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 101-1 | 156 | 204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323 323-1 | 349 | 356 | |
401[A] | 403 | 405 | 410 410-1 | 413 | 425 | |
449 | 503 | 509 | 518 | 518-1 | 523 | |
524 | 527 | 564 | 600[A] | 609 | 618 | |
623 | 649 | 650 | 651 | 653 | 655 | |
706 | 708 | 719 | 724 | 726 | 730 | |
750 | 805 | 808 | 814 | 836 | 840 | |
849 849-1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30번 | |||||
| |||||
기점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동명교통) | 종점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대덕맨션)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30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15분(일 83회) | 주말배차 | 공휴일: 21분(일 58회) 토요일: 15분(일 78회) | ||
운수사명 | 동명교통 | 인가대수 | 17대[1] | ||
노선 | 동명교통 - 칠곡경대병원역 - 근로복지공단대구병원 - 팔거역 - 대구칠곡초교 - 대구과학대 - 매천역 - (매천대교 →) - 팔달중교 - 팔달역 - (← 대백인터빌) - 공단역 - 북부정류장 - 팔달시장 - 북침산치안센터 - 북구청 - (북부소방서 →/← 칠성우방타운) - 약령시 - 봉산동가구골목 - 건들바위역[2] - 봉덕시장 - 봉덕화성파크드림2차 - 대덕맨션 |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중간 출발 정류소 | |
동명 방면 | 북부정류장, 북구청 |
대덕맨션 방면 | 북부정류장토요일, 팔달역평일, 태전역, 칠곡시장 |
2. 개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 동명교통 차고지(7)에서 북구 침산3동 북구청(3)을 거쳐 남구 봉덕3동 대덕맨션(0)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8.5km.現 730번은 2006년 개편으로 번호가 통합된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출처 : MBC 뉴스데스크.[3] 7번 시절. 사진의 차량은 광남자동차 소속 1992년식 BS106. 뉴스가 뜬 당시인 1993년 1월 기준으로는 신차급에 속한 차량이었다.
- 1998년 개편 전 번호는 7번과 7-1번이었다. 칠곡지구의 개발로 아파트가 들어서기 전부터도 16번,[4] 26번,[5] 107번과[6] 더불어 칠곡 지역과 도심을 연결하는 중요한 노선이었다. 유사 좌석버스 노선으로는 307번이 있었다.[7] 당시 7번은 학정동 농촌진흥원(현 경북 농업기술원)과 봉덕동을 운행했으며, 이후 칠곡지구와 봉덕동 일대에서 자잘한 노선 변경이 몇 차례 있었다.
- 학정동 일대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들이 집중된 곳이며, 예전 행선판에는 학정동 대신 농촌진흥원이라고 표기되어 있었다.[8]
- 본래는 분리운행 없이 현재의 팔레스호텔(옛 가든호텔) 자리가 종점[9]이었는데, 이후 조금 더 연장되어 상동교 남서편 일대(고산골 입구)의 공터를 종점으로 하는 "연립"[10]행과 오늘날의 730번 종점을 종점으로 하는 "삼정골" 행으로 나뉘었다.
- 1992년에 삼정골행 가지노선은 7-1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고, 정식 종점 명칭도 대덕맨션으로 변경되었다.
- 1995년 9월 개편으로 7번은 도남동 지선이 추가되었다.
- 1998년 5월 5일 개편 때 7번과 7-1번이 통합되어 730번이 되었고, 노선이 봉산육거리~봉산동가구골목~대봉도서관~봉덕시장~남구청네거리~가든호텔(현 팔레스호텔)까지 운행하다가 협성고교~상동교 서편에서 회차하는 노선과 삼정골~대덕맨션으로 가는 노선으로 종점 부근을 1:1 비율로 분리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11]
- 1998년 9월 20일부터 옛 대봉도서관과 건들바위네거리 구간을 1:1 비율로 분리운행으로 변경되었다. 상동교(연립)행은 신천좌안도로 개통 및 일대 개발로 회차 공간이 자꾸만 좁아져서 나중에는 그냥 상동교 서편에서 U턴하여 회차하기도 했다.
- 1999년 4월 24일 개편 때 730번 중 대덕맨션 분리운행 지선이 730-1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12] 기존 건들바위네거리, 상동교 경유 차량이 730번을, 대봉도서관, 대덕맨션 경유 차량이 730-1번이라는 번호를 받았는데, 두 노선 모두 남구청네거리를 경유하지 않고 봉덕시장네거리에서 직진해서 한 블록 더 내려가서 봉덕2동새마을금고(봉덕동 화성파크드림 2단지) 쪽으로 우회전했다. 이는 원래의 7(-1)번이 아주 오래 전부터 다니던 옛길로 되돌아간 것이다. 730번의 경우 봉덕동 종점 부분도 변경되었는데 가든호텔에서 현재 봉덕동 앞산힐스테이트 아파트가 있는 대덕로로 들어가 중동교에서 (수성구로 넘어가지 않고) 신천대로에 진입해 상동교→미리내맨션→협성중고교 순서로 루프식 회차를 했다.
- 2000년 3월에 도남동 지선이 17회에서 33회로 증회되었다. 당시 도남동 지선이 경유하던 국우동, 50사단남문 일대에 칠곡3지구 개발되어 칠곡주공그린빌1단지 및 국우동현대아파트가 생기면서 증회된 듯하다.[13]
- 2002년에는 칠곡3지구 수요 증가로 한때 칠곡그린빌2단지 종점으로 730, 730-1번이 모두 운행했으나, 학정동 일대에 교통편이 723번[14]밖에 없게 되어 730번은 학정동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730-1번은 칠곡3지구에 남았고, 730번 대신 723번이 칠곡3지구로 들어왔다. 하지만 730-1번 외에 730번도 도남동으로 가는 지선이 있었는데, 730번 도남동행은 학정동으로 가지 않고 칠곡3지구로 들어왔다. 730번 도남동행은 시내에서 칠곡주공그린빌2차 종점으로 가는 길에 도남동을 들렀다 오고, 다시 시내로 나갈 때에는 도남동을 경유하지 않고 운행하는 방식이었다. 도남동에서 탄 승객들은 칠곡그린빌2단지에서 다른 버스로 옮겨 타는 방식이었다.
- 2002년 개편 때 칠곡3지구에서는 칠곡농협 - 거동교 - 홈플러스 칠곡점 - 칠곡네스빌 - 학남초교 - 학남고교 - 50사단남문 - (도남동) - 칠곡주공그린빌1단지 - 국우동현대아파트 - 구암삼거리 - 칠곡주공그린빌5단지 - 동암네거리 - 칠곡주공그린빌2단지로 변경됐다. 따라서 칠곡3지구 아파트 단지들 중 웬만한 곳들을 한 바퀴 다 돌고 운행을 끝냈다. 지금 이렇게 한 바퀴 돌아 운행하는 노선은 북구1번밖에 없으며, 이마저도 옛 718번의 구간을 이어받아 편도운행하고 있다.[15]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730번의 대덕로 → 중동교 → 신천대로 → 고산골입구 루프 구간을 과감히 폐지하고, 대덕로 구간은 순환3(-1)번에 넘겼다. 이에 따라 앞산순환로에 있는 효성타운 정류장도 경유하지 않게 되었는데, 이 지역은 349번과 새로 생긴 400(-1)번이 있으니깐 충분이 대체가 되는 구간이었다. 그리고 730-1번과 통합하여 루프 회차 방식으로 현재의 730번으로 통합되었다. 협성고로 먼저 진입했다가 대덕맨션과 삼정골을 경유해서 다시 시내로 나오는 방식이었다. 2006년 개편 전에는 북부정류장을 경유했으나, 개편 후 매천동 안쪽[16]으로 들어가면서 북부정류장으로 들어가지 않고 직선화했다. 다만 이때는 학정동행만 매천동두산위브를 경유했고, 봉덕동행은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로 진입하는 고속버스들이 많이 다니는 매천대교와 신천대로를 경유해서 팔달교 남단으로 내려왔다. 그 밖에 730-1번이 운행하던 대봉동 옛길[17] 구간도 폐지하고, 전 차량이 건들바위네거리를 경유하게 되었다. 또한 도남동 구간도 새로 생긴 칠곡2번에 넘겼다.
- 2006년 9월 24일에 다시 협성고행과 삼정골행으로 분리[18]되었는데, 역방향(칠곡방향)의 경우 둘 다 삼정골만 경유한다. 따라서 역방향은 분리운행의 의미가 없는 셈이고, 협성고(미리내맨션)행만 편도운행이 된 셈이다. 하지만 BMS 전광판의 행선지 구분에는 표시되므로 막차라는 표시가 떠도 경우에 따라서 실제로는 막차가 하나 더 있기도 하다. 그리고 이 날부터 매천대교로 내려가지 않는 대신, 칠곡2번처럼 장태실네거리에서 U턴하여 매천동두산위브와 팔달중학교를 왕복 운행한 후 팔금교를 통해 팔달교로 내려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08년 10월 개편 때 427번 증차를 위해 1대가 감차되었다.
- 2011년 칠곡3지구(칠곡그린빌2단지)로 기점을 변경했다. 급행2번과 기점을 맞트레이드하여 학정청아람, 한라하우젠트1차, 근로복지공단대구병원, 칠곡부영1차로 운행하게 되었다.[19]
- 2014년 10월 18일 1대가 감차되어 북구4번 신설에 투입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 때 기점을 칠곡3지구에서 동명교통 차고지로 연장되었다.[20] 칠곡우체국 사거리에서 홈플러스 칠곡점, 대구강북경찰서 네거리를 경유하여 한라하우젠트1차 및 근로복지공단대구병원으로 간다. 진흥교입구 및 농업기술원 구간은 칠곡3번에 넘기며, 학정청아람에서 50사단 정문 삼거리[21]에서 좌회전하여 칠곡경대병원으로 간다. 427번을 대체하기 위해 북부정류장 환승센터도 2006년 이후 9년만에 양방향 운행한다.[22] 인가대수도 1대 증차되었다.
- 2016년 추석 연휴에는 경상북도 칠곡군에 몰려 있는 공동묘지로 향하는 성묘객들을 위해 예비차 1대를 차출하여 '태전삼거리 ➝ 동명교통 ➝ 청구공원묘지 ➝ 신동재(입구) ➝ 시립공원묘지 ➝ 태전삼거리'로 순환하는 셔틀노선 하나를 지선으로 분리하였다. 이 임시 셔틀버스의 노선번호가 730번인 이유는 단순히 730번에서 차출된 차량 1대를 쓰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배차간격은 약 2시간.
- 2019년 10월 21일부터 봉덕동 쪽 분리구간 중 협성고 경유 노선이 없어지고, 전 차량 삼정골 방면으로 왕복 운행한다.관련 공지사항
- 2020년 10월 17일 개편 때 1대가 감차되어 북구4번으로 이동했다. 평일 배차간격은 13분에서 14분으로 늘어났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4. 특징
- 대덕맨션 방면은 장태실네거리(매천대교 하단)에서 U턴 운행하며, 동명 방면은 농수산물도매시장 삼거리에서 U턴 운행한다.
- 칠곡지구에서 칠성동 방면으로 갈 때는 DGB대구은행파크에서 고성지구대, 대구역서희스타힐스, 대구소방본부/북부소방서로 들어가고, 칠성동에서 칠곡지구 방면으로 갈 때는 대구역(북편)에서 칠성고등학교로 진입하여 DGB대구은행파크로 나온다. 대구역북편교차로에서 북부소방서로 좌회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 3호선 팔달역 앞에 팔달역 정류소를 신설하면서, 동명 방향으로 갈 때 U턴 구간은 농수산물도매시장 정류소(구안국도변)을 무정차하고 곧바로 대백인터빌 건너 정류소에 정차한다.
- 주거지역인 칠곡지구에서 중앙대로를 비롯한 도심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수요가 많았다. 하지만 2006년 10월 28일에 통합요금제를 시행하면서 좌석버스였던 704번이 자연히 일반버스로 전환되자 매천동과 오봉오거리를 경유하는 730번보다 상대적으로 직선으로 시내를 연결하는 704번에 승객을 대거 빼앗겨 칠곡 - 도심 수요는 많이 줄어든 편이다. 승객이 많이 몰리는 RH만 아니라면, 칠곡에서 시내 갈 때나, 반대로 시내에서 칠곡으로 갈 때 착석을 노릴 수 있는 노선이기도 하다.
- 그래도 구간 수요가 많고, 버스노선 수가 적은 매천동과 봉덕동 일부 지역에서는 꽤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노선이다. 704번이 칠곡3지구에서 만차로 다녔을 때 730번은 매천지구에 와서야 만차가 되었다고 한다.
- 하지만 427번과 704번이 개편으로 날아가 버리면서 급행3번, 724번과 함께 칠곡중앙대로에서 시내를 오가는 노선으로 남게 됐다. 하지만 724번은 중간에 태전삼거리에서 3호선 연선과 정반대편인 관음동(칠곡1지구)으로 올라간다.
- 종점인 대덕맨션 바로 앞이 급경사 구간이라[23] 저상버스를 투입하지 않았으나, 대구광역시청의 지시로 2017년 6월 23일부터 저상버스가 투입되었다. 하지만 2018년 1월 말에 2017년식 저상버스 1대가 칠곡4번으로 이동한 것을 시작으로 730번의 CNG 저상버스들은 몇 번씩 차량 이동이 있었으며, 2019년 3월에 730번이 503번과 함께 대구의 첫 전기버스 시범운행 노선으로 처음 선정된 이래 전기 저상버스가 조금씩 늘어나고 CNG 저상버스가 칠곡4번이나 724번으로 모두 이동해서 한동안 이 노선의 저상버스는 모두 전기버스만 투입되었다. 이후 차령이 만료된 몇몇 차량들을 대차하면서 CNG 저상버스의 투입이 재개됐다.
4.1. 굴곡 노선
- 2006년부터 운행하는 매천지구 투어를 시작으로 2015년 8월 개편 때 427번의 폐지에 따른 북부정류장 경유로 점점 굴곡 노선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 노선이다. 2006년 2월 개편으로 72-1번에서 변경된 칠곡2번 사수, 금호지선을 대신해 매천지구 투어를 시작했고, 2015년 8월 동명교통 차고지로 연장하면서 진흥교에서 50사단정문 삼거리를 통해 칠곡3지구 끄트머리로 들어갔다가 나오고, 427번의 폐지로 북부정류장 환승센터 구간까지 떠맡게 되었다.
- 원대오거리에서 북구청네거리로 직진하지 않고 북침산치안센터과 오봉오거리를 거쳐 북구청네거리로 내려오기 때문에,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이 구간에서는 직각삼각형 모양의 굴곡이 있다. 이는 3호선이 아예 안 다니는 칠곡중앙대로 연선 주민들의 반발로 굴곡이 없는 급행3번을 없애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 봉덕동~시내 구간 역시 팔레스호텔 네거리에서 남구청으로 직진하지 않고 우회전하여 봉덕2차화성파크드림~봉덕시장 동편~대구중학교~건들바위역~봉산동 가구골목을 거쳐서 시내로 들어간다. 다만 이 굴곡 구간 자체는 오랫동안 유지해 온 구간이기도 하고, 일부 봉덕동 및 이천동 주민들에게는 401번과 더불어 유용하게 이용되는 구간이다.
- 2015년 8월 개편으로 굴곡 문제가 심화되면서, 칠곡~시내 이동 수요가 감소했다. 427번과 704번의 폐지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였으나, 막상 개편 이후에는 북부정류장을 중간 경유하면서 수요가 개편 전보다 줄어든 것이다. 칠곡과 시내를 오가는 승객들은 3호선과 급행3번으로 이동했다. 3호선 개통 이전까지 독점했던 매천동~시내 수요도 매천역 개통 이후에 대부분 3호선으로 이동했다. 게다가 730번은 3호선과 급행3번보다 배차간격이 길다는 단점도 있다. 오히려 시내로 다니는 노선이 730번밖에 없는 침산동(북침산치안센터)~시내 구간 수요의 비중이 칠곡~시내 이동 수요보다 더 많다.
4.2.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30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0,109명 | - |
2015년 | 8,681명 | ▽ 1,428 |
2016년 | 8,161명 | ▽ 520 |
2017년 | 7,956명 | ▽ 205 |
2018년 | 8,274명 | △ 318 |
2019년 | 7,455명 | ▽ 819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5,075명 | ▽ 2,380 |
2022년 | 5,238명 | △ 163 |
2023년 | 6,206명 | △ 968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역[25], 중앙로역, 반월당역[26]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반월당역[27]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칠곡경대병원역, 팔거역, 태전역, 매천역, 팔달역, 공단역, 만평역, 팔달시장역, 원대역, 북구청역[28], 건들바위역
- 일반 철도역 : 대구역(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6. 둘러보기
대구 - 칠곡간 시내·농어촌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68846> 5권역 | 성서2 | 7 | 9 | 20 | 27 |
50 · 50-1星 | 250星 | |||||
7권역 | 급행3 | 급행9軍 | 급행9-1軍 | 527 | 730 | |
칠곡2 | 칠곡3龜 | 팔공3 | 38 | 200 | ||
250星 | 250-1 | 300軍 | 군위-용수 | |||
龜: 구미시 진입 노선. 軍: 군위군 진입 및 경유 노선. 星: 성주군 진입 노선. 초록색 : 칠곡군 농어촌버스. / 연두색 : 성주군 농어촌버스. |
대구 칠곡(지구) 연계 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칠곡 |
[1] 토요일 16대, 공휴일 12대 운행[2] 정류소 이름은 대봉성당(동명 방면)과 대봉교회(대덕맨션 방면)다.[3] 직접 링크를 보면 알겠지만 왜 저 버스가 뉴스데스크에 나왔냐면 당시까지만 했어도 BIS가 없던 시절이라 정해진 운전시간표를 지키지 않거나, 정류장이 있는 길 대신 지름길(영상에서는 신천대로)로 가 버리고, 버스정류장에 사람이 뻔히 있는데도 그냥 지나쳐버리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이를 고발하기 위해 취재했고 당시 종점에서 식사하던 기사를 카메라가 모자이크 없이 그대로 방송에 내보냈다. 지금 같으면 상상도 못할 상황. 2006년 2월 개편 이후 저런 주먹구구가 대거 근절되긴 했다.[4] 1998년 5월 5일에서 2015년 7월 31일까지 427번, 현재는 234번(칠곡 주민들 입장에서는 사실상 폐선)[5] 1998년 717번으로 변경됐다가 2006년 폐선[6] 1998년 이후로 724번[7] 307번은 1998년 704번으로 변경됐다가 2015년 폐선되었다.[8] 경상북도 농업기술원(구 농촌진흥원), 경상북도 공무원교육원, 경상북도 종합건설사업소, 경상북도 도립국악단이 모두 학정동 일대에 몰려 있다. 따라서 이쪽 소속의 관용 차량들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해 있음에도 전국 번호판으로 통일되기 전에는 모두 경상북도 번호판이 달려 있었다. 하지만 사업소들은 모두 안동시로 옮기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콜을 보내고 있는 상주시로 이전이 예정된 농업기술원 외에는 마땅한 이전지를 찾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다. 종합건설사업소는 아예 사업소 부지를 칠곡경대병원에 매각하고, 옛 산격4동 도청 청사에 이전한 후 본소를 안동에 옮기고 기존 대구 소재 사업소는 남부건설사업소로 분리했다.[9] 이보다 더 오래 된 1970년대는 구)효성여대(현 청구효성타운) 자리가 종점이었다.[10] 당시에는 상동교도 없었고, 주변에 아무런 랜드마크가 없어서 그나마 주변에 있었던 봉덕연립주택이라는 다세대 주택단지에서 따 온 것이다.[11] 분리운행은 원래부터 있었고, 중간 경유지가 바뀐 것이었다.[12] 이 날에 당시 순환형 노선이었던 303, 404, 414, 424, 434, 454, 616, 646번 노선 중 반시계 방향으로 도는 노선에 '-1'번이 부여되었다. 그전에는 순환 방향 관계없이 같은 번호를 쓰고 순환 방향은 앞에 붙은 보조행선판을 보고 구분했다. 예를 들어 동본리네거리에서 노선이 분리되는 646번의 경우 내선순환은 '원화여고', 외선순환은 '서부정류장'이라는 보조행선판을 붙였다.[13] 도남동 종점이 좁고 2002년 칠곡주공그린빌2단지 건너편에 종점이 생긴 후에는 도남동에서 종착하지 않고 들어갔다가 나온 후, 그린빌2단지 종점에서 운행을 끝내기도 했다.[14] 2006년 개편 때 폐선되었다. 유사 노선은 북구1번이다.[15] 개편 때 730번과 함께 칠곡3지구로 변경된 704번 중 홈플러스 칠곡점행은 홈플러스 칠곡점에서 730/730-1번과 달리 네스빌아파트로 안 들어가고 곧바로 칠곡부영1단지(대구강북경찰서 건너편)로 직진하여 칠곡3지구 종점에서 운행을 끝냈다.[16] 개편 전에는 72-1번(현재의 북구4번)만 들어갔던 구간이다. 그것도 본래 장태실에서 팔금교를 통해 팔달교로 직진하던 것을 변경하여 매천시장, 매천초등학교와 대구병원으로 삥 둘러서 팔달교로 내려왔다.[17] 봉산동 가구골목에서 들어가며, 지금의 240번과 401번이 다니는 대봉도서관, 청운맨션후문 앞의 좁은 길.[18] 분리하였다고 해도, 옛 7(730)번이 다니던 상동교 서편으로 가는 것은 아니다. 그쪽은 이미 순환3(-1)번이 대체해서다.[19] 한라하우젠트1차, 대구산재병원 쪽은 예전에는 시내버스가 없었다.[20] 427번 동명면~칠곡경대병원역 연결 기능을 대체한다.[21] 706번이 대곡방면으로 갈 때 국우터널 진입 전에 U턴하는 지점[22] 5월 공청회 개최 때는 북부정류장 미경유로 표시되어 있었다.[23] 종점 주차 자리 자체도 경사구간이며, 그 경사를 그냥 오르는 것도 아니라 급경사 오르막+우회전을 해서 올라가야 한다. 올라가서도 다음 출발을 위해 아파트 단지 사이의 경사진 도로에서 U턴까지 해야 하는것은 덤. 종점상태가 이렇다 보니 등판력이 부족했던 초창기 CNG 저상버스는 당연히 투입이 힘들었고, 그러다 보니 730번에 들어가는 저상버스는 한동안 모두 전기버스만 투입되었다.[24] 그 전에는 칠곡학정동으로 표기[25] 경상감영공원 또는 대구역북편네거리/대구북부소방서 정류장[26] 봉산문화거리 또는 약령시 정류장[27] 봉산문화거리 또는 약령시 정류장[28] 북구청 또는 북부경찰서(대덕맨션방면)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