은 예외가 있었으나 2015년 4월 2일 서울 - 부산 무정차 KTX가 폐지되었다. 화물열차도 대부분 정차하여 기관사 교대를 실시하거나 여객열차를 대피한다.[9] 일반 새마을호, 대전역 종착 열차를 제외하면 동대구역에 정차하지 않는 간선열차는 ITX-청춘, KTX-이음뿐인데, 이 두 등급은 애초에 동대구역 연선에 전혀 오지 않는다. 다만 경부선(고속선 포함) 계통에서는 대전역에게 2편 차이로 밀리는데, 심야 대전 시종착 서울행/서울발 첫막차의 존재 때문에 그렇다.[10] 1위는 서울역[11] 본래 대구선 기점은 가천역이지만, 동대구역에서 가천역까지 대구선으로 이어지는 별도 선로가 나란히 병주하고, 대구선을 이용하는 모든 열차가 동대구역에서 시종착하거나 정차하기 때문에 사실상 분기역이나 마찬가지다. KTX로만 따졌을 시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KTX의 분기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12] 서울역 약 3,010만 명, 동대구역 약 2,285만 명, 부산역 약 2,129만 명, 대전역 약 1,815만 명[13] 서울역 시종착 열차는 대부분 용산역을 무정차 통과하며 용산역 시종착 열차는 서울역과는 아예 무관해진다. 또한 행신역 시종착 서울역 무정차 통과, 용산역 정차 열차도 있다.[14] 이 셋은 용산역 착발이 더 많지만 서울역에서 착발하는 편성도 있다.[15] 다만 새마을호 야간열차 1왕복은 대구역에도 정차했다.[16] 실현된다면 영주-동대구는 영주종합터미널의 불편한 시내 접근성 탓에 영천으로 돌아가는 선형이더라도 철도가 확실히 우세를 점할 가능성이 높고, 안동-동대구는 소요시간도 요금도 그렇게 큰 차이가 나지 않아 팽팽하게 경합할 것으로 보인다.[17] 하지만 서대구역~동대구역 사이 선로용량이 넉넉치는 않는 것이, 2024년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하고 나면 선로용량이 기존보다 더 빡빡해져서 실제로는 서대구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도 일부 생길 것으로 보인다. 강릉선과 중앙선 KTX가 선로용량 문제로 전부 서울역까지는 들어오지 못하는 상황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18] 지금도 무정차로 갈 수 있긴 하나 대전을 찍고 돌아가는 코스라 버스에 소요시간으로 상대가 되지 않는다.[19] 운행경로는 급행 기준으로 동대구-서대구-구미-김천-상주-점촌-충주-부발-경기광주-수서로 예상되며, 경부고속선보다는 정차역이 많기 때문에 동대구~수서 전구간 탑승자는 좌석 공급이 부족할 때가 아니면 거의 없을 것이고 적어도 구미까지는 수서발 중&장거리, 서&동대구는 경기광주까지의 수요가 주가 될 것이다.[20] 대구역 ~ 동대구역 구간에서 도시철도 1호선과 몇 번 교차하는지라 지하화하려면 지하철 구조물을 보강해야 하는데, 전철 운행을 최소 3개월 이상 중지해야 한다. 그렇다고 대심도로 짓자니 복복선이라 건설비용이 크게 불어난다.[21]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22] SRT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23] 동대구 출발 #120, 동대구 종착 #117[24] 열차 운행(다이어)이 꼬이거나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25] 다만 고속버스 터미널 층수를 대구신세계에 맞추면서 생긴, 1층 바로 위가 3층이라는 독특한 구조 때문에 생각보다 막장환승은 아니며 에스컬레이터도 직선으로 바로 이어져있다. 즉, 터미널 건물 내에서 잠깐만 걷는 것을 제외하면 철도역에서 지하철역으로 쭉 내려가는 것이다. 더군다나 3~1층 에스컬레이터에서 바로 정면으로 이어지는 1~지하1층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가면 바로 지하철역으로 이어지는 통로로 무빙워크까지 설치되어있어 실질 거리감은 훨씬 더 감소된다.[26] 동대구역 지하차도 정류장이라고 제1주차장 쪽에 정류장이 따로 있다.[27] 물론 서울역 / 수서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 시티 / 서울남부터미널은 환승 수요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붙어 있어야 할 당위성이 없다.[28] 기존에 중간종료하는 계통들만 종점까지 운행하게 한 것이다.[29] 이 기계를 설치하면서 대구신세계점을 없앴다.[30] 단디체크카드(일반형), 영플러스 체크카드(대경교통카드 버전), 부자되세요 더 마일리지 체크카드(은련 비교통형) 3가지만 취급한다. 하지만 부자되세요 더 마일리지 체크카드(은련 비교통형)는 인터넷뱅킹 혹은 콜센터에서 발급하는 것을 권장한다.[31] 그런 이유 때문에 KB국민은행 동대구지점은 개설방어가 꽤 심한 곳이었다.[32] 연착이나 타는 곳 변경같은 특이사항 발생시 역무원이 방송을 하기도 한다.[33] 여담으로 이 방안이 나온 2002년 당시에는 칠성시장역의 이름이 칠성역이었다.[34] 2017년까지 현재 광장이 있던 자리의 대부분은 주차장이었고, 주차장과 동대구로 구간 사이는 뚫려있어 철길이 훤히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