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0:00:16

용지역

용지역
파일:Daegu3.svg
시종착[1]
역명 표기
3호선 용지
Yongji
龍池 / 龙池 / [ruby(龍池, ruby=ヨンジ)]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안로 83 (범물동)
관리역 및 고객센터
3호선 5관리역(수성못) / 3고객센터
운영 기관
3호선 대구교통공사
개업일
3호선 2015년 4월 23일
역사 구조
지상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노선거리표
시종착
③ 범물주박기지
인입선
범물주박기지사업소
㎞ →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일평균 이용객4. 출구 정보5. 사건·사고6. 연계 교통7.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단지 셔틀버스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용지역.jpg
역사 외관(2020)
대구 도시철도 3호선 341번.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안로 83 (범물동) 소재.

2. 역 정보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남쪽 시종착역이며,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시내버스 종점 바로 앞에 있기 때문에 반야월역, 영남대역, 칠곡경대병원역처럼 시내버스 종점과 만나는 역이다. 범물1동에 위치하고 있지만 범물이라는 역명은 지산범물지구의 중심 범물네거리에 있는 범물역[2] 가져갔으며, 용지봉이라는 봉우리 및 용지시영아파트, 용지네거리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용지'가 역명으로 결정됐다.

용지역 바로 앞이 범물1동 시내버스 종점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2범물공영차고지라서 수많은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하지만 범물1동과 시지지구를 연결하는 노선은 403번 하나뿐이다. 그래서 대구스타디움에서 각종 경기 및 행사가 진행될 때엔 범물종점 시내버스 노선들과 달구벌대로 시내버스 노선들이 긴급 지원을 해 준다. 2006년 2월 18일까지는 좌석버스였던 564번이, 2012년 2월 18일까지는 단축된 564번의 뒤를 이어 604번도 403번의 백업 역할을 해줬으나, 그 날 사월동에서 율하지구, 반야월로 조정되는 바람에 403번만 남았다. 이 때문에 시지지구에서 2호선과는 별개로 403번을 이용해 용지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약간 있고,[3] 대구스타디움에서 경기 및 행사가 있는 날에는 일시적으로 이용객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용지역 근처 산에는 천주교 공동묘지도 있어서 명절 시즌에는 성묘객들로 붐빈다.
파일:용지역범물고가.png

이 곳의 교각 높이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서 가장 높다(18m). 4차 순환선의 고가도로가 이 지역을 통과할 예정이기 때문. 따라서 고가도로는 모노레일 교각 아래에 건설될 예정이다. 다만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민원으로 고가도로가 지어질 지는 의문이다. 또한 지하차도로도 건설 될 수 있다. 또한 역이 범안로 위에 있기 때문에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서 가장 긴 육교를 보유한 역이기도 하다.

현재 범안로를 따라 신서혁신도시로 연장될 수 있도록 계획된 상태다. 다만 언제 연장 공사를 시행할 지는 미지수. 당역 종착 선로를 버스종점 쪽에서 보면, 선로가 중간에 끊어져 있고 궤도빔을 설치할 공간을 살짝 남겨 놓았다. 역 진입 전에 건넘선은 따로 없기 때문에 당역 종착 열차는 무조건 인상선으로 들어갔다 나온다. 범물주박기지사업소 입·출고 선로는 칠곡경대병원 방향 선로과 인상선 사이에 단선으로 설치되어 있다.

혁신도시 연장 후에는 3호선에서 역간 사이가 가장 긴 역이 된다. 다음역인 시립미술관역(가칭)과는 거리가 상당히 긴 편인데, 4차 순환선 중 하나인 범안로 바로 위[4]로 지나가는 구간이기 때문이다.

대구권 전철 역들 중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역이다.[5][6]

2.1. 승강장

파일:용지역1.jpg 파일:용지역2.jpg
용지역사 역 안내도
범물
종착역

3. 일평균 이용객

용지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width=2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b100><bgcolor=#ffb100><width=30%> 연도 ||<width=40%> 파일:Daegu3.svg ||<width=30%><bgcolor=#ffb100> 비고 ||
2015년 4,741명 [7]
2016년 4,491명
2017년 4,444명
2018년 4,587명
2019년 4,917명
2020년 3,363명
2021년 3,802명
2022년 4,111명
2023년 4,510명
출처

용지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4,510명(2023년 기준)이다. 시가지에 있는 종착역 치고는 다소 저조한데, 그 이유는 이 역이 위치한 지산범물지구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라, 역세권이 이 지역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8] 게다가 상업 중심지인 범물역이 너무 가까운 위치에 근접해 있어서 승객이 분산되는 면이 없지 않다. 오히려 위치로 보면 승객을 끌어오기 굉장히 불리하나, 이를 앉아갈 수 있는 종점역 효과로 상쇄한다고 볼 수 있다.

근처에 709세대 규모의 수성 하늘채 르 레브가 들어섰고 주변에도 아파트가 분양이 예정되어 있어 향후 이용객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파일:Daegu3.sv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성구민운동장 · 명덕 · 청라언덕 · 서문시장 · 칠곡경대병원 방면
당역종착

4. 출구 정보

5. 사건·사고

2018년 3월 8일 대구광역시에 내린 폭설[11]로 인해 모노레일 선로가 얼어붙어서 오전 11시 11분경에 범물역에서 출발한 3호선 열차가 당역종착을 앞두고 갑자기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6. 연계 교통

1번 출구 앞
파일:버스정류장2.png범물1동행정복지센터건너[12] (대구 02376)

2번 출구 앞
파일:버스정류장2.png범물1동행정복지센터앞[13] (대구 02251)

7.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단지 셔틀버스

용지역 4번출구 홈퍼니처 앞 07:45분
대구경북기계연구원 맞은편(유가사입구사거리) 08:30분
낙동강물환경연구소 후문 앞 08:45분
물산업클러스터 글로벌BIZ 앞 08:50분

용지역에서 달성군 구지면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단지까지 셔틀버스를 이용 할 수 있다. 공문에는 상시 운행이라고 되어있으나 주말이나 휴일 운행여부는 그 셔틀버스 차량 기사에게 직접 확인하기 바란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물산업클러스터 홈페이지 공지사항 내 관련 공문을 확인하자.
https://www.watercluster.or.kr/watercluster/article.do?menuId=62&articleId=89

8. 둘러보기

파일:Daegu3.svg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이 역에서 신서혁신도시 방면으로 연장하는 방안이 구상 중이다.[2] 범물역 조감도 상의 공사 당시 역명은 수성역이었는데, 범물역이 수성역이 되었다면 용지역이 범물역이 되었을 수도 있다.[3] 유사한 사례로 2호선이 영남대역까지 연장되었음에도 719번980번을 이용해 반야월역신기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는 수요도 있다.[4] 양 옆으로는 산 지역이기 때문에 공사는 도로 가운데로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5] 레일 기준[6] 도로에서 고가까지 높이가 아닌 지표면에서 레일까지 높이로 봤을 때다.[7] 2015년 자료는 개통일인 4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8] 혁신도시 연장 구간인 연호지구, 수성알파시티2호선이 더 가깝고 접근하기 편리하다. 신서혁신도시 역시 버스 + 1호선 조합이 효율적이다.[9] 이 아파트 건너편의 범물공원에는 범물지구가 본격적으로 입주한 후 대구도시공사에서 1993년에 개장한 범물공영주차장이 있는데, 주차장의 위치 때문에 아무도 이용하지 않아 얼마 동안 폐쇄되는 등 굉장히 까였다. 그 후 도시공사에서 시청(시설관리공단)으로 이관됐으며, 본격적인 운영은 2003년부터 하는 중. 2015년 11월 23일에 유료화됐다.[10] 범물1동주민센터 버스종점 바로 옆에 있는 초등학교. 본래 중구 남산2동 동아쇼핑 건너편에 있었다가 1999년에 범물1동으로 이전했다. 구 교사는 현재 대구동부교육지원청으로 사용 중이다.[11] 부산광역시 정도까진 아니더라도 대구광역시는 눈이 잘 오는 편은 아니다. 다만 눈이 올 때 한 번씩 많이 내린 후 그걸로 끝나는 때가 좀 있다.[12] 범물1동행정복지센터 착발 시내버스 출발지점[13] 403번, 수성3(-1)번을 제외한 버스들은 용지역이 종점이기 때문에 환승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