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10:45:18

수성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ef7e20 21%, #ef7e20); font-size: 1em;"
]] 중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0062aa 21%, #0062aa); font-size: 1em;"
]]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자치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75b0db>
파일:수성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75b0db><colcolor=#fff> 고산1동 신매동 일부 | 욱수동
고산2동 가천동 | 고모동 | 노변동 | 대흥동 | 삼덕동 | 시지동 | 연호동 | 이천동
고산3동 매호동 | 사월동 | 성동 | 신매동 일부
두산동 두산동
만촌1동
만촌2동
만촌3동
만촌동
범물1동
범물2동
범물동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수성구청|
구청
]] 범어동
상동 상동
수성1가동 수성동1가
수성2·3가동 수성동2가 | 수성동3가
수성4가동 수성동4가
중동 중동
지산1동
지산2동
지산동
파동 파동
황금1동
황금2동
황금동
}}}}}}}}} ||
대구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壽城區
Suseong-gu
}}}
<colbgcolor=#75b0db> 구청 소재지 달구벌대로 2450 (범어동)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23[1]
면적 76.54㎢
인구 408,943명[2]
인구밀도 5,333.94명/㎢[3]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대권 (재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5석[4]

7석[5]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석[6]
국회의원
<colbgcolor=#75b0db>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주호영 (6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인선 (재선)
상징 구화 장미
구목 은행나무
구조 왜가리
구가 수성구민의 노래
지역전화 053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파일:플리커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
5.1. 수성구 편중발전 논란
6. 교통
6.1. 관내 철도역 목록
7. 경제
7.1. 금융
8. 생활문화
8.1. 교육8.2. 주거환경8.3. 문화시설8.4. 치안8.5. 의료기관
9. 정치10. 하위 행정구역11. 자매도시12. 대중문화 속 수성구13. 출신 인물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수성구 홍보 영상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파일:2023 범어네거리.jpg
파일:삼성라이온즈파크 야경.png
범어네거리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파일:수성유원지.jpg
파일:attachment/2011_세계육상선수권대회_개막식_in_대구스타디움.jpg
수성못 대구스타디움
파일:대구미술관2.jpg
파일:external/www.museum.or.kr/982258506_nDuicUPQ_B4EBB1B8.jpg
대구미술관 국립대구박물관 }}}
대구광역시의 동남부에 있는 자치구.

동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 남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서로는 대구광역시 남구중구, 북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와 접한다.

달서구, 북구 다음으로 대구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자치구로, 대구 도심인 중구,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하는 달서구와 함께 대구의 중심축을 구성하고 있으며 교육열이 높은 지역으로 유명하다.

수성구청2호선 범어역에서 달구벌대로 경산 방향으로 약 200m 거리에 있다.

동구, 북구 대현동과 함께 청도군 운문면 대천리의 운문댐이 상수원이다.

2. 상징

수성구의 CI
파일:수성구 CI.svg
전체적인 형상은 기와집과 같은 주거형태의 모양을 하고 있고 수성구의 "ㅅ"자를 의미하여 수성구가 살기좋은 주거지역임을 상징하고 노란색은 젊음과 교육의 도시, 파란색은 쾌적한 환경과 삶의 질을 추구한다는 의미한다.
수성구의 BI
파일:수성구 BI.svg
행복수성의 자음이 사람,미소 아이콘이 되어 심볼화 됨
수성구의 마스코트
파일:수성구 마스코트 물망이와 뚜비.svg
수성구의 캐릭터는 물과 두꺼비를 소재로 디자인 되었습니다. 물은 쾌적한 주거환경, 선비의 정자관과 수성못을 모티브로 하였고 두꺼비는 복과 안전을 의미합니다. 교육도시이자 풍요로운 도시이미지의 물망이와 수성구 망월지에 살고 있는 두꺼비, 수성구 전설에 나오는 돌두꺼비의 중의적인 의미를 상징적으로 담았습니다.

3. 역사

수성구 행정구역 변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76b0e0> 일자 舊 수성면 파동 시지
<colcolor=#76b0e0> 1896. 8. 4. 대구군 수동면
(大邱郡 守東面)
대구군 수북면
(大邱郡 守北面)
대구군 수현내면
(大邱郡 守縣內面)
대구군 상수서면
(大邱郡 上守西面)
경산군 서면
(慶山郡 西面)
1910. 10. 1. 대구부 수동면
(大邱府 守東面)
대구부 수북면
(大邱府 守北面)
대구부 수현내면
(大邱府 守縣內面)
대구부 상수서면
(大邱府 上守西面)
1914. 3. 1. 달성군 수성면
(達城郡 壽城面)
달성군 가창면
(達城郡 嘉昌面)
1914. 4. 1. 경산군 고산면
(慶山郡 孤山面)
1938. 10. 1. 대구부 동부출장소
(大邱府 東部出張所)
1949. 8. 15. 대구시 동부출장소
(大邱市 東部出張所)
1958. 1. 1. 대구시 가창출장소
(大邱市 嘉昌出張所)
1963. 1. 1. 대구시 동구
(大邱市 東區)
1980. 4. 1. 대구시 수성구
(大邱市 壽城區)
1981. 7. 1. 대구직할시 수성구
(大邱直轄市 壽城區)
1995. 1. 1. 대구광역시 수성구
(大邱廣域市 壽城區)
}}}}}}}}} ||

수성구 일대는 신라 시대에는 수창군이라 불리는 독립된 군이었고, 대구는 대구현이라는 이름으로 수창군에 속한 속현이었다.

수창군 시절의 관아터로 보이는 유적이 2019년에 대구 수성구 중동 356-7번지 일원에서 확인되었지만, 하필 그 지역이 수성골드클래스 공사 현장이었고, 2월부터 4월까지 고작 36일의 짧은 현장 발굴조사만 한 것을 끝으로 보존 조치는 고사하고 아파트 건설공사를 그대로 강행해 완전히 파괴돼 사라져 버렸다. 지역의 그 많은 전문가를 놔두고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외지 전문가 두 명 불러 자문 들은 게 전부였다는 모양. ### 현재 해당 터에는 안내판 세 개만 세워져 있다. # 수성골드클래스는 2021년 12월에 준공되었다.

본래 대구군 수동면, 수북면, 수현내면, 상수서면과 경산군 서면 지역이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수동면, 수북면, 수현내면이 신설된 달성군의 수성면으로, 상수서면이 가창면으로 폐합되었고, 경산군 서면은 고산면으로 개칭되었다.

1938년 수성면이 대구부로 다시 편입되면서 동시에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58년 달성군 가창면이 대구시로 편입되면서 가창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할 때 가창출장소는 달성군으로 환원되었으나, 파동만 잔존하여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동구의 남부를 분할하여 수성구를 신설하였으며 이듬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구직할시 수성구로 승격되었고, 1995년 고아역시로 개칭되면서 대구광역시 수성구로 개칭되었다.

4. 인구

파일:수성구 CI.svg 대구광역시 수성구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80년 4월 1일 대구시 동구 일부 → 수성구 승격 분리
1980년 204,422명
1981년 7월 1일 대구시 → 대구직할시 승격 분리, 경산군 고산면 → 수성구 편입
1985년 282,560명
1990년 351,613명
1995년 456,408명
2000년 459,658명
2005년 437,356명
2010년 461,988명
2015년 451,786명
2020년 424,314명
2024년 1월 408,2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산3동 31,274명
고산1동 31,077명
고산2동 27,234명
황금1동 22,617명
만촌1동 21,470명
만촌3동 20,538명
지산1동 20,293명
범어4동 19,641명
지산2동 18,975명
범어3동 17,454명
수성1가동 17,006명
범물2동 16,418명
범어1동 15,915명
상동 15,261명
범어2동 14,772명
두산동 14,597명
수성4가동 13,588명
중동 13,075명
파동 11,790명
황금2동 11,747명
수성2·3가동 11,050명
범물1동 10,637명
만촌2동 10,373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 #===
파일:수성구 CI.svg 범어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범어동(법정동) → 범어동(행정동)
1966년 12,173명
1970년 19,504명
1975년 10월 1일 범어동 → 범어1동, 범어2동 분동
1975년 18,047명
1980년 30,619명
1982년 9월 1일 범어1동범어1동, 범어4동 분동
1985년 23,257명
1990년 26,134명
1995년 19,203명
2000년 16,226명
2005년 14,983명
2010년 18,594명
2015년 18,272명
2020년 16,384명
2023년 8월 15,97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범어2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범어동 → 범어1동, 범어2동 분동
1975년 6,775명
1980년 4월 1일 동구 신천4동 일부 + 범어2동범어2동, 범어3동으로 조정
1980년 11,125명
1985년 12,658명
1990년 16,734명
1995년 14,882명
2000년 12,719명
2005년 10,512명
2010년 12,922명
2015년 15,225명
2020년 16,048명
2023년 8월 14,86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범어3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80년 4월 1일 동구 신천4동 일부 + 범어2동 → 범어2동, 범어3동으로 조정
1980년 18,440명
1985년 18,287명
1990년 17,439명
1995년 13,196명
2000년 11,642명
2005년 6,801명
2010년 11,679명
2015년 14,256명
2020년 16,445명
2023년 8월 17,34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범어4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범어1동 → 범어1동, 범어4동 분동
1985년 17,115명
1990년 25,673명
1995년 22,953명
2000년 21,854명
2005년 19,743명
2010년 20,491명
2015년 19,448명
2020년 18,996명
2023년 8월 19,60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만촌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만촌동 → 만촌1동, 만촌2동 분리
1970년 1,532명
1970년 2,985명
1975년 6,789명
1980년 11,653명
1985년 15,455명
1990년 20,391명
1995년 19,209명
2000년 15,538명
2005년 27,480명
2010년 25,954명
2015년 25,277명
2020년 23,247명
2023년 8월 21,61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만촌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만촌동 → 만촌1동, 만촌2동, 분리
1966년 1,256명
1970년 2,013명
1975년 6,341명
1980년 14,546명
1985년 24,367명
1990년 37,943명
1992년 9월 1일 만촌2동만촌2동, 만촌3동 분동
1995년 17,641명
2000년 14,919명
2005년 14,473명
2010년 13,979명
2015년 13,164명
2020년 11,488명
2023년 8월 10,4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만촌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만촌2동 → 만촌2동, 만촌3동 분동
1995년 17,671명
2000년 20,913명
2005년 19,116명
2010년 22,995명
2015년 19,892명
2020년 20,434명
2023년 8월 20,28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수성1가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수성동(법정동) → 수성동(행정동)
1966년 1월 1일 수성동 → 수성1·2·3가동 조정
1966년 13,494명
1970년 22,991명
1975년 10월 1일 수성1·2·3가동 →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분동
1975년 20,792명
1980년 20,818명
1985년 20,865명
1990년 21,288명
1995년 19,631명
2000년 20,441명
2005년 20,135명
2010년 18,772명
2015년 19,725명
2020년 18,767명
2023년 8월 17,04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수성2·3가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수성1·2·3가동 →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분동
1975년 15,436명
1980년 19,119명
1985년 20,146명
1990년 20,509명
1995년 16,524명
2000년 13,673명
2005년 10,023명
2010년 12,153명
2015년 13,404명
2020년 12,207명
2023년 8월 11,18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수성4가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신천동 →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신천5동 분리
1966년 11,764명(신천3동)
1970년 16,441명(신천3동)
1975년 17,528명(신천3동)
1980년 4월 1일 동구 신천3동 → 수성구 편입 및 수성4가동 조정
1980년 17,168명
1985년 16,519명
1990년 15,260명
1995년 12,876명
2000년 17,300명
2005년 15,867명
2010년 17,945명
2015년 16,876명
2020년 15,199명
2023년 8월 13,57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황금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황청동(법정동) → 황청동(행정동)
1966년 1,529명
1970년 1,765명
1975년 1,987명
1977년 12월 1일 황청동 → 황금동 개칭
1980년 5,477명
1985년 27,715명
1990년 36,261명
1992년 9월 1일 황금동 → 황금1동, 황금2동 분동
1995년 23,738명
2000년 20,718명
2005년 12,309명
2010년 26,182명
2015년 23,740명
2020년 24,417명
2023년 8월 22,64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황금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황금동 → 황금1동, 황금2동 분동
1995년 16,551명
2000년 14,889명
2005년 14,482명
2010년 13,296명
2015년 12,956명
2020년 11,147명
2023년 8월 11,77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중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중동(법정동) → 중동(행정동)
1966년 5,718명
1970년 9,476명
1975년 13,967명
1980년 18,204명
1985년 21,099명
1990년 22,275명
1995년 19,463명
2000년 16,504명
2005년 15,282명
2010년 13,900명
2015년 13,024명
2020년 11,350명
2023년 8월 12,8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상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상동(법정동) → 상동(행정동)
1966년 3,819명
1970년 7,211명
1975년 10,103명
1980년 13,820명
1985년 17,051명
1990년 20,624명
1995년 20,929명
2000년 19,082명
2005년 18,472명
2010년 16,617명
2015년 18,499명
2020년 16,938명
2023년 8월 15,44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파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파동(법정동) → 파동(행정동)
1966년 1,361명
1970년 4,742명
1975년 8,255명
1980년 13,182명
1985년 14,068명
1990년 19,411명
1995년 18,153명
2000년 16,830명
2005년 16,830명
2010년 14,151명
2015년 14,891명
2020년 12,821명
2023년 8월 11,8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두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두산동(법정동) → 두산동(행정동)
1966년 1,569명
1970년 2,641명
1975년 3,758명
1980년 3,250명
1985년 4,338명
1990년 7,146명
1995년 11,102명
2000년 11,035명
2005년 9,936명
2010년 12,326명
2015년 14,762명
2020년 14,257명
2023년 8월 14,6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지산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지산동(법정동) → 지산동(행정동)
1966년 1,718명
1970년 2,006명
1975년 2,782명
1980년 5,612명
1985년 6,187명
1990년 19,504명
1992년 9월 1일 지산동 → 지산1동, 지산2동 분동
1995년 32,251명
2000년 30,436명
2005년 28,631명
2010년 27,231명
2015년 25,336명
2020년 22,584명
2023년 8월 20,4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지산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지산동 → 지산1동, 지산2동 분동
1995년 28,781명
2000년 27,619명
2005년 25,738명
2010년 24,349명
2015년 22,519명
2020년 19,171명
2023년 8월 18,67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범물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범물동(법정동) → 범물동(행정동)
1966년 1,074명
1970년 953명
1975년 1,276명
1980년 1,485명
1985년 1,547명
1990년 1,389명
1995년 40,444명
1996년 1월 1일 범물동 → 범물1동, 범물2동 분동
2000년 19,835명
2005년 17,150명
2010년 15,482명
2015년 13,704명
2020년 11,661명
2023년 8월 10,6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범물2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6년 1월 1일 범물동 → 범물1동,범물2동 분동
2000년 21,935명
2005년 20,249명
2010년 19,386명
2015년 17,725명
2020년 17,191명
2023년 8월 16,52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고산1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고산출장소 中 욱수동 + 신매동 + 매호동 + 사월동 + 성동 → 고산1동 신설
1985년 10,715명
1990년 10,819명
1995년 38,654명
1996년 1월 1일 고산1동고산1동, 고산3동 분동
2000년 31,329명
2005년 31,891명
2010년 36,456명
2015년 34,881명
2020년 31,555명
2023년 8월 30,94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고산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989명
1970년 11,750명
1975년 14,512명
1980년 18,696명
1981년 7월 1일 경산군 고산면 → 대구직할시 수성구 편입 및 고산출장소 개편
1982년 9월 1일 고산출장소 中 욱수동 + 신매동 + 매호동 + 사월동 + 성동 → 고산1동 신설
1983년 3월 15일 고산출장소 → 출장소 폐지
舊 고산출장소 지역 → 고산2동 신설
1985년 11,278명
1990년 12,913명
1995년 17,109명
2000년 26,346명
2005년 26,308명
2010년 30,936명
2015년 28,011명
2020년 27,801명
2023년 8월 27,2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고산3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6년 1월 1일 고산1동 → 고산1동, 고산3동 분동
2000년 27,213명
2005년 29,699명
2010년 36,192명
2015년 36,199명
2020년 34,206명
2023년 8월 31,5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5. 지역 특징

대구의 관공서와 오피스 빌딩이 들어선 주요 업무지구이자 부도심이다. 대구지방법원, 대구고등법원과 대구지방검찰청, 대구고등검찰청, 대구경찰청, 대구지방고용노동청 등 주요 관공서가 밀집해 있고, 대구 지역 방송국 3사 KBS대구방송총국(범어동), 대구MBC(욱수동)[7], TBC(대구방송)(두산동)[8] 등이 모두 수성구에 있다. 과거 KBS대구방송총국은 동구 신천동에 있었고 대구MBC는 중구 전동에 있었지만, 수성구로 이전하면서 방송국 3사가 모두 수성구에 소재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2011년 2월에 개국한 대구극동방송이마트 만촌점 근처에 있고, 대구 기독교TV 방송국이 두산동 한샘교회에 있으며, 2012년 12월 30일에 개국한 대구국악FM방송국도 지산동 수성아트피아 안에 있다.

대구에서 가장 집값이 높은 구이다. 대구에서 교육열이 제일 높고, 대구 내 주거 선호도가 가장 높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난개발이 심각한 편으로, 특히 과거부터 시가지가 들어선 신천동로 주변은 복잡한 곳도 많다. 투기과열지구 지정 전과 지정 후 한동안은 평당 3,000만 원대로 집값이 미친듯이 올라서 이목을 받기도 하였고, 한 때 진정이 되었다가 현재는 보합세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2023년 7월 기준 평당 2,167만 원에 달한다. 수도권 지역과 비교하면 상급지라고는 할 수 없는 경기도 남양주시(2,176만), 군포시(2,173만), 부천시(2,211만), 일산신도시(2,087만)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비수도권 지역 중에서는 부산 해운대구(2,373만)와 수영구(2,666만), 세종시(2,185만)에 이어 4번째로 주택 평당매매가가 높다.

수성구에서 최고 부촌이라 할 수 있는 지역은 범어동이다. 그러나 투기과열지구 해제를 공약으로 내세웠던 주호영 후보가 수성구의 가장 중요한 지역인 범어동 등을 포함하는 수성구 갑 선거구에서 당선이 되면서 또 어떻게 될 지 모르는 상황. 실제로 코로나19 등 악재나 정부의 부동산 대책의 타격 및 투기과열지구 지정 유지 등 각종 규제가 풀리지 않은 상태인데도 2020년 9월 들어서 집값이 꽤 높은 폭으로 상승 중이라 중형 평수임에도 10억에서 14억을 호가하는 매물이 나오고 있다. 2020년 8월 말 범어동 모 아파트에서는 전용 84㎡ 면적의 매물이 대출 한계선을 넘은 15억 3,000만 원에 거래되면서 부동산 업계와 언론이 들썩했다. 이는 비수도권 최초로 중형 평수의 매물이 15억을 넘은 사례다. 또한, 정부에서 지난 6.17 부동산 대책으로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은 주택을 구입할 때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며, 투기과열지구는 자금조달계획서에 있는 항목에 따른 부가적인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도 계속 집값이 내려가지 않는 이유는 수성구 지역이 규제가 걸려 있어도 그 정도는 무릅쓰고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사람들이 넘쳐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2020년 12월 대구시 전체에 조정대상지역 규제가 걸리자 그나마 투자가치가 있는 수성구 쪽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역풍선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 2021년 2월 범어동의 한 아파트 국민평수(84㎡) 매물이 17억 7,500만 원에 거래되면서 다시 한 번 비수도권 신고가를 찍었다. 여기에 더해 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정책을 비웃기라도 하듯 해당 아파트 단지와 주변 아파트 단지의 호가가 가파르게 올라가 잡힐 기미가 안 보이고 있다.

2022년 말부터는 대구 지역에서 본격적으로 부동산 침체 사태가 터지면서 미분양과 집값하락이 발생하자 수성구도 예외가 아니게 되었다. 앞서 서술된대로 수성구의 집값이 상당히 높았던 만큼 매우 큰 하락폭[9]을 나타내기도 했다.

80년대 후반 이후 하루가 다르게 빠른 발전을 이룬 수성구지만, 군부대의 존재와 개발제한구역 지정에 의한 그린벨트가 형성 되어있다. 따라서 고모역 근처의 이천동, 가천동 부근에는 한적한 농촌 마을이 있다. 성동에는 고산서당 등의 유적도 있으며 적지 않은 양의 포도가 생산되고 있어 싱싱한 '고산 포도'를 맛볼 수 있다. 논과 옥수수밭이 펼쳐진 평지 한가운데로 경부선, 경부고속선, 대구선 선로가 지나가고 있는 한적한 풍경을 즐길 수도 있다. 그러나 수성구 본시가지와 시지 사이의 연호동은 이미 도시개발에 들어갔고, 성동 일대 역시 워낙 넓은 평지라 2020년대 들어서 개발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2019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대구에서 외제차가 가장 많이 등록된 기초자치단체다. 실제로 수성구에서는 '독일 3사' 등의 유명 외제차 메이커는 물론 포르쉐, 벤틀리, 롤스로이스 등의 고급 브랜드 차들도 꽤 돌아다닌다.[10]이런 연유로, 대구시 내에 있는 외제차 전시장과 서비스센터가 수성구에 많이 몰려있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상기 언급된 브랜드의 서비스센터가 모두 수성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테슬라와 같은 전기차 브랜드도 수성구를 거점으로 영업 중이다.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도 많이 보인다. 그러나 같은 대구 지역인 서구의 4,415대와는 수치가 무려 11.8배가 차이나면서 빈부격차의 쓸쓸함을 보이기도 했다. 주요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도 수성구 위주로 대구 내 딜러가 많다.[11]

지역 건강보험료 납부금액 순위가 전국 10위다. 이 수치가 무엇을 말해주냐면, 부동산, 소유 승용차를 포함한 모든 전재산을 통틀어 집계하는 과세표준이라는 소리다. 즉 지역 내부의 평균 소득 자체가 높아야 순위권에 들어간다는 것. 또한 부동산 등을 제외한 금융자산이 10억 이상인 사람들이 사는 자치구 중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1위를 차지했다.

2015년 지역발전위원회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동아일보의 미래전략연구소가 진행한 전국 230개 시군구 주민들의 삶의 질 만족도 조사에서 6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23년 수성구청의 행정조사 결과에 따르면 무려 수성구민 94.1%가 “수성구에서의 삶의 질에 만족한다”라고 답했다. #

이 때문인지 수성구민의 구정참여도도 높은 편이라 수성구청에서 진행하는 구정사업을 보면 4차산업 관련 또는 전국에서 최초로 실시하거나 수성구민들의 실생활에 밀접한 경우가 굉장히 많다. 따라서 우수사례로 선정되거나 각종 행정경진과 관련된 대회에서 수상하는 경우도 많다. 문화 사업에도 적극적인 편이다. 대표적으로 수성구청소년문화의집 건립 등의 사업이 있고 대구광역시의 구 중 구립도서관 수가 6개로 가장 많으며 고산도서관, 범어도서관 같은 곳은 규모도 꽤 크고 각종 문화행사를 활발히 진행하는 편이다.

수성구는 도시브랜드파워 향상을 위해 2020년부터 노력해왔는데, 그 결과물이 수성구의 도시브랜드 “위더스 수성”, 새로운 캐릭터 “뚜비” 및 수성구 대표 서체이다. 도시브랜드 제정 및 전용 서체 제작/배포는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중 최초로 시도한 사례다. 특히 전용서체의 경우는 다운로드 10만 건을 넘기는 등 대중들에게 널리 쓰이면서 수성구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5.1. 수성구 편중발전 논란

대구광역시의 주요 공공 시설과 여가 시설들이 수성구에 몰려 있다. 때문에 서구, 남구 등 타 자치구들은 대구시가 수성구에만 주요 시설을 몰아준다며 불만을 표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대구광역시청 신청사 유치에 불이 붙었던 2019년에 중구, 북구, 달서구, 달성군은 어떻게든 대구광역시청을 유치하려 애썼지만 수성구는 다른 구, 군들에게 양보할 겸 가만히 지켜보기만 했고, 대구광역시청 신청사는 달서구 두류동에 건립되는 게 확정됐다. 신청사가 들어서는 달서구뿐만 아니라 서구에도 서대구역이 들어서는 등 2010년대 이후 서부 지역 역시 개발의 수혜를 받고 있다.
관공서
(수성구 관련 관공서 제외)
기관명 주소
대구지방법원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364 (범어동)
대구고등법원
대구지방검찰청
대구고등검찰청
대구광역시경찰청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227 (지산동)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로76길 11 (수성동2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대구사무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126 (황금동)
대구광역시 차량등록사업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원로 84 (만촌동)
고용노동부 대구고용노동청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231 (범어동)
대구전파관리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원로 90 (만촌동)
방송사 방송사명 주소
TBC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23 (두산동)
대구MBC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길 56(욱수동)
KBS대구방송총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496길 30 (범어동)
대구국악방송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18 (지산동, 수성아트피아)
대구극동방송 대구광역시 수성구 화랑로 90 (만촌동)

상당히 인프라가 집중되어 있다 보니, 그나마 도심인 중구나 인구가 많은 달서구, 동대구역대구신서혁신도시를 낀 동구는 괜찮은 편이지만 서구남구, 북구[12]대구의 다른 자치구는 여러 방면에서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대구시민 모두가 공평히 누려야 할 시설 중 수성구에 있는 시설은 대표적으로 국립대구박물관, 법원, 검찰청, 대구광역시경찰청 등이 있는데, 법원을 포함한 법조타운은 이전한다고 해도 같은 수성구인 연호동으로 이전 예정이고, 달성공원 동물원 등 다른 지역에 있는 공공시설도 수성구가 이전 유치하는 실정이다. 수성알파시티 IT 기업과 롯데몰 유치 등으로 경제도 대구 내에서 계속 승승장구할 예정이다. 집값도 예외는 아닌데, 높은 집값으로 인해 비수성구 주민의 수성구 입성은 상당히 힘든 편이고, 수성구에 살던 사람도 다른 구나 경산시로 전출하고 나면 다시 수성구에서 살지 못 할 정도로 다른 구나 인근 위성도시에 비해서 집값 오름세가 가파르다. 특히 대구에서 중구를 제외하고 가장 교통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이 도시철도 노선을 수없이 깔아달라고 하여 시민들의 비판을 사고 있다. 한 예로, 확정된 4호선과 예정된 5호선이 모두 수성구를 경유하는데, 이어서 수성남부선 신설을 요구하고 있어서 지역 주민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

그런데 의외의 대표적인 혐오시설이 수성구에 있는데, 바로 대구구치소대구명복공원(화장장)이다. 둘 다 고모동 담티고개 끝자락에 있으며 대구구치소의 경우 대륜중ㆍ대륜고등학교가 있는 만촌3동 쪽에서 아주 잘 보인다. 하지만 구치소 주변이 그린벨트 지역이기도 하고 외관도 빌딩형식이라 크게 거부감이 들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지역 발전 저해 원인의 대표격인 군 관련 시설[13]도 수성구 내에 4곳[14][15]이나 있으나 수성구 본시가지와 시지지구 사이의 그린벨트 지역에 있다.

6.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75b0db><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75b0db>
파일:수성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4b73c> <colbgcolor=#ffffff,#191919> 경안로 · 고모로 · 고산로 · 공경로 · 교학로 · 국채보상로
노변공원로 · 노변로
동대구로 · 동원로 · 들안로
만촌로 · 명덕로 · 무열로 · 무학로 · 미술관로
범안로 · 범어로 · 범어천로
상록로 · 상화로 · 성동로 · 세진로 · 수성로 · 시지로 · 신매로 · 신천동로
앞산터널로 · 야구전설로 · 용학로 · 욱수천로 · 월드컵로 · 유니버시아드로
지범로 · 지산로
천을로 · 청솔로 · 청수로 · 청호로 · 충의로
파동로
화랑로 · 효행로 · 희망로
대구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대구광역시의 5대 버스 터미널 중 하나였던 남부정류장이 만촌네거리 만촌역 4번 출구 건너편에 자리잡고 있었으나, 이 곳에서의 교통은 대부분 철도시내버스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었기에 더욱 몰락하는 실정이었다. 이마저도 2016년 12월 동대구 복합환승센터가 생기면서 사라졌다. 이외에도 신매역 KFC 앞에서 동서울행, 인천공항행 버스를 탈 수 있었다. 또한 25번 국도가 있고, 대구부산고속도로 수성IC대구스타디움 맞은편인 노변동에 소재하고 있다.

과다한 경산 방면 시계외노선을 정리하지 못하면서 경산시로 진입하는 길목인 수성구 역시 풍부한 시내버스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가창면이 종점인 경우 역시 마찬가지인데, 이러한 시내버스 노선 역시 수성구를 무조건 통과한다.

도시철도의 경우 대구 도시철도 2호선대구은행역에서 사월역에 달하는 10개 역사가 수성구에 있으며 대구 수성구 사월동에서 경산 대동 영남대역까지도 운행 중이다. 거기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도 수성구에 8개의 역사가 있어 수성구의 여러 지역을 운행 중이다. 따라서 달서구와 함께 2개 노선[16]이 있으며, 대부분의 수성구 주요 지역을 전철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대구 도시철도 4호선이 2020년 12월 29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국비를 일부 지원받아서 건설될 예정으로 개통된다면 총 3개의 노선이 수성구를 통과하게 되지만, 벤처밸리네거리역이 네거리 북쪽에 건설됨에 따라 노선만 늘어난 3개의 노선과 18개 역사를 가지게 된다. 대구 내에서 도시철도 역사가 가장 많이 있는 자치구이다. 또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을 동구 대구신서혁신도시 혹은 경산시 계양동까지 연장하는 안도 추진 중에 있고, 최근에는 중동, 상동, 파동 주민들이 주택 재개발로 아파트 단지가 대거 들어서면 교통난이 심해질 듯하다는 명분으로 수성로를 따라 수성남부선 신설을 요구하고 있지만 신설될 가능성은 낮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지역 최대 일간지인 매일신문에서 비판하는 기사도 나왔다.#

공유형 전동 킥보드deer, 플라워로드, 알파카가 직접 서비스 중인데 희한하게 전부 시지지구 쪽에서 경산시와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다. 시지와 경산 간의 도보교통 연계성을 고려한 듯.

6.1. 관내 철도역 목록

파일:수성구 CI_White.svg 수성구의 철도역
기차역 고모(폐역) · 가천(화물)
파일:Daegu2.svg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구은행 · 범어 · 수성구청 · 만촌 · 담티 · 연호 · 대공원 · 고산 · 신매 · 사월
파일:Daegu3.sv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성시장 · 수성구민운동장 · 어린이세상 · 황금 · 수성못 · 지산 · 범물 · 용지
(고산역, 대구미술관역, 대구스타디움역 등 시지 방면 연장 예정)
파일:Daegu4.svg 대구 도시철도 4호선(예정) 수성구민운동장 · 범어

7. 경제

대구에서 가장 소득 수준이 높은 곳이며 2020년 평균급여에서 전국 11위, 지방에서는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링크 지역 특징 문단에서 전술했듯 대구의 강남이란 별명답게 1990년대 이후 대구의 대표 부촌으로 자리잡고 있다.[17]

수성구의 경우 3차 산업이 대세다. 대구는 타 대도시들과 달리 자영업자들의 비율이 굉장히 높은 곳으로, 이 때문에 부자들이 대를 잇는 경우가 많다.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으며 4급 이상 고위 공무원들도 많이 거주하는 편이다. 외제차를 끌고 다니는 사람 대부분이 고소득 자영업자나 전문직이다.[18] 범어동, 만촌동, 황금동, 수성동 등 수성구 원도심권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전문직들과 4급 이상 고위 공무원들, 교수, 금융업계 종사자들이 대부분이다. 주거지와 멀리 떨어지지 않는 범어동, 수성동[19]이나 인근 반월당에 있는 법조타운, 병원, 금융회사,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의 본사나 지사, 방송국들이 즐비해 주거지와 상업지가 가깝다.

시지는 주로 경산이나 청도 등에 직장이 있는 사람들이나 대구에 갓 들어온 사람들이 많다. 수성구에서 신혼부부가 입성하기 좋은 동네라 젊은 연령층들이 많으며, 자연히 인구에 학생 비율이 높고 평균 연령대가 낮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지의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세대란이 일어나 오히려 지산범물지구, 안심이나 경산을 선택하는 젊은 층들이 많다.

7.1. 금융

수성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대구수성우체국 (15)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3)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중앙회) (7)
시중은행
신한은행 (4) 우리은행 (3)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6)
국민은행 (7) 한국씨티은행 (1)
지방은행
대구은행 (19)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고산농협 (3) 대구축산농협 (5) 경산축산농협 (1) 대구경북능금농협 (1)
동대구농협 (7) 대구경북양돈농협 (1) 한국양계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울릉군수협 (1) 영덕북부수협 (1)
새마을금고
수성중앙새마을금고 (4) 대원새마을금고 (4) 두레새마을금고 (3) 지범새마을금고 (2)
중동새마을금고 (1) 청구로새마을금고 (2) 수성1가새마을금고 (2) 상동새마을금고 (1)
남부새마을금고 (3) 대구개인택시조합새마을금고 (1) 새마을금고(중앙회) (1)
신용협동조합
청운신용협동조합 (11) 대구한의사신용협동조합 (1) 달구벌신용협동조합 (7) 대구수성신용협동조합 (1)
대구영광신용협동조합 (2) 대구건축사신용협동조합 (1) 두산천주교회신용협동조합 (1)
성요셉교육재단신용협동조합 (1) 대구경북치과의사신용협동조합 (1) 신용협동조합(중앙회)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참저축은행 (1) 대백저축은행 (1) 대신저축은행 (1) MS저축은행 (1)
라온저축은행 (1)
중구[23]와 더불어 대구의 양대 금융중심지인 범어네거리가 있다. 지역 대표은행인 대구은행 본점, 수협은행 경북지역본부, 중소기업은행 대구경북동부지역본부, 새마을금고중앙회 대구지역본부, 신용협동조합중앙회 대구지역본부가 수성구에 있다. 과거 대동은행도 중동에 본점을 뒀으나 외환위기로 인하여 국민은행에 합병되고 본점 건물도 주상복합으로 재개발되었다.

전북은행 영남오토금융사업부가 수성구에 있다. 자동차 관련 상품을 취급하고 일반 금융은 취급하지 않는다.

여담으로 시지에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의 지점이 각각 하나씩 더 있었으나, 각각 시경계에 있는 이마트 경산점 내 우리은행 경산지점, 경북 경산시 정평동 소재인 IBK기업은행 경산지점에 통합되었다. 따라서 시지지구에서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 관련한 볼일이 있다면 각각 상기 점포를 찾아가면 된다.

8. 생활문화

8.1. 교육

파일:수성구 CI_White.svg 대구광역시 수성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대구경동초등학교 대구고산초등학교 대구노변초등학교 대구대청초등학교
대구동도초등학교 대구동문초등학교 대구동산초등학교 대구동성초등학교
대구동원초등학교 대구동일초등학교 대구동천초등학교 대구두산초등학교
대구들안길초등학교 대구만촌초등학교 대구매동초등학교 대구매호초등학교
대구범물초등학교 대구범어초등학교 대구범일초등학교 대구복명초등학교
대구사월초등학교 대구삼육초등학교 대구성동초등학교 대구수성초등학교
대구시지초등학교 대구신매초등학교 대구용지초등학교 대구욱수초등학교
대구중앙초등학교 대구지봉초등학교 대구지산초등학교 대구청림초등학교
대구파동초등학교 대구황금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수성구 CI_White.svg 대구광역시 수성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신중학교 고산중학교 노변중학교 능인중학교
대구동부중학교 대구동중학교 대구중앙중학교 대륜중학교
덕원중학교 덕화중학교 동도중학교 동원중학교
매호중학교 범물중학교 범일중학교 소선여자중학교
수성중학교 시지중학교 신명여자중학교 오성중학교
정화중학교 지산중학교 황금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수성구 CI_White.svg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북고등학교 경신고등학교 능인고등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
대구남산고등학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대구여자고등학교 대구중앙고등학교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 대륜고등학교 덕원고등학교 동문고등학교
수성고등학교 시지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오성고등학교
정화여자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대구광역시 교육의 중심지이다.

전반적으로 서울특별시강남구/서초구에 못 미치기는 하지만, 그래도 교육열 하나만큼은 이에 버금간다고 볼 수 있다. 일단 대경권 내에서 강남 8학군 정도의 지위를 가지고 있고 수성구의 교육열과 수준은 전국에서도 상당 수준 유명하기 때문이다. 즉 서울을 포함한 전국 단위로 봐도 강남구, 서초구 다음이라 보면 된다. 1980년대 초 경신고등학교, 덕원고등학교에서 전국 최초로 야간자율학습을 시행했다. 그러나 이 지역 고등학교들도 수성구 특유의 사교육 열기로 이미 자율화된 학교들이 많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까지는 야간자율학습을 많이 했다. 교육에 관심이 많은 지역 특성상, 전국적으로 저명한 학원을 여럿 배출한 지역이기도 하다. 이미 전국에 지점을 두고 있는 수학전문 김샘학원이나 인지도 있는 손샘영어가 그 예이다. 그리고 주요 학원 외에도 크고 작은 교습소들도 많다. 그래서 송원학원, 지성학원 등 대구 기반의 재수학원이 강세이고, 최근에야 메가스터디범어동에 진출했다.

물론 모두가 특출나게 잘 하는 것은 아니지만 높은 취급을 받는 경우가 많다. 특히 중고등학교가 10개 넘게 분포하는 범어4동만촌3동(이른바 '범4만3')은 학부모의 선호도가 높다. 참고로 시지의 경우는 대구 시내 평균에 비해선 성적이 높은 편이긴 하지만 범4만3에 비하면 낮다. 그래서 시지지구의 학부모, 학생들이 주로 범4만3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시키려 한다.[24] 이 때문에 인근 경상북도 타 지역에서 수성구로 오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있다. 대구 내 유명 사교육 시설의 다수가 수성구에 몰려 있고, 진학 실적 및 수능 성적은 강남 8학군에 비해 어느 정도 밀리긴 하지만 나머지 지역과 비교 시 진학 실적과 수능 성적이 높고, 주요 전문직 진출 비율도 높다.

다만 2017년 2월 영남일보 기사에 의하면 수성구는 2017년도 서울대 합격자 수에서 수도권 외 청주시, 공주시에도 밀리며 12위를 기록, 2007년 4위에서 꾸준히 하락해 오랜 시간 대구서울대 합격을 주도한 수성 불패 신화가 깨지고 있다는 말도 나오지만 이 주장에는 오류가 있다.# 우선 이과에서는 SKY보다는 의치한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특히 더 많다. 그리고 수성고, 동문고, 중앙고를 제외한 대부분의 이과 상위권 학생들은 SKY 공대, 자연대, 수학교육과포항공과대학교, 카이스트가 아니면 지역 내 의학 계열을 더 선호한다. 그래서 국내 주요 의과대학 입시설명회도 수성구는 항상 빠지지 않는다. 반면 문과에서는 SKY나 사관학교를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고 건동홍과 비슷한 수준이면 이 정도 성적대의 학생들은 경북대, 부산대, 교대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아서 단순히 인서울 실적 갖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SKY 입학자 수가 낮아졌다고 수성구의 위상이 낮아졌다고 주장하기에는 오류가 많다. 따라서 전국 고등학교 순위를 매긴답시고 서울 10개 주요대학 진학 실적을 기반으로 한 순위를 그대로 믿으면 안 된다.[25]

2022학년도 입시에서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13명의 합격자가 나와서 입시판에서 큰 주목을 끌기도 하였다. 단순 수치로 계산해보면 대부분의 일반고등학교에서 한 명씩 진학했다고 할 수 있다. [26] 서울 10개 주요 대학과 의치한이 아닌 지거국 입시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대구 일반계 고교 출신 경북대 재학생 중 약 39%가 수성구 출신이며, 정시의 경우 약 51.0%가 수성구 출신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경북대, 부산대, 대구교대 상위 학과에 지원하는 경우가 많고 이들 중 일부는 중경외시 하위권과 겹치고 전체적으로는 건동홍과 같다 보니 지역에서 장학금을 받고 재학하는 사례도 많다.

물론 그만큼 입시 경쟁이 치열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입시에 관심이 많고 민감하기 때문에 강남3구와 비슷하게 문과, 이과를 가리지 않고 n수를 하는 학생들도 많고 경북대, 부산대 등에 재학하는 수성구 출신 학생들도 반수하는 사례도 많다. 이 때문에 통계상 경북대, 부산대가 전국에서 자퇴자 수가 많다.

그리고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교육에 관심이 많다 보니 입시 관련 이슈가 발생하면 민감하게 반응하며 수성구 전체가 들썩일 정도다. 실제로 2019년 정부의 정시확대 계획 발표로, 서로 피터지게 싸우느라 내신 등급이 잘 안 나오는 대신에 전국적으로 성적이 나오는 모의고사 및 수능 실적이 압도적으로 좋은 수성구 고등학교들의 상황이 유리하게 되자 수성구 내의 주택 수요가 상승하면서 집값이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었다. 그리고 교육열이 높다보니 윤석열 정부수능 방침에 대한 반감이 강하다.

이러한 교육열 탓에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인근 타 시구에서 위장 전입 해오는 학생들이 종종 있는데, 실제로 2015년에는 수성구 쪽 중학교고등학교로 가기 위해 몇몇 부모들이 병원 진단서 등으로 '교육환경전환 전학 제도'를 이용해 전학을 시도했다는 게 드러나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 때문에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경찰청 등에서 위장전입을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있다. 또, 학부모의 과도한 교육열 때문에 학생들이 많이 고생한다. 학부모들의 교육열을 반영한 학원들이 학생들이 놀지 못하게 잔인한 분량의 과제를 주거나 시험을 치게 하는 경우도 많고, 통과 못 할 경우 체벌과 불호령으로 꾸중한 뒤 완료할 때까지 남겨놓고 퇴근하기 전까지 재시험으로 학생들을 통제했다. 예를 들자면 초ㆍ중ㆍ고 매주 영어단어 300개 외우기, 매 수업마다 수학문제 30~50문제 풀기, 늦으면 1년에서 빠르면 4년 정도 선행하기 등 어린 학생이 소화하기는 힘든 과정을 제시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보통 범어동, 만촌3동 등지[27]에서 과외를 알아보면 고액을 부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SATAP유학 및 외국 입시 학원도 적게나마 있으며, 대구 내 유일한 IELTS 학원 및 시험장이 범어동에 있다. 그 외에도 수성구 지역 내신은 타 지역보다 더 어렵고 입시학원들도 이런 내신 문제에 포커스를 두고 있다. 달구벌대로를 따라 늘어선 입시학원에는 어마무시한 수업료와 함께 학생에게 무리한 선행과 요구를 하는 경우가 많다. 학원 테스트를 보면 돈을 마구 쏟아붇지 않는 이상 보통 학교 교육을 받아온 아이들은 도저히 풀어낼 수 없는 문제를 내놓고는 학생을 비난하는 학원과 학부모들이 많은 실정. 많은 학생들이 아무 말 없이 그런 걸 받아들이는 것이 신기할 정도. 저녁 7~10시 정도에는 수성구청 옆부터 만촌역 앞까지 픽업하러 나온 차들이 죽 늘어선 것을 볼 수 있다. 근데 정작 살아본 사람들 말에 의하면 다른 곳도 교육열 높긴 마찬가지고 요샌 인터넷 강의도 활발해 결국 학생하기 나름이라 과도한 환상을 갖고 오면 오히려 별 거 없어서 허무하다고 한다.

수성구 내 고등학교에서 내신이 4~5등급인데 모의고사가 1~2등급인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그래서 보통 수성구의 고등학교는 수시 대신 정시를 중심으로 잡는 경우가 많은데, 정시를 마음먹은 학생 중에서는 이조차도 학교 내신이나 비교과 활동을 필요없다고 여기고 자퇴한 후 인근 재수학원이나 서울의 재수학원으로 가는 학생의 비율이 상당하다. 그래서 이들의 자퇴 케이스는 대구 내 타 지역의 자퇴 케이스보다 최근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초구의 케이스와 더 비슷하다. 또한 수성구에서 내신이 안 된다 싶은 학생은 아예 중구, 동구 등 인근 지역에 있는 고등학교로 빠져버려서 상위권을 휩쓰는 경우도 만들어내기도 하고, 반대로 전국에서 내로라할 정도로 교육수준이 좋은 지역이 아닌 타 지역에서 전교 1등을 하던 학생도 수성구로 전학오면 내신이 중간도 안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사립 중ㆍ고등학교, 단성학교가 많고 남녀 공학의 비율이 적은 것도 이 곳의 특징이다. 일단 학부모ㆍ학생들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고 교칙이 엄격한 사립 단성학교를 주로 선호하고, 사립학교 특성상 교사가 같은 재단 내에서만 인사 발령을 하는데다 학교 수준이 비슷하다는 점으로 인해 사립학교를 선호한다. 허나 경북고대구여고도 과거에는 남교사들이 많아서 교칙이 사립처럼 엄했고 두발단속과 체벌도 심했다.

한편, 이곳에는 높은 교육열 때문인지 청소년 인구가 매우 많다. 이런 교육환경 밀집 현상 때문에 다른 구 주민들은 위화감을 토로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서구 지역과의 차이가 커 문제가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영재학교대구과학고등학교도 수성구에 위치한다. 영재학교답게 거의 전교생을 명문대로 보내지만, 시스템상으로 아예 다른 세계에다 수성구에 살아야만 갈 수 있는 곳은 아니다 보니 수성구의 교육환경에서 거론되는 일은 적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의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문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파일:대구공업대학교 UI.svg 대구공업대학교 ·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수성대학교 UI.svg 수성대학교
파일:영남이공대학교 UI.svg 영남이공대학교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Ⅵ대학(대구, 달성, 영남융합기술)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그러나 이러한 교육열과는 달리 4년제 대학은 없다. 전문대학인 수성대학교가 있다. 고등교육으로는 오히려 북구, 경산에게 밀리는 어딘가 이상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8.2. 주거환경

19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는 지산범물지구중산층 ~ 상류층 가구들이 몰려 지내고 있었다. 황금동은 연식이 오래된 5층 황금주공이 캐슬골드파크의 터를 차지하고 있었고, 현재 황금태왕아너스 자리는 덕원중학교덕원고등학교가 있었다. 지산범물지구는 산과 산 사이 골짜기에 계획적으로 개발된 신도시 지역이라 1990년대 당시 동네 안에 백화점[28]영화관[29], 그리고 버스 종점의 혜택을 누릴 수 있어, 생활면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그에 걸맞게 학원들 또한 지산범물에 몰려 학원가를 형성하고 있었기에, 현재의 범어동과 황금동의 입지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지산동에 당시 남녀공학에다 공립인 수성고가 새로 생기면서 단성이면서 역사가 유구한 고등학교나 사립고등학교를 보내기 위해 황금과 범어, 만촌으로 이사가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부의 이동에 따라 상권과 학원가도 범어동으로 옮겨갔다. 게다가 아래 문단과 같이 황금동, 수성동이 2000년대에 급속도로 재개발되어 이사오는 인구를 받아줄 수 있는 여건이 되다 보니, 지산동범물동2010년대 들어서 서민 ~ 중산층의 주거지가 되었다.

수성3가는 2000년대 후반 악성미분양으로 인해 '귀신동네'라고 시사프로그램에도 나오곤 했다. 미분양이 심하다보니 아주 저렴한 가격에 회사분 전세를 많이 내줬는데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수성3가와 범어3동이 그 피해를 가장 많이 본 단지들이다. 수성구에서 비교적 저렴한 집에 살다가 그 집을 팔고 오는 경우도 많았지만, 분양가 4억이 넘는 집을 2억 수준에 전세로 살았으니 수성구에 거주하려던 사람에게는 좋은 기회였으나, 이후 지산범물 집값도 폭등하면서 다시 원점화 되었다. 범어성당 옆의 범어STX칸, 범어 쌍용예가 아파트는 행정상으로는 범어1동이지만 '수성3가'로 묶여서 불리기도 한다. 비슷한 시기(2008년~2009년)에 입주했고 같은 생활권이기 때문이다. 일대가 평평하고 반듯한 입지에 아파트가 오밀조밀 들어있어서 쾌적한 느낌이 든다. 건너편의 범어3동은 지대도 들쭉날쭉이고 길이 많이 휘어있고 그래서 수성3가에 비해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최근에는 사회적으로 많아봐야 4인 가족이고, 핵가족화 되는 경향이 심하다보니 부유층이라고 해도 30평 대를 선호하는 사람이 꽤나 늘어나면서 중소형 평형대 위주라도 부촌으로 통하는 단지가 생겨났다. 대공원 아파트가 재건축해서 범어 SK뷰가 됐고, 뉴대공원 아파트가 재건축을 통해 범어풀비체가 됐다. 둘 다 30평 대 부촌의 선두주자이고, 앞으로는 이런 단지가 많이 생길 것이다. 입주를 앞둔 '더하우스범어'가 그렇고 곧 분양을 하는 힐스테이트 범어가 그렇다. 범어네거리 수성 범어 W 또한 앞으로 대구의 랜드마크가 될 곳인데 35평과 41평으로 이루어져있다고 한다.

대구에서 주공아파트가 가장 적은 자치구[30]이기도 하다. 실제로 황금주공 3단지, 달랑 6동이 끝이다. 다만 캐슬골드파크로 재건축 되기 이전에는 황금주공 1~4단지가 대단지로 들어서 있었다.

8.3. 문화시설

공공도서관 도서관명 주소
대구광역시립수성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로 151(만촌1동)
수성구립 고산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650길 6 (신매동)
수성구립 사월역 작은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사월동 406-2 (사월역 지하1층)
수성구립 범어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45 (범어동, 수성구청 건너)
수성구립 용학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범로41길 36 (범물동)
수성구립 물망이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명덕로 443-2 (수성동3가, 수성2,3가 주민센터 4층)
수성구립 책숲길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로 213 (중동, 수성구보건소 옆 수옥빌딩 4층)
수성구립 파동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로 3길 62 (파동, 파동문화센터 1층)
수성구립 무학숲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수로40길 73-10 (지산동)
문화 시설 시설명 주소
수성아트피아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180 (지산동)
국립대구박물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황금동)
대구어린이세상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176 (황금동)
대구창의융합교육원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172 (황금동)
수성구민운동장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50길 121-7 (범어동)[31]
대구스타디움 대구광역시 수성구 유니버시아드로 180 (대흥동)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대구광역시 수성구 야구전설로 1 (연호동)
대구미술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미술관로 40 (삼덕동)
대구간송미술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삼덕동 미술관로 (개장 예정)
수성못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78 (두산동, 수성유원지)
만촌자전거경기장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1 (만촌동)
영남제일관[32]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8 (만촌동)
수성패밀리파크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88-46 (고모동)
그 외 기관명 주소
대구은행 본점영업부[33][34]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310 (수성동2가)
금융감독원 대구지원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424 (범어동, 삼성증권빌딩 7층)
대구광역시 교통연수원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203 (지산동)

남구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수성구, 동구 역시 대구 내에선 군부대가 제법 많이 산재되어 있는 지역이다.

수성구는 스포츠, 순수 예술, 공연, 전통문화 등 문화예술 분야의 시설과 콘텐츠가 골고루 발달한 곳이기도 하다. 위 표에 있는 시립 대구미술관, 수성아트피아, 대구스타디움, 삼성라이온즈 파크, 구립도서관 등 대표적인 문화 시설을 포함하여 정호승 문학관, 들안예술마을, 생각을 담는 길 등 다양한 도시문화예술 시설이 많다. 더 나아가 수성빛예술제 등 여러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진행중이기도 하며, 2024년에는 문화특구 시범사업에 선정될 정도로 구정 차원의 문화예술사업에 관심이 많다. #

8.4. 치안

대구에서 치안이 가장 좋은 지역이다. 행정안전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지역안전도 지수가 높고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았으며, 범죄 분야에서 가장 안전한 1등급을 4년 내내 받고 있다.#

2021년 실시한 생활안전, 경제활동, 건강보건, 주거환경 4개 환경을 바탕으로 공동조사 후 주민들의 안전체감도를 반영하여 산출하는 “사회안전지수” 평가에서 58.61점으로 전국 22위이자 대구 내 1위를 차지했다. 여담으로 같은 관내인 서구는 33.37점으로 전국 최하위인 155위이자 대구 관내 최하위를 차지했다.

8.5. 의료기관

종합병원은 시지천주성삼병원(264병상) 하나밖에 없다. 대신 일반 병원급 13개, 의원급 371개로 기초의료 기반은 탄탄한 편이며 종합병원이 3개 있는 경산시와 상급종합병원이 있는 중구, 남구가 붙어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안 된다. 그리고 부지 문제로 골머리를 썩어 온 경북대학교병원이 중구를 탈출하여 수성구로 넘어올 계획을 세우고 있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성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하위 행정구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50px-Suseong-daegu.png
수성구의 행정구역 (위키백과)

고산2동은 시지동을 비롯해서 노변동, 고모동, 가천동, 이천동, 삼덕동, 연호동, 대흥동을 포함하여 수성구에서 가장 많은 법정동을 관할하고 있기 때문에 행정동 면적이 저렇게 큰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고산2동 일대 대부분이 군부대가 산적해 있는 개발제한구역이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갑구을구로 분리되어 있으며, 행정동 옆에 부기한다.

10.1.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 갑

관할 법정동은 범어동이다. 수성구청, 법원, 검찰청 등 관공서 등이 밀집해 있다.

10.2. 만촌1동, 만촌2동, 만촌3동 - 갑

관할 법정동은 만촌동이다. 달구벌대로 남쪽이 3동이고, 북쪽 중 국채보상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10.3.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 을

수성동(壽城洞)은 원래 하동(下洞)이라 불렸으나, 1957년 개칭되었다. 상동, 중동과 세트 지명이었다. 상동, 중동, 하동(수성동)은 신천 연안에 펼쳐진 수성평야(수성들) 안에 있던 마을들인데 신천 상류 쪽을 상동, 중간이 중동, 하류 쪽을 하동이라 명명했다. 그래서 지도로 보면 하동(수성동)이 맨 위에, 상동이 맨 아래에 있는 것이다.

10.4. 황금1동, 황금2동 - 갑

관할 법정동은 황금동이다. 범어공원을 중심으로 동쪽이 1동, 서쪽이 2동이다.

10.5. 중동 - 을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3,084명.[P]

아파트는 별로 없고 빌라와 주택 위주의 주거지역이었으나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수성 효성해링턴 플레이스(745세대), 수성 골드클래스 더 센텀(588세대) 등의 아파트단지가 들어서고 있다. 수성구보건소가 있다. 학교는 대구삼육초가 있다.

10.6. 상동 - 을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5,097명.[P]

신천변에 있으며 중동과 더불어 평범한 주거 지역이다. 수성 동일하이빌 레이크시티(1,411세대),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아르떼 수성랜드가 있다. 학교는 대구수성초, 덕화중이 있다.

10.7. 파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1,307명.[P]

1957년 11월 6일 가창면이 대구시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달성군에 되돌려 줄 때, 유일하게 돌려주지 않은 곳이다. 가창면과 수성구의 길목에 해당하는 곳으로, 30번 지방도가 있다. 예전 마을 일부는 앞산터널로의 건설로 인해 없어졌고 또 일부는 재개발을 하였다. 이 지역의 대구 4차 순환도로 구조가 복잡한 데다가, 너무 높이 건설되어서 미관상 좋아 보이진 않는다[52]. 그래도 교각 하부에 공원을 조성해놓긴 했다.

대신 순환도로 건설로 교통이 편리해졌고, 주택가였던 지역들의 재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수성 더 팰리스 푸르지오 더샵(1,299세대), 수성못 코오롱하늘채(832세대) 등은 완공되었으며, 2025년까지 재개발이 끝나면 약 5,200세대의 대규모 아파트단지로 탈바꿈할 예정. 학교는 대구파동초, 수성중이 있다.

옛날에는 파동 일원에 시내버스 회사들의 차고지가 많았다. 한영교통, 현대교통, 세왕교통, 일신교통, 우일교통[53]이 있었지만 우일교통은 대현교통의 청산 이후 범물1동주민센터 종점으로 이전하고 2002년과 2003년 사이에 재개발이 시작되면서 세왕교통을 제외한 모든 회사들이 차고지를 이전했다.[54] 마지막까지 버티던 세왕교통도 2010년 차고지 부지에 4차 순환도로가 올라가게 되어 가창면 삼산리로 밀려났다.

10.8. 두산동 - 을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4,443명.[P]

동 북쪽인 황금역 근처에 수성 대우 월드트럼프(967세대), 수성 SK 리더스뷰(788세대), 홈플러스 대구수성점이 있고 동 전반에 걸쳐 음식점들이 굉장히 많다. 무학로 남쪽으로는 수성못, 수성유원지가 있어 대구 시민들의 쉼터로 애용된다. 학교는 대구들안길초가 있다.

10.9. 지산1동, 지산2동 - 을

관할 법정동은 지산동이다. 지범로를 기준으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10.10. 범물1동, 범물2동 - 을

관할 법정동은 범물동이다. 수성구 가장 안쪽에 있는 동네. 지범로를 기준으로 동쪽이 1동, 서쪽이 2동이다. 대구 4차 순환도로범안로앞산터널로를 통해 동네를 벗어나는 길이 매우 편리해졌다.

10.11. 고산1동

관할 법정동은 신매동(新每洞)(일부)·욱수동(旭水洞)이다. 인구는 31,180명[P]으로 수성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달구벌대로를 기준으로 남쪽에 있으며, 법정동 신매동은 이 달구벌대로를 기준으로 고산3동과 나뉘어져 있긴 한데, 대부분은 고산1동에 속해 있다. 달구벌대로 이북의 일부만 고산3동이 관할한다.

시지지구의 중심에 해당되는 곳으로 시지지구 상권의 대부분이 이 곳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화성파크드림은 이웃 경산시와의 연담화가 완전하게 진행된 상태이다. 주요 시설로 수성구립고산도서관, 천주성삼병원, 대구시립시지노인전문병원[61], 대구MBC 등이 있다. 학교는 대구사월초, 대구신매초, 대구욱수초, 덕원중, 시지중, 덕원고, 시지고가 있다.

의외로 많이 알려진 것은 아니지만 공룡발자국산지가 이 동네에 있다. 달구벌대로 신매교 아래를 흐르는 욱수천 주변에 있는데 신매교 경산 방향으로 다리를 건너지 말고 오른쪽에 있는 영남식육식당 앞에 보면 '공룡발자국산지 600m'라는 고동색 표지판이 있다. 표지판 방향을 따라 600m를 가면 태왕레전드아파트가 나오는데 아파트 앞에 다리 바로 밑에 있다. 이 곳은 2001년 성명여중의 한 교사가 발견한 곳으로 안내판이 있고 허술한 울타리가 쳐져 있으며 페인트로 발자국 지점이 표시되어 있었는데, 욱수천 정비사업 후 강화유리를 덮고 환풍기를 설치해 보존 중이다.

10.12. 고산2동

관할 법정동은 가천동(佳川洞)·고모동(顧母洞)·노변동(蘆邊洞)·대흥동(大興洞)·삼덕동(三德洞)·시지동(時至洞)·연호동(蓮湖洞)·이천동(梨川洞)이다. 인구는 27,034명.[P]

시지지구의 서쪽을 관할하고 있으며, 법정동 노변동과 시지동에 대부분의 인구가 몰려 있다. 농고 부지가 워낙에 큰 탓에 시지지구 중심상권과 연계가 조금 부족한 편이긴 하다. 그나마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고산역이 고산초등학교 앞에 있고, 버스 정류장이 허브 수준이라서 현풍읍의 DGIST를 제외한 대구-경산권의 모든 대학을 환승 없이 다닐 수 있다. 또한 수성알파시티 사업이 진행되면서 2023년 기준 시지지구 최신축 아파트단지인 대구수성알파시티 청아람(844세대), 수성알파시티 동화 아이위시(698세대)가 건설된 상태.

대흥동은 원래 내환동(內患洞)이었는데 동의 명칭이 '내우외환'이라는 안 좋은 사자성어를 연상하게 한다고 하여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을 앞두고 크게 흥한다는 뜻의 대흥동으로 개칭되었다. 아이니테마파크는 대흥동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시설인데, 대구스타디움에서 경기와 같은 행사가 있을 때에만 사람들로 붐빈다. 최근엔 안에 CGV 대구스타디움이 생겼다. 평소 인근 주민의 산책 코스로도 사랑받는 곳이기도 하다. 그 옆 삼덕동에는 2011년 5월 개관한 대구미술관이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연장 구간에 해당되는 곳이지만 연장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거의 없다. 2024년대구미술관 옆에 대구간송미술관이 들어설 예정이다.

연호동과 이천동은 담티고개와 시지지구 사이에 있으며, 동네 전체가 개발제한구역에 해당되기 때문에 별다른 시설을 찾아볼 수 없다. 연호동의 경우 화훼단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근에는 방공포병학교 및 5군지사 같은 군부대가 있다. 연호역대공원역이 있는데, 대공원역은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를 만들고 나서 경기 때마다 가축수송을 하게 되었다. 연호역의 경우 대구 법조타운 공사가 2029년 3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어 추후 발전이 예상된다. 대구 법조타운 계약부지는 대구법원과 대구검찰 각각 42,975m이며 대구법원 신청사 규모는 대구법원이 당초 20층 규모를 요청했지만 예산 등의 이유로 16층 정도로 건설되는 방향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다.# 고모동과 가천동은 시골이며 경부선 철도역인 고모역가천역이 있어서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학교는 대구고산초, 대구노변초, 대구청림초, 고산중, 노변중, 대구농업마이스터고가 있다.

이 동네를 지나가는 큼지막한 도로는 총 4개로 달구벌대로, 고모로, 범안로,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가 있다. 달구벌대로와 고모로 사이에는 범안로가 존재하는데, 범안로 하단부에는 왕복 1차선의 자그마한 도로가 있다. 이 쪽으로 대구 버스 수성2가 돌아다닌다. 교통은 편리한 편이고 있을건 다 있는 동네다. 대구 도시철도, 바글바글한 버스, 고속도로(야구장 근처 수성IC를 이용.), 유료도로, 무료도로 등이 있다. 그러다보니 지나가는 버스 속도가 100km/h를 밟을 정도로 빠르다. 특히 경산버스들은 달구벌대로에 고가도로 생기면 밑에 승강장 인가 안받고 고가도로로 때려밟을거란 이야기도 있었다.

고산2동을 중점적으로 공략하는 버스는 약 1시간마다 1대씩 오는 수성2번 버스가 유일한 노선이다. 원래는 849번 매여-팔현 계통의 노선이었으나, 2012년 상반기 노선조정으로 매여-팔현 계통 노선만 수성2번으로 독립했다. 또 2017년 후반기에 연호역 서쪽 ~ 무열대 ~ 망우당공원 ~ 용계역은 삭제하고, 남은 구간은 약간의 변형을 통해 동구5번으로 분리했다.

10.13. 고산3동

관할 법정동은 매호동(梅湖洞)·사월동(沙月洞)·성동(城洞)·신매동(新每洞)(일부)이다. 인구는 31,028명.[P] 원래 고산1동에 속했으나 시지지구 개발로 인구가 증가한 이후 1996년에 고산1동으로부터 분동되었다.

아파트단지들은 주로 신매역을 중심으로 달구벌대로 이북에 많이 있다. 아파트단지에서 더 위로 올라가면 않지만 논이 펼쳐져 있다. 거기다 옆 동네 성동은 완전한 시골마을로, 아파트단지에 위화감 넘치가 펼쳐진 농경지의 거의 대부분은 성동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특히나 포도밭이 많은데, 사실 고산동 일대가 개발이 되기 전에는 온통 포도밭이었고 고산포도로 유명했다. 모산골과 고산서당이 성동에 있다. 사월동에는 고인돌이 있는데, 이게 뜬금없이 아파트단지 안에 있다. 사월보성2차아파트 안에 낮은 울타리로 쳐놓고 있는데, 관리를 제대로 안 하는지 해당 아파트는 잔디 정리가 잘 된 편인데 고인돌 울타리 안은 정말 관리 안 된 상태 그대로이다.

욱수천과 경부선 사이에 있는 사월역 근처는 공장과 운전면허학원 등이 있어 경계지의 느낌이 나며, 경부선 너머에 있는 시지 태왕리더스(527세대), 시지 한신휴플러스(510세대) 등은 사실상 경산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경산 시가지와 딱 붙어 있으며 도로도 경산 방면으로 나가는 것이 더 편할 정도이다.

관내 학교는 대구시지초, 대구매동초, 대구매호초, 매호중이 있다.

신매역이 매호동에 있지만 달구벌대로와 매호동서아파트 편도 구간을 제외하면 매호동 내부로는 시내버스가 전혀 다니지 않는다. 성동 안쪽으로는 2006년 개편 때 마을버스가 폐선된 후 시내버스도 없었고 그나마 2000년 마을버스 신설 이전에는 아예 없었다. 그러다가 2009년 개편으로 849(-1)번이 성동을 경유하고 있다.

이 지역 역시 대구국제공항과 제11전투비행단 소음의 영향을 받는 곳이다.

참고로 성동고가차도와 대구성동초등학교는 성동에 없다. 대구성동초등학교는 황금동에 있으며, 성동고가차도는 큰고개오거리와 경북수협네거리를 직결하기 위해 동구 신암동에 신설한 고가차도다.

11. 자매도시

12. 대중문화 속 수성구

13. 출신 인물

14.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2030년 대구도시기본계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tructure.png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8837><colcolor=#fff>
중심지
<colbgcolor=#008837><colcolor=#fff>
1도심
도심
4부도심
5성장유도거점
수성
불로·검단
도시발전축
1주발전축
경부선축(서대구~도심~동대구~안심)
5부발전축
서대구~칠곡, 서대구~성서, 서대구~달서·화원~현풍, 동대구~불로·검단, 동대구~수성
자연보전축
외곽녹지축
팔공산, 병풍산, 주암산, 청룡산, 비슬산, 대니산, 명봉산 등
수변축
낙동강, 금호강, 신천, 동화천, 팔거천
가로녹지축
달구벌대로, 동대구로, 와룡로 }}}}}}}}}


[1] 26법정동, 23행정동.[2] 2024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3] 2024년 1월 기준.[4] 수성구 가선거구 (범어1동, 범어4동, 황금1동, 황금2동): 박영숙, 전영태
수성구 나선거구 (범어2동, 범어3동, 만촌1동): 남정호
수성구 다선거구 (만촌2동, 만촌3동): 김중군, 최진태
수성구 라선거구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황치모
수성구 마선거구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두산동): 김경민, 홍경임, 조규화, 김소은
수성구 바선거구 (파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박충배, 김재현, 박새롬
비례대표: 최현숙, 백지은
[5] 수성구 가선거구 (범어1동, 범어4동, 황금1동, 황금2동): 정대현
수성구 나선거구 (범어2동, 범어3동, 만촌1동): 김희섭
수성구 라선거구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황혜진, 전학익
수성구 마선거구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두산동): 차현민
수성구 바선거구 (파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정경은
비례대표: 최명숙
[6] 수성구 제1선거구 (범어1동, 범어4동, 황금1동, 황금2동): 정일균 (초선)
수성구 제2선거구 (범어2동, 범어3동, 만촌1동, 만촌2동, 만촌3동): 조경구 (초선)
수성구 제3선거구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이성오 (초선)
수성구 제4선거구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두산동): 전경원 (재선)
수성구 제5선거구 (파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김태우 (초선)
[7] 2024년 이후 수성구 연호지구로 이전할 예정.[8] 추후 경산시 중산동 펜타힐즈로의 이전 계획이 마련된 상태.[9] 범어동의 한 아파트는 전용 84제곱미터 2021년 3월 실거래가 17억 -> 2023년 5월 9억 3000만으로 2년 2개월만에 약 45% 하락세를 보였다.[10] 하지만 람보르기니, 맥라렌, 애스턴 마틴 등 초고가의 스포츠카들은 거의 없다. 서울을 제외하면 매장과 서비스센터가 없기 때문이다. 수성못에서 보이는 람보르기니도 거의 다 타지 차량이다.[11] 수입차가 점차 많아지던 시기는 2006년도이므로, 부동산으로 성공한 중산층들이 점차 많아졌고, 원래부터 기존 부자들도 보수적인 지역의 특성 상 높으신 분들이 외산차를 선호해야 된다는 이미지 한계상 국산 대형 세단, 국산 준대형 세단들만 선호했었다가 2006년도 이후에는 점차 외산차의 선호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보수적인 이미지가 높은 지역의 특정상 연배가 높은 사람들이나 국산차를 사용하는 고위 공무원들은 기존 현대 다이너스티, 현대 에쿠스에서 제네시스로 국산 대형세단들만 고집하는 사람들이 꽤나 많다. 대부분 2006년도 이후 신흥 중산층들이 기존 국산 준대형 세단에서 수입차로 많이 갈아탔다.[12] 수성구와 인구 수가 비슷하지만, 수성구에 비해서 인프라가 부족하다. 대표적 예시로는 도시철도가 있다.[13] 군부대로 개발의 어려움을 아직까지도 겪는 지역의 바로 남구다.[14] 육군 2군사령부, 육군 5군지사, 공군 공군방공포병학교, 공군 제1여단[15] 2000년대 이전에는 더 많았다. 만촌1동의무사, 국간사, 기무사가 위치하여 대규모의 군부대를 이뤘지만 현재는 모두 이전하고 그 자리에는 메트로팔레스 등 주거단지가 들어서 있다.[16] 서구도 역사 주소만 따지면 2호선과 3호선이 지나가지만 모두 경계부분에 있어서 중심부를 통과하진 않는다. 남구도 3호선 명덕역 ~ 건들바위역 구간이 주소상 남구지만 중구와의 경계에 걸쳐 있고, 북구도 1호선 대구역, 칠성시장역이 있어서 두 개 노선이 지나가지만 대구역은 중구와의 경계 부분에, 칠성시장역은 동구와의 경계 부근에 있다.[17] 1980년대까지는 남구가 대구의 부촌이었다. 다만 90년대 중반까지 봉덕동의 아파트단지는 수성구와 학군을 공유해 나름 부촌으로 군림했다.[18] 前 대구시장인 권영진도 수성구 수성1가동에 관사가 있었다. 또한 과거 범어동, 수성동 등에 있는 궁전맨션, 신세계타운 등이 역대 대구시장 관사로 사용된 적이 있다. 참고로 현재 홍준표 시장의 관사는 남구 봉덕동에 있다.[19] 이는 당초 상업시설이나 오피스 등을 유치하기 위해 지정해 놓은 상업지구에 주상복합아파트가 대거 들어오며 도시 계획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범어롯데캐슬 부지도 원래 롯데백화점 예정지였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3] 이 쪽은 시중은행들의 대구지점과 중국은행 대구지점, 보험사, 금융결제원 등이 있다.[24] 이와 관련된 서술은 시지 문서 교육 문단에 설명되어 있다.[25] 경북대, 부산대, 대구교대 상위권 학과일 경우 중경외시 하위권과 같고 전반적으로 건동홍과 입결이 거의 비슷하다보니 인서울 대신 전자에 있는 대학에서 교내장학금을 받는 것을 선호한다.[26] 참고로 이때 수성구에서 중간 정도 가는 고등학교에서 현역 및 N수생, 중복합격을 포함해서 서울대 7명, 연세대, 고려대, KAIST 26명, 의학계열 53명, 서강대 + 성균관대 + 한양대 + 중앙대 + 경희대 + 한국외대 + 서울시립대 70명이 합격했다.[27] 범어네거리 - 대륜고등학교 연선 지역[28] 동아백화점 수성점. 지금이야 동네 아울렛 수준이지만, 당시에는 대백프라자와 함께 대구의 양대 고급 백화점이었다.[29] 동아백화점 개점 당시엔 없었으나, 2004년 리모델링 후 프리머스시네마, 현 CGV 대구수성점이 들어섰다.[30] 서구의 경우 재건축을 거치며 주공아파트가 아예 사라져 예외.[31] 정문기준으로 대구동산초등학교 방면으로 가다보면 산기슭에 수성국민체육센터도 존재한다.[32] 과거 대구읍성 존재 당시 대구읍성 남문을 영남제일관(문)이라고 칭했다. 이후 1906년 경부선 설치를 이유로 대구읍성이 헐리면서 같이 철거되었고 이후 1980년 이 곳에 중건했다. 실제 소재지는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92(이디야커피 대구종로점) 길거리에 동판으로 표시되어 있다.)[33] 이곳에 있는 대구은행 본점 덕에 이 앞을 지나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중 하나인 대구은행역의 역명 유래가 되었다. 참고로 전국 최초로 상업 은행명을 역명으로 지정한 역이다.[34] 북구 칠성동에 제2영업본점이 2016년 10월에 개소했다.[P]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P] [P] [P] [P] [40] 이 때문에 만촌1동의 화랑공원도 한때 효목공원이었고 수성도서관도 한때 효목도서관이었다.[P] [P] [P] [P] [P] [46] 이 사립 고등학교는 중앙상업고등학교였다가 일반계 고등학교 중에서 "선지원 고등학교", 즉 "2차 인문계"로 전환한 학교다.[P] [P] [P] [P] [P] [52] 가장 높은 교각이 46m에 달한다고 한다.[53] 정확히는 가창면 용계리 소재. 용계리와 파동의 경계에 있었다.[54] 성보교통은 태왕리더스, 현대/일신은 화성파크뷰 자리에 있었다.[P] [P] [P] [P] [P] [P] [61] 주차장은 경산시 중산동 관할이다.[P] [P]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