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f6af30>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 ||
서구 | |||
남구 | |||
달서 | |||
달성 | 달성3[a] | ||
동구 | |||
북구 | |||
성서 | |||
수성 | |||
칠곡 | |||
팔공 | 팔공2[a] 팔공3[a] | ||
행사 | 비슬1[a]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영진교통 차량 | 동명교통 차량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팔공3번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종점) |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진인동(갓바위) | ||
종점행 | 첫차 | 05:35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1:39 | 막차 | 21:34 | ||
평일배차 | 미운행 | 주말배차 | 51분(1일 22회)(3~11월만 운행) | ||
운수사명 | 동명교통, 영진교통 | 인가대수 | 4대 | ||
노선 | 북구 동호동(종점) - 칠곡경대병원역 - (← 칠곡경대병원후문) - 동명교통 - 동명성당 - 송림삼거리 - 가산산성 - 바지마마을(방턱골) - DGB대구은행연수원 - 덕곡동 - 파계사입구(파계삼거리) - 부인사 - 수태골 - 동화사 - 공산초교 - 백안삼거리 - 진인갓바위삼거리 - 갓바위 |
2. 개요
칠곡경대병원역에서 출발하여 팔공산순환도로를 따라 갓바위까지 운행하는 맞춤 지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1.9km.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전신은 1999년 4월 24일에 생긴 131번의 '파계사 - 동화사 - 불로동 - 복현오거리 - 대구역' 지선이다. 기존 동화사행 131번 중 일부를 파계사까지 연장한 노선으로, 공휴일에만 1일 5회 운행했다. 그보다 한참 전에는 1993년까지 '파계사 - 동화사 - 백안삼거리' 구간을 운행했던 78번이 있었다.
- 한동안 파계사~동화사 간에는 정류장 팻말만 덩그런히 남아있는 채로 어떤 노선도 운행하지 않았지만 2010년 4월 4일에 칠곡군 동명면과 갓바위로 연장되어 팔공3번으로 부활했다. 분리 개통된 당시 인가대수는 4대, 배차간격 42분이었다. 이 때에는 공휴일(일요일 포함)에만 운행했다. 초기에는 광남자동차와 영진교통이 공배했다가, 동명교통과 영진교통 공배로 변경되었다.
- 2013년 10월 5일부터 토요일에도 운행한다. 그리고 배차간격이 40~50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6년 3월부터 3호선 환승을 위해 동명교통에서 급행2번 종점인 칠곡경대병원 후문까지 연장되었다. 노선이 길어졌으나 인가대수는 4대에서 2대로 줄어 배차간격이 90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9년 8월 31일부터 영진교통 차고지가 정식 기종점으로 인가되었다. 칠곡경대병원후문과 50사단 정류장은 칠곡 방면으로 운행시에만 반시계방향 P턴 방식으로 운행하게 된다. 갓바위 방면 운행시 칠곡경대병원을 경유해서 나오는게 시간은 시간대로 걸리는 반면(연료 낭비는 덤이다) 수요가 저조하다 보니깐 변경된 듯. 영진교통 차고지 출발 정류장은 다른 노선들과 분리되어 있다.
4. 특징
- 이 노선은 매년 3월 ~ 11월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만 운행하며,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운휴한다. 몇몇 차량에는 예전 공동 배차 시절에 있던 행선판 장착틀이 달려 있다. 평일에 다른 노선에서 운행하던 노선들과 예비차량이 주말, 공휴일에 투입된다.
- 이 노선을 위해 동명교통은 예비차량 2대를 투입하지만, 영진교통은 예비차 혹은 주말에 운휴하는 정규차량들 중 입석형, 저상형, 좌석형 가릴 것 없이 순번을 정해 2대 뽑아서 투입하고 있다. 따라서 급행2번, 급행7번이나 653번 정규차량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1] 2019년에는 영진교통 배차분은 사실상 급행2번 상용차량으로 고정된 듯하고, 2019년 4월 23일에 영진교통이 동호동으로 차고지를 이전한 이후에는 급행7번 차량도 일부 투입되기 시작했다. 2021년부터는 523번이나 동구9번에 들어가는 저상버스나 전기버스도 투입하고 있는데, 최근 들어서는 거의 동구9번에 들어가는 전기버스가 팔공3번을 전담하는 듯하다. 동명교통은 여전히 타 노선 상용차나 예비차가 돌아가면서 투입되는 듯하다.
- 칠곡군 동명면에서 갓바위까지 팔공산순환도로를 직통하는 노선으로 파계사, 부인사, 수태골, 동화사, 갓바위 등 팔공산 주요 관광지와 사찰을 연결해 준다. 2019년부터는 가산산성으로도 들어간다. 특히 수태골[2]과 부인사는 독점 운행이기 때문에 정규 노선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는 민원이 많다.
- 하지만 애매한 수요와 차량 문제[3] 때문에 사실상 요원하다. 초기에도 공기수송이었지만 지금도 공기수송이다. 그나마 부인사, 수태골, 가산산성[4]의 경우 차량이 없으면 대중교통으로는 이 노선이 유일하기 때문에 그럭저럭 관광객 수요가 있다. 입석 발생은 드물다.
- BIS 오류가 많다. 5번 국도로 동명 종점만 찍는 게 정식 경로이다. 실제로 BIS에 나와있는 대로 동명 종점만 찍고 가는 차가 대부분이다. 금암중앙길에서 승하차를 받은 건 해당 기사님이 노선 및 정차 정류장 숙지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인 듯 하다.[5] 그리고 갓바위 구간에도 '중마을(시내방향)'정류소 인가가 누락되어있으며 북구 동호동(종점) 정류소도 시내버스가 회차를 위해 잘만 출입하고 있지만 표시가 없다. 그 외에도 이전에는 송림사 구간도 구길로 다니는 것처럼 표시되기도 했지만 지금은 오류가 수정되어 신길로 다니는 것으로 정상 표시된다.
- 수요는 칠곡경대병원역-동명간 이동이나 칠곡군(칠곡지구)에서 팔공산으로 가는 승객 그리고 팔공산에 있는 관광지 간 이동수요가 전부다. 칠곡이 아닌 지역에서 팔공산으로 갈 경우 이 버스를 타는 것보다 101(-1)번, 401번, 급행1번과 같은 팔공산행 버스를 탈 수 있는 곳까지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이동한 후 이들 버스로 환승해서 가는 것이 더 빠르다. 그야말로 아는 사람만 아는 숨겨진 공기수송 노선이다.
- 가산산성을 경유해서 나오는 구간은 도로 폭이 좁고 경사가 급한 왕복 2차로 도로인데, 가산산성이 주차공간이 부족하다 보니까 팔공3번이 다니는 길 양 옆으로 불법주차한 차들이 많다. 운행 중에 맞은편에 다른 차가 나타나기라도 하면 그냥 갇혀 버리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정말 혼잡한 경우 가산산성 구간을 아예 운행하지 않기도 하는 듯.
- BIS에서는 전산상으로 지선버스 중 유일하게 '좌석'으로 등록되어 있다. 개통 초기에 등산객 편의를 위해 좌석버스를 투입한다고 홍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6년 10월 폐지된 좌석간선과 마찬가지로 전산상으로 좌석지선으로 남아있더라도 실제로는 입석버스나 입석형 저상버스를 투입하고 있고, 등판능력 때문인지 입석형 전기저상버스도 투입해서 운행하고 있다.
- 영진교통 차량은 측면 행선판을 가리거나, 팔공3번 행선판을 덧붙여 다니지만, 동명교통 차량은 측면 행선판을 수정하지 않고 전광판만 팔공3번으로 켜놓아 노선을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6]
- 벚꽃철이나 단풍철, 팔공산에 축제 등 행사가 있는 경우에는 팔공산순환도로가 정체되므로 지연 도착하는 경우도 많다. 2018년 어느 단풍철에는 단풍 구경하는 차들로 인해 팔공산 순환도로와 동명으로 가는 구간에 엄청난 헬게이트가 열려서 갓바위에서 칠곡경대병원까지 무려 4시간 20분이 걸린 적도 있다.[7] 그러니 이 시기 때는 다른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편이 훨씬 낫다.
4.1.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팔공3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254명 | - |
2015년 | 163명 | ▽ 91 |
2016년 | 113명 | ▽ 50 |
2017년 | 129명 | △ 16 |
2018년 | 77명 | ▽ 52 |
2019년 | 74명 | ▽ 3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86명 | △ 12 |
2022년 | 222명 | △ 136 |
2023년 | 172명 | ▽ 50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대구 - 칠곡간 시내·농어촌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노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68846> 2권역 | | |||
5권역 | 성서2 | 7 | 9 | 20 | 27 |
50 · 50-1星 | 250星 | ||||
7권역 | 급행3 | 급행9軍 | 급행9-1軍 | | |
527 | 730 | 칠곡2 | 칠곡3龜 | 팔공3 | |
38 | 200 | 250星 | 250-1 | 300軍 | |
군위-용수 | |||||
龜: 구미시 진입 노선. 軍: 군위군 진입 및 경유 노선. 星: 성주군 진입 노선. 초록색 : 칠곡군 농어촌버스. / 연두색 : 성주군 농어촌버스.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 대구-타 지역 간 시내버스 · 칠곡-타 지역 간 시내버스 |
대구 칠곡(지구)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칠곡 |
[1] 그래서인지 653번에 저상버스를 정식으로 투입하기 전에, 테스트삼아 523번의 저상버스 1대가 야외음악당로의 경사 커브길을 지나가는 653번에 지원을 나간 일이 한 번 있다. 이후 운행에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받았는지 653번에 저상버스가 투입되기 시작했는데, 그럼에도 상서고에서 야외음악당 사이로는 상당히 감속운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2] 이것 때문에 급행1번을 수태골까지 연장해 달라는 의견도 있다.[3] 일부 노선들에서 주말, 공휴일 감편분, 예비 차량 4대를 빼오기 때문에 정규노선으로 전환하면 이 4대를 가져오기가 매우 힘들어진다. 정 아니면 평일에는 2대로 운행하다가 주말, 공휴일에는 4대로 운행하는 방법도 있다.[4] 이 곳은 칠곡3번 기성리행을 타고 남원1리나 방턱골 종점에서 내려서 조금 걸어가면 되긴 하다. 방턱골 종점 바로 뒤쪽에 팔공3번의 바지마마을 정류장이 있다.[5] 2019년 가산산성 운행 초기에도 기사님들의 노선 숙지 미숙으로 노선 운행경로를 이탈하거나 정차하지 않는 정류장에서 승객 승하차를 한 적이 있다.[6] 적어도 맨 위 사진의 동명교통 차량를 봐도 급행7번의 휴일 감차분을 그대로 전광판만 팔공3번으로 바꿔놓은 모습이다.[7] 당시 오후 2시에 갓바위를 출발한 차가 6시 20분에 칠곡경대병원에 도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