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7:11:14

대곡역(대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양시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3호선/경의·중앙선/서해선/GTX-A의 환승역에 대한 내용은 대곡역(고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곡(정부대구청사)
파일:Daegu1.svg
하양 방면

진 천
1.1 ㎞ →
역명 표기
1호선 대곡 (정부대구청사)
Daegok (Central Gov’t Office-Daegu)
大谷 (政府大邱廳舍) / [ruby(大谷, ruby=テゴク)]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비슬로 지하2718 (대곡동 946)
관리역 및 고객센터
진천관리역 / 1고객센터
운영 기관
1호선 대구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2002년 5월 10일
역사 구조
지하 3층(심도 17.2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2. 역 정보3. 일평균 이용객4. 승강장5. 역 주변 정보6. 연계 교통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17번. 대구광역시 달서구 비슬로 지하2718 (대곡동 946) 소재.

2. 역 정보

파일:대곡역 1호선.jpg
대합실
부역명은 정부대구청사.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로 표기하는 게 정확하지만, 너무 길어서 그런지 이렇게 정해졌다. 그런데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가 대곡역과 1km 정도 떨어져 있는데 비해, 대곡역에서 청사로 가는 시내버스는 달서5번밖에 없다.[1]

달서구 대곡동달성군 화원읍 구라리의 경계 지역에 있으며, 1번 출구와 4번 출구는 화원읍 구라리에 있다. 대구 1호선 착공 당시에는 달성군이 경상북도였던 시절이라 진천역 종착으로 계획됐다가, 1995년 3월 1일에 달성군이 대구로 편입되자 다른 1호선 역들과 달리 1996년 12월 31일에 별도로 착공[2]하여 2002년 5월 10일에 개통했다.

역명은 이 곳의 지명을 따라 제정되었다. 예전에 이 곳을 큰마을이라는 뜻의 순한글로 한실이라 불렀는데 나중에 골이 깊고 큰마을이라는 뜻의 '대곡(大谷)'이 되었다고 한다. 역 주변은 아파트 위주의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역은 대곡동과 화원읍 입구에 사는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지만, 대구 도시철도 수혜 지역에서 제외된 달성군 남서쪽, 화원읍, 옥포읍, 논공읍,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 주민들이 대구 시내로 나가거나 돌아올 때 환승한다. 2013년에 드디어 일평균 승하차 인원이 1만 명을 돌파했다. 시내버스들이 좀 있지만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은 시내버스로 가더라도 달성1차산업단지를 돌고 돌기 때문에 답이 안 나올 정도로 오래 걸린다. 그러나 2012년 10월 20일 대곡역에서 구지면 내리 달성2차산업단지까지 운행하는 급행4번이 신설되면서 소요 시간이 기존의 1시간 30분 이상에서 50분으로 획기적으로 단축되었다. 앞으로 많이 활성화되면 구지면에서 대곡역까지 급행4번을 타고 와서 대곡역으로 환승하고 반대로 대곡역에서 급행4번으로 환승하기 위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였으나, 2016년 설화명곡역의 개통 이후에는 자연히 그쪽으로 옮겨 갔고, 급행4번도 설화명곡역으로 단축됐다. 대신 급행8번[3]이 들어왔다. 하지만 급행8번마저 정차하는곳을 대곡역에서 진천역으로 옮겼다.

2010년 7월 22일서편연장 2.6km에 대한 공사가 시작되었고, 2016년 9월 8일 개통되었다.[4] 이 때 건넘선이 철거됐다. 옥포읍이 나오기 전인 설화리까지 운행하기 때문에, 완공되면 화원읍과 옥포읍 일부 주민들은 도시철도 직접 수혜권에 들어간다. 반면 대곡역은 종점이었다가 중간역으로 전환해서 수요 분산으로 지금보다 승객 수가 조금 줄어들 거라고 예상됐고,[5] 예상대로 이용률이 감소했다.

그나마 본리지구 환승 수요나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출퇴근 수요 때문인지, 대곡역은 아예 이용률이 반토막난 사월역에 비하면 감소 폭이 적었는데, 테크노폴리스로가 인근에 있는지라 달성1차산단을 거쳐가기 때문에 답이 없는 600번 대신 급행8번을 타고 오는 구지면, 유가읍 주민들의 환승 수요 때문이었다. 급행8번의 대곡역 착발 시절 대곡역한라하우젠트 정류장에 사람들이 대거 몰려 있으면, 90% 이상이 급행8번을 타고 구지나 유가로 가는 승객들이었다.

그렇지만 서대구역 개통 후 급행8번이 대곡역 대신 진천역월배역, 상인역, 달서구청과 2호선 죽전역을 경유하여 서대구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보조 노선인 급행8-1번도 진천역 착발로 신설되면서 구지 및 유가방면 환승 수요를 진천역 등지에 넘겨 주었다.

1번 출구에서 내려서 청구청룡맨션 뒷길로 가면 진천천 자전거길이 나오는데, 구라리를 넘어 화원동산 중턱으로 직행할 수 있는 자전거도로가 있다. 화원동산에서 내려오면 곧바로 사문진교이고 낙동강 자전거길로 이어지며 강정고령보 쪽과 고령군 다산면으로 갈 수 있다.

2016년 7월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됐다.

이 역의 신 폴싸인으로 교체되기 전의 구 폴싸인은 다른 역에서 쓰던 디자인과 판이했는데, 그 디자인은 서울 지역에서 쓰이는 청록색 폴싸인과 비슷했다.

일부 열차의 승무교대가 이 역에서 이뤄진다.

3. 일평균 이용객

대곡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d93f5c><bgcolor=#d93f5c><width=30%> 연도 ||<width=40%> 파일:Daegu1.svg ||<width=30%><bgcolor=#d93f5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5,650명 [6]
2003년 6,600명
2004년 10,319명
2005년 10,655명
2006년 13,413명
2007년 14,655명
2008년 16,460명
2009년 16,140명 }}}}}}}}}
2010년 16,338명
2011년 17,096명
2012년 17,438명
2013년 18,489명
2014년 18,473명
2015년 18,829명
2016년 17,847명
2017년 13,828명
2018년 13,965명
2019년 14,042명
2020년 9,481명 [7]
2021년 10,439명
2022년 8,611명
2023년 8,771명
출처

2016년에 화원읍 연장 구간이 개통하기 전에는 하루 평균 18,000여 명이 이용했던 역이다. 월배 지역에서는 상인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은 역이었지만, 2017년에는 진천역에 추월당해 주요 역으로서의 입지를 위협받는 상황이다. 2016년까지는 1호선 종점이라는 특성 덕분에 화원읍, 옥포읍, 논공읍, 현풍읍 등지로 가는 사람들이 환승 거점으로 이용했기 때문에 제법 많은 사람들이 찾는 역이었다. 이러한 사실로 인해 역 인근에는 소규모의 상권이 조성되었고, 이것이 승객을 끌어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여 꾸준히 이용객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

하지만 2016년 9월 8일에 화원읍까지 1호선이 연장되자 이 역에서 환승하던 승객들의 상당수가 설화명곡역으로 옮겨 감에 따라, 하루 평균 5천여 명의 승객이 감소했다. 다만 비슷한 사례인 2호선 사월역에 비하면 감소 폭이 다소 적었는데, 이는 테크노폴리스로를 통해 유가읍, 구지면 방면으로 연결되는 급행8번 버스가 대곡역을 종점으로 삼아 여전히 환승 거점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8] 1호선 화원읍 연장 이후 종점이 대곡역에서 설화명곡역으로 변경된 급행4번 버스를 타고 달성군에서 설화명곡역까지 가게 되면 우회하는 선형이 되어버리며,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할 수 없기 때문에 소요 시간이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테크노폴리스 주민들의 입장에서는 굳이 설화명곡역으로 갈 이유가 없는 것이다.

대구산업선이 개통하면 테크노폴리스와 구지면에서 환승하는 이용객들이 이탈하여 이용객 수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다만 이용객을 온전히 가져올 수 있을지에 대한 여부는 향후 테크노폴리스역, 대구국가산단역의 위치와 이 역으로 연계되는 시내버스들이 어떻게 개편되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에 급행8번이 대곡역 대신 진천역을 경유해 서대구역으로 연장됨에 따라, 환승 수요를 진천역에 넘겨주게 되며 이용객이 급감해서 코로나-19가 대유행하던 2020년보다도 더 줄었다.[9] 반대로 진천역은 그 많은 환승 수요를 다 흡수하여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의 수요를 회복했다.

4. 승강장

파일:대곡역(대구) 승강장.jpg
대곡역 승강장
파일:대곡역 안내도.png
역 안내도
화원
진천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화원 · 설화명곡 방면
서부정류장 · 반월당 · 중앙로 · 동대구 · 안심 · 하양 방면

5. 역 주변 정보

6. 연계 교통

대곡역(2번출구)(01706)
간선
지선
농어촌
대곡역(한라하우젠트앞)(01708)
간선
지선
대곡역(1번출구)(02269)
간선
지선
농어촌
유천교2(02706)
급행
간선
지선
유천초등학교앞(04020)
간선
유천교1(09126)
급행
간선
출근맞춤
지선
대곡역(한라하우젠트건너)(09230)
간선
지선


[1]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서 대곡동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해서 수목원삼거리에서 좌회전 후, 정부대구청사를 거쳐 대곡역 및 유천네거리를 지나 상인동으로 나가는 달서5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기존의 달서2번 노선은 폐지됐다.[2] 화성산업 홈페이지 참조.[3] 대곡역(한라하우젠트건너) 정류장에 온다. 정류장 번호는 09-230.[4] 겨우 2.6km 공사하는 주제에 참 오래 걸린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원래 어떤 길이든 이 정도의 시간은 걸린다. 돈을 엄청 퍼붓지 않는다면 말이다. 우선 타당성 조사를 통과해야하고 공사 부지도 마련해야하며 공사 기간동안 민원이라도 쏟아지면 공사가 중단되는 경우도 다반사다. 지하철은 단순히 땅만 판다고 해서 완성되는 것이 절대 아니다. 2호선 사월역에서 영남대역 연장 공사도 3개 역을 신설하는 데 5년이 걸렸다.[5] 단적으로 경산시 중산동 시경계 근처에 있는 2호선 사월역을 들 수 있다. 사월역이 종점인 시절에는 경산시 주민들이 많이 이용했기 때문에 승객 수가 꽤 많았지만, 2호선이 정평동으로 직진해 영남대역까지 연장되면서 대번에 승객 수가 반토막나고 말았다. 그렇기 때문에 사월역의 주된 환승 수요는 경부선 경산역이나 경산시장, 경산오거리(경산터미널, 경산시청), 중산지구(펜타힐즈) 쪽으로 가는 승객들이다.[6] 개통일인 5월 1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여파[8] 공교롭게도 테크노폴리스에 위치한 아파트들의 본격적인 입주가 시작된 시기와, 1호선 화원읍 연장 시기가 비슷하게 맞춰져서 감소 폭이 다소 적었던 것이다. 만약 더 일찍 입주가 시작되었다면 최소 2만 명 이상의 수요를 보였을 것이며, 반대로 입주가 늦게 시작되었다면 말 그대로 폭락했을 것이다.[9] 실제로 설화명곡행 열차는 상인역에서 한 번 대거 빠진 사람들이 그나마도 진천역에서 다시 한 번 대다수가 빠지고, 이 역부터 한산해진다.[10] 바로 옆 자리가 대명교통의 옛 구라리차고지가 있었던 자리며, 이 때문에 대명교통은 다른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회사들과 달리 달성군 차적을 이용한 관계로 번호판이 "대구 70"이 아닌 "대구 78"로 시작한다. 2006년 9월에 대천동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7. 둘러보기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93f5c>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본선)
안심-하양 복선전철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