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9 08:57:17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파일:금오공과대학교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696969,#969696
학교 정보
상징 역사 학과 캠퍼스 시설
기타 정보
커뮤니티 교통 동아리 국제 교류 }}}}}}}}}}}}
<colbgcolor=#1e90ff><colcolor=#f5f5f2> 국립금오공과대학교
國立金烏工科大學校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건학이념 진리(眞理), 창조(創造), 정직(正直)
마스코트 테크모
교목 향나무
교화 매화
교색 KIT-BLUE
KIT-YELLOW
KIT-GRAY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분류 국립대학
개교일자 1980년 5월 22일
설립자 박정희 (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총장 제8대 곽호상[1]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대학로 61 (양호동)
경상북도 구미시 구미대로 350-27 (신평동)
교육기구 학부(과) 23개
일반대학원 1개
산업대학원 1개
컨설팅대학원 1개
교육대학원 1개
산학협력단 연구소 14개
산학협력시설(특별사업단) 30개
재학생수 학부: 4,977명 (2024년 기준)
대학원: 677명 (2024년 기준)
교수현황 232명 (2023년 기준)
경영위기대학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2024년)
웹 사이트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심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양호동캠퍼스
신평동캠퍼스
}}}}}}}}}}}} ||
1. 개요2. 역사3. 상징
3.1. 교표3.2. 마스코트3.3. 정문3.4. 조형물3.5. 교목3.6. 교화
4. 학부
4.1. 공학계열4.2. 인문사회계열4.3. 에디슨칼리지4.4. 학과(전공) 신설 역사
5. 대학원
5.1. 일반대학원5.2. 산업대학원5.3. 교육대학원5.4. 컨설팅대학원
6. 캠퍼스 시설7. 국제 교류8. 커뮤니티 및 SNS 페이지
8.1. 커뮤니티8.2. SNS 페이지8.3. 관련 앱
9. 동아리10. 교통
10.1. 구미시 시내버스10.2. 통학버스
10.2.1. 구미 통학버스10.2.2. 대구 통학버스
11. 출신인물
11.1. 역대 총장11.2. 학사 출신11.3. 대학원 출신
12. 이야깃거리13. 사건 사고14. 둘러보기

1. 개요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홍보 영상 (2024)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40주년 영상 (2020)
Together, Tomorrow
미래형 공학교육 선도대학
대한민국 유일 특성화 국립공과대학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R&BD 특화대학, 세계로의 kit

국립금오공과대학교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kit )

국립금오공과대학교(國立金烏工科大學校,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는 대한민국의 4년제 국립대학이자, 특성화 공과대학교이다.

2천400여 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는 국내 최대규모의 국가산업단지인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한 경상북도 구미시 양호동에 있으며,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첨단산업의 발달로 전문화된 고급기술인력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1979년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박정희의 고향인 경북 구미시에 공학계열 중심의 금오공과대학교가 설립인가 되었다. 1990년에 국립대학으로 개편되고 1993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2004년 12월 30일에 교사 이전을 완료하고, 2005년부터 현재의 구미시 양호동 최신 캠퍼스를 쓰고 있다.

국립금오공과대학교는 성과의 양적 축적과 질적 기여를 동시에 실현해온 특성화 국립 공과대학으로, 교내 수천억 원 규모의 첨단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학협력 중심의 실질적 연구 협력을 꾸준히 선도해 왔다.[2][3]

특히 'K-STAR 200' 프로젝트를 통한 200개 전공별 연구실-기업 간 1:1 매칭은 R&D 기반 협력의 확장을 이끌며, 지역 산업의 기술 자립과 고부가가치 신산업 육성을 위한 미래지향적 발전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경북 최초이자 국내 교육부 산하의 대학[4] 중 최고 수준의 고성능 슈퍼컴퓨터를 비롯해, 교육부 대학 최초로 NVIDIA 공동연구센터 설립, Intel·HPE와의 COE(Center of Excellence) 설립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한, 다수의 국내외 대기업, 정부 산하 연구기관, 중앙행정기관 및 대학들과 상호업무협약(MOU), 공동연구, 국책사업 수행 등을 통해 산학연 협력 분야에서 큰 장점이 있는 대학으로 손꼽힌다. 세계 대학 최초 5G+ 시험망 구축[5][6] 스마트 팩토리 분야 국내 최초 교육과정 개설[7], 메타버스 기반 선도교육[8][9], 대구·경북권 대학 최초 '지식재산(IP) 경영 우수기관' 선정[10][11] 등 교육·연구 혁신을 선도하며, 국가 전략기술 인재 양성과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본교인 양호동 캠퍼스와 산업통상자원부 산학융합지구(QWL 밸리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산학융합캠퍼스인 신평동 캠퍼스[12]로 나뉜다.

영문 이니셜은 kit[13]이며, 약칭으로 금공,금오공대,국립금오공대라고 부른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오공과대학교/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오공과대학교/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오공과대학교/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상징

3.1. 교표

교표 설명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심볼마크는 금오의 문자 구조적 특성인 ㄱ과 o을 합치시키면서 네모꼴은 물적 가치를, 동그라미꼴은 정신적 가치를 상징하고 있다. 또한 심볼마크의 모양이 우상쪽으로 시선을 모아줌으로써 미래지향적 과학정신을 표현하고, 교색인 금오청색은 하이테크, 신뢰, 젊음, 청정하고 순수한 금오인의 심성을 나타내고 있다.

3.2. 마스코트

마스코트 설명
파일:캐릭터기본형그리드.jpg 금오공대 캐릭터, 테크모는 금오공과대학교와 학생, 일반인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쉽고 친밀감있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3.3. 정문

정문
파일:img_symbol01.jpg
우리대학을 상징하는 금오인 황금까마귀를 image making 한것으로 금오공과대학교의 진취성 있는 미래상을 표현한다. 대각선 방향의 두 날개에 의한 역동성과 떠오르는 태양을 상징하는 원의 중심성에 의해 금오공대의 랜드마크를 표현하였다.

3.4. 조형물

조형물
파일:금오공대 조형물1.jpg
첨단산업분야에 이바지할 인재양성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금오인들의 과학적 지식함양과 과학의 궁극적 목적인 인간에게 이로운 과학 지식의 발견, 윤리의식과 더불어 세계화에 걸맞는 인재 양성을 지향하는 학교의 면모를 뜻한다.

3.5. 교목

교목
파일:img_symbol02.jpg
향나무
초대 이동호 학장이 옮겨심었으며 우리대학의 역사와 함께해 온 향나무의 향이 금오인 모두에게 퍼져 건강하고 맑은정신과 사고,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마음을 가지는 것을 뜻한다.

3.6. 교화

교화
파일:img_symbol03.jpg
매화
혹독한 추위를 이겨낸 봄의 전령사로, 고결함과 인고의 정신에서 비롯된 금오공대인들의 기상을 뜻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굴하지 않고 꿈을 펼쳐나가는 금오인의 모습을 뜻한다.

4. 학부

파일:2019-06-12 (3).png

설립 당시 종합대학이 아닌 이공계 대학[15]으로 설립된 만큼 학부가 모두 이공계열이었으나 2010년에 산업경영학과가 경영학과로 명칭을 바꿔 인문사회계열이 되었다.

4.1. 공학계열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5년 3월 기준
대학 <colbgcolor=#000><colcolor=#fff> EAC 가천대학교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국립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경국대학교 · 국립공주대학교 · 국립군산대학교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국립한밭대학교 · 국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목원대학교 · 부산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영남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인하대학교 · 전남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제주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동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홍익대학교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CAC 건양대학교 · 경북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숭실대학교 · 인제대학교 · 전북대학교 · 중앙대학교 · 한동대학교
ETAC <colbgcolor=#000><colcolor=#fff> 시드니 두원공과대학교 · 대림대학교 · 연성대학교 · 영남이공대학교 · 울산과학대학교
더블린 동의과학대학교 · 아주자동차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 · 조선이공대학교
}}}}}}}}} ||

파일: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산업체 수요에 의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실용적 인재양성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다양한 전문 산업인력 양성하는 계약학과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계융합공학과·산업융합공학과·산업경영공학과 3개 학과가 있다.

4.2. 인문사회계열

4.3. 에디슨칼리지

4.4. 학과(전공) 신설 역사

5. 대학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은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건학이념인 진리∙창조∙정직을 토대로 진리탐구와 창의적 학술연구를 통해 지역과 국가 발전에 기여할 고급인재 양성을 목표로 1987년에 설립되었다.

국내 최고 수준의 교수진과 교육 및 연구 환경을 구축하고 있으며, 교내외 다양한 장학재원[18]과 국가 및 산업체로부터 수주한 연구과제를 통해 대학원생들의 학업과 연구 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23년 기준으로 박사학위과정 20개 학과와 석사학위과정 19개 학과 그리고 학연산 협동과정, 석∙박사연계과정, 학∙석사연계과정 등 다양한 학위과정을 운영 중이며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외 특수대학원으로 산업대학원·교육대학원·컨설팅대학원이 있다.

5.1. 일반대학원


산업체 수요에 의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실용적 인재양성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다양한 전문 산업인력 양성하는 계약학과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디지털융합공학과가 있다.

전문분야의 연구역량 계발을 통해 미래 고도 산업사회의 중심이 되고자 하는 본교 재학생들과 전국의 대학생들에게 입학을 추천한다.

5.2. 산업대학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은 시대적 요구에 적극 부합하고자 국가첨단산업 발전을 리드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창조적인 전문기술인 양성을 위해 1986년 신설인가를 받아 개원하여, 현재 기계공학과, 전자및전기공학과, 데이터공학과, ICT융합시스템공학과, 컴퓨터IT공학과, 스마트융합공학과, 토목·환경및건축공학과, 산업공학과, 신소재공학과, 탄소철강공학과, 경영빅데이터MBA학과, 기술경영컨설팅학과, 민군IT융합공학과(계약학과)를 석사학위 과정으로 설치·운영하고 있다.

공과대학의 우수교수진의 특화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구미와 인근지역 산업기술인들에게 전문기술 심화교육 기회를 확대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구미 국가산업단지 및 지역 산업기술계에 종사하는 기술인들이 낮에는 산업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야간에는 마음껏 학습할 수 있도록 야간강좌로 운영되고 있다.

산업현장에서 융복합형 인재가 요구되고 있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즈음하여 인생의 재도약을 꿈꾸며 자기개발과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대학원교육을 희망하시는 현직자들에게 입학을 추천한다.

5.3. 교육대학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은 학술이론과 응용방법에 대한 실천방안을 연구, 교수하여 변화하는 교육현장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문 교육인을 육성한다.

현직교직원을 대상으로 AI융합교육, 수학교육, 영어교육, 국어교육, 사회교육, 교육컨설테이션을 개설하고 있으며 현직교사로서 부전공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5.4. 컨설팅대학원

국립금오공과대학교의 컨설팅대학원은 글로벌 컨설턴트 양성, 컨설팅 네트워크 구축, 경영과 기술융합 컨설팅 역할 강화라는 3대 방향을 지향하는 컨설팅 산업의 주인공을 육성한다. 단과 대학원으로, 컨설팅학과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우수한 교수진과 첨단 교육시설을 기반으로 융복합시대에 맞는 최신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기초지식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컨설팅 R&D센터가 있으며, 컨설팅 R&D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산학협력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국내 중소 컨설팅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되어 운영중이다.

6. 캠퍼스 시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오공과대학교/캠퍼스 시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오공과대학교/캠퍼스 시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오공과대학교/캠퍼스 시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2019-06-12.png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정문
파일:_DSC9586.jpg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본관
파일:금오공대 캠퍼스.jpg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캠퍼스 전경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전경 드론 촬영 (2021)

양호동 캠퍼스와 신평동 캠퍼스 (QWL 경북산학융합지구 제2캠퍼스)로 나눠져 있다.
교내 건물들이 하나하나가 매우 크다. 당장 강의동인 글로벌관, 테크노관, 디지털관도 나무위키에 올려진 사진 구도상 건물 크기가 가려져서 그렇지 엄청나게 크다. 특히 테크노관은 미로를 연상하게 할 정도로 복잡하며 크다.
25년 현재는 학교 맨 위에 공학융합실험실습관 (에디슨관) 건물이 하나 더 올려졌으며, 그 옆에 국제교육관과 산학협력관이 위치하고 있다.[19]
2020년12월8일, 금오공대가 유플러스와 함께 세계 대학 최초로 28GHz 대역 5G 서비스를 지원하는 '스마트 캠퍼스' 가 된다.

부속시설로 RISE 사업단·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단(RIS)·반도체전공트랙사업단·SW전문인재양성사업단·첨단소재 나노융합혁신융합대학사업단·LINC3.0사업단·공학종합실습센터·공동실험실습관·공학교육혁신센터·국제교류교육원·과학영재교육원·교수학습혁신센터·평생교육원 등이 있고, LINC사업단 산하 IMS센터·K-ICC센터·현장실습지원센터·창업교육센터·창업보육센터·공유협업센터가 있으며,
산학협력단 산하 슈퍼컴퓨팅센터·BK21스마트제조MERIT융합사업단·BK21에너지융합사업단·BK21국방항공융합사업단·강소특구육성사업단·산학융합사업단·스마트그린제조혁신사업단·융합시뮬레이션사업단·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외 23개 센터 및 사업시설이 있다.[20]

부설연구소[21]로 산학협력단 산하 생산기술연구소·지역산업경영연구소·건설기술연구소·신소재연구소·기초과학연구소·환경방재연구소·디지털TV연구소·지반보강기술연구소·선주문화연구소·모바일연구소·디스플레이연구소·첨단의료기기연구소·국방시스템공동연구소·반도체연구소 등이 있다.[22]

7. 국제 교류

2025년 2월 기준으로 금오공과대학교는 해외 36개국, 128개 대학과 교류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국가명교류 대학 수대학명
미국13플로리다대학교,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조지아공과대학교, 퍼듀대학교 등
중국12하얼빈공업대학교, 남경공업대학교, 청도과기대학교 등
일본7오사카대학교, 도호쿠대학교, 동경도시대학교 등
태국6타마사트대학교, 카셋사트대학교, 치앙마이대학교 등
베트남6하노이공과대학교, 다낭공과대학교, 베트남-독일대학교 등
인도네시아6반둥공과대학교, 세풀루노펨버공과대학교, 수라바야 PENS 등
필리핀5필리핀공과대학교, 라살대학교, 마푸아대학교 등
캄보디아6국립기술교육대학교, 캄보디아대학교, NPIC 등
몽골4몽골국립대학교, 몽골과학기술대학교, 몽게니캠퍼스 등
에티오피아4아디스아바바대학교, 아다마과기대학교 등
말레이시아4멀티미디어대학교, 말레이시아공과대학교, UTeM 등
우즈베키스탄4타쉬켄트공과대학교, 우르겐치주립대학교 등
프랑스3레오나르도 다빈치대학교, 트루아공과대학교, IPSA 등
영국3노섬브리아대학교,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교, 노팅엄 트렌트대학교 등
캐나다3빅토리아대학교, 센테니얼칼리지, 나이아가라칼리지
독일3클라우스탈공과대학교, 예나응용과학대학교, 하일브론대학교
호주3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 USQ, 시드니공과대학교
뉴질랜드2오클랜드공과대학교, 크라이스트처치공과대학교
인도2VIT, 페리야르대학교
파키스탄2GIKI, COMSATS공과대학교
라오스1라오스국립대학교
에콰도르3EPN, ESPE, UIDE
리투아니아1빌리우스공과대학교
헝가리1부다페스트기술경제대학교
슬로바키아1슬로바키아공과대학교
벨기에1아르테벨드대학교
네팔2포카라대학교, 라지다니대학교
멕시코1UPAEP
키르기즈공화국2나른주립대학교, 알라투국제대학교
튀르키예2TED대학교, 할릭대학교
가나1GIMPA
콜롬비아1콜롬비아공과대학교
네덜란드1아인트호벤공과대학교

총합: 해외 36개국 128개 대학

주요 교류 분야: 교수 및 학생 교환, 공동연구, 학술교류, 복수학위제, 단기연수, 비교과 진학 프로그램 등

8. 커뮤니티 및 SNS 페이지

8.1. 커뮤니티

8.2. SNS 페이지

8.3. 관련 앱

9. 동아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오공과대학교/동아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오공과대학교/동아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오공과대학교/동아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교통

10.1. 구미시 시내버스

☆ 구미시 시내버스 노선정리 / 금오공대↔구미역(구미종합터미널), 사곡역 (※ 양호동캠퍼스 기준, 2025. 07. 01. 최신화)
구미시 버스정보시스템 PC버전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하단 배너에 '버스정보 다운로드' 항목이 있다. 해당 항목에 있는 지역별 시간표 HWP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구미역↔금오공대 시내버스 시간표가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 PDF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해 폰에 저장해놓고 다니면 편하다.

1. 금오공대↔기차역 및 터미널 시내버스
1-1) 금오공대↔구미역(구미종합터미널) 버스
1-2) 금오공대↔사곡역 버스

2. 가장 빠른 노선은 무엇인가?
3. 버스를 탈 때 유의할 점은?

10.2. 통학버스

10.2.1. 구미 통학버스

10.2.2. 대구 통학버스

11. 출신인물

금오공대는 80년대 당시 육해공군 ROTC가 설치된 유일한 대학이었으며 현재는 현역 장성을 가장 많이 배출한 학군단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 해당 출신으로 가장 최고 계급은 육군은 박양동 중장, 해군은 박재갑 예)소장(안보지원사 참모장), 공군은 이동원 예)소장(전 방공유도탄사령관)이며 현재는 금오공고 RNTC와 금오공대 ROTC 연계제도가 금오공고의 공립화로 없어져 금오공대는 육군 ROTC만으로 편성되어 있다.

2025년 삼성전자 1분기 보고서 기준으로 금오공대는 임원 배출 대학 순위에서 26위이며, 최종학력이 금오공대인 임원은 총 3명이다.

11.1. 역대 총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금오공과대학 학장
초대
이동호
제2대
이동호
제3대
김신배
제4대
백현기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총장
초대
최용현
제2대
김재훈
제3대
김재훈
제4대
최 환
제5대
우형식
제6대
김영식
제6대
이상철
제8대
곽호상
}}}}}}}}}

11.2. 학사 출신

11.3. 대학원 출신

12. 이야깃거리

13.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오공과대학교/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오공과대학교/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금오공과대학교/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둘러보기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심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국립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사립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Ⅵ대학(구미캠퍼스)
원격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구미시학습관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립고등교육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명 대학 교육대학
<colbgcolor=#f5f5f5,#191919> 수도권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강원권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충청권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경상권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국립경국대학교 로고A.svg 국립경국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파일:창원대학교 심볼마크.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전라권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제주권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
분류 명칭
원격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문대학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각종학교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파일: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과학기술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사관학교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해군사관학교 ·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공군사관학교 ·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기타 파일:경찰대학 엠블럼.svg 경찰대학 ·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회원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 경기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강원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대전 · 충남 · 충북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부산 · 경남 · 경북 파일:국립경국대학교 로고A.svg 국립경국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마크.svg파일:창원대학교 심볼마크 흰색.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전남 · 전북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

전국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회원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권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강원권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충청권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경상권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국립경국대학교 로고A.svg 국립경국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마크.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전라 · 제주권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 ||

파일:교육부 흰색 MI.svg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반도체
수도권
<colbgcolor=#fff,#191919>
단독형
<colbgcolor=#fff,#191919>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성균관대학교 엠블럼.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중앙대학교 심볼.svg 중앙대학교
동반 성장형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 <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 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 >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비수도권
단독형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동반 성장형
<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이차전지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로고.svg 울산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
바이오
파일:순천향대학교 교표.svg 순천향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1px; margin-right: -11px; margin-top: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분야 대학명 담당
부처
<colbgcolor=#f5f5f5,#000> 미래형자동차 가천대학교, 경남대학교, 경성대학교, 경일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단국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원광대학교, 인천대학교, 전북대학교, 청주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호서대학교 교육부, 산업통상부
자원개발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수소산업 명지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온실가스감축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건국대학교, 동아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이차전지 가천대학교, 부산대학교, 인하대학교
시스템반도체 가천대학교, 강남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국민대학교, 단국대학교, 대구대학교, 동국대학교, 명지대학교, 부산대학교, 삼육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울산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중앙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호서대학교, 홍익대학교
바이오헬스 가천대학교, 국민대학교, 부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우석대학교
신기술융합디자인 성균관대학교, 인천대학교, 청주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홍익대학교
AI반도체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의료인공지능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아주대학교, 한림대학교 교육부, 보건복지부
디지털물산업 국민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충남대학교 대한민국 교육부, 환경부
그린리모델링 경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교육부,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경북대학교, 경희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안양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청주대학교
정보보안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지식재산 경북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군산대학교, 단국대학교, 대진대학교, 동국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삼육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주대학교, 안양대학교, 영남대학교,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라대학교, 한서대학교 교육부, 지식재산처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한국대학IR협의회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C98A7> 회원대학 <colbgcolor=#1C98A7> 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 ·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 · 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 ·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원대학교 UI.svg 서원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유원대학교 UI.svg 유원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 ·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로고.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 파일:호원대학교 UI.svg 호원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링크3.0 로고.svg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3.0 / 일반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25FA5> 회원 대학(일반대)
유형
구분 대학명
기술혁신선도형
(13개교)
<colbgcolor=#d3d3d3,#383b40><colcolor=#191919,#fff>
수도권 (3개교)
<colcolor=#373a3c,#ddd>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서울)
지방 (10개교)
수요맞춤성장형
(53개교)
수도권 (12개교)
충청권 (10개교)
호남제주권 (9개교)
대경강원권 (12개교)
동남권 (10개교)
협력기반구축형
(10개교)
수도권 (2개교)
숙명여대, 인천대
지방 (8개교)
''''
''
LINC 3.0 (2022~2027)
''
''
''
}}}}}}}}} ||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5년 3월 기준
대학 <colbgcolor=#000><colcolor=#fff> EAC 가천대학교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국립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경국대학교 · 국립공주대학교 · 국립군산대학교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국립한밭대학교 · 국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목원대학교 · 부산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영남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인하대학교 · 전남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제주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동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홍익대학교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CAC 건양대학교 · 경북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숭실대학교 · 인제대학교 · 전북대학교 · 중앙대학교 · 한동대학교
ETAC <colbgcolor=#000><colcolor=#fff> 시드니 두원공과대학교 · 대림대학교 · 연성대학교 · 영남이공대학교 · 울산과학대학교
더블린 동의과학대학교 · 아주자동차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 · 조선이공대학교
}}}}}}}}} ||

파일: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파일:열린대학교육협의회 심볼.svg
OCU 컨소시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0> 주관 대학
(10개교)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용인대학교 인제대학교
회원 대학
(73개교)
경상국립대학교 국립군산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국립목포대학교 국립목포해양대학교
국립순천대학교 국립경국대학교 국립창원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육군사관학교
인천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가야대학교 경남대학교 경동대학교 경성대학교 경희대학교
고신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극동대학교 김천대학교
나사렛대학교 남부대학교 단국대학교 대진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신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백석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장신대학교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서울장신대학교 서울한영대학교 서원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결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세명대학교 숭실대학교
신라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신대학교 안양대학교 영산대학교
울산대학교 유원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중앙대학교
중원대학교 창신대학교 청운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한신대학교
한서대학교 협성대학교 호서대학교 홍익대학교
운영 대학
(1개교)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33e7f,#bedef5><tablebgcolor=#333e7f,#bedef5>
파일:국공립대학도서관협의회 UI.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일반대학(32개교)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도서관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도서관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도서관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파일:국립경국대학교 로고A.svg 국립경국대학교 도서관
파일:창원대학교 심볼마크.svg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도서관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도서관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도서관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중앙도서관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도서관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도서관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도서관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도서관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도서관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도서관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한경국립대학교 도서관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도서관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도서관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도서관
교육대학(10개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도서관
기타대학(10개교)
파일:경찰대학 엠블럼.svg 경찰대학 도서관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공군사관학교 도서관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도서관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도서관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도서관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도서관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도서관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도서관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해군사관학교 도서관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35B38,#835b38> 파일:박정희 투명.svg박정희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35B38,#835b38> 일생 일생(진위 논란) · 평가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가족 틀:박정희 가문
역대 선거 제5대 대통령 선거 · 제6대 대통령 선거 · 제7대 대통령 선거 · 제8대 대통령 선거 · 제9대 대통령 선거
사건 사고 5.16 군사정변 · 황태성 사건 · 1.21 사태 · 3선 개헌 · 7.4 남북 공동 성명 · 10월 유신 · 저격 미수 사건 · 코리아게이트 · 10.26 사건
작사 / 작곡 새마을노래 · 나의 조국 · 금오산아 잘 있거라
관련 단체 박정희 정부 (평가) · 국가재건최고회의 (군사혁명위원회) · 민주공화당 · 통일주체국민회의 · 유신정우회 · 중앙정보부 · 경제기획원 · 정수장학회 · 육영재단 · 5.16 민족상재단
관련 시설 박정희로 · 박정희체육관 · 박정희대통령기념관 (박정희도서관) ·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 박정희 광장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금오공업고등학교 · 영남대학교
기타 여담 · 어록 · 별명 · 사상 · 박정희주의 · 박정희계 · 박정희 대통령 서독 공식 방문 · 고속도로의 노래 · 박대통령컵 · 박조건축 · 서울어린이대공원 · 독도 밀약 · 프레이저 보고서 · 김호남 · 이현란 · 박사모 · 내 일생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 자택
대중매체 제3공화국 · 제4공화국 · 영웅시대 · 야인시대 · 그때 그 사람들 · 뮤지컬 박정희 · 남산의 부장들 · 박정희: 경제대국을 꿈꾼 남자 · 그리고 목련이 필때면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박정희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박정희 정부 참고
}}}}}}}}} ||

[1] 본교 기계시스템공학과 교수 출신이다.[2] 관련 기사 LINC 3.0은 2022년부터 시행된 산학협력 중심의 국가 사업으로, 최근 대표적인 산학연계 모델 중 하나다. 국립금오공과대학교는 해당 사업에서 3년 연속 최우수 그룹에 선정되며 그 우수성을 입증했다. 그러나 금오공대는 이보다 훨씬 이전인 1980년대 설립 초기부터 구미 국가산업단지와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산학협력 분야에서 전국적으로 두드러진 경쟁력을 보여온 대학이다.[3] 관련 기사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은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한 '2024년 산학협력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기술협력 분야 최우수상(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전국의 대학, 연구기관, 교육기관 등이 참가한 가운데 금오공대는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의 ‘특수목적 메타버스와 사용자 중심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창업, 해외수출’ 사례로 선정되었다. 센터는 ㈜엔에스랩과 협력해 블록체인 기반 퓨어월렛(Pure Wallet)을 개발, 누적 수출액 300만 달러를 달성했으며, 2022년에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성과 50선’에 선정된 바 있다. 현재는 과기정통부·IITP의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그랜드ICT연구센터)’을 수행 중이며, 김동성 센터장은 “산학연관 협력을 강화하고 수요기반 연구성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4] 대한민국에 위치한 교육부의 관리·감독을 받는 모든 국립, 공립, 사립 대학을 의미. 즉, 특수법인 대학 또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은 제외[5] 관련 기사[6] 관련 기사[7] 관련 기사[8] 관련 기사[9] 관련 기사[10] 관련 기사[11] 관련 기사[12] 금오공대 개교 당시 본교 부지, 학부와 대학원 2개 학과 (광시스템공학과, 바이오메디컬공학과)와 학부와 대학원 계약학과가 있다.[13] 국가독성과학연구소 KIT, 경남정보대학교 KIT와 혼동하지 말자.[14]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심볼.svg[15] 이공계특성화대학이라는 명칭은 일반적으로 KAIST, POSTECH, GIST 등의 연구중심 대학을 의미한다. 이공계특성화대학 참고.[16] 자율전공학부 입학시 100% 희망전공 배정(기계공학부 스마트모빌리티전공, 광시스템공학과, 바이오메디컬공학과, IT융합학과 제외)[17] 외국인 전담학부[18] 대표적으로, 본교 학부 출신으로 대학원에 진학한 학생은 기준에 따라 대학원 등록금의 전액 또는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국내외 탑 저널 논문 게재 및 국제 학술대회(컨퍼런스) 참여에 필요한 경비 역시 전액 무상으로 지원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교내외 장학재원이 있으니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 할 것.[19] 건물 신축이 잦다보니 '정권 바뀔 때마다 하나씩 새로 올리는 거 아니냐'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이다.[20] 2025년 4월 기준[21] 이전 kit융합기술원 산하[22] 2025년 4월 기준[23] #[24] 5200번은 KTX와 SRT가 정차하는 김천(구미)역까지 오고 간다.[25] 산호대교에서 양호동 캠퍼스 방향으로 내려오면 정말 학교와 상가 및 원룸촌 말고는 다른 시설이 없다. 구미대학교에 비하면 훨씬 많이 오는 편. 경운대학교도 한때 버스가 적었지만 사곡역과 이어지는 960번이 생기면서 배차횟수가 늘었다.[26] 구 금오공대 부지[27] 산업단지에 지속적으로 이공계 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과대학으로 출발한 케이스다.[28] SK그룹 계열의 대기업으로,구미시에 공장 3개와 본사, 본점이 위치해 있다.[29] DNA 나선구조와 원자모형, 학교 마크를 적절하게 섞어놓은 실로 공대틱한 디자인이다.[30] 사립대는 물론, 전국 일반 국립대학 중 최처 등록금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