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8:47:23

대구한의대학교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메인 종합 캠퍼스)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상주캠퍼스) · 파일:국립경국대학교 로고A.svg 국립경국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대구예술대학교 UI.svg 대구예술대학교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 파일:대신대학교 UI.svg 대신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영주캠퍼스)
파일:경주대학교 엠블럼.svg 신경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영남신학대학교 · 파일:위덕대학교 UI.svg 위덕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메인 종합 캠퍼스)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191919>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대구캠퍼스)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루가캠퍼스, 유스티노캠퍼스)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대명동캠퍼스)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수성캠퍼스)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대구캠퍼스)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대구한의대학교
大邱韓醫大學校
Daegu Haany University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파일:대구한의대학교 시그니처.svg
교훈 知止, 仁道, 力行
상징 교목 은행나무
교화 백일홍
동물 기린
교색 DHU COBALT
DHU EMERALD
<colbgcolor=#2c2d6e>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
분류 사립대학
개교 1980년 9월 16일
재단 학교법인 제한학원
설립자 변정환[1]
이사장 기우항
총장 제9대 변창훈[2]
주소 <colbgcolor=#2c2d6e> 삼성 경상북도 경산시 한의대로 1 (유곡동)
혁신 대구광역시 동구 혁신대로 430 (대림동)
오성 경상북도 경산시 어봉지길 285-10 (여천동)
재학생[3] 학부생 6,896명(2018년 4월 1일)
대학원생 255명(2018년 4월 1일)
교직원 468명(2018년 4월 1일)[4]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
링크 파일:대구한의대학교 심볼.svg 대구한의대학교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지도 펼치기 ]
삼성캠퍼스
옛 수성캠퍼스
오성캠퍼스
}}}}}} ||
1. 개요2. 위치와 교통
2.1. 시내버스2.2. 고속버스, 시외버스, 철도2.3. 택시2.4. 도시철도2.5. 스쿨버스
3. 건물4. 캠퍼스
4.1. 수성캠 첨복단지 이전
5. 편의시설6. 번화가7. 등교 환경8. 학부9. 부속병원10. 여담11. 사건 사고12. 출신 인물13. 둘러보기

1. 개요

파일:대구한의대삼성캠퍼스.jpg
대구한의대학교 삼성캠퍼스
파일:1. 대구한의대학교 수성캠퍼스 전경 .jpg
대구한의대학교 옛 수성캠퍼스
파일:오성캠퍼스 대구한의대.jpg
대구한의대학교 오성캠퍼스

경상북도 경산시 한의대로 1(유곡동, 삼성캠퍼스),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 혁신대로 430(대림동, 혁신캠퍼스), 경상북도 경산시 어봉지길 285-10(여천동, 오성캠퍼스)[5]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재단은 학교법인 제한학원으로, 약칭대한대이다.[6][7] 사실 유곡동에 있는 것은 본 캠퍼스인 삼성(三聖)캠퍼스로[8] 수성(壽城)캠퍼스[9]라고 부속병원 부지 안에 한의학과 본과생들을 위한 건물이 하나 있다. 그밖에도 대구광역시 수성구 중동 411-4에 대구한의대학교 평생교육원이 있었는데 2015년 삼성캠퍼스 바이오센터 내로 이전했다.

1980년 경상북도 경산군 압량면 점촌동 산 75[10]에서 대구한의과대학이라는 단과대학으로 개교했다. 개교한 이래로 학교 규모가 커지면서 종합대학교로 발전하고 교명을 2번 바꾸었는데 1990년 경산대학교, 2003년 대구한의대학교로 바꿨다. 한의과대학은 개교 당시부터 있었으며 경산대학교 시절에는 그냥 종합대학이었다가 대구한의대학교로 바꾼 후로 과 이름에 한방을 붙이기 시작했다. 아시아대학교 캠퍼스 부지를 인수하고 리모델링해서 오성캠퍼스라고 이름을 붙였다.[11]

2. 위치와 교통

파일:external/www.dhu.ac.kr/campus02_img01.gif
삼성(三聖)캠퍼스 약도
1980년 개교 당시에는 건물 한 동[12]만 있었고 주변에 점점 건물들이 늘어났다. 영남대학교에서 자동차로 10분 정도 달리면 한가로운 전원 풍경과 현수막이 내 걸려 있는 삼성캠퍼스 입구가 보이는데 실제 캠퍼스는 입구에서 더 달려야 볼 수 있다. 또, 삼성캠퍼스 자체가 경사진 산에 있어서 걸어가기가 힘들다. 그나마 자인면에 있는 대경대학교보다는 경산시내에서 가까운 편이지만 919번 지방도에서 벗어난 쪽에 있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919번 지방도에 있는 학교 입구에서 학교까지 들어가려면 걸어서 30분 정도는 걸리지만 한의대로와 삼성현로가 개통되어서 사정이 좀 나아졌다.[13] 2012년 9월 3일 한의대~남성초교 구간으로 일부 개통되고 버스정류장은 신설 도로 입구로 이전하였다.[14] 정확히는 학교로 들어올 때는 현수관에서 대학 본부로 올라가는 급경사를 올라갔다가 정문 쪽으로 내려와서 운행을 마치고 학교에서 나갈 때는 정문 아래의 급경사가 나 있는 좁은 길로 현수관으로 내려가는 방식이다.

2013년 6월 중순 한의대로와 삼성현로가 완전 개통되었으나, 2014년 3월 개통된 109번이 대구한의대학교에서 남방천교를 지나 사동으로 나가는 삼성현로를 경유하고 있다. 스쿨버스는 대구한의대학교에서 남성초등학교로 가는 한의대로를 경유하고 있다.

2.1. 시내버스

대구권 종합 대학교이지만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않는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15] 충격적인 것은 99-1번(현 991번) 일반버스, 100번 일반버스가 다니던 1990년대와 30년이 지난 2020년대나 크게 달라진 게 없다. 사실 경산대학교 시절이었던 1998년 당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설된 대구 449번이 1/2 분리 구간 형식으로 들어왔었다. 당시 대구 449번은 배차 간격이 10분이었고 파동~영남대학교, 파동~경산대학교 구간을 1/2 분리 운행했다. 경산대학교에는 20분마다 1대씩 들어왔었는데, 문제는 449번 경산대행이 경산시장~경산시청~계양아파트~사동(소라아파트)을 경유하여 100번과 유사한 구간을 운행했었다는 것. 결국 1999년 경산버스의 반발로 449번 경산대행은 폐선되고 영남대학교행으로 통합되었으며, 압량읍 금구리로 떠나서 2024년에 수성5번으로 단축될 때까지 운행했다. 이후 대구 시내버스가 몇 번 대구한의대학교 재진입을 시도했으나, 경산버스의 엄청난 반발로 현재까지 들어올 엄두를 못 내고 있다. 2025년 2월 24일(대구) 및 3월 10일(경산) 개편에도 939번의 구간이 분리된 949번이 신설되고 991번대구대학교로 떠난 것 외에는 대구 시내권 방면 노선축이 크게 변함이 없었다.

시내버스 노선이 많아 보이지만, 모두 경산시 시내버스다. 그나마 100, 109, 918.949번을 제외하면 대부분 배차간격이 15분이 넘는 노선들이다. 399번과 990번은 학교 입구만 지나갈 뿐이다. 2014년 3월 3일 이전에는 남부정류장~사월역~경산시장~대구한의대학교 오성캠퍼스 구간을 운행하던 시외버스[16]가 2012년~2013년 사이 운행했지만 2014년 3월 3일 109번 개통을 위해 폐선되었으며, 시외면허에서 시내면허로 전환한 후 109번에 모두 투입되었다.

버스 정류장이 따로 없고 버스 회차지 옆에 천막을 세워 놓았으며 시내버스들은 도로 옆에 일렬로 정차되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스쿨버스의 경우 학교 옛 정문 앞으로 들어와 좌회전해서 학생들을 태우고 다시 나가는데 이게 사고 위험성이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좌회전을 하는 곳이 학생들이 스쿨버스를 타기 위해 건너는 횡단보도 쪽이라 사고 위험성이 있다. 2013년 말 학교 측에서 939번의 삼성캠퍼스 연장과 100번의 오성캠퍼스 연장을 경산버스에 요청했다고 한다.

2013년 11월과 12월 대구광역시청 민원게시판, 경산시청 민원게시판에 노선 신설과 노선 연장을 요구하는 민원들이 빗발쳤다. 이전에는 노선 관련 민원이 거의 전무했으나, 이 날 하루는 웬일인지 경산시청 민원게시판 몇 페이지를 꽉 채울만큼 집중되었다. 민원 내용은 현재 사동2지구에서 회차하는 509번, 939번, 압량면 금구리에서 회차하는 대구 649번의 대구한의대 연장이었다. 결국 2014년 3월 3일 109번이 신설되었는데, 그나마 기존 시내버스들의 최대한 단점을 보완한 노선이다. 그러나 여전히 대구 시내버스는 협의 문제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한의대로가 완공된 이후에는 대구한의대로 들어가는 모든 노선들이 현수관에서 종점으로 바로 들어가지 않고 학교를 한 바퀴 돌고 나서 종착했지만 2015년부터 991번저상버스가 들어가게 되면서 991번은 학교를 한 바퀴 돌지 않고 점촌동에서 현수관 대신 한의대로로 곧바로 진입하여 종점으로 들어간다. 2017년 1월부터 학교 측의 요구로 100번도 학교를 한바퀴 돌지 않고 점촌동에서 현수관 대신 한의대로로 곧바로 진입하여 종점으로 들어간다. 학교가 급경사다 보니...

그에 비해 수성캠퍼스는 240번, 304번, 349번, 401번, 405번, 410(-1)번, 413번, 564번, 가창2번, 수성6번, 급행2번. 순환3(-1)번, 청도 0번이 경유하며 대중교통이 편리하다. 삼성캠퍼스와 오성캠퍼스가 대구버스가 한 대도 다니지 않는 것처럼 수성캠퍼스에는 경산버스가 한 대도 다니지 않는다.[21]

그래도 학교 차원에서 시내버스 노선 확충을 노력하던 무렵, 삼성캠퍼스에서 삼성현로 방향으로 2.5km 떨어져 있는 사동2지구 시내버스 종점이 경산시청에서 불법 전용한 사실이 드러나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2015년 4월 29일 100-1번[22], 918번, 경산1(-1)번, 경산2(-1)번이 사동2지구에서 삼성현로를 통하여 삼성캠퍼스로 연장 운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구와 공동배차 노선인 939번은 결국 경산과의 협의 문제로 들어오지 못하고 509번이 운행 중인 사동 소라아파트로 돌렸다.

2025년 3월 10일에는 991번이 대구한의대학교를 완전히 떠났다.[23]

2.2. 고속버스, 시외버스, 철도

100번이나 918번을 타고 경산시장 근처 경산터미널에 가거나 109번, 991번을 타고 영남대학교 앞에 있는 정류소에서 타면 된다. 고속버스는 아예 없고 시외버스 노선은 제한되어 있으니 웬만하면 인근에 있는 경산역에서 기차를 타는게 낫다. 수성캠퍼스에서는 동대구터미널, 동대구역이 비교적 가까우니 정화우방팔레스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413번을 타면 된다. 동대구역, 동대구터미널에 없는 지역으로 갈 경우 서부정류장 이용 시 정화우방팔레스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564번을 타면 되고, 북부정류장 이용 시 중동시장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순환3번[24]을 타면 된다.

2.3. 택시

삼성캠퍼스 버스정류장 옆에 몇 대가 대기하고 있는데 수성캠퍼스 주변에는 택시가 많이 다닌다. 오성캠퍼스의 경우 택시가 대기하고 있지 않아서 타려면 콜택시를 부르는 수 밖에 없다.

2.4. 도시철도

유동인구가 매우 적으므로 도시철도가 개통될 일은 절대 없어보였다. 다만 약 7km 떨어진 영남대학교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역이 개통되었다. 이것은 수성캠퍼스도 마찬가지로 약 2.5km 떨어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구은행역, 약 1.9km 떨어진 대구도시철도 3호선 수성시장역이 있다.

이후 첨복단지 캠퍼스로 이전하게 되어 지척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한의대병원역이 있어 드디어 역세권 대학이 될 예정이다. 수성캠 이전 문단 참조.

2.5. 스쿨버스

자세한 시간표는 학교 홈페이지 아래에 보면 '통학버스'라는 링크가 있는데 그걸 참고하면 된다.

3. 건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한의대학교/건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한의대학교/건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한의대학교/건물#|]][[대구한의대학교/건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캠퍼스


경산시에서는 대구한의대학교 삼성캠퍼스~삼성현역사문화공원 2.5㎞ 구간에 480억원을 투입해서 연결도로를 건설했고 2018년 12월에 개통되었다. 관련 기사 삼성현역사문화공원은 행정구역상으로 경산시 남산면 인흥리에 있는데 이제 이곳으로 직통 도로가 개통되면서 삼성캠퍼스에서 오성캠퍼스로 갈 때 919번 지방도로 나갈 필요 없이 한의대로에서 곧바로 오성캠퍼스 입구가 있는 상대로로 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굳이 상대로로 갈 필요는 없는데 어봉지길로 가는 것이 더 빠르기 때문이다. 삼성현로와 어봉지길도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 정문 공사를 하다가 폐건물이 된 곳 옆에 보면 좁은 길이 있었는데 지금은 출입이 금지된 상태이다.[31]

4.1. 수성캠 첨복단지 이전

수성캠퍼스 한의과대학 및 부속한방병원을 대구 동구 첨복단지에 있는 기존의 2배 크기 부지로 이전한다. 수성캠퍼스는 이전 후 매각하기로 했다.#

마침내 2023년 착공했고, 2024년 10월에 이전 개원했다.# 위치는 대구 1호선 대구한의대병원역 600m 서쪽.

5. 편의시설

삼성캠퍼스의 편의시설은 대부분 학술정보관(9호관)에 모여 있다. 지하 1층에 학생식당, 편의점(GS25), 안경점, 카페, 구내서점이 있으며 3층에는 북카페가 있다. 교내 보건소는 6층에 있다가 기린체육관으로 이전하였다. 사실 학생복지관(6호관) 1층에도 학생식당과 편의점이 있지만 학술정보관의 학생식당이 크고 메뉴도 많아서 대부분 여기를 이용하고 학생복지관 식당은 많이 이용하지 않는 편이다. ATM은 학술정보관 1층에 2개, 기숙사 2동, 한울관에 각각 1개가 있는데 거의 대부분 iM뱅크지만 학술정보관 1층에 있는 2개 중 하나는 유일하게 NH농협은행 ATM이다.[32] 학생증도 M뱅크 체크카드[33]로 iM뱅크 대구한의대지점이 바이오센터(11호관) 1층에 있다.[34] 학교 주요 건물 내에 LG U+ 와이파이존과 T 와이파이KT 와이파이존 이동 통신사 3사가 모두 있지만 비율은 LG U+>SKT>KT다. 사실 LG U+가 압도적으로 많고 SKT도 꽤나 많으나, KT는 적다. 다만 학술정보관 5층에 있는 자유열람실은 예전부터 이미 네스팟을 사용하고 있었다. 물론 자유열람실에서도 와이파이는 쓸 수 있다. 그리고 한의학관(12호관)에는 투썸플레이스가 있고, 그 뒤쪽에 세븐일레븐 편의점이 있다.

6. 번화가

삼성캠퍼스 주변에는 딱히 대학가 또는 번화가라고 할 게 전혀 없다. 그리 많지 않은 상가들과 원룸들이 주류를 이루지만 의외로 웬만한 것은 다 있다. 그런데 정말로 있을 것만 있다. 교수연구동 바로 밑에 내려가면 길을 따라 오른쪽에는 이삭토스트 컨테이너, 토스트 가게, 한솥도시락 가게(폐점), 카페 봄봄, 덮밥 가게[35], 분식점, PC방[36], 카페, 찜닭집, 당구장, 노래방, CU등이 있고 왼쪽에는 세븐일레븐편의점, 오락실, 분식점, 찜닭집, 마트 여러 곳이 있다. 그리고 아래로 길을 따라 내려가면 주점 [37]이 있으며 부동산, 원룸, 하숙집들이 있다. 2013년 기준으로 PC방은 1시간에 비회원은 1,200원, 회원은 1,100원을 받으며 노래방은 1시간에 5,400원을 받는다.

이처럼 뭔가 재밌게 놀기에는 상당히 부실하기에 이 곳에서는 주로 공강 시간에 밥먹고 간단하게 놀며 하교 후에는 사동, 영대, 시지까지 나가서 노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나마 오성캠퍼스 주변은 학생식당과 매점 모두 오후 3시에 문을 닫는다. 주변엔 먹을 식당 하나 없으므로 오후 3시 이후에 뭘 먹으려면 시켜먹든지 아니면 밖에 나가야 된다.

7. 등교 환경

기숙사의 노후화가 심각하며 학교에서 가까울수록, 즉 고도가 높을수록 시설이 신식이다. 성적이 높을수록 학교와 가까운 기숙사를 배정받지만 대신 학교와 가까운 기숙사는 학교는 가까우나, 그만큼 외부와 멀다. 이 기숙사들은 대구·경산 거주 학생들[38]은 원칙적으로 입사가 불가능하다.[39] 학교에서 먼 기숙사는 학교에서 멀지만 외부와 비교적 가깝고 먼 곳은 자율형이기 때문에 자취와 비슷하다. 자취는 학교 근처에 있는 윈룸 또는 하숙집에서 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사실 그것 보다는 삼풍동, 계양동, 사동, 대구미래대학교 인근, 영남대학교 인근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대구, 구미, 포항, 울산, 경주 등 타지에 살면서도 시내버스나 스쿨버스를 타고 등하교하는 학생들도 많다. 그 중에는 칠곡(대구), 성서, 월배, 화원 등 먼 지역에서도 통학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그보다 더 멀리 있는 구미, 경주, 포항, 울산에서도 통학하는 경우도 비교적 많다.

7.1. 등록금

2015년 현재 1년 기준 7,119,400원 학기당 3,559,700원으로 여느 사립대가 그렇듯 300만원대 중후반으로 비싼편, 하지만 2009년 부터 7년동안 등록금 동결 및 소폭인하 된 금액이다. 한의예(학)과의 경우 2012년 기준 연간 등록금이 9,356,000원으로 학기당 4,678,000원이다. 추가모집의 경우 추가모집 입학 장학금 2,000,000원 정도가 장학금으로 등록금에서 감면된다.

8. 학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한의대학교/학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한의대학교/학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한의대학교/학부#|]][[대구한의대학교/학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부속병원


과거 대구한의대학교 구미한방병원이 1998년 개원해 경상북도 구미시 송정대로 78(송정동 458-7)에 있었으나, 내원 환자 감소로 인한 적자와 효율적인 부속병원 운영을 위해 2009년 폐원했다.[41]

10. 여담

11.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한의대학교/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한의대학교/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한의대학교/사건 사고#|]][[대구한의대학교/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출신 인물

13. 둘러보기

파일:대구한의대학교 심볼.svg 대구한의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산시-CI2025-White.svg 경산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립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대신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영남신학대학교
전문대학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파일:영남외국어대학 심볼.svg 영남외국어대학
파일:호산대학교 UI.svg 호산대학교
사이버대학
파일:대구사이버대학교 UI.svg 대구사이버대학교
파일:영남사이버대학교 로고.svg 영남사이버대학교
파일:한국복지사이버대학 심볼.svg 한국복지사이버대학교 }}}}}}}}}

대한민국의 보건/복지대학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colbgcolor=#003764> 종합대학 국군간호사관학교 가톨릭꽃동네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루터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 예수대학교
을지대학교 인제대학교
전문대학 2/3/4년제
광주보건대학교 경북보건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동아보건대학교 부산보건대학교
삼육보건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3/4년제
광양보건대학교 군산간호대학교 기독간호대학교
동남보건대학교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조선간호대학교
원격대학 한국복지사이버대학교
대학원대학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가칭)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

파일:정부상징.svg 글로컬대학 30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3년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강원대학교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국립강릉원주대학교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경상국립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부산대학교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부산교육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국립순천대학교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국립안동대학교
파일:경북도립대학교 UI.svg경북도립대학교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울산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전북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충북대학교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국립한국교통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포항공과대학교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한림대학교
2024년
파일:건양대학교 UI.svg건양대학교 파일:광주보건대학교 UI.svg광주보건대학교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대구보건대학교
파일:대전보건대학교 로고.svg대전보건대학교
파일:경남도립거창대학 UI.svg경남도립거창대학
파일:경남도립남해대학 UI.svg경남도립남해대학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국립창원대학교
파일:한국승강기대학교 심볼.svg한국승강기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경북대학교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국립목포대학교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동서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동아대학교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대구한의대학교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원광대학교
파일:원광보건대학교 UI.svg원광보건대학교
파일:인제대학교 로고.svg인제대학교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한동대학교
2025년 발표 예정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한국대학IR협의회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C98A7> 회원대학 <colbgcolor=#1C98A7> 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 ·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 · 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 ·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원대학교 UI.svg 서원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유원대학교 UI.svg 유원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 ·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로고.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 파일:호원대학교 UI.svg 호원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링크플러스 로고.svg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2차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육성사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25FA5> 회원대학 <colbgcolor=#125FA5> 산학협력 고도화형 본사업 <colbgcolor=#fff,#191919>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서울)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강릉원주대학교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안동대학교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미래)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GLOCAL)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한국교통대학교
파일: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기술교육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한밭대학교파일:한서대학교 UI.svg 한서대학교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창원대학교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군산대학교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목포대학교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파일:전주대학교_교표.svg 전주대학교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산학협력 고도화형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서울)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서울)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파일:순천향대학교 UI.svg 순천향대학교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우송대학교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파일: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기술교육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한밭대학교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목포대학교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순천대학교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파일:전주대학교_교표.svg 전주대학교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파일:상명대학교 교표1.svg 상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파일:위덕대학교 UI.svg 위덕대학교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파일:세명대학교 로고.svg 세명대학교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파일:부산가톨릭대학교 심볼.svg 부산가톨릭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파일:영산대학교 심볼.svg 영산대학교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목포해양대학교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파일:경복대학교 엠블럼.svg 경복대학교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파일:동양미래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미래대학교파일:부천대학교 심볼.svg 부천대학교파일:유한대학교 UI.svg 유한대학교파일:인하공업전문대학 UI.svg 인하공업전문대학
파일:재능대학교 심볼.svg 재능대학교
''''
''
LINC+ (2017~2021)
''
''''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링크3.0 로고.svg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3.0 / 일반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25FA5> 회원 대학(일반대)
유형
구분 대학명
기술혁신선도형
(13개교)
<colbgcolor=#d3d3d3,#383b40><colcolor=#191919,#fff>
수도권 (3개교)
<colcolor=#373a3c,#ddd>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서울)
지방 (10개교)
수요맞춤성장형
(53개교)
수도권 (12개교)
충청권 (10개교)
호남제주권 (9개교)
대경강원권 (12개교)
동남권 (10개교)
협력기반구축형
(10개교)
수도권 (2개교)
숙명여대, 인천대
지방 (8개교)
''''
''
LINC 3.0 (2022~2027)
''
''
''
}}}}}}}}} ||

[1] 1932년생으로 현재도 한의사로 활동한다. #[2] 변정환 설립자의 차남이다.[3] 재적학생수가 아님.[4] 교원(전임교원, 비전임교원) 총인원.[5] 행정동인 동부동 관할 내에 있는 법정동 중 하나인 여천동이다. 하지만 오성캠퍼스 정문에서 상대온천으로 내려가는 곳부터 남산면 관할인데다가, 지리상 남산면과 다를 바가 없어서 사실상 남산면 생활권이다. 상대온천에서 올라오는 길이 실제 정문이고 예전에는 스쿨버스가 여기로 들어왔었다. 그런데 현재는 차량통행이 불가능해서 뒷길로 스쿨버스가 들어오는데 사람이나 이륜차는 통행이 가능하다. 다만 이 길로 통행하는 사람들이 전혀 없을 뿐이다.[6] 지역 사람들은 '대한대'라고 하면 알아듣지 못하고, '한의대'라고 해야 알아듣는다.[7] 전국적으로는 대구한이라고 불린다. 이 명칭은 일반학과 보다는 한의예과를 칭하는 경우가 많다.[8] 물론 여기서 삼성이란 절대 그 삼성전자삼성(三星)이 아니다. 세 성현, 즉 삼성현(원효, 설총, 일연)의 출신지라는 곳에서 따온 삼성(三聖)이다.[9] 수성캠퍼스는 성현과 전혀 상관이 없고 그냥 수성구에 있어서 수성(壽城)캠퍼스라고 명명한 것이다.[10] 당시에는 압량면 관할이었으며 1995년 경산시와 경산군이 통합한 후 현재는 동부동 관할이다.[11] 위에서 언급한 세 명의 성현 외에도 인재들이 많이 나와서 두 성현이 더 나와서 다섯 성현(오성)이 나오기를 기원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12] 현재 1호관[13] 사동 백자로~한의대~남성초교 구간이다. 이 도로를 만드는데 드는 비용의 절반은 경상북도와 경산시, 절반은 학교에서 부담했다고 한다.[14] 그래서 100번과 991번이 신설 도로로 나가는 쪽에 도로 정차를 하고 있다.[15] 대구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않는 것은 대경대학교도 마찬가지이나, 거기는 4년제가 아니라 전문대학이다.[16] 급행버스에 가까우며 요금은 시내버스지만 시외버스라서 교통카드 단말기가 없어 현금 승차만 가능했고 당연히 환승도 안 되었다. 주말, 공휴일 한정으로 대구한의대학교 삼성캠퍼스를 경유했었다.[17] 평일 한정 4회 연장운행,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한의대행 잠정 운휴 중[A] 학교 입구를 지나갈 뿐이다. 참고로 학교 입구에서 학교까지 들어올려면 천천히 걸으면 30분은 걸린다.[A] [20] 1일 10회 상대온천까지만 운행하지만, 조금만 오르막길을 올라가면 오성캠퍼스다. 본래 오성캠퍼스까지 가던 시간대를 109번에 이관했다.[21] 다만 이 중 정문 앞을 경유하는 버스는 349번(시지 방향에만 정차하며 반대방향은 상동시장 일방통행로에 정차)과 가창2번뿐이고 나머지는 후방 약 300m에 있는 정화우방팔레스나 상동시장(304, 349 시내/유통단지행, 401, 405, 413, 564, 급행2, 청도 0) 혹은 후방 약 400m에 있는 상동교/화성전문요양원(240, 410(-1)), 중동시장(순환3(-1))까지 나가야 된다. 그래서 삼성캠퍼스에서 수성캠퍼스를 가려면 100번이나 949번을 타고 시지 혹은 남부정류장에서 349번으로 갈아타야 한다.[22] 2019년 5월 8일부로 평일 한정 4회 운행으로 축소,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한의대행 잠정 운휴 중[23] 사실상 옛 890번의 대구대 단축 노선이라고 보면 된다. 다른 점은 991번이 봉회삼거리에서 진량중고교 대신 삼주봉황타운 입구로 지나간다는 것.[24] 역방향은 순환3-1번[25] 2024년 2월에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로 한의학과, 간호학과, 재활치료학부의 이전이 예정되어 있다. 관련 기사[26] 대로변에서 동떨어진 이해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는 대학로 상권, 원룸촌이 그 흔적이다. 대로는 커녕 산골짜기를 따라 오솔길 하나 있는게 다였고 이 오솔길 주변에 상가와 원룸 건물들이 하나 둘씩 지어진 것이기 때문이 상권과 원룸촌이 존재하는 골목길이 유일한 진입로였다. 삼성현로가 개통되었지만 이곳이 자연녹지지역이라 개발이 늦어지고 있다. 그래도 장기적으로 대로변을 따라 상가건물들이 80개씩이나 지어질 전망이라니 미래에는 도시화를 기대해볼만 하다.[27] 대구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캠퍼스에 대구버스를 진입할 수 없도록 막아놓는 미친짓을 벌이고 있다. 밥그릇 싸움의 목적도 있지만 버스는 공공성을 갖는 사업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쉴드가 불가능한 행동이다. 결국은 대구와 경산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노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대구버스와 경산버스가 협력을 해야 하는데 경산버스가 노선을 독단적으로 운영하는 상황이다. 대구버스는 경산에 진입이 불가능하면서 경산버스는 대구에 진입하는 어이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결국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피 보는건 학생들이다.[28] 케이블카를 설치하려면 케이블카가 지나는 주변 지역을 모두 매입해야 하든가, 하다못해 지상권 설정 댓가로 임대료를 줘야 한다.[29] 사실 남산1번이 상대온천까지 하루 10회 들어오는데 남산온천에서 내려 걸어와도 된다. 그나마 이게 좋아진 거고 2014년 3월 이전에는 환승도 안되던 시외버스만 다녔다.[30] 한방융합관 뒷편에 학생건강을 위한 순환코스라는 형식으로 안내판이 있는데 말 그대로 뒷산에 올라갔다가 다시 오성캠퍼스로 내려오는 순환 코스이다.[31] 아시아대학교 시절의 정문은 폐쇄된 상황인데 이곳에 개인 단독주택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곳의 진입로가 되면서 아예 도로 자체가 폐쇄되었다. 실제로는 상대로를 통해서 오성캠퍼스에 갈 수는 없다.[32] 학술정보관 1층에는 ATM이 2개 있는데 그 중 왼쪽이 iM뱅크, 오른쪽이 농협이다.[33] 대구권 대학들의 학생증은 대부분 iM뱅크 체크카드이다. iM뱅크의 입지가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34] 2012년 2월 iM뱅크 지점이 개점하기 전에는 2주마다 iM뱅크, 국민은행 트럭이 와서 금융 업무를 해줬다. 지금도 가끔 국민은행, 우체국 등의 트럭이 온다.[35] 이전에는 편의점[36] 이것은 지하에 있는데 과거에는 하나 더 있었으나, 폐업했다. 참고로 지금 있는 pc방은 휴업중이다.[37] 주로 개강총회 장소로 쓰인다.[38] 단, 달성군 거주 학생은 제외이다.[39] 하지만 기숙사 신청 기간이 지나고 자리가 남으면 입사 신청이 가능하다.[40] 말 그대로 시립요양병원이지만 문경시와 위수탁 협약을 통해 위탁 운영을 하고 있다.[41] 현재 그 자리에는 2010년 늘푸른성모병원이라는 척추전문병원이 들어서 있다.[42] 대구한의대에 비해 대구대의 인지도가 더 높기 때문이다. 보통 특정지역 이름이 들어간 대학교들은 입결을 떠나서 어느 정도의 인지도는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이름 자체에 한의대가 들어가는 명칭은 굉장히 특이한 형태이기 때문에 인지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43] 가장 충격적인 사실이라면 대구대학교 한의학과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44] 임당역 방면은 비교적 낫지만, 반야월역 방면은 영대 자취생들 때문이다. 헬게이트다.[45] 다만 이건 오성캠퍼스의 얘기인데 거의 대부분 스쿨버스는 오성캠퍼스 종착이라서 쿨쿨 자다가 삼성캠퍼스에서 못 내리고 오성캠퍼스까지 갈 수 있기 때문이다.[46] RH 시간대에는 중고등학생들이나 주민들도 많이 타기 때문이다.[47] 하교 스쿨버스의 경우 영대나 사동 근거리 학생들이 차지해서 정작 원거리를 가는 학생들이 타지 못하는 불상사도 가끔 벌어진다. 특히 사동~임당역 노선보다 영남대역~반야월역 노선은 문을 닫기 힘들 정도로 미어 터진다. 특히 스쿨버스가 오성캠퍼스가 출발하기 때문에 삼성캠퍼스 학생들은 다소 불리하며 거기다 스쿨버스가 사동, 삼풍동 또는 영대를 무조건 지나기 때문에 사동이나 영대 방면 근거리 자취생들에게 밀려 장거리 통학생들이 오히려 못 타는 경우가 많다.[48] 택시의 경우 삼풍동까지 4천원 정도 나오는데 버스요금이 교통카드 기준 1,100원이기 때문에 사동, 삼풍동, 계양동 일대에 사는 자취생의 경우 4명만 같이 타고 가면 본전 이상 뽑을 수 있다. 즉, 이 곳에 사는 자취생의 경우 사람 수만 적절하면 시내버스 요금으로 택시타고 편하게 하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아예 하교 시간대에는 3~4명이서 파티를 맺어 택시 하교하는 학생들이 간혹 있다.[49] 한약자원학과, 한약재약리학과, 한방식품약리학과,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화장품약리학과[50]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를 지낸 이준구 교수와는 동명이인이다.[51] 상술되었듯이 동구 신서혁신도시로 이전할 예정이다.[52] 현재는 호산대학교[53] 그 밖에 안산시에 있는 안산대학교(구 안산1대학), 구미시에 있는 구미대학교(구 구미1대학)도 약간은 비슷한 경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