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6:27:14

삼육보건대학교

파일:SHU_white.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부 캠퍼스 교통 출신 인물
}}}}}}}}} ||
<colbgcolor=#2A3F8A>
삼육보건대학교
三育保健大學校
Sahmyook Health University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대학 정보
<colcolor=#fff> 교훈 <colcolor=#8C1515,#fff>진리, 사랑, 봉사
설립 연도 1936년 4월 경성요양병원 부속간호원 양성소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소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망우로 82 (휘경동)
분류 2/3/4년제 전문대학, 사립대학
교목 백송
교색
SHU Main Blue (#2A3F8A)

SHU Sub Blue (#0894DC)
종교 개신교(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설립자 류제한 (Dr. George H, Rue)[1]
총장 박주희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삼육학원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
재학생 1,358명 (2024년)[2]
교직원 146명 (2021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위치
<nopad>
삼육보건대학교 홍보 영상 (2021년)
파일:삼육보건대S관.jpg
S관
파일:삼육보건대H관.jpg
H관

1. 개요2. 연혁3. 학과
3.1. 간호학부3.2. 3년제 전문학사3.3. 2년제 전문학사3.4. 전공심화과정
4. 캠퍼스
4.1. 교내 시설
5. 주변 시설6. 여담7. 교통
7.1. 지하철7.2. 버스
8. 출신인물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삼육보건대학교 (三育保健大學校, Sahmyook Health University)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망우로 82에 위치해 있는 2/3/4년제 전문대학 이다.

1936년 6월 15일 이승만 전 대통령의 주치의였던 류제한[3] 박사가 설립한 경성요양병원 부속 간호양성소로 교육을 시작하였으며, 교훈은 "진리, 사랑, 봉사"이다. 한국 최초로 간호사 인턴 제도를 실시한 학교이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산하 학교법인 삼육학원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재단 병원으로는 삼육서울병원삼육부산병원, 삼육치과병원을 두고 있다.

2. 연혁

<colbgcolor=#2A3F8A><colcolor=white>
날짜
연혁
1936년 4월 경성요양병원 부속간호원 양성소로 류제한에 의하여 설립. 초대소장 어네스틴길 소장 취임.
1943년 5월 양성소 해산
1947년 11월 8.15 광복 후 서울위생병원이 재개원하여 병원부속간호고등학교로 개칭
1948년 6월 서울위생병원 부속 간호고등학교로 개칭인가
1951년 2월 1.4 후퇴로 제주도로 피난, 성산포에 임시 개교
1951년 9월 서울 수복과 동시에 서울로 복귀
1952년 3월 서울위생병원 부속고등간호학교 제1회, 제2회 합동졸업식
1958년 서울위생병원부속간호고등기술학교로 문교부 인가
1962년 1월 서울위생병원 간호학교로 개칭인가
1973년 12월 서울위생간호학교를 위생간호전문학교로 승격 인가
1977년 11월 삼육간호전문학교로 교명변경
1978년 12월 삼육간호전문대학으로 승격
1984년 3월 서울 노원구 공릉동 223의 삼육대학교 구내에서 강의
1990년 12월 신축교사 준공
1991년 3월 서울 동대문구 휘경2동 29-1에서 강의
1997년 1월 교사 1개동 증축
1998년 6월 삼육간호보건대학으로 교명 변경
1999년 4월 본관 증축
2003년 4월 도서관 및 체육관 준공
2007년 5월 삼육보건대학으로 교명 변경
2007년 7월 도서관 개축 (백송관)
2008년 12월 학생회관 리모델링
2012년 4월 삼육보건대학교로 교명 변경
2013년 3월 S관 준공, 기존 본관을 H관으로 변경, 과학관을 U관으로 변경
2020년 2월 A관 리모델링
2022년 1월 S관 증축 및 리모델링
2023년 10월 간호학부 시뮬레이션센터 개관

3. 학과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의 학과
간호학부(4년제) 치위생과(3년제) 뷰티융합과(2년제) 사회복지과(2년제)
아동보육과(2년제) 의료정보과(2년제)

3.1. 간호학부

간호학부
Dept. Nursing

삼육서울병원(구 서울위생병원)의 전신인 경성요양병원의 간호원 양성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삼육보건대학교의 시초가 된 학과이자 가장 많은 정원을 가진 학과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남성간호사를 배출했으며, 대한민국의 나이팅게일기장 수상자 35명 중 2명을 배출하였다. 재단 병원을 보유하고 있어 실습과 취업에 유리하다. Nclex - RN반과 교직과정이 운영중이다.

3.2. 3년제 전문학사

치위생과
Dept. Dental Hygiene

3.3. 2년제 전문학사

뷰티융합과
Dept. Beauty Convergence
전공
의료미용전공
뷰티헤어전공
사회복지과
Dept. Social Welfare
아동보육과
Dept. Child Care Education
의료정보과
Dept. Medical Information
의료정보과는 의료 IT 및 의료 관련 기술과 지식을 융합하여 학습하는 학과로, 의료정보시스템의 설계, 구현, 관리, 평가 및 효과적인 활용을 다룬다.졸업 후에는 의료 IT 기업[4]이나 종합병원 전산팀[5]에서 병원 프로그램[6] 개발 및 유지보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의료정보과를 어렵게 느끼는 경우가 있는데, 쉽게 말해 의료 IT 개발자를 양성하는 학과라고 보면 된다. 다만, 병원행정 및 원무과 취업을 목표로 입학했다가 예상과 달리 의료 IT 중심의 커리큘럼에 당황해 중도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문과 출신 학생들이 관심 없는 코딩 공부를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참고로, 의료정보과는 자연과학 계열에 속한다.

3.4. 전공심화과정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2A3F8A><tablebgcolor=#2A3F8A>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전공심화과정
Major Deepening Course
}}}
학과
치위생과 (1년 과정)
아동보육학과 (2년 과정)

4. 캠퍼스

파일:shu_campusmap.jpg
캠퍼스맵
삼육서울병원과 캠퍼스를 공유하고 있어 넓어보이지만 학교가 차지하는 면적은 크지 않아 캠퍼스 내에서의 존재감이 크지는 않다. 체육관을 포함해 총 4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병원 뒤로 배봉산이 위치하고 있으며 의외로 휘경동의 벚꽃 명소로 유명하다.[7] 학교식당이 입맛에 맞지 않을 시 삼육서울병원 직원식당에서 식권을 구입하여 식사가 가능하다.[8] 병원부지도 캠퍼스라고 생각하면 의외로 구경거리가 있다. 병원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SDA삼육어학원 서울본원과 삼육치과병원이 위치하고 있다. 특히 2008년에 신축한 삼육서울병원 추모관[9]의 규모가 상당한데, 서울내에 있는 종합/대학병원 장례식장중 비교적 최근에 건설되었고, 찬란한 유산야왕 등 드라마 촬영지로도 나오기도 한다.

4.1. 교내 시설

시설은 학교 이니셜인 S관, H관, U관, A관으로 나뉜다. S관에 카페나 매점이 자리잡고 있고, 휴게시설도 같은 층에 위치해서 그곳에서 과제를 하거나 조모임을 갖는 경우가 많다. 학교 매점은 기존 지하에 있던 매점이 사라지고 1층에 이마트 24 편의점이 새로 생겼다

5. 주변 시설

학교 근처에 먹을 만한 식당이 꽤나 많은데, 다른 대학가에 비해서는 초라한 편이다. 그러나 회기역 1번출구인 경희대 거리로 나서면 가게들이 줄지어 위치해 있어 많은 학생들이 1번출구로 넘어가서 유흥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 학교 식당이 종교색 때문에 전부 채식이라는 소문이 있는데, 그렇지는 않다. 교리상 고기는 돼지고기만 금지하고있어서 닭고기나 치킨, 소고기등의 고기들이 자주 나온다. (학식의 인기가 높지는 않아도 막상 가보면 사람들이 북적북적한 편) 학교 안에 에덴동산이라고 조그마한 공원같은 곳이 있고, 그외 교회, 원내 유치원, 산후조리원, 어학원(SDA삼육어학원 서울본원) 등이 위치되어 있다.

6. 여담

7. 교통

7.1. 지하철

회기역

7.2. 버스

망우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시조사삼거리
[단방향]
삼육서울병원
[회기역]
중랑교
삼육보건대학교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삼육서울병원(중)
(06011)
<colcolor=#ffffff> 지선
시내
간선
심야
좌석
직행좌석
삼육서울병원(중)
(06012)
지선
시내
간선
심야
좌석
직행좌석

8. 출신인물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3F8A, #2A3F8A)"
{{{#!wiki style="margin: -7px;"
<tablebgcolor=#2A3F8A><tablebordercolor=#2A3F8A>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제 5대 삼육서울병원 병원장, 이승만 전 대통령 주치의, 대한민국 문화훈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명예의학박사, 중앙대학교 명예법학박사, 서울특별시 명예시민[2] 휴학생 미포함[3] Dr. George H, Rue (1890-1993)[4] 이지케어텍, 유비케어, 비트컴퓨터[5] 의료정보팀, 전산정보팀 등[6] HIS, OCS, EMR, PACS, LIS 등[7] 병원이 언덕위에 있어 정문에서부터 오르는 길에 벚꽃이 쫘악 개화하고 벚꽃잎이 날리는데 꼭 영화에 나오는 한 장면 같아 장관이다.[8] 채식주의자 추천[9] 장례식장[10] 그래서 삼육보건대학교 학생들은 학교명을 줄여 "삼보대" 학생이라고 주로 말한다.[11] 삼육서울병원에서 실습 중인 학생들이다.[12] 실제로 두 학교의 거리가 10km 차이로 가까운 편이다. 간선버스인 서울 버스 202번을 타면 환승 없이 편도로 40분이 소요된다.[13] 인지도 낮은 지방 및 수도권 4년제 간호학과보다 높은데, 재단병원을 소유하고 있다는 점과 학교의 위치가 큰 몫을 차지한다.[단방향] 시조사삼거리 정류장부터 청량리.청과물도매시장 정류장까지는 반대 방면 정류장이 전부 가로변 정류장이다.[회기역] 회기역 문서와 해당 틀을 공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