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cc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입석 · 간선 | ||
좌석 | |||
지선 | |||
출근 맞춤 |
1. 개요2. 1996년 개편 이전 및 개편 당시3. 1998년 개편 이전 및 개편 당시
3.1. 일반버스
4. 1998 ~ 2006년 사이 폐지된 노선5. 2006년 개편6. 2006 ~ 2015년 사이 폐지된 노선7. 2015년 개편8. 2017년 상반기 노선 조정9. 2019년 상반기 노선 조정10. 2020년 하반기 노선 조정3.1.1. 2번3.1.2. 2-1번3.1.3. 13-1번3.1.4. 15번3.1.5. 31번3.1.6. 34번3.1.7. 50번3.1.8. 66번3.1.9. 66-1번3.1.10. 72번3.1.11. 101번
3.2. 좌석 버스1. 개요
이 문서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하위 문서이며 한때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였으나 폐선된 버스를 목록으로 정리합니다.- 버스 형식, 번호 순으로 추가되었다.
- 형간 전환이 되어 번호가 없어진 경우는 제외합니다((예) 좌석버스 105 → 급행버스 급행1, 간선버스 508 → 급행버스 급행5).
- 번호를 유지한 채 노선이 크게 바뀐 경우에는 해당 문서에 추가된다.
그런데 그런 게 없다[1] - 노선 조정으로 번호가 변경된 노선은 제외합니다. ((예) 106→ 306, 242→521→ 524 , 535→ 503)
- 지명은 폐선 당시를 기준으로 하되 혼동의 여지가 있는 경우 각주를 달아주세요.
2. 1996년 개편 이전 및 개편 당시
2.1. 일반버스
2.1.1. 25번
1980년 12월 경상북도 대구시에서 경상북도 경산군 하양읍을 연결하는 시내일반버스 노선인 25번이 신설 개통되었으며, 신설 당시에는 경북교통만 고정 배차했다. 1982년 3월 제일여객이 정식 참여함에 따라 대구직할시 경북교통과 경북 경산군 제일여객의 공동 배차 노선이 되었다.1996년 9월 개편에서 25번은 397번 좌석버스와 통합되어 폐선되었고, 대화교통은 397번의 후신인 708번에 공동 배차하고 있다. 708이 일반버스가 된 지금 경로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어 실질적인 후신이라고 봐도 부족하지 않다.
운행 경로 : 칠곡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만평네거리) - 팔달시장 - 대구역 - 평화시장 - 동대구역 - 동대구고속터미널 - 동부정류장 - 반야월시장 - 하양읍 - 대구대
2.1.2. 93번
칠곡2지구가 개발되기 전 오지였던 구암동에서 성서공단이 생기기 전 오지였던 호림동을 오갔던 오지노선이었다. 90년대 중반쯤 폐선된 것으로 추정. 현재 이 노선 그대로 따르는 버스는 없고 현재는 당시에는 없었던 1~3호선으로 갈아타면서 다닐 수 있다. 그나마 먼 훗날 신설되는 급행7이 있지만 종점만 비슷할 뿐 중간 루트는 다르다.운행 경로 : 구암동 - 팔달교 - 북부정류장 - 원대오거리 - 북구청 - 달성공원 - 서문시장 - 계명네거리 - 대명시장 - 성당시장 - 서부정류장 - 본리네거리 - 죽전네거리 - 호림동
3. 1998년 개편 이전 및 개편 당시
3.1. 일반버스
3.1.1. 2번
(사진출처 : 뉴스뱅크)[2]
운행 경로 : 범물동 - 동아백화점 수성점 - 신천동로 - 대백프라자 - 반월당 - (대구역 / ← 한일극장) - 칠성시장 - 경북도청 - 무림제지 - 노원네거리 - 풍국면 - 북부정류장
2번이라는 번호에서 알 수 있듯이 역사가 상당히 오래되었고 수익도 많았다. 하지만 8~90년대 들어 중복노선이 조금씩 생겨나 수익이 줄어들었고 대체노선이 많아져 1998년 5월 개편 때 폐선.
최초 기점은 세왕교통의 본사였던 파동이었으나, 지산범물지구 개발로 기점이 범물동으로 바뀌었다.
현재 노원네거리에서 동인네거리, 들안길-범물동을 지난다는 점에서 현재의 403번 노선과 유사하다.
3.1.2. 2-1번
운행 경로 : 남부정류장 - 황금아파트 - 어린이회관 - 대백프라자 - 반월당 - (대구역 / ← 한일극장) - 칠성시장 - 경북대학교 정문 - 복현오거리 - 노원네거리 - 팔달시장 - 북부정류장 - 평리동 - 감삼네거리 - 원화여고 - 본리동(경신교통)2번의 지선노선으로 1983년 당시 교통이 불편하던 복현동 지역을 위해 신설된 노선. 당시에는 2번과 마찬가지로 파동까지 다녔다. 이후 어린이회관으로 단축되었다가 다시 황금아파트로 연장되고, 다시 남부정류장으로 연장되었으며, 평리동 구간도 본리동[3]까지 연장되어 다녔으나 배차간격이 길어서[4] 인기는 많지 않았다. 동북로 개통 전에는 경상여고-성북교-도청-경대북문-복현오거리-경대정문으로 운행하였지만, 동북로 개통 후 경상여고에서 침산교를 거쳐 산격시영아파트-경대정문으로 직진하여 운행하였다. 거듭된 노선 변경으로 폐선 직전에는 2번과의 연관성이 별로 없는 노선이 되었다.
'외곽-외곽-시내-외곽'의 형태로 운행했던 장거리 노선이었다. 여러 차례 개편이 진행된 2020년 현재는 사실상 공중분해된 상태인데, 그나마 순환3(-1)번이 이 노선을 계승하는 구간이 긴 편이다.
1994년에는 좌석버스도 신설되는데 자세한 사항은 하단의 321번 항목 참조.
3.1.3. 13-1번
(사진출처 : KBS 뉴스 9)
운행 경로 : 동촌유원지 - 동구청 - 동대구역 -청구고- 한일극장 - 동산의료원 - 대명시장 - 반고개네거리 - 비산네거리 - 서구청- 평리네거리 - 북부정류장
13번의 파생노선이다. 13번과 비산네거리에서 북부정류장 사이 운행 경로만 다르다. 13번은 북비산네거리-원대오거리 경유, 13-1번은 서구청-평리네거리 경유의 차이다. 현재 이 노선을 계승하는 버스는 없지만 굳이 따지자면 종점이 같고 경로가 비슷한 323 남측구간을 들 수 있다.
3.1.4. 15번
운행 경로 : 안심역 - 반야월시장 - 용계역 - 아양교 - KT동대구지사 - 동대구역 - 칠성시장 - 한일극장 - 동산네거리 - 비산네거리 - 새길시장 - 반고개네거리 - 두류네거리 - 감삼네거리 - 성당주공네거리 - 동본리네거리 - 본리네거리 - 달서구청 - 본리동(경신교통)1987년 3월 25-1번으로 신설되었고, 1989년 1월 15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이와 동일한 좌석 노선인 315번이 있었는데 이쪽은 안심역 대신 범물동에서 본리동 간 노선으로 운행하였다가,[5] 대건중고교 종점까지 연장되었다.
이후 15번은 1998년 개편 때 안심에서 경산 진량까지 연장하고 한일극장, 반고개, 본리동, 월성지구 구간을 156번에 넘겨주고 동대구역 편도 회차로 돌리고 경산시 대화교통으로 이관되어 818번으로 운행 중이다.
3.1.5. 31번
주요 경유지 : 화원유원지 - 유천교 - 상인네거리 - 서부정류장 - 문화예술회관 - 반고개네거리 - 중부소방서 - 동산의료원 - 한일극장 - 동신교 - 귀빈예식장 - 동대구역 - 동구청 - 동촌 - 반야월650번, 980번의 전신인 30번,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부분 중복되는 선형으로 인해 폐선되고 화원유원지는 30번의 서쪽 구간을 계승한 650번에 넘겼다. 일부 시간대에 운행했던 화원 본리리(마비정) 지선은 폐지 후 836번에 넘어갔고, 2006년부터 달성2번이 운행 중이다.
특이하게도 성당시장에서 동산의료원으로 갈 때 계명네거리를 경유하지 않고 반고개네거리로 나온 뒤 달구벌대로를 따라 신남네거리까지 나온 뒤 동산의료원으로 들어갔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반고개네거리 좌회전이 금지되면서 노선이 바뀐 듯. 31번이 폐지된 후 현재 이런 코스로 다니는 대구 노선은 없다.
한편 이 노선의 폐선 이후 성당로에서 동대구역으로 한 번에 가는 노선이 없었는데, 17년 만인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
3.1.6. 34번
운행 경로 : 유가읍 - 현풍 - 논공 - 화원 - 월배 - 서부정류장 - 대명시장 - 서문시장당시에는 달성군이 개발되기 전이라 화원을 제외한 달성군 지역은 거의 허허벌판이나 다름없었고[6] 설화리 이남 구간은 시계외요금까지 받았으며, 그나마 수익이 나올 만한 대구 시내 구간은 얼마 안되는데다 그마저도 중복노선이 많아 수익이 많지 않았다.
말년에는 334번과 같이 달서구청 경유로 바뀌고 범물동까지 연장되었으나, 얼마 가지 않아 폐선되었다. 대곡역 이북은 현재 836번이 가장 비슷한 경로로 운행되고 있지만, 달서구청으로는 가지 않는다.
3.1.7. 50번
운행 경로 : 영남공고 - 남부정류장 - 수성구청 - 대구은행본점 - 봉덕시장 - 남구청 - 영대병원 - 경북여고 - 반월당 - (통일로 → 경북도청 → 침산변전소 / ← 시민회관 ←시민운동장 ←명성웨딩) - 경상여고 - 노원네거리 - 만평네거리 - 북부정류장신설 초기부터 2번에 밀려서[7] 수익이 그다지 많지 않았으나, 등하교 시간대에는 노원동에서 경상여고, 대구여자중학교(현재 대구일중학교), 침산중학교로 가는 버팀목이었다. 나중에는 그 2번마저도 수익이 떨어지는 와중에 이 노선이라고 잘 될 리 없었고, 결국 2번을 따라 1998년 5월 개편 때 폐선. 계승하는 노선은 없으며 종점 사이를 234번을 운행하지만 경로는 전혀 다르다.
3.1.8. 66번
운행 경로 : 범물동 - 수성못 - 정화여고 - 어린이회관 - 범어네거리 - 남부정류장 - 동구시장 - 고속터미널 - 동인네거리 - 한일극장 - 서문시장 - 비산동 - 원대동 - 노원네거리 - 만평네거리 - 북부정류장.상기한 2번, 50번과 같은 이유. 그래도 고속터미널을 지난다는 특징이 있었지만 그 구간 또한 중복노선이 많은 실정이었다.
북부정류장에서 고속터미널을 경유했던 70번과 비교시 노원네거리 경유로 소요시간이 더 걸렸다. 원대오거리에서 동인네거리까지 노선이 같았고, 동인네거리에서 고속터미널까지는 신천교와 동신교를 건너는 차이 정도.
계승하는 노선은 없으며 그나마 범물동 출발시 주요 수요처(동대구역, 중앙로, 서문시장)를 524번이 커버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3.1.9. 66-1번
운행 경로 : 지산동 - 범어네거리 - 남부정류장 - 동구시장 - 고속터미널 - 동인네거리 - 한일극장 - 서문시장 - 비산동 - 원대동 - 노원네거리 - 만평네거리 - 북부정류장66번에서 범물동 구간을 지산동으로 변경시킨 지선노선. 2번 형제, 50번, 66번 형제의 5노선을 보면 알겠지만 전부 수성구 - 대구 중심가 - 북부정류장을 잇는 노선인데 1998년 5월 개편 때 폐지된 일반 노선 중 이들 노선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았던 점을 보면 당시 쓸데없이 과도한 노선 중복이 얼마나 심했는지 알 수 있다.
3.1.10. 72번
운행 경로 : 하양 - 안심 - 반야월 - 방촌동 - 아양교 - 동대구역 - 칠성시장 - 대구역 - 동산의료원 - 대명시장 - 성당시장 - 서부정류장노선 선형 자체는 크게 나쁘지 않았고 수익도 꽤나 높았으나 문제는 새로 생기게 될 지하철과의 중복도가 심했다. 어쩌면 지하철 1호선의 노선이 확정된 때부터 이미 폐선이 예정되어 있었는지도 모른다.[8]
3.1.11. 101번
순환형 노선이었으며, 반대 방향으로는 111번이 다녔다.대략적인 노선은 본리동(우진교통)~죽전네거리~서대구공단네거리(진달래아파트)~[9]신평리네거리~서구청~비산네거리~원대오거리~노원네거리~무림제지~성북교~경북도청(현재는 대구광역시청 산격동 청사)~경대교~강남약국~칠성시장~경대병원~청운맨션~건들바위네거리[10]~봉덕시장~영대병원역~서부정류장~본리동(우진교통)이었다.
그러다가 1994년 성서 아파트단지가 생기면서 성서공단까지 연장되었는데 연장 당시 101번은 신당네거리, 성서아파트단지로 가지 않고 푸드웰, 중앙일보, 장동네거리까지 갔다가 내일교회 및 갈산네거리/갈산공원을 거쳐 남대구IC ~ 본리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죽전네거리까지 온 다음 서대구공단네거리부터 시작 서구, 북구, 중구, 남구 순환구간을 거쳐 내려올때는 영대병원과 서부정류장을 경유 남대구IC, 성서우방타운, 계대동문을 경유하여 다시 성서공단으로 돌아왔으며, 111번은 그 방향의 역순으로 운행하였다 이때는 성서공단 기점 출발시 계대동문, 성서아파트단지를 경유하였다.
유사한 102번은 남대구IC, 두류네거리 모두 경유 하였지만, 본리네거리에서 성당주공아파트, 원화여고를 돌아서 감삼네거리로 간다는 점에서 굴곡이 심했었다.
1998년 개편 때 폐선되고, 일부 구간은 564번[11]이 가져가면서. 성서공단 구간은 102번의 전신인 506번[12], 665번이 대체했으나, 당시 665번은 서부정류장[13]에서 화원으로 가버리고 506번이 반고개에서 시내 쪽[14]으로는 나가지 않아서 이 노선 폐선에 대한 불만 민원이 많았다. 2017년 현재는 403번이 이 노선을 계승하는 구간이 조금 긴 편이고, 나머지 구간은 공중분해된 상태.
3.2. 좌석 버스
3.2.1. 334번
운행 경로 : 현풍 - 논공 - 화원 - 대곡 - 달서구청 - 서부정류장 - 대명시장 - 서문시장 - 반월당 - 황금네거리 - 범물동현풍에서 범물동까지, 말 그대로 대구 서남쪽 끝에서 동남쪽 끝으로 가던 초장거리 좌석노선. 초창기에는 시외완행버스로 인가가 나 고령군 업체인 경상교통(현 대가야여객)에서 운행했다. 당시에는 달성군이 경상북도 소속이라 시계외노선이었던 관계로 설화리 이남 옥포면, 논공읍,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에서는 시계외요금을 받았다. 1990년대부터 대구 업체와 공동 배차하더니, 1997년 3월부터 대구시내버스로 완전히 이관되며 구간요금도 이 때서야 폐지된다. 하지만 당시는 화원 이남 지역이 그야말로 허허벌판이던 시절이었던 데다가 서문시장에서 범물동으로 연장되긴 했지만 1996년에 새로 신설된 332번과의 경쟁에 밀려서[15][16] 수익이 형편없었고, 결국 1998년 5월 개편 때 폐선된다. 달성군 이북 지역은 현재 1~3호선으로 다닐 수 있다.
3.2.2. 352번
운행 경로 : 반야월 - 아양교 - 복현동 - 침산동 - 시민운동장 - 서문시장 - 구남여상 - 서부정류장 - 월배 - 화원 - 옥포(신당리)32번의 좌석버스 노선으로, 1997년에 신설된 노선. 32번과 노선이 100% 동일했다. 1995년 이전이라면 일반버스에 에어컨이 없던 시절이라 32번과의 확실한 차별화가 되어 수익이 어느 정도 있었겠으나 이 노선이 신설되던 당시의 32번은 인기 노선으로 에어컨이 달린 새차가 집중 투입되는 노선 중 하나였다. 당연히 이로 인해 비싸기만 한 좌석버스인 352번은 공기수송을 면치 못하다가 신설 1년 후 1998년 5월 개편 때 폐선된다.
3.2.3. 385번
운행 경로 : 범물동 - 경북고교 - 남부정류장 - 범어네거리 - 대구MBC - 동인네거리 - 대구역 - 서문시장 - 서구청 - (중리아파트/삼익뉴타운) - 감삼네거리 - 원화여고 - 올림픽기념관 - 월성동 - 월배(유천교)85번의 좌석버스 노선이었으나, 이쪽은 월성동에서 월배(유천교)까지 갔다. 1994년 신설 초기에는 좌석버스 85번이었으며 1년 후 좌석버스 번호 체계를 따라 385번으로 번호가 변경된다. 85번과 달리 범물동 - 경북고교 구간[17], 동인네거리 - 대구역 구간[18]이 직선화되어 있었다. 85번같이 중리아파트/삼익뉴타운 1/2 구간이 있었다.
4. 1998 ~ 2006년 사이 폐지된 노선
번호 | 기점 | 중간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134 | 조일공고 | 대구국제공항ㆍ경대정문ㆍ동인치안센터ㆍ신천동로 | 범물동 | ??분 |
149 | 지묘동 | 불로삼거리ㆍ경대정문ㆍ북구청ㆍ한일극장ㆍ신천역ㆍ동부정류장ㆍ남부정류장 | 시지지구 | ??분 |
343 | 연경동 | 파티마병원ㆍ범어네거리ㆍ중동네거리ㆍ명덕네거리ㆍ내당역 | 연경동 | ??분 |
363 | 검단동 | 경대북문ㆍ삼덕네거리ㆍ대백프라자ㆍ중동네거리ㆍ영대병원 | 서부정류장 | ??분 |
414(-1)[19] | 담티역 | 남부정류장ㆍ황금네거리ㆍ어린이회관ㆍ희망교ㆍ반월당역ㆍ서문시장ㆍ한일극장ㆍ신천역ㆍ고속터미널ㆍ동대구LPGㆍ무열대 | 담티역 | 22분 |
415[20] | 범물동 | 경북고교ㆍ동대구역ㆍ칠성시장ㆍ대구역ㆍ서문시장ㆍ두류네거리ㆍ성서계대ㆍ강창교 | 성주대교[21] | 13분 |
624 | 대곡지구 | 송현역ㆍ남부교육지원청ㆍ감삼네거리ㆍ대구의료원ㆍ서구청ㆍ파도고개ㆍ삼각지네거리ㆍ남대구전화국ㆍ앞산공원ㆍ협성중고교ㆍ중동네거리 | 파동 | ??분 |
725 [22] | 호림동 | 계대동문ㆍ서재ㆍ가르뱅이ㆍ이현동ㆍ북부정류장ㆍ만평네거리ㆍ팔달교ㆍ태전동 | 학정동[23] | ??분 |
905[24] | 시지지구 | 담티고개ㆍ남부정류장ㆍ고속터미널ㆍ한일극장ㆍ서문시장ㆍ서구청ㆍ서대구공단네거리 | 용산동 | ??분 |
906[25] | 영남대 | 담티고개ㆍ대구은행본점ㆍ반월당ㆍ서문시장ㆍ성당못ㆍ월성삼거리[26] | 월성동 | 13분 |
5. 2006년 개편
5.1. 좌석 버스
번호 | 기점 | 중간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104[27] | 갓바위 | 대구국제공항ㆍ동대구역ㆍ칠성시장ㆍ중앙네거리ㆍ명덕네거리ㆍ남구청 | 대덕맨션 | 9분 |
454(-1) | | 황금네거리ㆍ영대병원ㆍ서부정류장ㆍ두류네거리ㆍ북부정류장ㆍ북구청ㆍ경대북문ㆍ동구청 | | |
549 [31] | 계명대동문 | 두류네거리ㆍ반고개ㆍ대명동계대ㆍ대백프라자ㆍ범어네거리ㆍ남부정류장 | 시지지구 | 9분 |
608[32] | 다산 | 대곡역ㆍ서부정류장ㆍ성당시장ㆍ서문시장ㆍ한일극장[33]ㆍ칠성시장ㆍ동구청ㆍ방촌시장 | 반야월 | 13분 |
5.2. 입석 버스
번호 | 기점 | 중간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204[34] | 가르뱅이 | 이현삼거리[35]ㆍ서문시장ㆍ반월당ㆍ대봉교ㆍ수성못오거리 | 우록리 단산리 | 30분 |
301 | 노곡동 | (팔달시장ㆍ서문시장)/(노원네거리ㆍ대명동계대)ㆍ봉산육거리ㆍ범어동ㆍ동대구역ㆍ동구청ㆍ방촌시장 | 조일공고 | 13분 |
404(-1) | 범물동 | 신천동로ㆍCGV대구한일ㆍ북구청ㆍ연암공원ㆍ복현오거리ㆍ동대구역ㆍ중동네거리 | 범물동 | 14분 |
435 [36] | 파동 | 들안길ㆍ범어네거리ㆍ동부정류장ㆍ신천네거리ㆍ칠성시장ㆍ서문시장ㆍ대구의료원ㆍ용산역 | 계명문화대 | |
504 | 삼성명가타운[37][38][39] | 죽전네거리ㆍ두류네거리ㆍ서문시장ㆍ한일극장ㆍ동신교ㆍ범어역 | 담티역 | 6분 |
514[40] | 다사 | 강창교ㆍ성서계대ㆍ성서ICㆍ두류네거리ㆍ반고개ㆍ서문시장ㆍ달성공원ㆍ달성네거리ㆍ대구역ㆍ칠성시장ㆍ파티마병원ㆍ동대구역ㆍ고속버스터미널ㆍ2군사령부ㆍ만촌네거리ㆍ경북고교ㆍ우방신천지타운 | 범물동 | 15분 |
524[41] | 삼성명가타운[42][43][44] | 선원로ㆍ 이현삼거리/삼익뉴타운[45]ㆍ서문시장ㆍ시민회관ㆍ반월당ㆍ대봉교ㆍ중동네거리ㆍ황금네거리ㆍ경북고교 | 만촌동 | 10분 |
603 | 월성동 | 본리네거리ㆍ서부정류장ㆍ서문시장ㆍ반월당ㆍ경대북문ㆍ산격동ㆍ동서변동 | 연경동 | 11분 |
613 | 화원고교 | 대곡역ㆍ월촌역ㆍ안지랑역ㆍ영대병원ㆍ경대병원ㆍ칠성시장ㆍ경대북문 | 종합유통단지 | 13분 |
616(-1) | 대곡지구 | 서부정류장ㆍ서문시장ㆍ대구역ㆍ칠성시장ㆍ동양맨션ㆍ신천역ㆍ수성시장ㆍ앞산공원 | 대곡지구 | 16분 |
628 | 대곡지구 | 달비골ㆍ상인네거리ㆍ감삼네거리ㆍ서구청ㆍ큰장네거리ㆍ칠성시장ㆍ동대구역ㆍ반야월시장 | 동호지구 | 14분 |
636 | 설화리 | 서부정류장ㆍ대명역ㆍ반월당 →︎ 경대병원 →︎ 동대구역 →︎ 복현오거리 →︎ 유통단지 →︎ 경대정문 →︎ 칠성시장 | 반월당 | 7분 |
646(-1) | 월성동 | 달서구청ㆍ감삼네거리[46]ㆍ서구청ㆍ대구역ㆍ동부정류장ㆍ대봉교ㆍ영대병원ㆍ서부정류장 | 월성동 | 15분 |
665 [47] | 명곡지구 | 대구교도소ㆍ대곡역ㆍ진천역ㆍ대곡지구ㆍ비둘기아파트ㆍ월촌초교ㆍ상인네거리ㆍ영남중고교ㆍ월성2동주민센터ㆍ올림픽기념관ㆍ남부교육청ㆍ서부정류장ㆍ본리초교ㆍ본리네거리ㆍ우진교통ㆍ경희강재ㆍ성서우방타운ㆍ계명대동문ㆍ삼성상용차 | 성서공단(신흥버스) | 14분 |
717 | 관음동 | 대구보건대ㆍ팔달교ㆍ북부정류장ㆍ시민운동장ㆍ대구역ㆍ칠성시장ㆍ동대구역 | 동부정류장 | 9분 |
718 | 칠곡3지구 | 북부정류장ㆍ경북도청ㆍ경대정문ㆍ공항ㆍ용계삼거리 | 반야월역 | 13분 |
723 | 학정동 | 대구과학대ㆍ만평네거리ㆍ노원네거리ㆍ경상북도청ㆍ복현오거리 | 검단동 | 32분 |
890[48] | 경일대 | 진량고교ㆍ영남대ㆍ경산시장ㆍ담티고개ㆍ대구은행ㆍ반월당 | 서문시장 | 25~30분 |
900[49] | 사월동[50] | 만촌네거리ㆍ동아수성점ㆍ목련시장ㆍ경찰청ㆍ두산오거리ㆍ황금시장ㆍ희망교ㆍ명덕역ㆍ반월당 | 서문시장 | 30~40분 |
903 | 시지지구 | 대륜중고교ㆍ동부정류장ㆍ고속터미널ㆍ신천초교ㆍ한일극장ㆍ서문시장ㆍ팔달시장 | 북부정류장 | 10분 |
910 | 시지지구 | 담티고개ㆍ동부정류장ㆍ동대구역ㆍ칠성시장ㆍ한일극장ㆍ서문시장ㆍ현충로역 | 앞산공원 | 10분 |
929 | 시지지구 | 담티고개ㆍ경북고ㆍ대봉교ㆍ명덕역ㆍ서문시장ㆍ원대오거리 | 종합유통단지 | |
936 | 사월동 | 담티고개ㆍ동대구역ㆍ경북대정문ㆍ3공단ㆍ북부정류장ㆍ두류네거리ㆍ상인네거리 | 대곡지구 |
5.3. 마을버스
번호 | 기점 | 중간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비고 |
2[51] | 서구문화회관 | ||||
5 | 현대백조아파트 | 장기지구 - 대구전자공고 - 우방죽전타운 - 용산지하차도 - 대구지방조달청 - 이마트성서점 - 와룡시장[52] - 계대동문 | 호림동 모다아울렛 | [53] |
6. 2006 ~ 2015년 사이 폐지된 노선
번호 | 기점 | 중간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달성공단1 | 대곡역 | 화원고ㆍ논공읍 | 달성1차산단 | 20분 |
달성공단2[54] | 달성1차산단 | 현풍 | 달성2차산단 | 55분 |
달성2[55] | 가야대 | 고령터미널ㆍ장기리ㆍ기산리ㆍ위천삼거리 | 달성군청 달성중 | 1일 8회 |
7. 2015년 개편
7.1. 간선 버스
번호 | 기점 | 중간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202(-1) | 가르뱅이[56] | 북부정류장ㆍ시민운동장ㆍ반월당ㆍ서부정류장[57]ㆍ용산역ㆍ대구의료원 | 가르뱅이 | 14분 |
303(-1) | 종합유통단지 | 신암공원ㆍ동대구역ㆍ범어역ㆍ대구은행본점ㆍ중앙로역ㆍ경상북도청 | 종합유통단지 | 16분 |
305 | 종합유통단지[58] | 경대북문ㆍ강남약국ㆍ칠성시장ㆍ경대병원ㆍ반월당ㆍ이곡역 | 방천리[59] | 9분 |
400(-1) | 범물1동 | 남구청네거리ㆍ명덕역ㆍ죽전역ㆍ서구청ㆍ2.28중앙기념공원ㆍ대구은행본점 | 범물1동 | 17분 |
402 | 범물1동 | TBCㆍ건들바위ㆍ명덕역ㆍ서문시장ㆍ서구청ㆍ대구의료원 | 방천리 | 10분 |
414(-1) | 범물1동 | 희망교ㆍ반월당ㆍ서문시장ㆍ칠성시장ㆍ동대구역ㆍ만촌역 | 범물1동 | 11분 |
420(-1) | 담티역 | 대구은행ㆍ남산2동주민센터ㆍ서문시장ㆍ서구청ㆍ대구역ㆍ고속터미널 | 담티역 | 12분 |
427 | 두리봉터널 | 대구박물관ㆍ대백프라자ㆍ2.28중앙기념공원ㆍ북부정류장ㆍ칠곡운암역 | 동명교통 | 10분 |
452 | 대일리 | 상동교ㆍ현충로역ㆍ대명6동주민센터ㆍ성당못ㆍ성당시장ㆍ내당역 | 비산초교 | 16분 |
604 | 설화리 | 대곡지구ㆍ달서구청ㆍ대명역ㆍ남구청네거리ㆍ수성못ㆍ대구미술관 | 반야월역 | 15분 |
704 | 칠곡3지구 | 대구과학대ㆍ팔달교ㆍ북구청ㆍ중앙로역ㆍ대백프라자ㆍ가창면사무소 | 대일리 | 10분 |
7.2. 지선 버스
번호 | 기점 | 중간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달서2 | 계대동문 | 조달청ㆍ죽전역ㆍ내당역ㆍ대명6동ㆍ월촌역ㆍ도원동 | 대곡지구 | 13분 |
8. 2017년 상반기 노선 조정
번호 | 기점 | 중간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구.달성4 | 현풍 구 터미널 | 달성경찰서ㆍ구지면사무소ㆍ징리보건소ㆍ도동리 | 도동서원 | 111분 |
9. 2019년 상반기 노선 조정
번호 | 기점 | 중간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달성8(-1) | 현풍 구 터미널 | 달성우체국ㆍ현풍주공아파트ㆍDGISTㆍ대구과학관ㆍ현풍우체국 | 현풍 구 터미널 | 50분 |
10. 2020년 하반기 노선 조정
번호 | 기점 | 중간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4010 | 이시아폴리스더샵1단지 | 불로전통시장ㆍ대구국제공항 | 아양교역 | 6회 |
[1] 101, 204, 524번의 경우가 해당될 수 있지만, 이 노선들은 중간에 몇 년 동안 공백기가 있었다. 그 외에는 1998년 5월 개편 때 301, 303, 305, 326번이 있으나 이 노선들 모두 폐선되었다. 그리고 이들 중 일부는 아래 '노선 조정으로 번호가 변경된 노선'에 해당되기도 한다. 번호 변경 후 다른 노선이 번호 변경으로 주인이 사라진 번호를 쓰게 된 경우이다.[2] 사진은 성북교 ~ 도청교 사이.[3] 당시 경신교통 차고지.[4] 2번보다 길이가 더 길었는데 인가대수는 오히려 2번보다 적었다.[5] 개편 전 좌석 315번 노선에는 본리동 종점 당시 성당주공네거리, 동본리네거리가 아닌 죽전네거리를 경유하여 본리네거리로 갔었고 대건중고교 종점 연장이후 동본리네거리를 경유하는 것으로 바뀌었다.[6] 당시 달성군청은 남구 대명11동에 있었다.[7] 시내 쪽으로 가고 싶은데 남구 쪽으로 빠지는 굴곡 노선이 가장 큰 원인.[8] 대략적인 노선을 보면 알겠지만 사실상 안심부터 대구역까지 거의 지하철 1호선 노선을 따라가다시피했고 대구역~안지랑역 사이에 동산의료원/대명시장과 성당시장을 경유한것만 다를뿐 종점이 1호선 서부정류장이라서 1호선과 중복되는 구간이 많았다.[9] 반대편 111번은 삼익뉴타운, 구병원 경유 죽전네거리 합류 당시 양 방향 삼익뉴타운을 경유하려했으나 101번의 경우 감삼네거리에서 성당동,월배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 좌회전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어쩔수없이 서대구공단네거리, 진달래아파트 구간 편도운행하게 된 것이다. 6-1번의 경우도 죽전네거리에서 좌회전해서 대구의료원을 거쳐갔던 게 이 때문. 현재는 감삼네거리에서 달구벌대로 한정으로 양방향 좌회전이 허용되어 이 구간에서는 405번이 운행하고 있다.[10] 반대편 111번은 대구중학교 경유[11] 다른점이 있다면 죽전네거리에서 본리네거리로 가서 서부정류장을 경유했다는것 이후 구.102번의 죽전네거리-감삼네거리 직통 여파로 본리네거리-남대구IC를 경유하여 성서아파트단지로 들어갔다.[12] 102번 시절에는 본리동에서 계대동문까지만 연장 운행했고, 성서공단까지 연장후 101번, 111번이 순환했던 성서1차산업단지 내부경유구간을 이어받았다.[13] 1998년 5월신설 초기에는 서부정류장으로도 안가고 본리네거리에서 바로 월성동으로 들어갔다. 동년 6월부터 102번이 남대구IC에서 원화여고, 감삼네거리로 갔던게 변경후 죽전네거리에서 바로 감삼네거리로 직진하여 운행되는 바람에 민원으로 인하여 본리초교, 금봉네거리, 서부정류장을 경유하기 시작했다. 102번이 506번으로 변경되고 성서IC~ 죽전네거리로 직진하여 감삼네거리로 가는 바람에 564번 조차도 성서초교~성서IC~죽전네거리 대신 성서우방타운~남대구IC~본리네거리로 돌려 서부정류장으로 운행하는 것[14] 102번 시절에는 달구벌대로 중부소방서~반월당을 경유해 앞산공원으로 운행하다 506번으로 바뀌고 명덕로 일부 구간을 운행하였기 때문 그당시 앞산공원에서 대곡지구로 연장된 것[15] 332번은 신설 당시부터 완전한 대구시내버스 노선이었고, 따라서 구간요금 또한 받지 않았다. 배차간격도 훨씬 짧았고, 월배 직통이었다.[16] 달성군 지역의 구간요금은 1995년 달성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된다. 332번이 만약 그 전에 생겨났다 해도 좌석버스라 구간요금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좌석버스의 구간요금은 1990년에 공동 배차제를 시행하면서 폐지되었다.[17] 85번은 황금동 쪽으로 돌아서 갔다.[18] 85번은 칠성시장으로 돌아갔다.[19] 2006년에 신설되어 2015년에 폐지된 414(-1)과는 다른 노선으로, 이쪽은 1999년에 폐지되고 대체 노선으로 900번이 신설됐다. 900번같이 이천동 편도운행 구간(414번 대구중/414-1번 미8군후문)이 있었다. 414(-1)과 비슷해 보이면서도 달랐던 이유는 2006년에 신설된 414(-1)은 (담티역으로 다니다가 범물동으로 연장된 것도 있지만) 동산네거리에서 국채보상로 대신 칠성남로(도시철도대구역)와 칠성시장, 공고네거리, 동대구역으로 운행했으며, 희망교를 횡단한 후 NH농협은행 중동지점에서 희망로를 직통하지 않고 중동네거리로 꺾어서 황금네거리로 갔기 때문이다. 또한 414(-1)은 양방향 모두 봉덕119안전센터를 경유해 미8군후문으로 다녔다. 옛 노선과 달리 신 414번은 유림한의원 대신 희망교 대성유니드 앞에 정차했으며, 대구중학교로 운행하지 않았다. 414-1번은 희망교 대성유니드 건너편 대신 기존처럼 유림한의원에 정차했다. 이같은 편도운행 체계는 2015년 8월에 신설된 204번이 봉명네거리 경유 대성유니드 양방향 정차로 직선화와 함께 통합되면서 없어졌다. 이에 따라 유림한의원으로는 더 이상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게 됐고, 경유노선이 없었던 봉명네거리로 시내버스가 다니게 됐다.[20] 2001년에 514번에 통합[21] 실질적인 종점은 성주군이 아니라 하빈면 하산리 근처이다. 그러다가 1/3만 하산리(성주대교)로 가고 나머지는 다사읍사무소 회차로 원상복귀되었다.[22] 2015년에 급행7번에 통합 후 대곡지구까지 연장[23] 와룡대교가 건설전이라 금호지구를 경유하지 못하여 이현동으로 돌아서 운행하였으나 750번과 경유지가 유사한 결정타로 폐선되었다.[24] 이 노선 폐선 이후 감삼네거리, 두류네거리, 3공단, 경대정문, 동대구역 등을 거치고 사월동 ~ 대곡지구 구간을 운행하는 936번으로 변경되었다. 구 좌석버스 321번과 유사하다.[25] 2005년에 609번에 통합[26] 당시에는 월배지구 개발 전이라서 월성삼거리였고, 이서 구간이 개발되며 월성네거리로 바뀌었다.[27] 2006년 개편 때 401번에 통합. 104번으로 바뀐 후 대덕맨션/미리내맨션 1/2 운행으로 바꾸고 범물1동으로 연장했으나, 다시 대덕맨션으로 단축됐다. 당시 단축된 대덕맨션에서 편도 운행 후 갓바위를 왕복으로 기, 종점 운행하기도 했으나 몇달 안 돼서 대덕맨션으로 종점이 환원된 것.[28] 대일버스 본사 자리로 현재의 담티역 근처다.[29] 대덕버스 차고지 이전 후 524번이 대일버스 차고지로 들어가고 대일버스 차고지를 종점으로 쓰던 이 노선이 시지지구(욱수동)까지 연장되었다.[30] 한때 8분 정도로 준수한 배차간격이었으나 RH 이외 시간대의 공기수송이 심각해져 지속적으로 감차를 당해. 15분 정도까지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31] 509번에 통폐합된 노선이다. 바로 통폐합된 것은 아니고, 실질적인 통폐합 시기는 509번이 명덕로로 코스를 바꾼 2009년 1월 17일이다.[32] 1998년 개편 당시 1달전 쯤 331번이 화원동산을 거쳐 다산까지 갔었고 유사한 330번은 화원동산에 남아있었다. 그러다가 608번으로 바뀌고는 다산으로 풀 타임 운행하게 되었다.[33] 현재의 CGV 대구한일[34] 지금 운행하는 204번과는 완전히 다르다. 현 204번은 2006년에 폐지된 900번과 유사한 노선이다.[35] 現 서대구역네거리[36] 405번의 지선인 405-1번을 폐지하고 1999년에 신설한 노선으로, 당시에는 기점이 방천리가 아닌 계명문화대학이고 중간 경유지도 많이 달랐다.[37] 원래는 계대정문이였지만 2001년 회차지 U턴 사고로 인해 삼성명가타운으로 변경되었다.[38] 16년 기준 삼성명가타운 정문 오른쪽에 보면 버스정류장이 존재한다.[39] 다만 번호는 지워져있다.[40] 현재 운행하는 성서2번의 하빈면 가지 노선들이 존재하였다.[41] 지금 운행하는 524번과는 완전히 다르다. 현 524번의 전신은 구 83번 - 242번 - 521번이고, 옛 524번의 전신은 구 87번이다.[42] 원래는 계대정문이였지만 2001년 회차지 U턴 사고로 인해 삼성명가타운으로 변경되었다.[43] 16년 기준 삼성명가타운 정문 오른쪽에 보면 버스정류장이 존재한다.[44] 다만 번호는 지워져있다.[45] 이현삼거리와 삼익뉴타운 구간 1:2의 비율로 분리운행[46] 현재의 감삼역 부근[47] 달서2번 (舊)506번과 1/2간격으로 분리 조정되었으며 여기서 똑같은 경유지 구간은 대곡지구~상인네거리 구간과 신당네거리~성서공단 구간이다.[48] 840번과 통합[49] 1999년에 414(-1)번을 폐지하고 신설한 대체 노선이었으나, 414(-1)번보다 배차간격이 더 안 좋아졌다. 2015년 8월에 신설된 204번이 900번의 범물네거리 ~ 희망교 ~ 반월당역 구간을 이어받아 운행 중이다. 해당 구간은 900번과 98% 동일하며, 이천동(대구중/미8군후문) 편도운행 구간을 양방향 봉명네거리(봉덕동 한라하우젠트) 및 미8군후문 경유로 통합했다.[50] 한일운수 차고지가 경산시 평산동으로 이전한 후에는 사월보성타운으로 들어가서 종착했다.[51] 평리1동주민센터네거리 - 비산초교 정문 구간은 서구1(-1)번이 운영.[52] 와룡공원 구간은 524번이 운영. 그 당시에만 해도 와룡초등학교 안길로 들어갔었던 노선이다. 하지만 마을버스가 폐지되고 개편 후 지선버스들은 와룡공원을 거친 후 신당동주민센터 방향으로 갔다. 따라서 현재는 공차회송 목적으로만 이 길을 지날 뿐이다.[53] 여담으로, 현재 성서1번이 신흥버스와 모다아울렛을 지나 성림첨단산업으로 우회전하기 전, 성서공단로11길이라는 작은 골목에 성서아울렛공원이라는 공원이 있는데, 그곳에 2019년까지만 하더라도 이 노선의 정류장이 있었다!! 로드뷰 스크린샷 2020년 답사 결과 현재는 철거되었다.[54] 2024년 3월에 신설한 달성4번은 달성공단2번의 구지 - 현풍 구간을 떼서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 당시 도로 구간과 대구국가산단 개발 후 도로 구간이 달라져서 자연히 바뀐 구간도 약간이나마 있지만, 큰 틀에서 보면 그러하다.[55] 지금 운행 중인 달성2번에 과거 존재했던 가지노선으로,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 지선이다. 가야대발 야간 막차만 회송 목적으로 달성중학교까지 연장 운행하고 다산영업소로 돌아갔다.[56] 상리동[57] 반대편 202-1번은 서부정류장역(구. 성당못역) 북편으로 갔으나, 편도 운행에서 왕복 운행으로 바꾸면서 서부정류장을 직접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58] 한때 연경동으로 가던 시절 경유지였다. 이후 검단동으로 단축되고 경유하지 않았다가, 유통단지로 다시 변경되어 환원된 것.[59] 한때 1998년 개편 이후 다사 매곡리로 연장하려 했다가 장거리라는 이유로 계대정문, 계대동문으로 유지하다 2006년 노선 개편후 서재, 방천리로 변경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