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 323(-1) | |
| 349 | 356 | 401[A] | | 403 | |
405 | 410(-1) | 413 | 425 | 449 | | |
503 | 509 | 518 | 518-1 | | ||
523 | 524 | 527 | 564 | 600[A]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 706 | | 708 | 719 | |
724 | | 726 | 730 | 750 | | |
805 | 808 | 814 | 836 | 840 | | |
849(-1) |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세왕교통 차량 | 한일운수 차량 |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 가창초등학교(4)에서 수성구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4)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금구리 금구동종점(9)까지 운행하는 한일운수, 세왕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58.6km. 전체 정류소 목록2.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49번 (2025년 2월 24일 폐선)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가창초등학교) | 종점 |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금구리(금구동 종점) | ||
종점행 | 첫차 | [평일, 토요일] 05:30 / [공휴일] 05:35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평일] 22:30 / [토요일] 22:33 / [공휴일] 22:36 | 막차 | [평일] 22:30 / [토요일, 공휴일] 22:31 | ||
평일배차 | 14분(일 85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8분(일 66회) 토요일: 14분(일 82회) | ||
운수사명 | 세왕교통, 한일운수 | 인가대수 | 16대[1][2] | ||
노선 | 가창초교 - 가창면행정복지센터 - 수성못오거리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 - 대구광역시경찰청 - 목련시장[3] - 수성소방서 - 국립대구박물관 - 수성알파시티역 - 사월역 - 영남대 - 금구리[4] |
중간 출발 정류소 | |
금구리 방면 | 구.남부정류장,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 |
대일리 방면 | 구.남부정류장평일, 사월역토요일, 공휴일 |
3. 역사
- 1998년 5월 5일 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다.[5] 신설 초기에는 수성구 파동 일신교통[6]~영남대학교 구간, 파동 일신교통~경산대학교(現 대구한의대학교) 구간을 운행했다.[7] 영남대행 노선은 지금 449번처럼 사월동에서 정평동을 경유해 직선으로 갔고, 경산대행 노선은 사월동~경산시장~경산시청~계양동~소라아파트 구간을 경유했다.[8]
- 2002년 기점을 성보교통 차고지로 변경했다. 일신교통 차고지가 파동 일대에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며 가창면 삼산리 팔조령 근처로 이전[10]했기 때문이었다. 성보교통 차고지는 일신교통 차고지보다 3정류장 정도 더 위에 있었기 때문에 기존 이용객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경산 방향으로 운행할 때는 가창댐입구 삼거리까지 내려가서 U턴한 후 다시 파동으로 올라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424(-1)번, 439번도 마찬가지였다. 시내 쪽에서 파동 성보교통 남쪽까지 가는 승객들은 성보교통 종점에서 시내 방향으로 나가는 버스로 무료환승했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기점이 스파밸리까지 연장되었다. 지산중학교 분리 구간이 폐지되고 경찰청 분리 구간으로 통합되었다.
- 2006년 5월 한일운수에서 840번 출신 차량 2대를 증차했다.
- 2008년 10월 기점을 가창초등학교 인근 대일리 회차지로 연장했다. 스파밸리 측에서 버스 종점을 못 쓰게 했기 때문이었다. 한때 스파밸리 근처 도로에서 회차 대기를 했다.
- 2008년 10월 한일운수에서 609번 출신 차량 1대를 증차했다.
- 2010년 4월 개편 때 세왕교통 차량 2대가 405번으로 이동했다. 대신 한일운수에서 609번 감차분 2대를 투입했다.
- 2012년 10월 개편 때 한일운수 차량 2대를 감차했다. 감차된 2대는 840번에 투입되었다.
- 2021년 4월 부적길 진입로 및 도로 확보 공사로 금구동 회차지가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 이에 인근 용암온천 진입로에서 임시로 회차대기했다.
- 2021년 4월 21일부터 중산삼거리(경산 방면) 정류소도 정차한다.
- 2022년 1월 22일부터 세왕교통 차량 1대가 240번으로 이동했고, 그 자리를 한일운수 순수증차분 1대로 메웠다. 2012년 10월부터 2015년 7월 31일까지의 각 업체 참여대수와 같아졌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4년 4월 중순부터 한일운수 측의 기사 부족 문제로 한 대, 혹은 사정에 따라 두 대씩 감차되어 운행했다 5월 1일 한일운수 차량 매각 이후 정상 복구되어 운행한다.
-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폐지된다. 수성5번이 449번의 주요 구간인 가창초 - 담티역삼거리 구간을 대체한다. 담티역삼거리 이동 구간은 649번이 대체하며, 894번은 449번의 경산 시내 - 범물동 구간의 큰 틀만 어느 정도 따라 갈 예정이다.[11] 2호선도 있고, 다른 버스 노선들도 많아 폐선에 따른 불편함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4. 특징
- 같은 생활권인 달성군 가창면, 수성구, 경산시를 모두 잇는 유일한 노선이다. 이런 이유로 다른 지역(특히 서구, 북구, 달서구 등 대구 서북부 지역)에서는 이 노선이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12]
- 능인중, 능인고, 지산중, 범물중, 경북고, 정화중, 정화여고, 동도중, 대륜중, 대륜고 등 여러 중·고등학교를 경유해 등하교시간 때는 학생들만으로 버스가 터져나간다. 파동, 지산동, 범물동, 황금동, 만촌동을 연결하는 기능이 있어서 이 구간을 오가는 주민 수요가 많다. 다만, 지산범물지구 내부와 만촌네거리를 모두 경유하여 시지로 가기 때문에, 시지와 경산시로 이동하는 수요는 적은 편이다.
- 649번, 경산 991번과 더불어 사월역에서 곧바로 영남대학교로 직진하는 노선이다. 2006년 10월까지 이 노선은 중산삼거리(시경계)에서 영대까지 거리가 4km가 안 되었기 때문에 기본요금만 낼 수 있었다.[13]
- 대구광역시 제2차 대중교통 기본계획에 따르면 도시철도 2호선 연장개통 후 449번과 649번 2개 노선을 폐선한다고 했다. 정확히는 449번 대일리-만촌네거리 구간, 649번 만촌네거리-대곡지구 구간을 통합하여 대일리-대곡지구 간 노선을 신설할 계획이었지만 무산되었다.
- 장기 정차지는 금구동 종점이다.
- 가스 충전은 경산 신천동 CNG충전소에서 한다. 일부 차량은 영남대~압량읍행정복지센터 정류장에서 승객이 다 내리면 그 정류장에서 운행을 마치고 바로 경산 신천동 CNG충전소로 충전하러 간다.
- 시간표가 빡빡한 노선이다. 특히 구.남부정류장에서 대일리종점까지는 40여분 밖에 주지 않아서 더욱 힘들다. 이는 반대방향도 마찬가지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전 스티커 행선판은 가창(스파밸리) ← 두산오거리 → 금구동 , 대일리 - 두산오거리 - 신매역 - 금구리 였다.
-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449번 버스 노선이지만, 2025년 2월에 폐지될 예정이라 더 이상 대한민국에서 449번 버스 노선을 볼 수 없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49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7,432명 | - |
2015년 | 7,209명 | ▽ 223 |
2016년 | 6,829명 | ▽ 380 |
2017년 | 6,505명 | ▽ 324 |
2018년 | 5,549명 | ▽ 956 |
2019년 | 4,675명 | ▽ 874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3,424명[15] | ▽ 1,251 |
2022년 | 4,342명 | △ 918 |
2023년 | 4,484명 | △ 142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4.2. 노선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49번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금구동(종점) 03011 | |||||
부적2리 05610 | ↓ | ↑ | 부적2리 건너 05695 | |||
부적주공A 05665 | 부적주공A 건너 05609 | |||||
압량읍사무소 05608 | ↓ | ↑ | 압량읍사무소 건너 05666 | |||
압량신협 건너 05667 | 압량신협 05607 | |||||
영남대 건너 05606 | ↓ | ↑ | 영남대 앞 05605 | |||
북부동행정복지센터 건너 05604 | 북부동행정복지센터 05603 | |||||
임당역1번출구 05598 | ↓ | ↑ | 임당역2번출구 05597 | |||
중방e편한세상 건너 - | 중방e편한세상(구.세왕주유소) 05596 | |||||
영대교(대구방향) - | ↓ | ↑ | 영대교(영대방향) - | |||
정평역4번출구 05599 | 정평역3번출구(우방맨션) 05600 | |||||
정평역1번출구(현대타운) 05601 | ↓ | ↑ | 정평역2번출구 - | |||
중산삼거리(대구방향) - | 중산삼거리(경산방향) - | |||||
↓ | ↑ | 이마트경산점 20362 | ||||
사월역(4번출구) 20256 | 사월역(2번출구) 20361 | |||||
시지보성아파트앞 20258 | ↓ | ↑ | 고산도서관 20355 | |||
신매광장건너 20024 | 신매광장앞 20025 | |||||
대구농업마이스터고건너 20259 | ↓ | ↑ | 대구농업마이스터고앞 20354 | |||
고산역화성파크드림건너 20260 | 고산역화성파크드림앞 20353 | |||||
고산2동행정복지센터앞 20261 | ↓ | ↑ | 고산2동행정복지센터건너 20352 | |||
고산농협창고건너 01093 | 고산농협창고앞 03136 | |||||
월드컵삼거리앞 01096 | ↓ | ↑ | 월드컵삼거리 01091 | |||
수성알파시티역(1번출구) 20262 | 수성알파시티역(5번출구) 20345 | |||||
연호동화훼단지2 20346 | ↓ | ↑ | 연호동화훼단지1 02300 | |||
방공포병학교건너 05204 | 방공포병학교앞 20343 | |||||
담티고개2 20348 | ↓ | ↑ | 담티고개1 01087 | |||
대륜중고등학교건너 20349 | 대륜중고등학교앞 20203 | |||||
도시철도담티역(1번출구) 20350 | ↓ | ↑ | 도시철도담티역(3번출구) 20202 | |||
수성대학교건너 20351 | 수성대학교앞 20199 | |||||
구.남부정류장앞2 20395 | ↓ | ↑ | 구.남부정류장건너2 20198 | |||
만촌육교1 20322 | 만촌육교2 00008 | |||||
우방청솔맨션건너 20323 | ↓ | ↑ | 우방청솔맨션앞 20340 | |||
동도중학교건너 20324 | 동도중학교앞 20339 | |||||
국립대구박물관앞 20325 | ↓ | ↑ | 국립대구박물관건너 20338 | |||
경북고등학교건너 20326 | 경북고등학교앞 20337 | |||||
우방신천지타운건너 20331 | ↓ | ↑ | 우방신천지타운앞 20336 | |||
수성소방서2 02454 | 수성소방서1 01476 | |||||
범물하이츠 건너 20332 | ↓ | ↑ | 범물하이츠앞 20335 | |||
지산타운앞 20333 | 지산타운건너 20334 | |||||
범물한라주택건너 20378 | ↓ | ↑ | 범물한라주택앞 20127 | |||
지산현대주택앞 20379 | 지산현대주택건너 20373 | |||||
지산목련아파트건너 20380 | ↓ | ↑ | 지산목련아파트앞 00088 | |||
지산우방아파트 20388 | 지산영남맨션앞 20387 | |||||
지산동서맨션앞 20386 | ↓ | ↑ | 지산동서맨션건너 20308 | |||
대구경찰청 20389 | 대구경찰청건너 20391 | |||||
교통연수원 00352 | ↓ | ↑ | 교통연수원건너 20307 | |||
수성아트피아건너 20390 | 수성아트피아앞 20306 |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건너 20285 | ↓ | ↑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앞 20287 | |||
수성랜드건너 00385 | 수성랜드앞 20286 | |||||
↓ | ↑ | 상동네거리 00104 | ||||
수성못오거리1 20140 | 수성못오거리2 20141 | |||||
↓ | ↑ | 수성못코오롱하늘채 20277 | ||||
송원맨션앞 20272 | 송원맨션건너 02246 | |||||
수성더팰리스푸르지오더샵아파트건너 00056 | ↓ | ↑ | 수성더팰리스푸르지오더샵아파트앞 00073 | |||
신세계주유소앞 00057 | 신세계주유소건너 00072 | |||||
대자연맨션건너 20273 | ↓ | ↑ | 대자연맨션 20276 | |||
2차대자연맨션건너 00059 | 2차대자연맨션앞 00070 | |||||
파동우체국앞 00060 | ↓ | ↑ | 파동청구하이츠 20275 | |||
화성파크뷰앞 00061 | 화성파크뷰건너 20274 | |||||
가창농협건너 02243 | ↓ | ↑ | 가창농협앞 21165 | |||
가창면행정복지센터건너 21166 | 가창면행정복지센터앞 02995 | |||||
대구텍건너 00063 | ↓ | ↑ | 대구텍앞 20529 | |||
중석타운건너 00064 | ||||||
에코테마파크대구숲앞 00065 | ↓ | ↑ | 중석타운앞 21185 | |||
에코테마파크대구숲남문앞 03355 | 에코테마파크대구숲남문건너 21184 | |||||
스파밸리1 20979 | ↓ | ↑ | 스파밸리2 02423 | |||
냉천리2 20980 | 냉천리1 01547 | |||||
대림생수앞 05414 | ↓ | ↑ | 대림생수 01881 | |||
가창중학교앞 01518 | 가창중학교건너 01965 | |||||
가창초등학교건너 01519 | 가창초등학교앞 21183 |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만촌역[16], 담티역, 연호역, 수성알파시티역, 고산역, 신매역, 사월역,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수성못역[17], 지산역[18], 범물역[19]
6. 둘러보기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노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68846> 8권역 (경산) | 급행5 | 518-1 | 708 | 814 | 818 |
818-1 | 808 | 55·555 | ||||
8권역 (영천) | 군위-신녕 | |||||
9권역 | 309 | 449 | 509 | 609 | 649 | |
719 | 840 | 909 | 939 | 980 | ||
849-1 | 100 | 100-1 | 399청 | 803 | ||
990청 | 991 | |||||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남색 : 경산시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 대구-타 지역 간 버스 |
경산-타 지역 간 버스 · 영천-타 지역 간 버스 |
대구 지산범물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급행3 |
순환 | ||
간선 | ||
지선 | ||
출근 | 8140 |
대구 시지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간선 | |
지선 | ||
경산 |
영남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캠퍼스 | ||||
정문 | 309 | 449 | 509[동문] | 609 | |
649 | 719 | 840 | 909 | ||
980 | |||||
100[가지1] | 109 | 399[가지2] | 803 | ||
809 | 911 | 918 | 990[가지3] | ||
991 | 경산1-1 | 경산3 | 압량1 | ||
동문 | 309 | 509 | 609 | 719 | |
980 | 991 | ||||
후문 | 509[소라] | 100 | 109 | 990 | |
경산1-1 | 경산2-1 | 남산1 | 남산2[정평역] | ||
용성1[정평역] | |||||
시외버스 | 경산 ↔ 포항 | 경산 ↔ 울산 | |||
대구캠퍼스 | |||||
대구고등학교 | 349 | 405 | 410-1 | 503 | |
649 | |||||
영대병원역 | 564 | 남구1-1 | 순환3-1 | ||
영남이공대학교 | 300 | 306 | 518 | 651 | |
달서4-1 | |||||
[동문]: 영남대 동문 방면 [가지1]: 윤성A-삼주A 가지 노선 한정 [가지2]: 자인~마곡 가지 노선 한정 [가지3]: 가일~서문시장~자인 가지 노선 한정 [소라]: 소라아파트 방면 [정평역]: 정평역 지원 운행 한정 |
[1] 세왕교통 4대, 한일운수 12대[2] 방학, 토요일 15대(세왕교통 3대, 한일운수 12대) / 공휴일 12대(세왕교통 3대, 한일운수 9대) 운행[3] 정류장명은 지산목련아파트[4] 회차지가 펀펀비치 부지로 이전하였다.[5] 다만 449번 신설은 경산버스와 협의하지 않았다. 경산버스는 449번의 신설과 719번의 삼천리버스(영남대) 연장에 반발해 경산 99번을 서문시장으로, 경산 399번을 동대구터미널로 연장하였다.[6] 현재 영진교통으로 2008년 11월에 북구 검단동으로, 2019년 4월에 북구 동호동으로 차고지를 옮겼다.[7] 509번처럼 종점이 2군데인 노선이었다.[8] 509번은 이와 다르게 영대 방면은 사월역~경산역~경산시장~경산네거리, 사동 방면은 사월역~정평동~경산시청~소라아파트를 경유한다.[9] 사실 1990년경 경산 100번이 남부정류장에서 황금네거리까지 연장되는 과정에서 당시 대구직할시와 협의가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아 대구 시내버스 업체들과 경산시 간 소송전이 벌어졌고, 대법원까지 간 끝에 경산시가 승소해 노선이 유지되었던 것을 생각하면 대구시가 맞대응 차원에서 100번과 유사한 노선을 신설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10] 삼산리와 팔조령 사이 現 요양원 자리이며, 그 앞에 가창2번이 아직도 붙어 있는 정류장만이 그 흔적을 알려주고 있다.[11] 중방네거리 - 경산시장 - 경산역 - 옥산협화타운 - 유니버시아드로 - 수성알파시티/소선여중 - 만촌자이르네 - 두리봉터널을 경유하기 때문이다.[12] 반대로 서부 지역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으로는 655번, 726번 등이 있다.[13] 사월역 - 영남대역 역간 거리는 3.32km이다. 경산시장을 경유하는 일반버스는 사월역~경산시장~영남대 구간이 4km를 넘었으므로 시계외요금을 받았다.[14] 나머지 하나는 814번이다.[15] 경산시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16] 만촌육교 정류장[17]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 정류장[18] 지산동서맨션 또는 지산영남맨션/지산우방아파트 정류장[19] 범물한라주택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