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7 14:31:53

경산 버스 991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1E2D5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경산시-CI2025-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colbgcolor=#0075c8><colcolor=#fff> 간선
지선
순환
}}}}}}}}} ||
파일:991 7511호.jpg 파일:경산991일렉.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전철역6. 둘러보기

1. 개요

경산시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67.1km.
전체 정류장 목록, 노선도

2. 노선 정보

파일:경산시-CI2025-White.svg 경산시 간선버스 99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991noline.png
기점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대구대정문) 종점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동산의료원)
종점행 첫차 06:20 기점행 첫차 [평일] 05:40 [휴일] 06:45
막차 [평일] 21:00
[휴일] 21:50
막차 [평일] 20:55
[휴일] 21:05
평일배차 55분(1일 19회) 주말배차 85분(1일 12회)
운수사명 경산버스 인가대수 5대 [1]
노선 대구대학교 - 대구대삼거리 - 봉회삼거리 - 삼주봉황타운입구 - 영남신학대학교정문 - 진량읍행정복지센터 - 경산IC - 현흥초교 - 금구리 - 압량읍행정복지센터 - 영남대학교 - 임당역 - 경산시장 - 경산역 - 사월역 - 수성알파시티역 - 수성구청 - 반월당역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 섬유회관 → 성명여자중학교 → 반월당역 →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소
동산의료원 방향 선화리평일 05:45, 사월역매일 05:50
대구대학교 방향 경산시장평일 05:50, 구.남부정류장휴일 05:40
중간 종료 정류소
동산의료원 방향 경산시장평일 21:40, 영남대평일 22:25[2]
대구대학교 방향 경산시장평일 22:00 휴일 22:20 [3]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일평균 승차량

경산시 시내버스 991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764명 1,659명 1,751명 1,717명 1,168명

5. 연계 전철역

6.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마을·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368846> 4권역
(청도군)
0 0-1
2, 5권역
(칠곡군 서부)
성서2 7 250-2
250 27 51 · 51-1 9 20
5권역
(성주군)
0 (성주-고령-대구서부 · 성주-용암-문양역)
6권역
(고령군)
606 650 달성1
6권역
(창녕군)
달성6 달성7
1, 7권역
(칠곡군 동부)
급행3 급행9 급행9-1 급행9-2 급행9-3
527 730 칠곡2 팔공3 38
칠곡3 200 250 250-1 300
군위-용수 101 101-1
7권역
(구미시)
73-3 78-3
8권역
(경산시 북부)
급행5 802 814 818 55·555
8권역
(영천시)
군위-신녕
9권역
(경산시 남부)
직행1 309 509 609 649
719 848 894 동구10
100 100-1 399 803-1 949
990 991 999 999-1
권역 외
(의성군)
군위-상곡 군위-백학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시지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경산
}}}}}}}}}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산 캠퍼스 급행5 802 814 894
803 803-1 818 818-1
989-1 991 진량1 399
울산-대구대 영천-구미
대명동 캠퍼스 326 509 609 618
650 706 805 836
남구1-1 달서2 순환2-1 606
}}}}}}}}}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산캠퍼스
정문 직행1 309 609 649
719 894 동구10
100[가지1] 109 399[가지2] 803-1
809 912 918 990[가지3]
991 경산1-1 경산3 압량1
동문 999-1
후문 509 100 109 990
경산1-1 경산2-1
시외버스 경산 ↔ 포항 경산 ↔ 울산
대구캠퍼스
대구고등학교 349 405 410-1 503
649
영대병원역 순환3-1 564 남구1-1
영남이공대학교 300 306 518 651
달서2
[가지1]: 윤성A-삼주A 가지 노선 한정
[가지2]: 자인~마곡 가지 노선 한정
[가지3]: 가일~서문시장~자인 가지 노선 한정
[정평역]: 정평역 지원 운행 한정
}}}}}}}}} ||


[1] 주말, 공휴일 3대 운행[2] 대구대 출발 시각 기준[3] 대구동산병원 출발 시각 기준[4] 파란색이 본선, 빨간색이 백천동행 지선이었다.[5] 사실 신대부적지구 주민들이 요구했던 노선은 649번이었다.[6] 71번 일반버스 - 371번 좌석버스 →︎ 890번 일반버스 - 840번 좌석버스의 관계였다. 2006년 2월 개편으로 890번을 폐지하고, 840번이 동년 10월에 일반버스로 전환하여 통합한 후 894번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 건데, 991번은 5대가 다녔던 옛 890번과 인가대수가 같다. 사실 890번은 그다지 의미있는 노선은 아니었는데, 당시에는 일반버스에 시계외요금이 있어서다. 중산삼거리(시경계)에서 경일대학교까지 890번으로 완주했을 때, 폐지 직전 890번의 시계외요금은 무려 3,500원이었다.[7] 바로 다음 정류장이 영남대동문 회차지다. 영남대학교 정문에서 금구리와 정반대로 99-1번의 코스대로 1일 5회 운행했는데, 이용객이 극히 적었다. 909번의 조폐창 지선이 폐지된 후, 대구 시내버스는 2020년 2월 15일에 영남대동문 회차지의 정식 종점 인가 이전까지 한라빌라트 쪽으로 들어오지 못했다.[8] 그나마 2009년 1월 17일 개편 때 대구-경산시 시내버스 간 무료 환승제가 도입된 것이다.[9] 대구 시내버스 요금 1,100원+경산 시내버스 요금 1,100원+시계외요금 300원[10] 영대역 환승 수요 또는 영남대학교 인근 원룸촌 자취생 수요[11] 99-1번 때는 9대가 17분 간격으로 운행해서 배차 간격이 그럭저럭 괜찮았다. 그런데 2010년에 991번 운행 차량 중 2대가 백천동으로 가는 바람에 23분으로 길어졌고 2011년 경산버스에서 939번 운행에 참여하면서 다시 2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 30분, 거기다가 2012년 9월 28일 개편으로 신대부적지구를 경유하면서 시간표 조정이라도 했는지 배차간격이 더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