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 323(-1) | |
| 349 | 356 | 401[A] | | 403 | |
405 | 410(-1) | 413 | 425 | 449 | | |
503 | 509 | 518 | 518-1 | | ||
523 | 524 | 527 | 564 | 600[A]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 706 | | 708 | 719 | |
724 | | 726 | 730 | 750 | | |
805 | 808 | 814 | 836 | 840 | | |
849(-1) |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차량 | 우진교통 차량 |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유곡리 유곡리공영차고지(6)에서 달서구 이곡동 성서산업단지역(5)을 거쳐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리공영차고지(5)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94.14km로, 대구에서 2번째로 긴 노선이자 간선노선 중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1] 그리고 운행시간은 전구간 운행 막차 기준 2시간 10분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유곡리 (유곡리공영차고지)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리공영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평일, 토요일] 22:13 / [공휴일] 22:07 | 막차 | [평일, 토요일] 22:10 / [공휴일] 22:13 | ||
평일배차 | 17분(일 74회) | 주말배차 | 공휴일: 22분(일 55회) 토요일: 18분(일 70회) | ||
운수사명 |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우진교통 | 인가대수 | 19대[2][3] | ||
노선 | 유곡리공영차고지 - 유곡공원[A] - 국립대구과학관정문 - 한국생산기술연구원[A] - 비슬초교[A] - 현풍백년도깨비시장 - 현풍중고교(현풍공영버스정류장)[7] - 달성군민운동장 - 대동공업 - 북리 - 논공읍사무소 - 달성군청 - 옥포초교 - 화원고교 - 대곡역 - 대천119안전센터 - 대구비즈니스센터 - 성서산업단지역 - 대실역 - 매곡리공영차고지 |
중간 출발 정류소 | |
유곡리 방면 | 논공읍행정복지센터평일, 토요일, 옥포초등학교공휴일, 명곡리평일, 토요일, 대곡역공휴일, 유천포스코, 계명대학교정문평일 |
매곡 방면 | 논공읍행정복지센터, 이래오토모티브평일, 토요일, 현풍백년도깨비시장공휴일 |
3. 역사
- 1996년 9월 금포리종점[8]~계명대학교동문 구간으로 개통되었던 337번 좌석버스가 이 노선의 전신이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부터 종점이 다사읍 서재리에서 매곡리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달성군청을 경유하고, 편도운행 구간을[12] 본리초등학교로 통합하였다. 인가대수가 3대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10분까지 단축되었다.
- 2006년 5월 305번 증차를 위해 세한여객 차량 2대가 감차되었다.
- 2008년 6월 5일, 공기수송으로 악명높던 달성공단1번을 통합하여 금포리 종점에서 달성군민운동장[13]까지 연장되었다. 운행 시간이 1시간 50분~2시간 정도 되는 장거리 굴곡 노선이 되었다.
- 2008년 10월 305번 증차를 위해 세한여객 차량 1대가 감차되었다.
- 2011년 8월 18일 기점이 현풍시외버스터미널까지 연장되었다. 이전에 600번이 현풍시외버스터미널을 종점으로 운행했을 때 경유했던 현풍중고교, 현풍주공아파트 구간을 이어받았다. 무려 왕복 100km에 도달하여 600번에 버금가는 엄청난 장거리 노선이 되었다. 4대 증편했던 600번과 달리 증차 없이 연장되어서, 평일 배차간격은 15분으로 늘어났다.
- 2012년 10월 개편 때 신설된 급행4번 차량 확보를 위해 세한여객 차량 1대가 감차되었다. 배차간격은 15분에서 16분으로 늘어났다.
- 2015년 8월 1일 개편부터 대곡역~상인역~월성2동주민센터~동본리네거리~본리초교~죽전네거리~계명대역 구간 대신 대곡역~대천동공영차고지~성서공단네거리~성서산업단지역~성서주공1단지~계명대역 구간을 경유한다. 기존 구간은 651번[14]과 신설된 달서5번[15]이 대체한다. 경신교통과 남도버스가 철수했고 우진교통이 655번 배차에 참여한다.
- 2015년 12월 21일 운행 시간표가 개정되면서 소폭(1~2분) 줄어들었다.
- 2016년 2월 13일 보완 개편 때 경신교통이 다시 655번 배차에 참여한다. 경신교통이 655번을 3대 배차하지만 기존 두 업체에서 각각 2대, 합쳐서 4대를 뺐기 때문에 총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었다. 평일 배차간격은 14분에서 15분으로 늘어났다.
- 2018년 3월 10일 개편 때 북구4번 증차를 위해 경신교통 1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평일 15분에서 16분으로 늘어났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폐지되는 달성8(-1)과 통합되어 대구테크노폴리스를 거쳐 유곡리공영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기존 655번 구간이던 현풍읍내 구간과 달성8/달성8-1 구간이던 DGIST는 더 이상 경유하지 않는다. 결국 100km 가까이 나오는 장대 노선으로 돌아왔다.[16] 인가대수가 2대 증차되었지만 긴 공차거리 문제로 인해 경신교통이 다시 655번 공배에서 철수하였다.
- 2021년 3월 2일 개편 때 옥녀봉사거리에서 유곡사거리로 바로 좌회전하지 않고, 유가사거리로 직진한 후 기존에 노선버스가 없었던 구간인 유곡공원에 진입하여 유곡사거리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유곡공원 인근에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캠퍼스가 개교하면서, 통학 편리성을 증대하기 위한 조치이다.[17]
- 2021년 9월 8일, 달성군청 앞 정차 전에 국민건강보험공단 달성지사 앞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22년 3월 31일, 운행대수 조정으로 우진교통 소속 차량이 4대 감차되어 527번으로 투입되며, 그 빈자리를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소속 356번에서 감차된 4대가 메꾸게 된다. 인가대수는 변함없다.
- 2022년 3월 31일 개편 때 우진교통의 인가대수가 6대에서 2대로 줄어든 이후부터 공휴일에는 우진교통이 운휴하고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한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4. 특징
- 개편 이전에는 오지노선으로 분류되어서[18] 배차간격이 길었지만, 아침에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많이 이용했던 노선이었다. 주로 화원읍, 월배에서 성서 방면으로 가는 승객들이 많이 탔었다.[19]
- 2006년 개편 후 무료환승제가 도입되고 준공영제가 도입되어 수익 창출에 덜 신경쓰게 되면서 월배에서 성서까지 더 빨리 이어주는 노선[20]이 생기자 승객이 감소했다. 그래서 2006년 개편 당시 10분 배차였던 것이 지속적으로 감차되고 2008년 이후에는 노선도 길어지면서 배차간격이 벌어졌다.
- 2015년 8월 개편에 따라 수요가 더욱 감소하였다. 개편 이전 때 최대 수요처였던 용산동, 상인동 구간을 달서5번으로 이관하였다. 기존 구간(대곡역~현풍읍)은 급행4번, 600번과 선형이 비슷하며 최대 수요처인 달성1차산단의 거주민들의 수도 감소하고 있다.
- 600번과 월배~달성1차산단 구간이 거의 중복되고, 달성1차공단의 승하차 비율이 적다. 무엇보다 달성공단1번을 흡수하면서 달성1차공단을 한 바퀴 도는 노선이 되어 이 구간에서만 무려 20분 가까이 소요된다.
- 특이한 점은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중에서 240번, 405번과 더불어 기종점 모두 달성군 지역이다. 달성군 남서쪽 현풍읍~논공읍~옥포읍~화원읍에서 월배, 성서 구간을 지나 북서쪽 다사읍으로 들어가는 노선이다.
- 준공영제 이전의 공동 배차제 시절에는 하루에 무려 14개의 버스 회사에서 이 노선을 운행했다. 회사당 1대의 차량이 운행했던 것. 당시 회사별로 1대씩 오지노선 운행만 전담하는 차량이 있었는데, 655번도 오지노선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이 오지노선 운행만 전담하는 차량들만 투입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렇게 오지노선만 전담하는 차들은 대부분 오래 된 차량들이었기 때문에 이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들의 연식도 다소 오래되었었다. 2000년까지만 해도 냉방차량 구경하기도 어려웠을 정도.[21]
- 2015년 8월 1일 개편 때 대곡역 ↔ 대천동공영차고지 ↔ 대구비즈니스센터 ↔ 성서산업단지역 ↔ 계명대학교로 노선을 변경 하면서 운행시간이 단축되고 또한 1호선 대곡역과 설화명곡역, 2호선 성서산업단지역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이 늘어났다. 또한 개편으로 계명대학교를 경유하게 되어 달성군(논공, 옥포, 화원)에서 통학하는 학생 수요 또한 증가하였다.
- 간선 노선 중에는 유일하게 한국산업인력공단 사거리에서 직진해서 대천교로 가는 노선이다. 성서산업단지역에서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564번과 함께 경유하지만 564번은 대구비즈니스센터에서 좌회전해서 서부정류장으로 빠지다 보니 아침에는 성서산단 근로자들 수요로 인해 만차로 성서산단을 지나다닌다. 성서에서 대곡까지 15분~20분 정도면 도착할 정도로 달서구에서 운행 시간이 대폭 줄어들었다.
- 2016년 2월 개편 때 세한여객에서 623번에 2대, 우진교통에서 성서1(-1)번에 각각 1대씩 이동되면서 차량 4대가 655번에서 빠지고 경신교통에서 3대가 들어오게 되어 인가대수가 1대가 줄면서 배차간격이 늘어날 상황이었지만 15분으로 맞추라는 지시가 있었는지 운행 속도가 빨라졌다.
- 매곡리공영차고지에서 우진교통 기사 교대와 가스 충전, 유곡리공영차고지에서 장기 정차를 한다.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기사 교대는 성서산단, 유천교 일대에서 한다.
- 현재 노선과 초창기 노선의 차이가 크다. 1990년대 중후반 신설 당시와 비교했을 때 2015년 8월 이후 현재까지도 유지되는 구간은 달성군예비군훈련장 ~ 대곡역 구간이 끝이다.
- 유곡리 방면은 달성군청앞 정류장에, 매곡리 방면은 달성군청건너 정류장에 정차한다. 대구버스와 카카오맵 앱에서는 유곡리 방면도 달성군청건너 정류장에 정차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정차 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8,777명 | - |
2015년 | 9,065명 | △ 288 |
2016년 | 5,519명 | ▽ 3,546 |
2017년 | 5,319명 | ▽ 200 |
2018년 | 5,760명 | △ 441 |
2019년 | 5,069명 | ▽ 691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4,534명 | ▽ 535 |
2022년 | 4,714명 | △ 180 |
2023년 | 4,845명 | △ 131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달서구 구간이 달서5번으로 분리되면서 해당 노선의 일평균 승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5. 연계 철도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설화명곡역, 화원역, 대곡역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성서산업단지역, 계명대역, 강창역, 대실역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고령 | 606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성주 | 25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성서캠퍼스 | ||||
동문 | 급행1 | 급행5 | 급행7 | 405 | |
425 | 503 | 523 | 524 | ||
527 | 564 | 7250 | |||
달서1 | 달서3 | 달서5 | 성서1-1 | ||
정문 | 급행1 | 524 | 527 | 564 | |
655 | 성서2 | 250 | |||
대명캠퍼스 | |||||
정문 | 순환2-1 | 509 | 650 | 706 | |
805 | 836 | 달서4-1 | |||
후문 | 609 | 808 | 남구1-1 | ||
대명공연거리 | 300 | 306 | 518 | 609 | |
651 | 808 | 남구1-1 | 달서4-1 |
[1] 1위는 95.74km의 급행9번이다.[2] 우진교통 2대 /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17대[3] 토요일 18대 / 공휴일 14대 운행[A] 655번 단독구간이다.[A] [A] [7] 급행4번은 현풍공영버스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기 때문에 현풍백년도깨비시장에서 승하차해야 한다. 구지면에서는 달성4번을 타면 현풍공영버스정류장에 도착할 수 있으며, 현풍공영버스정류장에서 현풍 구 터미널(달성군민체육관)로 편도운행한다.[8] 달성군예비군훈련장 앞 공터에 있는 32번 금포리 종점으로 32번과 같이 종점을 쓰고 있었다.[9] 37번으로 운행했던 당시 행선판은 337번 행선판에서 '3' 하나를 가려서 썼다.[10] 예전에 서재리는 3번 세천리행이 서재초등학교까지 들어왔으며, 거기서 다사읍사무소 서재출장소를 통해 세천리로 진입해서 강창동서타운 경유로 매곡까지 갔다. 그 이후 매곡리로 갔던 6번, 6-1번이 개편을 앞두고 방천리로 변경되고 405번으로 개편되어 현재까지 운행 중이다.[11] 꽤 장거리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이 때는 불과 12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무려 20분이었으며 거기다 일반버스였다. 다만 이후에 조금씩 증차되긴 했다.[12] 논공 방면은 죽전네거리에서 감삼역으로 직진한 후 원화/경화여고를 거쳐 제일여상으로 내려왔고, 다사(서재리)방면은 제일여상에서 본리초등학교로 들어갔다. 감삼네거리에서 성서 방향으로는 좌회전 금지 구간인데다가 U턴이나 P턴까지 할 구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리초등학교로 하여 죽전네거리로 들어간 것 하지만 2001년 당시 죽전네거리도 2호선 공사로 인하여 성서 방향에 한해 좌회전이 금지되어 구병원 인근에서 U턴 하는 체제로 운행하였다. 2호선 개통 이후 죽전네거리는 노선버스에 한해 좌회전이 허용되었다가 좌회전 금지가 완전히 해제되었다.[13] 달성군민운동장 인근에 KB국민은행 달성공단지점이 있는데, KB국민은행 건너편 주차장에 회차지가 있었다.[14] 유천교~월성주공4단지[15] 유천교↔대구공업대학↔계명대학교동문[16] 655번의 구간 중 유천네거리~상인네거리~월성2동주민센터~본리초교~성서산업단지역 구간을 달서5번으로 이관했으나 유곡리로 연장되어 단축의 의미가 퇴색됐다. 공지된 저상버스 시간표를 보면 알겠지만 많이 걸릴 때는 무려 2시간 32분이나 걸린다.[17] 유곡사거리 서편에 별도 정류소를 만들었다.[18] 2006년 이전까지 모든 시내버스 노선은 1조, 2조, 3조(오지조)로 분류되었는데, 2006년 개편 전까지 오지조 중에서 세자릿수 번호는 131번과 이 노선 둘뿐이었다. 204번도 오지조였으나 이 노선이 증차되면서 2조로 편입되어 나갔다. 참고로 오지조 노선은 회사들도 구형차량 위주로 배치해서, 655번은 2000년대 초까지 대부분의 회사가 무냉방 차량 위주로 배차했다.[19] 이 노선도 굴곡이 좀 있긴 하지만 당시에는 월배 등 6권역에서 성서로 가장 빨리 가는 노선이었다. 6권역에서 성서로 가는 노선으로는 이 노선 외에도 506번이나 665번이 있었지만 이 노선보다 한참 더 돌아서 갔다. 월배에서 성서로 바로 연결할 경우 수익이 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지 조금이라도 수익을 내려고 노선을 이리저리 꼬았기 때문이다.[20] 달서1번, 달서3번, 성서2번[21] 어떤 날에는 천연가스차량이 투입된 적이 있기도 했다.[22] 매곡센터, 다사센터(강서본서), 성서센터, 대천센터 등. 심지어 성서와 대천센터는 정류소 이름부터가 해당119안전센터로 오랫동안 사용중이다.[23] 그 전에는 논공으로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