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6 18:08:24

아주대학교


파일:아주대학교 시그니처 화이트(가로형).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 정보
연혁 상징 시설 출신 인물
학부 학사 제도 대학원 특징
교원 성과 수업 홍보 대사
재학생 정보
행사(축제) 식당(매점) 교통 주변 환경
총학생회 총동문회 동아리
운동부
축구부
부속 기관
국제교육센터
||<-5><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0066b3>
의료원
||
아주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요양병원 아주대학교 평택병원(2030년 예정) 아주대학교 파주병원(2030년 예정)
}}}}}}}}} ||

<colcolor=#fff> 아주대학교
亞洲大學校
Ajou University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colbgcolor=#0066b3> 교훈 인간존중ㆍ실사구시ㆍ세계일가
상징
<colbgcolor=#0066b3><colcolor=#fff> 상징 선구자
교표 횃불
교기 축구
교색
AJOU BLUE
AJOU GOLD
AJOU SKY

AJOU YELLOW
AJOU SILVER
분류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지역 경기도
개교 1973년 3월 아주공업초급대학[1]
1973년 12월 아주공과대학 승격[2]
1981년 3월 아주대학교 승격[3]
설립자 박창원
총장 제17대 최기주
이사장 제5대 김선용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대우학원
부속의료원 아주대학교의료원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원천동 10)
재학생
학부생
9,705명(2022년)
대학원생
4,007명(2022년)[4]
교직원
교원 747명(2022년)
직원 342명(2022년)
면적 466,064㎡(140,984평)
해외 분교 Ajou University in Tashkent, AUT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즈베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즈베키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Khamza Building Professional College)
경영위기대학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2024년)
웹사이트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공식 홈페이지
소셜 미디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hite {{{#!folding 지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주대학교 50주년, 아주 DNA를 말하다
파일:ajoupioneer.jpg
아주대학교 선구자상

1. 개요2. 교명3. 대학 연혁4. 상징5. 재단6. 특징7. 학사제도8. 성과9. 부속기관10. 학부11. 대학원12. 캠퍼스 및 시설13. 아주대학교병원14. 학생 활동15. 상권 및 주변 환경16. 교통17. 수업18. 방송 촬영19. 출신 인물20. 주요 교원21. 이야깃거리
21.1. 노화연구
22. 사건사고23. 둘러보기

1. 개요

<nopad> 파일:아주대학교 전경_율곡관.jpg
아주대학교 본관(율곡관)

아주대학교, 亞洲大學校, AJOU UNIVERSITY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인간존중(人間尊重), 실사구시(實事求是), 세계일가(世界一家)라는 교육 이념을 추구하고 있다. 아주대학교는 경기도의 중심인 수원시에 위치해 있으며, 경기도 수원시의 대표 대학이자 4년제 사립 종합대학으로[5] 인문사회계열, 이공계열, 의약계열과 대학병원이 모두 한 곳에 모여있는 단일캠퍼스이다.[6]

1971년 12월 한국과 프랑스 양국 간 '한·불기술 초급대학 설립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에 따라 1973년 3월 유신고속관광주식회사 박창원 사장은 유신학원을 발족했고 아주대학교의 전신인 아주공업초급대학을 설립하였다. 12월 아주공업초급대학은 아주공과대학으로 승격했다. 1977년 대우실업 사장을 맡았던 김우중 사장은 '교육사업으로 기업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고급인력을 키우겠다.'는 목표를 갖고 사재 53억원을 출연해 학교법인 대우학원을 설립하여 아주공과대학을 인수하였다. 김우중 사장이 직접 사재를 출연해 인수한 아주공과대학은 1981년 3월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여 오늘날 아주대학교가 되었다.

아주대학교는 학부제, 복수학위제, 교수업적평가제도, 강의평가제도, 원스톱행정시스템, 캠퍼스정보화, 전자도서관 구축, 정보통신대학, 국제학부, 금융공학과, 대학원 에너지학과, SW특성화대학원, 교통·ITS대학원, 사이버 MBA(경영학석사), 파란사다리(취약계층 국제화 프로그램), 파란학기제를 국내 대학 최초로 시행·설립하였다.

2. 교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4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66b3><tablebordercolor=#0066b3>파일:아주대학교 시그니처 화이트(가로형).svg아주대학교
교명
}}}
<colbgcolor=#0066b3>유래빛나는 亞細亞燈燭(아시아등불) 켜지는날엔 東方(동방)의 빛이 되리라
의미빛의 원천(源泉)[7]은 대 아주인(亞州人)으로부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명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6b3>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어아주대학교 (아주대)
亞州大學校 (亞州大)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어Université Ajou
파일:영국 국기.svg 영어Ajou University (AU)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어Universidad Ajou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어亞州大学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어[ruby(亞州大学, ruby=アしゅうだいがく)]
}}}}}}}}}||
In the golden age of Asia
Korea was one of its lamp-bearers,
and that lamp is waiting
to be lighted once again
for the illumination
in the East
‘일찍이 아세아의 황금 시기에
빛나던 등촉의 하나인 조선
그 등불 한 번 다시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 라빈드라나드 타고르의 메모-

아주대학교 명칭은 라빈드라나드 타고르가 한국에 남긴 메모의 빛나는 亞細亞燈燭(아시아등불) 켜지는날엔 東方(동방)의 빛이란 글귀를 박창원 이사장이 영감을 얻어 조국 근대화의 얼이 될 젊은 인재를 육성하여 길이 아시아의 횃불이 되게 하자[8]라는 건학 이념을 담아 탄생되었다.[9][10]

아시아=Asia=Asie=亞細亞=亞細亞州=亞洲=아주 다 같은 의미다. 구글 번역기로 亞洲를 영문 번역하면 Asia로 번역된다. 아주대학교의 설립 초기엔 아시아를 프랑스어로 직역한 Asie를 활용해 'College technique Asie Franco-Coreen'을 대학명으로 사용했다가 후에 Asie를 Ajou로 바꿔 사용하게 된 유례도 있다. 프랑스의 지원으로 대학이 설립되었기 때문에 영문이 아닌 프랑스어를 대학명으로 사용한 것이다.[11]

대만의 아주대학(亞州大學)과 일본의 아시아대학(亞細亞大學) 모두 영문 대학명을 Asia University로 표기 하는데 반해, 아주대학교는 한글 아주를 프랑스어 그대로 표기한 Ajou University를 대학명으로 사용한다. 아주를 영문으로 읽으면 Aju가 되나 불어식으로 표기하면 Ajou가 된다. 프랑스어에서 u는 독일어의 ü(움라우트)에 가까운 '위' 발음이 나고, ou는 '우' 발음이 된다.
1965년에 대한민국 정부와 프랑스공화국 정부 간에 체결된 문화 및 기술 협력에 의한 협정의 일획으로 수원 근교에 아주대학, 아주공업초급대학, 및 유신고등학교를 설립하게 되었습니다. 본 대학은 조국근대화의 얼이 될 젊은 인재를 육성하여 길이 아시아의 횃불이 되게 함은 물론 한·불 양국 정부 간의 문화 및 기술협력을 더욱 증진하여야 한다는...(중략) 본 대학은 한·불협력의 상징으로서 양국 간의 문화기술의 교류에 공헌하는 것은 물론, 과학기술의 교육뿐만 아니라 외국어교육, 아시아 지역 연구에도 힘을 기울일 것이며, 아시아 지역과 교수 및 학생교류를 가짐으로써, 아시아 지역에 있어서 국제협력의 일환을 담당하고자 합니다...- 1972년 11월 박창원 이사장 담화문 [12]
위에서 언급한 대로 아주대학의 설립 목적은 조국 근대화의 얼이 될 젊은 인재를 육성하여 길이 아시아의 횃불이 되게 함이며 아주대학은 연구, 교류 및 국제협력의 일환을 담당하는 아시아 중심 대학이 될 것임을 천명하며 대학의 문을 열게 된다.

3. 대학 연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연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연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연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상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상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상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상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재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학교법인 대우학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학교법인 대우학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학교법인 대우학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특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특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특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특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학사제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학사제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학사제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학사제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성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성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성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성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부속기관

글로벌미래교육원
대학교육혁신원
국제교육센터
중앙도서관
도구박물관
생활관
심리상담센터
대학일자리센터
보건진료소
대학언론사
AUT사업단
아주지속가능발전센터

10. 학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학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학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학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대학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대학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대학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대학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캠퍼스 및 시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시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시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시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아주대학교병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병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병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병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학생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학생 활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학생 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학생 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상권 및 주변 환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주변 환경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주변 환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주변 환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교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교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 수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수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수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수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방송 촬영

구분 작품 연도 출연진 촬영장소 내용
드라마 종합병원 1994 이재룡, 신은경, 구본승, 전도연, 전광렬, 홍리나 아주대병원, 송재관 [13]
드라마 해바라기 1998 안재욱, 김희선, 김정은, 차태현 아주대병원 -
영화 엽기적인 그녀 2001 차태현, 전지현 다산관 강당 -
드라마 낭랑 18세 2004 한지혜, 이동건, 이다해 운동장, 아주대병원 -
드라마 원더풀 라이프 2005 김재원, 이지훈, 한다감(舊 한은정), 유진 중앙도서관, 텔레토비동산 -
영화 괴물 2006 송강호, 변희봉, 박해일, 배두나 산학협력원 5층 -
드라마 하얀거탑 2007 김명민, 이선균, 차인표, 송선미 아주대병원, 체육관, 율곡관 강당 [14]
드라마 아이 앰 샘 2007 양동근, 박민영, 손태영, T.O.P 정문 -
드라마 신의 저울 2008 송창의, 이상윤, 김유미, 전혜빈 팔달관 및 기타 야외 촬영 -
드라마 공부의 신 2010 김수로, 배두나, 유승호, 고아성 팔달관, 원천관 [15]
드라마 한 번 다녀왔습니다 2020 천호진, 차화연, 이민정, 이상엽 율곡관 및 기타 장소 [16]

19.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출신 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출신 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출신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 주요 교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대학교/주요 교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주요 교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대학교/주요 교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이야깃거리

21.1. 노화연구

22. 사건사고

김덕중 전 총장은 1995년 2월 아주대 총장에 취임하였으나 1999년 5월 교육부 장관에 임명되어 총장직을 사임했다. 하지만 김 전 총장이 교육부 장관직에서 경질된 후 2000년 2월, 제6대 총장으로 복귀했다. 하지만 곧바로 대학 사유화 논란과 의과대학원 입시 부정 논란에 휩싸였고, 동시에 과거 총장 역임 당시 권위주의적, 독재적으로 행한 학사 운영에 관한 불만이 터져 나왔다. 이에 교수협의회, 교직원노동조합, 총학생회를 비롯한 각 단과대학학생회는 퇴진 운동에 돌입하였으며, 비상대책위원회는 김덕중 전 총장의 '대학 사유화 실태조사 보고대회'를 열었다. 이후 김 전 총장 출근 저지 및 연로 교수 성명, 학생들의 총장실 점거 등 퇴진 운동은 점점 활발해졌다. 당시 학보사는 편집장 책임 아래에 호외를 발행하여 김 전 총장의 재취임을 반대하는 학생들의 목소리를 알려 3개월 발행 중단 조치가 내려지기도 했다. 학생과 교수, 교직원의 퇴진 운동 끝에 결국 2001년 3월 23일, 김덕중 총장은 조기 사임 성명을 냈다.
2015년 4월 3일 정보컴퓨터공학과에 재학 중이던 남학생이 'ajou.lul.lu'라는 이상형 월드컵 웹사이트를 만들고 운영해 논란이 된 사건이다. 해당 남학생은 학교 종합정보시스템을 해킹해 14, 15학번 여학생들 학생증 사진을 빼냈으며, 영화 소셜 네트워크를 보고 모방했다고 밝혔다. 사이트는 현재 폐쇄되어 있다.
2022년 9월 19일 수원남부경찰서가 학내 탈의실에 카메라를 설치해 불법촬영을 한 혐의를 받는 아주대 의대생을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학생은 2022년 6월 24일 아주대 의대 건물 내 간이 탈의실 안에 있는 개방형 수납장에 스마트폰 모양의 카메라로 재학생들을 촬영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간이 탈의실은 재학생이 환복할 수 있도록 임시로 마련된 공간으로, 경찰은 해당 카메라의 촬영 내역을 분석해 재학생 여러 명이 상의를 갈아입는 모습이 찍힌 사실을 확인했다.

23. 둘러보기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관련 틀

[1] 아주공업초급대학의 설립기초는 한·불기술 초급대학 설립에 관한 협정이다. 프랑스 2년제 초급기술대학을 모델로 하여 유신학원에 의해 설립된 기술계 초급대학은 아주공업초급대학이라는 이름아래 4개학과(공업경영, 기계, 전자, 화학공학과) 279명으로 개교하였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는 3년간 약 50만불 상당의 교육 기재와 6명의 인원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수원시 아주공업초급대학에 보냈다.
[2] 4년제 공과대학. 대학 개교당시 학생 모집요강 및 신문 광고에 금년 내 4년제 대학교로 전환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했고 1973년 3월 개교한 후 동년 12월 4년제로 승격인가 되었다. 아주대학은 4년제 대학 전환을 전제로 1회 입학생을 모집했기 때문에 사실상 2년제 초급대학 입학생 및 졸업생이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대학의 1회 졸업식은 1975년이 아닌 1977년에 개최되었다.[3] 4년제 종합대학. 아주대학은 1977년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뒤이어 대우실업 김우중 사장이 학교법인 대우학원을 설립하면서 유신학원으로부터 아주대학을 인수한다. 1981년에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고 1988년에는 의과대학을 세우는가 하면 1994년에는 아주대학교병원도 개원하게 되었다.[4] 석박사 통합과정 포함[5] 수원시는 경기도를 대표하는 도시이자, 경기도청이 위치한 경기도 제1의 도시이다. 수원시에는 프랑스군 참전 기념비가 있고 아주대학교의 설립은 프랑스와 연관이 있다.[6] 또한 의대와 약대, 로스쿨을 모두 갖춘 전국 19개교 중 하나다.[7] 원천이란 단어엔 사물의 근원이란 뜻과 아주대학교 행정동인 원천동의 의미가 동시에 내포되어 있다[8] 1972년 11월 박창원 이사장이 발표한 개교 기념 담화문 문구[9] 한·불기술초급대학 설립에 관한 협정문 제 22조에는 학교 명칭으로 법인의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어 유신학원이 유신을 대학명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또 제 24조에 의해 대학 운영현황과 발전에 관한 사항을 2년마다 열리는 국가 간 협의 체계인 한·불 혼성위원회 때 정기보고를 하게 되어있고 한·불 혼성위원회 회기때가 아닌 때의 학교 운영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한국과 프랑스 간 대사관에서 협의하게 되어 있어 사실상 국립법인처럼 대학을 운영케 했다.[10] 프랑스어로 Azur는 푸른 빛깔이라는 뜻인데, 이것과 연관지어 대학 상징색이 파란색으로 지정되었다.[11] 일본에 아시아(亞細亞) 명칭을 사용하는 대학이 이미 있어 같은 의미인 亞洲를 대학명으로 사용했다고 한다.[12] 담화문에 아주대학과 아주공업초급대학 2개의 대학명이 있는 이유는 대학 설립 당시 문교부와 한 협의에서 2년제의 초급대학을 4년제로 바꾸는 조건으로 박창원 사장이 대학법인을 인수했기 때문이다. 유신학원은 대학 초기 초급대학으로 학생을 모집하며 후에 4년제 대학으로 전환이라는 광고를 신문에 기재하면서 학생을 모집했다.[13] 아주대에서 찍은 드라마 중 39.8%의 높은 시청률을 보인 가장 유명한 드라마. 1994년 병원 개원과 동시에 촬영됐다. 당시 의학드라마가 나오기 쉽지 않았던 상황이었고 병원이라는 소재가 신선하고 파격적이라서 안방극장을 점령하고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종합병원이 방영됐던 저 시기에 아주대의 인지도가 급상승하는 효과를 누렸다. 거기에 대우그룹의 버프까지... 종합병원 이후로 MBC에서 아류작들이 쏟아졌다. 지금도 현직 의사들이 뽑은 국내 최고의 메디컬드라마로서 의사들로부터 84.5% 지지를 받았다.[14] 극 중 장준혁이 근무하는 명인대병원이 아주대병원이다.[15] 팔달관 건물이 태평대학교 한의예과로 출연했다.[16] 주말 드라마인만큼 주기적으로 등장한다. 배우 이초희의 대학교 역할.[17] 한국사학진흥재단에 따르면 아주대학교의 재단은 오히려 책무성을 위해 학교 운영에 필요한 자금예산을 초과집행하고 있다.[18] 의외로 프랑스어도 임용고시 티오가 있기는 있다. 22년도에는 전국 합쳐서 6명을 뽑는다.[19]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는 국민안심병원, 중증응급진료센터로 지정되었고 전국 상급종합병원 중 상위 2%만 받을 수 있는 '(1-가) 최상급 병원 인증'을 받았다.[20] 교환학생이 많이 오는 이유가 외국인 학생들이 학교 고르기 귀찮아서 그냥 리스트 가장 위에 있는 Ajou University(아주대)를 고른다는 하더라는 것이 있지만 웃자고 하는 말이니 넘기자. 그럴듯하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