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8:55:06

대구 버스 524

대구 버스 402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대구 버스 402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2006년 2월 18일까지 운행했던 524번에 대한 내용은 대구 버스 524(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2015년 7월 31일까지 운행했던 402번에 대한 내용은 대구 버스 402(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2006년 2월 18일까지 운행했던 524번:
대구 버스 524(폐선)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2015년 7월 31일까지 운행했던 402번:
대구 버스 402(폐선)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01b3ed>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1(-1) 156 204 232(-1) 234 240
300 304 306 309 320 323(-1)
326 349 356 401[A] 402 403
405 410(-1) 413 425 449 501
503 504 509 518 518-1 520
523 524 527 564 600[A] 609
618 623 649 650 651 653
655 665[A] 706 707 708 719
724 725 726 730 750 802
805 808 814 836 840 848
849(-1) 894 909 937 939 980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대구524_3913.jpg 파일:우진교통2813(524).jpg
대일버스 차량 우진교통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공영차고지(5)에서 서구 상중이동행정복지센터(2)를 거쳐 수성구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4)[1]운행하는 대일버스, 우진교통,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70.85km. 전체 정류소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2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524노선도.jpg
기점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제2범물공영차고지)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리공영차고지)
종점행 첫차 05:35 기점행 첫차 [평일] 05:32 / [토요일, 공휴일] 05:30
막차 [평일] 22:05 / [토요일] 22:01 / [공휴일] 21:59 막차 [평일] 22:06 / [토요일] 22:05 / [공휴일] 22:00
평일배차 15분
(일 81회)
주말배차 공휴일: 18분(일 70회)
토요일: 17분(일 74회)
운수사명 대일버스, 우진교통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인가대수 21대[2][3]
노선 범물1동행정복지센터 - 수성소방서 - 국립대구박물관 - (→ 만촌성당[단독] →/← 무열대 ←) - 차량등록사업소 - 동대구역 - 칠성시장 - 대구시동인청사 - CGV대구한일 - 큰장네거리 - (→ 평리중학교 →/← 서부시장 ←) - 서구시장 - 경운초등학교 - 상중이동행정복지센터 - 서대구역(남측) - 경원고등학교[단독] - 성서고등학교 - 와룡시장 - 계명대학교동문 - 대실역 - 매곡리공영차고지
중간 출발 정류소
다사 방면 대구제일고등학교평일, 공휴일, CGV대구한일토요일, 칠성시장평일, 공고네거리공휴일, 동대구역토요일,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평일, 동대구LPG충전소공휴일, 청구시장토요일, 만촌2동행정복지센터평일, 경북고등학교토요일, 공휴일, 수성소방서평일
범물동 방면 대구제일고등학교평일, 토요일, 신평리네거리, 서대구역(남측), 성곡중학교평일, 공휴일, 와룡시장토요일, 계명대학교동문평일, 계명대학교정문공휴일

===# 개편 후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02번
기점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제2범물공영차고지)
종점 대구광역시 서구 이현동(서대구역(남측))
종점행 첫차 미확정 기점행 첫차 미확정
막차 미확정 막차 미확정
평일배차 14~15분 주말배차 미확정
운수사명 대일버스 인가대수 15대
노선 범물1동행정복지센터 - 수성소방서 - 국립대구박물관 - (→ 만촌성당[단독] →/← 무열대 ←) - 차량등록사업소 - 동대구역 - 칠성시장 - 대구시청 동인청사 - CGV대구한일 - 큰장네거리 - (→ 평리중학교 →/← 서부시장 ←) - 서구시장 - 서구문화회관 - 서대구역(남측)
중간 출발 정류소
서대구역 미확정
범물동 미확정

3. 역사

파일:DGBUS 83 1.jpg 파일:DGBUS 83 2.jpg
83번 시절의 모습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21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8,394명 -
2015년 7,957명 ▽ 4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24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6년 9,431명 △ 1,474
2017년 9,492명 △ 61
2018년 9,479명 ▽ 13
2019년 8,767명 ▽ 712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6,533명 ▽ 2,234
2022년 6,805명 △ 332
2023년 7,446명 △ 641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지산범물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급행3
순환
간선
지선
출근 8140
}}}}}}}}} ||

[폐지]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폐지된다.[2]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노선 번호가 402번으로 변경된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성서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성주 250
}}}}}}}}} ||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성서캠퍼스
동문 급행1 급행5 급행7 405
425 503 523 524
527 564 7250
달서1 달서3 달서5 성서1-1
정문 급행1 524 527 564
655 성서2 250
대명캠퍼스
정문 순환2-1 509 650 706
805 836 달서4-1
후문 609 808 남구1-1
대명공연거리 300 306 518 609
651 808 남구1-1 달서4-1
}}}}}}}}} ||


[1] 실제로는 범물동 출발 다사매곡리 도착이다. 실제 기.종점 동일번호 425번과 뒤 바뀐것 기점지는 매곡이고 종점이 황금동 두리봉터널 종점인데다 기점으로 되돌아 들어올때도 이 노선처럼 계명대역, 강창역을 경유하지 않고 세천지구를 돌고 돌아오는 특징이 있다.[2] 대일버스 13대 / 우진교통 5대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3대[3] 방학, 토요일은 19대(대일버스 11대 / 우진교통 5대 / 현대교통 3대), 공휴일은 18대(대일버스 12대 / 우진교통 3대/ 현대교통 3대)로 운행.[단독] 밑줄 친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단독] [단독] 밑줄 친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7] 2015년 8월 1일에 신설된 지금의 204번과는 전혀 다른 노선이다. 구 204번은 옛 133번에 기원을 두고 있고, 현 204번은 2006년 2월에 폐지된 900번에 기원을 두고 있다. 두 노선이 똑같은 구간은 상리동(신천대로 하단)~서대구역네거리(옛 이현삼거리)와 평리5동 구간뿐이다.[8] 예전의 349번, 609번, 650번같이 엇갈려서 운행했다. 황금네거리 →︎ 범물동 →︎ 경북고교 혹은 경북고교 →︎ 범물동 →︎ 황금네거리 이런 식으로.[9] 다만 계대동문에서 바로 신당동주민센터로 가지 않고 와룡공원을 거쳐 선원로를 경유한다.[10] 실제로 폭풍 민원이 먹혀들면서 운행시간 증가 및 차고지 포화, 차량 부족 때문에 어려움을 근거로 안 된다는 의견을 내세웠던 사람들의 어이를 상실하게 했다.[11] 2015년 개편 때 폐지된 번호로 약 10년 만에 부활하는 것이다.[12] 우진교통 배차분은 520번으로 이동된다.[13] 그나마 중리주공아파트중리 롯데캐슬로 재개발되었고 최근에는 서구청 뒤편에 반도유보라, 이현초등학교 옆에 서한이다음, 서구문화회관 주변에 서한이다음, 평리5동 평리명성아파트를 재개발한 서대구KTX영무예다음 등이 건설되었다.[14] 521번 운행 당시 감차한 경신교통 차량은 527번에 증차했었다.[15] 다사고, 호산고, 대구외고, 와룡고, 성서고, 성산고, 경원고, 계성고. 새방골로 이전한 후 계성고교에는 524번밖에 없다.[16] 2021년 기준으로 대실 일대에서 경원고교/성산고교로 가는 버스는 524번밖에 없기에 등교가 불편한 학생들을 위해 학원차를 이용한 전용 스쿨버스도 존재했다.[17] 경북고정문 → 캐슬골드파크[18] 캐슬골드파크 → 경북고정문[19] 1) 매곡공영차고지 - 서대구역: 다사 - 성서 - 서대구공단을 연결하는 지선. 2) 서대구역 - CGV대구한일: 평리뉴타운 - 문화로 - 서문시장 - 동성로를 연결하는 간선. 3) CGV대구한일 - 범물동: 156번을 비롯한 여러 노선의 수요를 분담하는 서브 간선 또는 지선.[20] 2015년 개편 때 폐선된 604번도 여러 개 지선버스를 모아놓은 듯한 선형의 굴곡이 심한 간선버스라는 점에서 성격이 비슷했다.[21] 234번은 황금고가교네거리 방향 한정으로 남구 이천동을 경유한다.[22] CGV대구한일 정류장에서 북쪽으로 500m가량 걸으면 대구역으로도 갈 수 있다.[23]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전에는 452번이 운행했었다.[24] CGV대구한일 정류장[25] 섬유회관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