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23:43:11

남구(대구광역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ef7e20 21%, #ef7e20); font-size: 1em;"
]] 중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0062aa 21%, #0062aa); font-size: 1em;"
]]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자치군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8b0>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8b0><colcolor=#fff>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0동
대명11동
대명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남구청(대구)|
구청
]] 봉덕동
이천동 이천동
}}}}}}}}} ||
대구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南區
Nam-gu
}}}
<colbgcolor=#9ac221><colcolor=#fff> 구청 소재지 이천로 51 (봉덕동)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3[1]
면적 17.43㎢
인구 135,510명[2]
인구밀도 7,774.52명/㎢[3]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재구 (재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석[4]

파일:zsdkl3gasdg.svg
2석[5]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석[6]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기웅 (초선)
상징 <colbgcolor=#9ac221><colcolor=#fff> 구화 개나리
구목 이팝나무
구조 까치
구색 녹색
구가 남구의 노래
지역번호 053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6. 교통
6.1. 대중교통6.2. 도로
7. 경제
7.1. 금융
8. 교육
8.1. 초등학교8.2. 중학교8.3. 고등학교8.4. 대학교
9. 의료기관10. 정치11. 군사12. 하위 행정구역13. 자매도시14.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의 중남부에 있는 자치구. 동으로는 수성구, 서로는 달서구, 남으로는 달성군 가창면, 북으로는 중구와 접한다.

2. 상징

파일:b7939a0bde47176ce7fc5bbefbd2c0c257a2837e.jpg
마스코트 너미&마지

[clearfix]

3. 역사

남구 행정구역 변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9ac221> 일자 대명동 봉덕동 이천동
<colcolor=#9ac221> 1896. 8. 4. 대구군 달서면
(大邱郡 達西面)
대구군 하수서면
(大邱郡 下守西面)
대구군 동상면
(大邱郡 東上面)
1910. 10. 1. 대구부 달서면
(大邱府 達西面)
대구부 하수서면
(大邱府 下守西面)
대구부 동상면
(大邱府 東上面)
1914. 3. 1. 달성군 달서면
(達城郡 達西面)
달성군 수성면
(達城郡 壽城面)
1917. 4. 1. 달성군 수성면
(達城郡 壽城面)
대구부 대봉정
(大邱府 大鳳町)
1938. 10. 1. 대구부 서부출장소
(大邱府 西部出張所)
대구부 동부출장소
(大邱府 東部出張所)
1947. 4. 1. 대구부 대봉동
(大邱府 大鳳洞)
1949. 8. 15. 대구시 서부출장소
(大邱市 西部出張所)
대구시 동부출장소
(大邱市 東部出張所)
대구시 대봉동
(大邱市 大鳳洞)
1951. 6. 9. 대구시 남부출장소
(大邱府 南部出張所)
대구시 남부출장소 대봉동
(大邱府 南部出張所 大鳳洞)
1963. 1. 1. 대구시 서구
(大邱市 西區)
대구시 남구
(大邱市 南區)
대구시 남구 대봉동
(大 邱市 南區 大鳳洞)
1972. 대구시 남구
(大邱市 南區)
1980. 4. 1. 대구시 남구 이천동
(大邱市 南區 梨泉洞)
1981. 7. 1. 대구직할시 남구
(大邱直割市 南區)
1995. 1. 1. 대구광역시 남구
(大邱廣域市 南區)
}}}}}}}}} ||
원래는 대구군 하수서면 지역이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이 이뤄지며 신설된 달성군의 수성면이 되었다가, 1938년 달성군 수성면이 도로 대구부로 편입될 때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한편, 1917년 대명동 일부와 봉덕동 일부를 분할하여 대봉정을 신설해 대구부에 편입했다.

1951년 남부출장소가 신설되었으며, 이 때 이전까지 시청 직할(舊 대구부 지역)이었던 남산동이 편입되었으며 대봉동 또한 도로 원복하였다.

1963년 출장소제가 폐지되고 구제가 실시되며 남구가 되었다. 1980년에 남산동이 중구로 이관되고, 명덕로[7]를 기준으로 이북의 대봉동은 중구로 환원되고 이남의 대봉동은 이천동으로 개칭하여 남구에 잔존한다.

1972년 지금의 서구 성당동 일부(現 대명4동 일대)가 대명동으로 편입된다.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함에 따라 대구직할시 남구가 되었으며, 1995년 광역시로 개칭됨에 따라 대구광역시 남구로 개칭되어 오늘에 이른다.

한편, 1981년 직할시 승격 당시에 달성군 월배읍이 편입되었는데, 1988년 달서구 신설 때 달서구에 내주게 된다.

4. 인구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 남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대구시 남구 설치
1966년 200,309명
1970년 253,267명
1975년 330,548명
1980년 4월 1일 대구시 남구 남산동 전역, 대봉동·대명동 일부 → 대구시 중구 이관
1980년 267,448명
1981년 7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남구 → 대구직할시 남구로 전환 및 달성군 월배읍(→월배출장소) 편입
1985년 349,394명
1988년 1월 1일 대구직할시 남구 월배출장소 → 신설 달서구 편입 및 폐지
1990년 277,037명
1995년 229,970명
2000년 196,772명
2005년 180,260명
2010년 171,197명
2015년 160,852명
2020년 146,632명
2024년 10월 135,51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봉덕3동 15,399명
대명9동 14,519명
봉덕2동 12,943명
이천동 12,688명
대명2동 11,978명
대명6동 11,258명
대명1동 10,329명
대명4동 10,183명
대명3동 10,128명
대명10동 8,575명
봉덕1동 8,503명
대명11동 7,973명
대명5동 5,656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추이 #===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이천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80년 4월 1일 대봉1동 전역 및 대봉3동 일부 → 대구시 중구 편입
대봉2동 → 이천2동 개칭, 대봉3동 잔여지역 → 이천1동 조정
1980년 28,694명(이천1동 10,376명 + 이천2동 18,318명)
1985년 26,897명(이천1동 10,107명 + 이천2동 16,790명)
1990년 25,539명(이천1동 10,720명 + 이천2동 15,119명)
1995년 18,052명(이천1동 8,037명 + 이천2동 10,015명)
1998년 7월 1일 이천1동 + 이천2동 → 이천동 합동
2000년 15,085명
2005년 13,443명
2010년 16,027명
2015년 14,633명
2020년 12,358명
2023년 8월 12,11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봉덕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봉덕동 →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분리
1966년 15,258명
1970년 17,992명
1975년 21,119명
1980년 20,224명
1985년 19,451명
1990년 18,903명
1995년 12,331명
2000년 10,120명
2005년 9,791명
2010년 9.525명
2015년 9,784명
2020년 9,285명
2023년 8월 8,55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봉덕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봉덕동 →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분리
1966년 13,197명
1970년 7월 1일 봉덕2동봉덕2동, 봉덕3동 분동
1970년 18,089명
1975년 20,312명
1980년 20,597명
1985년 20,308명
1990년 22,345명
1995년 17,835명
2000년 14,805명
2005년 12,598명
2010년 12,783명
2015년 12,534명
2020년 12,072명
2023년 8월 12,69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봉덕3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봉덕2동 → 봉덕2동, 봉덕3동 분동
1970년 10,924명
1975년 15,324명
1980년 17,853명
1985년 21,316명
1990년 22,178명
1995년 21,778명
2000년 19,559명
2005년 19,607명
2010년 19,496명
2015년 17,757명
2020년 17,249명
2023년 8월 15,5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대명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대명동 →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분리
1966년 6,793명
1970년 15,656명
1975년 10월 1일 대명1동대명1동, 대명9동, 대명10동 분동
1979년 1월 1일 대명1동대명1동, 대명11동 분동
1975년 27,706명
1980년 27,557명
1985년 31,275명
1985년 12월 1일 대명1동대명1동, (신)대명10동 분동
1990년 15,982명
1995년 15,327명
2000년 13,204명
2005년 13,296명
2010년 12,437명
2015년 12,297명
2020년 11,644명
2023년 8월 10,45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대명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대명동 →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분리
1966년 19,889명
1970년 7월 1일 대명2동 → 대명2동, 대명8동 분동
1970년 26,026명(대명2동 13,020명 + 대명8동 13,006명)
1975년 31,322명(대명2동 14,539명 + 대명8동 16,783명)
1980년 29,155명(대명2동 13,709명 + 대명8동 15,446명)
1985년 27,723명(대명2동 13,737명 + 대명8동 13,986명)
1990년 25,740명(대명2동 13,719명 + 대명8동 12,021명)
1995년 20,828명(대명2동 10,266명 + 대명8동 10,562명)
1998년 7월 1일 대명2동 + 대명8동 → 대명2·8동 합동
2000년 16,798명(대명2·8동)
2002년 1월 1일 대명2·8동 → 대명2동 개칭
2005년 16,184명
2010년 14,188명
2015년 12,593명
2020년 10,805명
2023년 8월 11,98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대명3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대명동 →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분리
1966년 16,816명
1970년 7월 1일 대명3동 → 대명3동, 대명7동 분동
1970년 29,905명(대명3동 13,716명 + 대명7동 16,189명)
1975년 38,093명(대명3동 16,566명 + 대명7동 21,527명)
1980년 35,444명(대명3동 14,951명 + 대명7동 20,493명)
1985년 33,554명(대명3동 13,272명 + 대명7동 20,282명)
1990년 29,911명(대명3동 11,458명 + 대명7동 18,453명)
1995년 23,952명(대명3동 8,706명 + 대명7동 15,246명)
1998년 7월 1일 대명3동 + 대명7동 → 대명3·7동 합동
2000년 19,280명(대명3·7동)
2003년 4월 1일 대명3·7동 → 대명3동 개칭
2005년 17,714명
2010년 15,686명
2015년 14,150명
2020년 11,062명
2023년 8월 10,2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대명4동[8]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1월 1일 대명1동 → 대명1동, 대명11동 분동
1980년 4월 1일 대명11동 → 대명4동 개칭
1980년 25,203명
1985년 27,739명
1990년 26,113명
1995년 22,644명
2000년 17,707명
2005년 15,368명
2010년 13,471명
2015년 12,153명
2020년 11,254명
2023년 8월 10,26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대명5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대명동 →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분리
1966년 8,643명
1970년 14,747명
1975년 15,667명
1980년 16,336명
1985년 15,570명
1990년 15,769명
1995년 12,558명
2000년 10,812명
2005년 10,407명
2010년 9,551명
2015년 8,701명
2020년 7,400명
2023년 8월 5,71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대명6동[9]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대명1동 → 대명1동, 대명9동, 대명10동 분동
1975년 12,733명(대명10동)
1980년 4월 1일 대명10동 → 대명6동 개칭
1980년 26,364명
1985년 32,504명
1985년 12월 1일 대명6동대명6동, (신)대명11동 분동
1990년 16,396명
1995년 14,192명
2000년 11,683명
2005년 11,307명
2010년 10,521명
2015년 10,572명
2020년 9,643명
2023년 8월 11,34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대명9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대명1동 → 대명1동, 대명9동, 대명10동 분동
1975년 14,576명
1980년 20,021명
1985년 19,680명
1990년 21,176명
1995년 18,546명
2000년 16,947명
2005년 16,767명
2010년 16,551명
2015년 16,152명
2020년 16,002명
2023년 8월 14,6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대명10동[10]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5년 12월 1일 대명1동→ 대명1동, (신)대명10동 분동
1990년 16,756명
1995년 15,274명
2000년 12,737명
2005년 11,910명
2010년 10,567명
2015년 10,028명
2020년 9,346명
2023년 8월 8,6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대명11동[11]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5년 12월 1일 대명6동 → 대명6동, (신)대명11동 분동
1990년 19,887명
1995년 16,935명
2000년 13,539명
2005년 11,868명
2010년 10,394명
2015년 9,498명
2020년 8,512명
2023년 8월 8,0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5. 지역 특징

중구, 서구와 더불어 대구광역시의 구시가지에 속하는 지역이다.

19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현금부자들이 앞산 기슭에 고급주택을 지어 모여 살던 대표적인 대구의 부촌과 일반 서민 주택촌이 혼재된 형태였고, 봉덕2동의 미리내맨션, 효성타운[12], 대덕맨션[13] 등 아파트 단지도 대구를 대표하는 고급 아파트로 높은 위상을 자랑하였으나, 1990년대부터 부자들의 대부분은 새로 개발된 수성구[14]로 빠져 나갔고 그나마 수성구 학군에 속해 위상을 유지하고 있었던 봉덕동 아파트 단지도 1995년에 수성구 학군에서 제외되며 옛 위상을 잃었다. 일반 주택가에 거주하던 서민층들도 달서구 등지에 새로 개발된 신시가지[15]로 이주했으며, 이러한 고급 주택가들은 지금은 낙후되어 슬럼화가 진행 중이다.[16] 앞산 부근의 주택가는 대체로 큼직큼직한 부지들 덕분에 2010년도 중후반에 들어서는 레스토랑이나 카페가 많이 입점하는 추세.[17] 담장 높고 칙칙한 옛날식 고급주택을 현대적으로 리모델링하여 꾸미고 사는 가구들도 많이 보인다.

남구에 3개나 있는 캠프 워커, 캠프 헨리, 캠프 조지 등의 주한미군 기지들도 슬럼화에 일조하고 있다. 이 기지들 때문에 재산권 행사는 물론 재건축이 힘들며, 고도제한이 걸려 있어서 7층 이상 고층 건물들을 남구에서 거의 찾아보기 힘든 이유가 이 때문이다. 그나마 최근 캠프 워커의 헬기장 반환이 결정되자 헬기장 부지에 중앙도서관(현 국채보상운동기념도서관)을 대체할 대구광역시의 새 대표도서관인 대구도서관을 짓기로 하고 2018년 착공,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생활체육시설과 각종 여가시설을 조성하기로 계획되어 있다. 이 덕분인지 최근 들어 기존 헬기장 부지 주변에 고층 아파트가 지어짐으로 보아 고도제한이 해제된 것으로 보인다.

남구 자체가 앞산 기슭에 있어서 언덕이 많고, 앞산 기슭에는 재수생들이 거치는 관문이자 기숙학원인 앞산일신학원이 있었다.[18] 도로 구획도 예전에 구획된 것이라 구불구불하고 전체적으로 뭔가 고바위도 많고 미로같은 동네다.

주거 지역이긴 한데, 대도시 자치구마다 하나 쯤은 있을 법한, 아파트가 모여 있는 ○○지구, ○○단지라 불리는 아파트촌이 없다. 봉덕2~3동에 걸쳐 대덕로나 앞산순환로 쪽에 고작 6개 가량[19]의 고층 아파트가 그냥 가깝게 모여 있는데, 이게 남구에서 가장 넓은 아파트촌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하지만 이쪽도 아파트끼리 정서나 문화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따로 노는 것이라서, 변변한 큰 상업시설이 들어서지도 않고 문화생활을 위해서는 흔히 말하는 시내로 나가야 하는 형편이다. 다만 현재 일대에 재건축 및 재개발이 이루어지며 앞산태왕아너스, 봉덕동 화성파크드림(1단지, 2단지), 앞산봉덕 영무예다음 등이 봉덕2~3동 일원에 생겼다. 이미 효성타운의 상가 겸 스포츠센터였던 구 효성코아 부지에는 앞산서한이다음이 들어섰다.

앞산을 끼고 있는 대명로 이남 지역인 대명6,9,11동 일대와 봉덕동 고산골 지역에서는 도시에서 보기 어려운 동물들을 볼 수도 있다. 고라니, 노루, 멧돼지, , 아디다스모기, 팅커벨, 청개구리, 그리마, 지네, 사슴벌레, 장수풍뎅이, 족제비 등. 이들 지역 주택가에서 길고양이는 발에 채일 정도로 흔하며, 조금만 관심을 가진다면 다양한 조류들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멧비둘기참새가 많으며 봄철에는 뻐꾸기소쩍새가 우는 소리도 들을 수 있다. 가끔씩은 신천 방향을 향해 비행하는 왜가리백로도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Memorial 관련 시설들도 조금이나마 찾아볼 수 있는 자치구이기도 한데, 앞산공원의 낙동강승전기념관과 충혼탑이 있다. 또한 현재의 대구대학교 대명동캠퍼스 자리는 본래 시립공동묘지 자리였는데, 해당 묘지에 안장된 사람들 중 애국선열의 묘 5위를 1955년에 동구 신암5동과 북구 복현2동의 경계로 이전한 것을 시작으로 순국선열 묘지를 조성하여 대구광역시에서 관리하다가 국립묘지로 승격되어 현재의 국립신암선열공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계명네거리~현충삼거리 사이 도로명은 "현충로"다.

6. 교통

6.1. 대중교통

시내버스 교통편은 수성구, 달서구에서 도심으로 진입하는 길목이고 앞산공원 회차지가 있어 희망로 일대를 제외하면 나름 편리하다.

도시철도 역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구 중앙을 관통하며 6개 역이 있다. 역시 달서구 분구 후 쇠퇴한 서구가 도시철도 사각지대인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20] 또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도 남구의 북쪽 중구와 경계인 명덕로를 지난다.

6.2. 도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8b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8b0>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8b0> <colbgcolor=#ffffff,#191919> 대덕로 · 대명남로 · 대명로 · 대명복개로 · 대명서로 · 대봉로 · 두류공원로
명덕로
봉덕남로 · 봉덕로
성당로
안지랑로 · 앞산순환로 · 양지로 · 월배로 · 이천로
현충로 · 효성로 · 희망로
대구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구시가지 지역이고 산을 끼고 있어 도로가 전반적으로 협소하고 굽은 곳이 많다. 또한 캠프 워커로 인하여 3차 순환선의 남구 구간은 중간에 끊겨 있으나 다행히도 부지 일부 반환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구내 이동은 딱히 편하지 않지만 신천대로앞산순환로가 있어 타 구로의 이동은 RH를 제외하고는 수월하다.

7. 경제

어째 대구에서 존재감이 미약하게 여겨지는 자치구이기도 하다. 지금은 달서구인 송현, 월성, 상인, 진천, 도원, 대천, 본동 등 구마로 이남 지역이 몽땅 남구[21]였으나 1988년 달서구의 신설로 이를 넘겨 주면서 면적이 많이 줄었다. 달서구, 북구, 수성구, 동구에 비해 인구가 넘사벽급으로 적으며 구내에 잘 알려진 랜드마크도 앞산을 제외하고는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치상의 면적도 그리 넓지 않지만 면적의 절반이 사람이 살지 않는 산(앞산)이다. 뭐 이건 중구 이외의 다른 대구지역 자치구도 마찬가지이지만.

실제로도 대구의 도심인 중구를 제외하고는 가장 인구가 적은 자치구며, 그 탓에 상권이 미약한 편이다. 그 흔한 멀티플렉스 극장은 고사하고 극장이 아예 없으며 시내로 나가야 한다. 대형마트라고 해봤자 안지랑역에 있는 홈플러스 남대구점 달랑 하나 있을 뿐이다.[22]

남구에서 그나마 번화한 곳이라 해 봤자 영대병원역 부근, 안지랑역 부근,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가 있는 계명네거리 부근 정도인데, 여기도 그냥 음식점과 술집들이 몰려 있는 것일 뿐이다. 서부정류장, 관문시장이 있는 서부정류장역 일대 번화가는 달서구와 경계를 접하는 남구의 끄트머리에, 일부 구역은 달서구에 속해져 있다.

결국 상업 기능의 대부분은 중구에, 일부는 인접한 다른 자치구에 의존하는 형태이다. 남구의 대부분의 지역이 중구(도심)와 멀지 않은 것도 있고. 행정에 있어서도 비슷한데 17대 총선부터 국회의원을 중구와 묶어서 1명 뽑는다.[23]

소방서는 중구 남산동에 있는 중부소방서가 남구까지 관할한다.[24] 우체국대구교육대학교 건너편에 남대구우체국이 있기는 하지만 2000년부터 중앙로역 근처에 있는 대구우체국에서 집배 업무를 맡고 있으며, 2014년 7월 1일부터 남대구우체국은 대구우체국 산하의 우체국으로 개편되어 대구우체국이 중구와 남구 지역 감독국이 되었다. 케이블 방송국도 중구와 남구 2개구를 관할한다.

남구 지역만을 위한 상업시설 발달은 미약하지만, 대구 전체를 위한 시설들은 조금 있다. 대구의 초등교원 양성을 위한 대구교육대학교가 있으며, 대구에서 딱 5개 뿐인 상급종합병원(3차병원) 중 2개가 남구에 있다(영남대학교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그리고 대구의 관문 중 하나인 서부정류장관문시장도 남구 대명11동에 있다.[25]

관문시장이 서부정류장을 끼고 있기에 외지인을 상대로 하는 장사를 안 할 수 없다. 그 이유에서인지 남구 내 위치한 다른 재래시장에 비하면, 조금 비싼 편에 속한다. 물론 관문시장을 오랫동안 이용해온 사람이라면 그 물가가 익숙해서 비싸다고 생각하지 않겠지만 성당시장을 이용하던 사람들이 관문시장에서 장을 보면 성당시장에 비해서 비싼 가격에 놀라곤 한다. 시내버스 노선도 서부정류장에서 오면 몇 대를 제외하고는 성당시장을 거쳐 가기 때문에 교통이 원활하여 관문시장을 두고 성당시장까지 장을 보러 오는 사람들도 있다.

7.1. 금융

대구 남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대구우체국 (4)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3)
시중은행
우리은행 (2) 하나은행 (1)
국민은행 (1) iM뱅크 (12)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동대구농협 (3) 대구축산농협 (1) 한국양계농협 (1) 대구경북양돈농협 (1)
새마을금고
봉덕2동새마을금고 (2) 봉덕3동새마을금고 (2) 이천새마을금고 (2) 명덕새마을금고 (2)
남대구새마을금고 (1) 계명새마을금고 (1) 대명새마을금고 (1) 하나새마을금고 (4)
남구희망새마을금고 (4)
신용협동조합
소화신용협동조합 (2) 청신신용협동조합 (1) 영남대학교의료원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대구달성산림조합 (1)

8. 교육

1970년대만 하더라도 남구에는 '대구의 학원도시'라 불릴 정도로 대학교가 많았다. 경북대학교와 경북산업대학교(현 경일대학교)[29]를 제외한 모든 4년제 대학은 다 남구에 있었다. 영남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대학교, 효성여자대학교(현 대구가톨릭대학교)[30], 대구교육대학교, 대구신학교(현 대신대학교)[31]이 모두 남구에 있었지만, 경산시를 비롯한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고 지금 남은 대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 하나뿐이다.

학교들이 남구를 떠나간 건 대학교뿐만 아니라 초/중/고등학교에도 사례가 있다. 현재 남구청이 있는 자리에는 대성중학교와 대성공업고등학교[32]가 있었는데, 1980년 각기 다른 재단에 인수되면서 대성중학교는 수성구 황금1동으로 이전하며 덕원중학교로 바뀌었고(이후 2002년 욱수동 시지지구 종점 근처로 다시 이전), 대성공업고등학교는 수성구 만촌3동으로 이전(이후 1988년 영남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하였다. 그리고 불교 조계종 재단의 능인중학교와 능인고등학교는 이천동(현재의 보성상아맨션 자리)에 있었다가 1986년수성구 지산1동으로 이전했다.[33] 대명2동 대구교육대학교 내에 있었던 대구교육대학교대구부설초등학교는 1998년 달서구 도원동 대곡주공6단지 근처로 이전했다.[34] 또한 대명3동 삼각지네거리에 있었던 심인중학교심인고등학교도 2021년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로 이전했다.

반면 남구로 이전해 오는 학교는 1982년에 들어온 대명4동의 경혜여자중학교[35]를 끝으로 없으며, 신설 학교도 1990년 대구남덕초등학교[36]를 끝으로 더 이상 없다.[37]

남구와 수성구 모두 수성면에서 비롯했기 때문인지, 1995년까지만 해도 봉덕동 일부 지역이 수성학군에 포함되어 있어 협성중 출신으로 수성구경북고등학교, 경신고등학교, 덕원고등학교, 능인고등학교 진학생들이 있었다.[38]

이렇게 학교들이 떠나가자 2009년 남구에서는 학원도시의 명성을 되찾겠다며 대구지역 제2과학고 유치에 뛰어들었지만 결국 실패했고, 대신 동구가 유치에 성공하여 대구신서혁신도시 내에 대구일과학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개교했다.

수성학군 제외와 학교 유치의 실패는 봉덕동 일대의 지가, 특히 당시 앞산 일대 3대 아파트인 미리내맨션, 효성타운, 대덕맨션의 거래가를 낮추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1990년대 중반까지 대학교수, 의사, 언론인, 정치인, 기업가 등 상류층들이 거주하던 이 아파트들에는 여전히 앞산 일대가 수성학군에 포함되었던 시기였던 1979년생 이전에 출생한 자녀를 둔 중산층 가정이 몰려 있었다.[39]

그러다 1995년을 마지막으로 주민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 일대가 수성학군에서 제외되면서 학생 자녀가 있는 많은 가정들이 수성구로 이주했고, 당시 최고가였던 일대 아파트들의 거래가는 이후 수성구 내 아파트들과 비교도 할 수 없게 되었다. 땅값에 학군이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는 걸 보여주는 한 사례다.

남구에는 협성교육재단[40]의 중고등학교가 많은데, 특히 봉덕3동(협성경복중, 협성고, 경일여중, 경일여고, 경북여상)에 몰려 있다. 그 외 대명2동(경북예고)에도 협성재단의 학교가 있다. 남구 관내 중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중 절반이 봉덕3동에 몰려 있어서 등하교 시간대에 이 곳을 지나가는 349번, 남구1(-1)번가축수송[41]을 한다. 또한 협성재단 산하의 협성경복중학교는 남구 구내의 유일한 남자중학교다. 대명2동에는 같은 협성재단 산하에 있는 남구 내 유일 남녀공학 고등학교인 경북예술고등학교가 있다.

대명5동에는 남구 유일 공립고인 대구고등학교[42]가 있다. 대구고는 야구부가 매우 유명한데 이유는 유명 선수들[43]을 배출한 야구부이기 때문이다. 앞산 중턱에 있는 학교들에 가기 위해서는 오르막을 올라가야 한다. 학교 등교 자체가 자연적으로 운동이 될 정도. 대명9동의 남덕초등학교, 남명초등학교, 대명중학교와 대명11동의 대덕초등학교가 해당되는데, 특히 대덕초등학교 동쪽 후문 코스의 오르막은 정말 어마어마한 수준이다.

8.1. 초등학교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남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대구초등학교 대구남덕초등학교 대구남도초등학교 대구남명초등학교
대구대덕초등학교 대구대명초등학교 대구대봉초등학교 대구봉덕초등학교
대구성명초등학교 대구영선초등학교 대구효명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8.2. 중학교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남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상중학교 경일여자중학교 경혜여자중학교 대구중학교
대명중학교 협성경복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8.3. 고등학교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남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경북예술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경일여자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협성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8.4. 대학교

9. 의료기관

대구에서 의료기관 접근성이 가장 좋은 지역 중 하나다. 대구경북 5개 상급종합병원 중 2개가 남구에 있다. 영남대학교병원(998병상)과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874병상)이 그것으로 영남대병원의 병상수는 경북대병원을 뛰어넘은 상태다. 종합병원으로도 드림종합병원(204병상)과 대구굿모닝병원(200병상)[44] 등이 있어 병원 접근성이 좋으며, 통합의료진흥원 전인병원 등 일반 의원도 114개소나 있어 부족하지 않다. 정 필요하면 바로 옆 중구에 가도 된다.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구(대구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군사

남구도 동구와 마찬가지로 대명동과 봉덕동에 걸쳐 있는 캠프 워커 내 동명비행장(속칭 K-37 비행장)[45] 때문에 항공기 소음이 발생한다. 1960년대 후반까지는 정찰기, 수송기 등 여러 고정익 항공기들도 이착륙했지만, 현재는 헬리콥터만 이착륙하는 상황. 활주로는 헬기장 바로 옆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이 폐쇄되었다.[46]

어쨌든 남구에 있는 미군기지들은 동구의 K-2 비행장과 함께 도시발전에 커다란 방해요소가 되었고, 이러한 군사기지들의 영향으로 대구의 중심축이 도심기능이 있는 중구로 집중이 되었으며, 인구도 미군기지가 있는 남구나 비행기 소음이 심한 동구보다, 사정이 좋은 북구의 칠곡지구라든지, 수성구, 달서구로 인구가 집중되었다.[47]

이 지역의 항공기 소음도 영남의 대도시 중 대구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 강서구처럼 전국 최고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소음 피해가 있는 것은 사실이며 비행장 주변 대부분이 민가와 접해 있다는 점과 이 곳에 뜨는 항공기가 중형 또는 대형급의 헬리콥터들인지라 항공기 소음 피해보다 바람과 진동에 의한 피해가 심각하다는 것이 문제이다. 헬기가 일으키는 바람과 진동으로 비행장 인근 민가들의 균열이 생기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 비행장 인근 주민이 CH-47 수송헬기 편대 비행에 의한 바람으로 날린 기왓장에 머리를 맞는 부상을 당해 응급실에 실려간 사례도 있다고 할 정도. 헬기 소음이 최고조에 달할 때는 매년 3~4월과 9~10월의 훈련 기간이며, 간혹 심야에는 헬기가 뜨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남구 거의 대부분의 지역에 걸쳐 고도제한이 걸려 있다. 특히 대명5동 영대병원네거리 및 대명9동 앞산네거리(현충로역) 부근과 반대편 봉덕2동 중동교[48] 및 봉덕3동 봉덕초등학교 부근 쪽에서 헬리콥터가 착륙을 준비하면서 빌딩이나 아파트 옥상, 심지어 일부 지역에서는 민가 옥상과도 거의 근접해 비행하는 모습이 예전의 용산 미군기지와 맞짱을 뜰 정도다.[49][50]

남구의 봉덕동과 이천동, 대명동 일부에서는 헬기가 지나가면 나무창 유리가 덜덜거릴 정도[51]이고, 비행장에서 그리 멀지 않으면서 중구 대봉동수성구의 수성1가동, 중동에서도 잘 들리는 편이다.

비단 헬기뿐만 아니라 가끔씩 서편 활주로 지역에 대구 인근 왜관 캠프 캐롤에 주둔 중인 패트리어트 미사일 포대 등 여러 부대들이 전개되어 훈련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 발전기 등 각종 장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있다고 한다. 그나마 근래에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발전기에 천막을 덮어씌운다고. 게다가 2013년부터는 캠프 워커와 캠프 헨리, 캠프 조지에서 아침 6시, 저녁 5시, 밤 10시에 각각 고출력 스피커로 울려대는 나팔 때문에 이들 미군기지와 접해있는 남구 대명1동, 대명2동, 대명5동, 대명9동, 봉덕동, 이천동과 중구 대봉동 그리고 수성구 수성동1가, 중동 지역에서의 소음 피해가 있다.

또한 소음 문제와 별개로 캠프 워커 내 에버그린 골프장 때문에 서편 담벼락이 접해 있는 지역의 경우 골프장에서 날아오는 공으로 인해 담벼락에 지나가던 사람이 골프공에 맞거나 주차된 차량 또는 가정의 유리창 등이 파손되는 사례들도 있다.

그리고 동구 대구 공군기지 비행장과 마찬가지로, 캠프 워커 역시 건설 당시 주변 지역은 허허벌판이었지만 도심 확장으로 주변 지역을 먹어 버린 케이스다. 심지어 이 곳은 대구 공군기지보다 15년이나 더 일찍 건설된 곳이다.

다만 2005년 주한미군 재배치로 이 곳에 배치되어 있던 UH-60Q Medevac 구조헬기 분견대의 본대인 춘천 캠프 페이지가 미국 본토 철수로 당연히 이 곳의 헬기도 철수하면서 헬기 이착륙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가끔 CH-47, CH-53 등 소음이나 바람 등이 많이 발생되는 대형헬기 이착륙이나 군사훈련으로 헬기가 많이 뜨고 내려할 일이 있을시에는 남구청 등에서 페이스북 등으로 통보하기도 한다.

하지만 비행장 이전 및 폐쇄는 아예 기대하지 않는 게 좋다. 서울, 동두천 등지의 주한미군 철수 및 한강 이남 재배치 이후 대구광역시평택시와 더불어 주한미군의 양대 허브이기에, 이전 및 폐쇄는 사실상 희박하다고 봐야 한다. 지금도 미8군후문 근처인 봉명네거리와 영대병원(영안실길) 사이 골목으로는 정체 모를 외국차들(특히 픽업트럭)과 함께 미군 차량이 꽤 지나다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1년에 한 번이지만 미국 독립기념일인 7월 4일에는 미국답게 크고 아름다운 불꽃놀이를 하는데 민가에 매우 밀집한 기지다보니 소음이 엄청나다. 하지만 민간의 항의가 잇따르자 근래에는 간단히 끝내고 있다. 2017년만 해도 15분 정도, 폭죽의 화려함도 지자체 불꽃축제와 비교해도 크고 아름답다 하기 민망할 정도로 단촐하게 끝냈다.

캠프 워커 이외에도 남구 전역이 동구 대구국제공항제11전투비행단의 비행기 이륙 항로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보니 여객기나 전투기, 수송기 등이 꽤나 많이 지나다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고, 동구나 북구 일부 지역만큼은 아니지만 F-15K 등 전투기나 일부 수송기가 지날 때 건물이 진동하는 경우도 있다. 간혹 저공비행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피해를 주는 것에 비해, 지역 경제 기여도는 0에 가깝다. 일반적으로 부대 부근은 기지촌까지는 아니어도 장병들을 노린 가게[52]가 생기는데, 남구는 도시철도 때문에 대구의 중심가인 동성로와 접근성이 너무 좋다 보니 대부분의 미군이 동성로에 가서 논다.[53]

이천동에 있는 캠프 헨리는 캠프 워커보다는 부지가 작지만 USAG대구 사령부 등 미군 지휘부가 있으며, 대명2동의 캠프 조지는 미군 아파트로 철거될 예정이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구(대구광역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자매도시

14. 출신 인물


[1] 3법정동, 13행정동.[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3] 2024년 10월 기준.[4] 남구 가선거구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2동, 대명5동): 강병준 , 이충도
남구 나선거구 (대명1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10동): 김재겸 , 송민선
남구 다선거구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1동): 정재목
비례대표: 성윤희
[5] 남구 가선거구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2동, 대명5동): 이정현
남구 다선거구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1동): 강민욱
[6] 남구 제1선거구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2동, 대명5동): 박우근 (재선)
남구 제2선거구 (대명1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0동, 대명11동): 윤영애 (재선)
[7] 당시 명덕네거리를 기준으로 서편은 명서로, 동편은 명동로였다.[8] 舊대명4동(1965.02.01~1980.03.31)과는 상관없음.[9] 舊대명6동(1970.07.01~1980.03.31)과는 상관없음.[10] 舊대명10동(現 대명6동)과는 상관없음.[11] 舊대명11동(現 대명4동)과는 상관없음.[12] 구 효성여자대학교 부지. 효성여대는 1984년부터 경산시(당시 경산군) 하양읍 금락리로 이전을 시작해 1987년 전자계산소의 이전을 끝으로 완전히 봉덕동을 떠났고, 1994년 대구가톨릭대와 통합하여 대구효성가톨릭대가 되었다가 2000년에 지금의 대구가톨릭대학교가 되었다.[13] 구 대구가톨릭대 부지로, 1990년 대건중고교, 효성여중고가 달서구 월성2동으로 이전한 후 중구 남산동의 유스티노 캠퍼스로 이전했다.[14] 주로 지산범물지구. 요즘은 지산범물지구도 예전같지 않다.[15] 주로 월배지구.[16] 그 고급주택들 중에는 철거되어 원룸 등으로 지어진 경우도 많다.[17] 단, 2020년 현재 다소 주춤한 상황. 잘 되는 곳만 잘 되는 것같다.[18] 일신학원은 과거 대구광역시에서 제일 유명한 재수 종합반 학원으로서 도심(봉산육거리)에 있었다가 앞산에 하나 더 신설한 것. 본원은 수성구 범어4동으로 옮겼다가 결국 다른 학원들에 밀려 없어지고 앞산만 운영하고 있었지만, 앞산도 폐쇄되면서 2016년 2월 현재 완전히 철거되었고, 그 부지에 스카이타운이 조성되었다. 앞산도 원래는 기숙학원이 아니었는데, 그 당시에 심인고교 출신들이 많아 심인고등학교 동문회라고 불릴 정도였었다. 2004 수능이 끝나고 일신학원의 여러 선생님들이 갑자기 앞다투어 나간 후 세운 학원이 황금2동 대구과학고 옆의 범성학원(현재는 없어짐)과 동인동의 송원학원이다.(이후 송원학원은 범어2동 수성구청역 근처로 완전히 이전) 그런데 송원학원에서 대단히 입김이 강했던 영어담당 겸 진학지도실장이었던 윤일현 강사가 송원학원과 갑자기 이견을 보여 다시 나간 후 범어3동에 세운 학원이 대산학원이었다가, 또 대산학원에서 나간 후 차린 학원이 지성학원이다. 이후 대산학원은 지성학원과 합병했고, 기존 범어3동 대산학원은 지성학원의 본원이 됐으며 지성학원을 처음 세웠던 자리인 만촌2동 건물은 만촌분원으로 운영하다가 범어3동 본원과 통합했다. 참고로 앞산일신학원 건물은 과거에는 대구은행 연수원 건물로 사용되었다.[19] 래미안 웰리스트, 효성타운, 미리내맨션, 대덕맨션, 앞산힐스테이트, 앞산서한이다음.[20] 또한 공업지대를 낀 서구와는 달리 남구는 앞산공원과 대학병원 2개 등 시설을 보유하고 있고 한때 부촌이었던 곳이라 인구는 서구보다 적어도 주거지 선호도 면에서는 서구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다.[21] 1981년 직할시 승격 이전에는 성서읍인 본동을 제외하고는 모두 달성군 월배읍 지역이었다.[22] 대형마트가 하나밖에 없는 것은 중구도 마찬가지다.[23] 남구 자체는 지금까지도 인구 하한선을 상회하는 인구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구의 인구가 인구 하한선에 미치지 못한다.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당시 남구를 단독 선거구로 다시 독립시키고 중구서구에 붙여 중구·서구 갑과 중구·서구 을로 개편하고 북구 을에서 북구 병을 분리해 대구 지역 의석을 2석 늘리는 안이 나오기도 하였으나 무산되었으며, 서구의 인구 감소로 중구와 서구를 합해도 의석을 늘릴 수 없게 된 지금은 사장된 주장이다.[24] 남구도 같이 관할해야 하는 것 때문인지, 소방서가 중구 기준으로 중구의 가장 남쪽자리 끄트머리에 있다. 사실상 중구와 남구 면적을 합쳐서 하나의 면적으로 봐야 소방서가 해당 자치구의 중심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덤으로 소방서의 이런 위치 때문에 달서구 두류동의 출동도 담당하고 있으며, 서구 비산동에도 출동한다. 당장 중부소방서 근처는 대구의 4개 구가 엇갈리게 만나는 경계선이다.[25] 그럴 만도 한게, 서부정류장 건너편이 달서구 송현동과 성당동이다. 서부정류장역도 대명11동 소재지만, 출구 3개 중 서부정류장 정면에 있는 출구 외에는 모두 송현동에 있다. 그리고 대명10동과 성당동에도 출구를 증설 중이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9] 경북산업대학교는 당시 동구 효목1동에 있었다. 큰고개아양네거리 사이에 있는 진로이스트타운 아파트 자리에 있었다.[30] 가톨릭 신부를 양성하는 곳으로 효성여대와 통합하여 오늘날의 대구가톨릭대학교가 되었다. 사제 양성 부문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유스티노 캠퍼스로서 중구 남산동으로 이전했다.[31] 현 대가대병원 자리가 옛 대신대학교 자리다.[32] 본래는 대성고등학교였다가, 1966년에 대성공업고등학교로 개편했다.[33] 그럼에도 능인재단은 보성상아맨션 내에서 상아유치원을 운영했다. 현재는 폐원했다.[34] 추가적으로 현재는 중구에 편입된 대봉동에 있었던 경북고등학교, 대구상업고등학교(현.대구상원고등학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도 1980년 이전에는 남구였다.[35] 구 경북여중. 원래 경북여고와 한 몸이었다.[36] 유아인이 나온 초등학교다. 학교 규모가 작다 보니 한때 폐교될 가능성도 제기되었을 정도다. 대명9동 중 안지랑곱창골목 서편 동네 쪽에서는 남덕초등학교보다 대명초등학교로 가길 더 원한다는 후문이. 유아인은 한때 경북예술고등학교를 다녀서, 남구와 나름 관련이 깊은 연기자다.[37] 여담이지만 봉덕3동 협성중고교도 1990년대에 수성구 이전이 논의되었다가 무산되었다. 1992년 입학생들은 교사들에게 재학중에 이전이 현실화될거라는 얘기를 들었고, 실제로 그런 이유로 협성중고교의 시설물 관리는 최악이었다. 곧 이전할 교사에 투자할 이유가 없다는 것. 그러다 이전이 무산된 1993년부터 창문 섀시 교체부터 시설 개선이 이뤄져 1996년 협성고 입학생들은 자기 학교 화장실이 대구 학교 중 최고라고 자랑하고 다녔다. 이후로 협성중과 협성고를 잇는 구름다리도 생기고 벤치도 생기는 등, 현재의 모습은 작지만 정돈되어 있다. 협성중학교는 경복중학교와 통합하여 현재는 협성경복중학교며, 경복중학교 건물은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가 대명2동에서 옮겨 와서 이용 중이다.[38] 이들의 통학 문제로 대덕맨션과 효성타운에서는 오전 6시에 발차하여 수성구 내 학교들을 순회하는 통학 셔틀버스를 운행했다. 그러다 남구가 수성학군에서 완전 제외되고 1995년도 입학생들도 졸업하게 되면서, 통학 배차는 중단되었다.[39] 대덕맨션에는 34평 미만 세대가 없다. 부인용 차를 따로 굴리는 가정들이 즐비한 데다, 위락시설이 없는 덕에 매우 조용하고 앞산이 가까워 주거환경이 좋았기 때문에 이 곳에서 살며 아이만 수성구의 학교로 통학시키는 게 합리적이었던 것이다. 또한 교육열이 높은 중상류층 가구가 몰려있던 덕에 1990년대~2000년대 초까지 협성고등학교는 학교 사상 최대의 대입 아웃풋을 뽑아냈다.[40] 재단이 운영하는 학교가 남구 외에도 서구(대구제일고, 대구청라중 ←︎ 구 경상여중), 수성구(소선여중)와 경북 영천시(금호중, 금호공고)에도 있다. 전체 11개교로 한강 이남에서는 최대 재단이다.[41] 경일여고의 자사고 전환 이후 가축수송이 조금 완화되었다고 하나, 좁아 터지는 건 매한가지. 게다가 협성고는 2학군 중 조절학군에 걸려 있는 학교다. 바로 밑에 있는 상동교로 넘어가면 수성구다 보니... 경일여고는 2020년에 일반고로 환원됐지만, 경일여고가 자사고였던 시절에는 남구에 일반 여고가 없어서 몇몇 남구 거주 여고생들이 남구와 같은 학군인 2학군 내 여고는 물론 1학군 여고인 중구경북여자고등학교북구경명여자고등학교 등지로 통학하기도 했다.[42] 2010학년도부로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가, 2021년부터 자공고가 폐지되었다.[43] 박석민, 손승락, 구자욱 등을 배출했다.[44] 굿모닝병원은 2025년에 서구 내당동롯데마트 서대구점 자리로 이전할 예정이다.[45] 일반적으로 H-805 헬기장 또는 A-3 비행장으로 불리지만, 6.25 전쟁 당시에는 K-37 및 Taegu West Air Base로 불렸다. 1921년 일본군에 의해 건설되었고 해방 이후부터 미군이 주둔하기 시작한 1959년 이전까지는 대한민국 공군의 기지였으며, 한때 공군본부가 이곳에 주둔한 적도 있었다. 또한 부활호가 이 곳에서 비행하기도 했다.[46] 만약 이 활주로가 지금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었다면 남구 일원 및 수성구 중동, 황금동, 고산동 일대, 달서구 성당동, 송현동, 본리동, 본동, 월성동, 감삼동, 장기동, 이곡동, 신당동과 달성군 다사읍 그리고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경산시 서부동 등지에서는 대구국제공항 착륙 코스인 동구 일원과 북구 복현동, 산격동, 무태조야동, 칠곡3지구나 경산시 북부동, 압량읍의 경우처럼 홍콩 카이탁 국제공항 뺨칠 정도로 건물 옥상과 거의 근접해 저공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들을 볼수 있었을지도 모른다.[47] 서구의 경우는 군사기지보다는 이 지역에 있는 서대구산업단지와 비산동에 있는 염색공단의 쇠락과 주거지의 낙후로 인해 인구가 줄었기 때문에 이쪽은 예외 사례다.[48] 이곳을 지난 남구 방향 대덕로가 얼마 가지못해 주한미군 부대로 인해 끊기면서 끝난다.[49] 앞산 전망대에서 헬기가 다니는 모습을 내려다보면 거의 땅에 붙어서 비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50] 동구 안심지구, 북구 동서변동 일대도 대구국제공항과 K-2 비행장과 멀리 떨어진 곳이 아닌지라, 여객기가 착륙할 때 아파트 옥상과 가깝게 날아다닌다. 그래서 안심지구, 동서변지구 일대도 아파트가 높지 않다.[51] 이것도 블랙호크치누크 기준이고, 스탈리온 계열의 기체가 지나가면 유리창 정도가 아니라 방바닥까지 떨리고, 이 때 건물 밖에 서있으면 귀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게 아니라 몸으로 소리를 들을 수 있다(!)[52] 1990년대 중반만 해도 캠프 헨리 정문 앞에 기지촌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1995년 이재용 남구청장의 재임 기간 중에 단행한 정비 사업 이후 지금은 대부분 사라졌다. 캠프워커 앞은 이미 1990년대 초에 나이트클럽 2개와 술집 10개 정도만 남아있는 상태였고, 이것도 1990년대 말 반미 시위 때문에 미군이 영외 출입을 잘 안 하게 되면서 술 3개만 남기고 다 없어졌다.[53] 주말에 동성로로 가면 덩치 큰 서양인들이 꽤 보이는데, 이들 중 관광객을 제외하면 주한미군 장병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