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8b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8b0> | }}} | |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colbgcolor=#8b0> ㄷ | <colbgcolor=#ffffff,#191919> 대덕로 · 대명남로 · 대명로 · 대명복개로 · 대명서로 · 대봉로 · 두류공원로 | |
| ㅁ | 명덕로 | ||
| ㅂ | 봉덕남로 · 봉덕로 | ||
| ㅅ | 성당로 | ||
| ㅇ | 안지랑로 · 앞산순환로 · 양지로 · 월배로 · 이천로 | ||
| ㅎ | 현충로 · 효성로 · 희망로 | ||
| [[틀:대구광역시의 도로| 대구광역시의 다른 도로 ]] | }}}}}}}}} | ||
| 대덕로 大德路 | Daedeok-ro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중앙대로(북) | 청수로 (동) → | }}} | ||
| 3 차 순 환 선[A] | ||||
| ~ 대명로[단절] | 대구광역시도 | 욱수동 방면 → 청수로 | ||
| 노선 번호 | ||||
| 28번 대구광역시도[3] | ||||
| 기점 | ||||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캠프워커 교차로[명목상]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대구도서관앞[실제] | ||||
| 종점 | ||||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중동교서편교차로 | ||||
| 연장 | ||||
| 2.14 km[명목상] 1.44 km[실제] | ||||
| 관리 | ||||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 ||||
| 왕복 차로 수 | ||||
| 6차로 | 전구간 | |||
| 주요 경유지 | ||||
| 캠프워크교차로[주의] ↔ 중동교서편교차로 | ||||
1. 개요
대구광역시 남구의 중심을 지나는 지선 역할의 일반도로로, 봉덕2동을 통과한다. 길이는 1440m. 미군기지 캠프 워커 활주로 서편이 반환 후 도로가 완공되면 2.1km가 된다.2. 상세
실질적으로 봉덕로가 수성구 남부와 남구 대명동, 달서구 두류동과 연결되는 유일한 도로[9]인데, 봉덕로는 끄트머리에서 신천대로 진출입로를 만나는 관계로[10][11] 신천을 건널 수 있는 교량이 없으므로, 봉덕로에서 대덕로를 타기 위해 우회하는 차량이 많다.인도와 분리된 자전거도로가 있다.
3차 순환선 문서에 나오듯 봉덕초교~대구도서관 구간이 2025년 11월 21일부터 통행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대덕로 1차 연장 구간의 남쪽에 있는 삼정길의 통행 방식이 변경된다. 삼정길에서 대덕로로 갈 때 효성로와 교차하는 지점에서 남구청 방향으로 좌회전할 수 없도록 통제되고, 봉덕태성맨션 북쪽 교차로 오른쪽에서 대덕로 신길을 연결할 목적으로 신설되는 일방통행 도로를 통해 대덕로 1차 연장 구간으로 나가는 것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730번은 호텔 더 팔레스에서 봉덕태성맨션으로 갈 때는 기존 삼정길로 가지만, 봉덕태성맨션을 출발한 후에는 삼정길에서 호텔 더 팔레스로 좌회전이 차단되기 때문에 대덕로 신길로 편도운행한 후 호텔 더 팔레스로 가는 것으로 변경된다. 사실 이 구간에 정류장이 없어서, 영향을 줄 정도의 코스 변경은 아니다. 삼정길에서 효성로로는 기존처럼 우회전이 가능하다.
나머지 서편 구간인 대구도서관~캠프워커 교차로 구간이 추진 중이다.
3. 구간
| 현충로역 (기점 예정) | ||||
| - | 중앙대로] | → | 대구시청 산격청사 방면 | |
| 봉덕초사거리 (기점) | ||||
| 앞산 방면 | ← | 효성로,이천로 | → | 건들바위역 방면 |
| 앞산 방면 | ← | 대봉로 | → | 봉산육거리,경대병원역 방면 |
| 가창,청도 방면 | ← | 신천대로 (중동교남단교차로) | → | 대봉교역,북대구IC 방면 |
| 중동교 청수로와 직결 (종점) | ||||
4. 주변 시설 및 랜드마크
5. 연장 이후
현충로역에서 중동교까지 평균 6~8분의 시간이 3~4분으로 단축되고, 대덕로에서 봉덕초등학교 교차로를 통해 호텔 더 팔레스 및 남구청네거리로 가는 순환3(-1)번이 대덕로로 직결되도록 변경될 것으로 보였으나, 봉덕태성맨션 출발 후 삼정길 → 호텔 더 팔레스 방향의 좌회전이 통제되는 730번이 우선 변경된다. 출퇴근시 대덕로는 전 구간이 교통체증이 매우 심해질 것으로 예측된다.[12]연장되는 도로 바로 남쪽으로 미군기지가 붙어 있기 때문에 도로 남부 쪽은 항상 한산한 모습이 될 것이지만 미군기지 중 헬기 착륙장이 대구도서관으로 바뀌면서 근처 학생들이 이 도로를 많이 이용할 듯하며, 원래 판자촌이 양옆에 깔려 있었지만 아파트 단지가 여러 개 들어서고 있어서 학원 등 상권도 다시 활성화될 예정이다.
6. 연계 교통
6.1. 도시철도
| | 현충로역 |
6.2. 버스
- 주요 정류소 위주로 서술, 같은 노선 반복시 제외, 가까울 경우 제외하여 서술합니다.
| 버스 정류소 | 정류장 코드 | 정차 버스 |
| | 02181 | 410번, 503번, 564번, 649번, 남구1-1번 |
| | 02438 | 730번 |
| 팔레스호텔 | 02170 | 240번, 349번, 남구1번, 순환3번 |
| 앞산힐스테이트 | 00447,09275 | 순환3-1번, 달서6번(건너편만) |
| 중동교 | 05083 | 401번(모두정차), 405번 |
7.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 {{{#!wiki style="color: #008837;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8837><colcolor=#fff> 북 편 | <rowcolor=#000,#fff> [[노원로(대구)| 4 25 노원로]]만평네거리 ~ 침산교교차로 | [[동북로(대구)| 4 25 동북로]]침산교교차로 ~ 효목네거리 | ||||
| 동 편 | <rowcolor=#000,#fff> 황금고가교네거리 ~ 만촌네거리 | [[무열로| 25 무열로]]만촌네거리 ~ 효목네거리 | |||||
| 남 편 | <rowcolor=#000,#fff> 안지랑네거리 ~ 캠프워크교차로 | | 중동교 ~ 황금고가교네거리 | ||||
| 서 편 | <rowcolor=#000,#fff> [[두류공원로| 5 26 두류공원로]]안지랑네거리 ~ 두류네거리 | [[서대구로| 5 서대구로]]두류네거리 ~ 만평네거리 | |||||
| [단절] : 캠프워크교차로 ~ 봉덕초등학교 구간 캠프워커로 인해 단절, 봉덕초~대구도서관 2025년 11월 개통 예정 대구광역시도 | 1차 순환선 | 2차 순환선 | 3차 순환선 | 4차 순환선 | }}}}}}}}} | ||||||
[A] 캠프워크교차로 ~ 중동교 (명목상)
대구도서관앞 ~ 중동교 (실제)[단절] 캠프 워커로 인한 단절[3] 성당네거리~캠프워크교차로[명목상] [실제] [명목상] [실제] [주의] 기지 명은 캠프 워커이나, 교차로 명은 캠프워'크'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기지 때문에 대명로와 곧바로 이어지지 못하고 단절된다.[9] 앞산순환로를 타기 위해 남쪽까지 내려가는 방식보다 이렇게 가는 편이 더욱 빠르다.[10] 이마저도 신천대로로 진입한 후에도 중동교 북단에서 U턴하거나 중동네거리/들안길네거리/황금네거리 방향으로 좌회전해서 나가는 통로밖에 없다. 바로 내려가는 길이 없으므로, 굳이 내려가고 싶으면 봉덕시장 → 강변코오롱하늘채 → 신천대로 → 중앙대로22길 → 대봉로 → 대덕로 → 중동교(영무예다음) 경로로 돌아서 가야 한다. 게다가 이 코스상의 끄트머리인 대봉로 구간은 일방통행이며, 이마저도 시내버스를 제외한 일반 차량은 봉덕교회에서 이 일방통행 구간으로 직진할 수 없다. 이러한 도로 구조 때문에, 봉덕시장 일대에서 신천대로를 통해 가창방향으로 내려가려면 빼도 박도 못하고 희망로, 앞산순환로, 대덕로(봉덕초교 경유)를 통해 진입해야 한다.[11] 자차만 이용할 거면 달구벌대로 - 내당역 - 파도고개로 - 양지로 - 삼각지네거리 - 중앙대로31길 - 중앙대로32길 - 봉명네거리 - 희망교 코스도 있다. 이 경로는 두류동에서 대명2동/이천동 경유 황금동(어린이세상역)으로 갈 때 이용된다.[12] 다행인건 3차선 이상이다.
대구도서관앞 ~ 중동교 (실제)[단절] 캠프 워커로 인한 단절[3] 성당네거리~캠프워크교차로[명목상] [실제] [명목상] [실제] [주의] 기지 명은 캠프 워커이나, 교차로 명은 캠프워'크'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기지 때문에 대명로와 곧바로 이어지지 못하고 단절된다.[9] 앞산순환로를 타기 위해 남쪽까지 내려가는 방식보다 이렇게 가는 편이 더욱 빠르다.[10] 이마저도 신천대로로 진입한 후에도 중동교 북단에서 U턴하거나 중동네거리/들안길네거리/황금네거리 방향으로 좌회전해서 나가는 통로밖에 없다. 바로 내려가는 길이 없으므로, 굳이 내려가고 싶으면 봉덕시장 → 강변코오롱하늘채 → 신천대로 → 중앙대로22길 → 대봉로 → 대덕로 → 중동교(영무예다음) 경로로 돌아서 가야 한다. 게다가 이 코스상의 끄트머리인 대봉로 구간은 일방통행이며, 이마저도 시내버스를 제외한 일반 차량은 봉덕교회에서 이 일방통행 구간으로 직진할 수 없다. 이러한 도로 구조 때문에, 봉덕시장 일대에서 신천대로를 통해 가창방향으로 내려가려면 빼도 박도 못하고 희망로, 앞산순환로, 대덕로(봉덕초교 경유)를 통해 진입해야 한다.[11] 자차만 이용할 거면 달구벌대로 - 내당역 - 파도고개로 - 양지로 - 삼각지네거리 - 중앙대로31길 - 중앙대로32길 - 봉명네거리 - 희망교 코스도 있다. 이 경로는 두류동에서 대명2동/이천동 경유 황금동(어린이세상역)으로 갈 때 이용된다.[12] 다행인건 3차선 이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