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0:17:56

고려대학교/학부/공과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려대학교/학부
파일:고려대학교 로고_웜그레이.svg
{{{#!wiki style=""
{{{#872434,#db788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캠퍼스
||<tablewidth=100%><width=33.33%><tablebgcolor=#fff,#1f2023> 인문·사회계캠퍼스 ||<width=33.33%> 자연계캠퍼스 ||<width=33.33%> 녹지캠퍼스 ||
학부 대학원 강의
총학생회 동아리 교우회
사건사고 (2010년대·2020년대)
시설 (안암학사·화정체육관) 주변 상권 교통 (셔틀버스)
입학 상징 출신 인물 기타 정보
세종캠퍼스
학부 대학원 강의 학사제도
총학생회 동아리 역사 사건사고
시설 주변 상권 교통 상징
운동부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fff,#1f2023> 야구부 ||<width=20%> 농구부 ||<width=20%> 럭비부 ||<width=20%> 빙구부 ||<width=20%> 축구부 ||
파일:고려대학교의료원 심볼.svg 의료원
||<tablewidth=100%><width=33.33%><tablebgcolor=#fff,#1f2023> 안암병원 ||<width=33.33%> 구로병원 ||<width=33.33%> 안산병원 ||

}}}}}}}}}}}}}}}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의 단과대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0학년도 기준
<rowcolor=#fff>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가천대학교 O - - 워싱턴 가톨릭대학교 O - - 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강원대학교 O - - 워싱턴
거제대학교 - - O 시드니 건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 O O - 워싱턴 경복대학교 - - O 더블린
경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상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경성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일대학교 O - - 워싱턴
경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계명대학교 O O - 워싱턴
고려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공주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광운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구미대학교 - - O 더블린
국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군산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금오공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죽전)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 O - - 서울/워싱턴 대구대학교 O - - 워싱턴
대덕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대진대학교 O - - 워싱턴
동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국대학교(WISE) O - - 워싱턴
동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서대학교 O - - 워싱턴
동서울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동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원대학교 - - O 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동의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마산대학교 - - O 더블린
명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목원대학교 O - - 워싱턴
목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부경대학교 O - - 워싱턴
부산대학교 O O - 워싱턴 백석대학교 - O - 서울
상명대학교(서울) - O - 서울 상명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상지대학교 O - - 워싱턴 서강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 - - O 더블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 O - - 워싱턴 서울시립대학교 O - - 워싱턴
선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세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숙명여자대학교 - O - 서울
순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순천향대학교 O - - 워싱턴
숭실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신라대학교 O - - 워싱턴
아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아주자동차대학교 - - O 더블린
국립안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연성대학교 - - O 시드니
연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영진전문대 - - O 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울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이화여자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천대학교 O - - 워싱턴
인하대학교 O - - 워싱턴 전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한라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 O O - 워싱턴 중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 O - - 워싱턴 청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경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공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항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국립한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성대학교 O - - 워싱턴
한신대학교 O - - 워싱턴 한양대학교 - O - 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 - O - 워싱턴 호남대학교 O - - 워싱턴
호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호원대학교 - O - 서울
홍익대학교(서울) O O - 서울/워싱턴 홍익대학교(세종) O - - 워싱턴 }}}}}}}}}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高麗大學校 工科大學
Korea University College of Engineering
파일: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상징.png
<colbgcolor=#872434,#191919> 상징색 <colbgcolor=#ffffff,#191919> 주황색
상징물 월계수(영광과 성취), 횃불(진리 탐구), 7개의 톱니(공과대학 7개 학부/과[1])의 조합
보조 상징물 공학(Engineering)의 이니셜 'E'를 패턴화
FM 강철공대
단과대 학번 17
연혁 1962년 화학공학과 설립
1963년 이공대학 공학부
1977년 공과대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clearfix]

1. 개요

파일:해안건축고대신공학관.jpg
고려대학교 신공학관

고려대학교공과대학.

교수들이 연구매니아이시다. 고대 공대 지망생이라면 장래희망은 연구원이라고 하자! 고려대 어느 교수님의 어느 연구분야를 연구하고 싶어서 지원했다고 말하면 수시면접의 모범답안이다. 연구비가 어떻고 연구실적이 어떻고 하는 등의 연구매니아들만 모아놓은 곳이다.

단일 단과대로 고려대에서 가장 인원이 많다. 입학정원 834명.

기존 공과대학 학과뿐만 아니라 편입학여석을 활용한 첨단학과 신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계약학과 신설, 정원 순증가를 통한 기존 학과 증원 등 정부와 기업의 지원을 크게 받는 단과대학이기도 하다.

2000년 들어서 과반제가 형성이 되었고, 다른 단과대처럼 각 과반마다 특수한 이름을 지어 부르고 있다.

2. 학부

2025년부터 기존 인원 중 65명을 단과대 단위 모집으로 선발한다. 선발된 학생들은 모수제외학과로 지정된 건축학과와 융합에너지공학과를 제외한 공과대 내 모든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단, 배정 인원 제한이 없는 학부대학이나 자유전공학부와 다르게 학과별 정원의 150% 이상 범위 내로 제한을 둘 수 있다.[2] 모수제외학과에 공과대학 내 대기업 계약학과인 반도체공학과와 차세대통신학과가 빠져있는데, 해당 학과들은 정원 외 인원으로 선발하는 학과들이며 실제로는 진입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만에 하나 실제로 진입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진다면 꽤나 파격적인 메리트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고려대의 2025학년도 입시요강이 발표되면서 구체적인 모습이 드러났는데, 우선 정원을 모두 정시에서 선발하는 학부대학과 달리 공과대학 단과대 단위 모집은 수시와 정시 두 곳 모두에서 학생을 선발한다. 수시의 경우 학업우수전형에서만 33명을 선발하며, 정시의 경우 다소 특이하게도 일반전형 선발 없이 교과우수전형으로만 32명을 선발한다.

2.1. 화공생명공학과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소개영상
선봉화공. 명품반→지야반(2010년 이후)
화공생명공학과 홈페이지
연혁
1962년 문리과대학 이학부 화학공학과 설립[3]
1963년 이공대학 공학부 화학공학과로 소속 변경
1977년 공과대학 화학공학과로 소속 변경
2002년 화공생명공학과로 개칭
이와 같이 2002년 이후로 학과명에 '생명공학'이라는 단어가 들어가게 되었으나 생명공학은 학부 커리큘럼에서 상당히 마이너하다. 생명 쪽으로 공부하고 싶으면 차라리 생명공학부나 생명과학부로 가는 걸 권장한다. 과의 이름과는 다르게 4년 내내 물리와 수학을 주구장창 공부하게 된다.

전통적으로 취업의 폭이 굉장히 넓은데 특히 정유사를 메인 전공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공과대학 내에서 가장 여학생 비율이 높으며 최근에는 그 비율이 더 높아지는 중이다.

학과의 행정실을 비롯한 연구시설 및 교육시설은 모두 새로 준공한 신공학관에 위치한다.

공과대학 내 학과 중 QS 세계대학 평가에서 가장 먼저 50위 안에 랭크 되었으며, 2018년 QS 세계대학평가 화학공학분야 평가에서는 세계 43위를 기록했다.

소위 말하는 취업 3대장 전화기 중 '화'를 담당하는 학과로 높은 취업률을 생각하고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의외로 학부를 졸업하고 바로 취업하는 경우는 적고, 졸업생의 절반 이상이 대학원에 진학한다.

2.2.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소개영상
호연건사. 호연반.
건축사회환경공학부 홈페이지
연혁
1963년 이공대학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신설
1977년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로 소속 변경
1991년 토목공학과를 토목환경공학과로 개편
2003년 건축공학과 내 건축학전공(5년제), 건축공학전공(4년제) 설치
2004년 토목환경공학과를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로 개편
2007년 건축공학과가 건축공학전공과 건축학전공으로 분리,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와 건축공학과의 건축공학전공을 건축·사회환경공학과로 통합
2009년 건축사회환경공학부로 모집단위 변경

원하는 적성에 따라 세부전공을 고를 수 있는 트랙제를 운영 중이라 졸업장에 세부트랙은 표기되지 않고 그냥 건축사회환경공학부로 표기된다. 전공분야로는 7개 핵심분야인 구조공학, 건축구조공학 &시공 및 재료공학, 지반공학, 수자원공학, 환경공학, 교통공학 및 GIS 분야, 기후 및 에너지공학이 있으며 재학생들은 전공배정 없이 트랙형식으로 자유롭게 원하는 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 학과제와 다른 점은 누구든 원하는 세부전공을 100% 선택할 수 있다.

선배와의만남, 체육대회, 건사환의날 등 선배 초청 행사가 많다. 1x학번의 가까운 선배부터, 7x, 8x학번 등 대선배님까지 친분을 쌓을 수 있다.

2024년 기준 학부 내 자치단체로는 학생회, 배드민턴, 축구, 밴드, 전공학회 등이 있다.

2.3. 건축학과

파일: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소개영상
호림건축. 호림반.
건축학과 홈페이지
연혁
1963년 이공대학 공학부 건축공학과 신설
1964년 이공대학 공학부 건축공학과 제 1회 신입생 입학
1977년 공과대학 건축공학과로 소속 변경
2003년 건축공학과 내 건축학전공(5년제), 건축공학전공(4년제) 설치
2007년 건축공학과가 건축공학전공과 건축학전공으로 분리,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와 건축공학과의 건축공학전공을 건축·사회환경공학과로 통합,
건축공학과를 건축학과로 개칭

5년제 건축학사 프로그램이 도입되어 있으며 “21세기 시대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건축문화 창달을 선도하는 유능한 건축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

분명히 공대 소속이지만 공대와는 다른 정신세계라서 이들과 같이 지내다 보면 뭔가 말리는 느낌이 든다. 공대 속의 미대, 공대 속의 인문대 같은 느낌의 학과다. 그도 그럴 것이 건축학은 기술공학적 지식과 함께 심미적, 인문학적 이해가 종합적으로 필요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학생들 중엔 웬만한 디자인 프로그램(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라이노, 캐드, 스케치업, 레빗, v-ray, 트윈모션, 엔스케이프 등)을 모두 다룰 줄 아는 학생들이 많다. 필수는 아니지만 학년이 찰 수록 피눈물 삼켜가며 익혀야 살아남는다고 한다.

그 어떠한 학과보다 작업량과 과제가 많기로 악명이 높다. 학기중에는 설계실에 24시간 상주하는 영혼 없는 망령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 누구보다 중간고사, 기말고사 준비 시기가 빠르고 종강은 가장 늦다. 사실상 매주 교수님에게 결과물을 가져가야 하는 크리틱 때문에 쉬는 주간은 없다고 보면 된다.

2.4. 기계공학부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소개영상
무적기계. 무적반.
기계공학부 홈페이지
연혁
1964년 이공대학 공학부 기계공학과 신설
1999년 1.5+2.5 학부제 학생 모집
2002년 1+3 학부제 학생 모집
2008년 신입생을 기계공학부로 모집

다른 공대 학과들과 마찬가지로 학부에서 학과를 지정하지 않고 트랙제 운영중이다. 자동차, 유체공학, 제어공학 등 개인이 원하는 진로에 따라 다양한 분야중 적성과 전망, 이수체계도와 선수과목을 고려하여 원하는 분야의 강의를 제약 없이 선택하여 이수하는 트랙제가 운영된다.

2.5. 신소재공학부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소개영상
정력재료 막강금속→재료금속 혁신소재(2020년 개정)
폭풍반, 강력반→정열반(2010년 이후)
신소재공학부 홈페이지
연혁
1966년 이공대학 공학부 금속공학과 신설
1968년 이공대학 공학부 요업공학과 신설
1968년 요업공학과가 재료공학과로 개칭
1996년 금속공학과와 재료공학과가 재료금속공학부로 통합
2002년 재료공학부로 개칭
2005년 신소재공학부로 개칭

2000년대 중반에는 화공생명공학과와 같이 신입생을 뽑았으나, 2009년 신입생부터는 다른 학부들과 같이 모두 분리되어 각 학과(부)에서 신입생을 뽑는다. 과반도 다시 재정비되어 기존의 '폭풍반'과 '강력반'은 현재의 '정열반'으로 통폐합되었다.

신소재공학부는 여러 학과가 합쳐진 학부제의 학과다. 하지만 학부생들을 명확하게 학과배정을 하는것은 아니며, 적성과 전망, 이수체계도와 선수과목을 고려하여 원하는 분야의 강의를 제약 없이 선택하여 이수하는 트랙제가 운영된다. 학과의 구분 없이 이수체계도와 선수과목을 참고하여 자유롭게 이수함에 따라 전공 내 세부 트랙 및 앞으로의 진로를 정할 수 있었다. 보통 크게는 금속을 좋아하는 학생과 세라믹을 하고 싶어하는 학생으로 나뉜다. 더 세분화하면 반도체, 금속, 고분자, 세라믹, 바이오 정도로 나눌 수 있다.

재료학도의 본질은 제품에 가장 적합한 재료를 찾는(발견 혹은 합성) 것으로, '경제성'의 문제와 직결되어있다.[4] 제조업 또한 원가를 절감하면서 좋은 품질을 지닌 제품을 만드는 것이 목표로, 재료공학도의 본질과 같다. 따라서 해당학부를 졸업한 학생들은 제조업 위주의 여러 대기업에 매우 광범위하게 포진하고 있다.

하지만 학부 졸업만으로는 내가 직접 재료를 만들거나 합성하는 역할을 부여받기 힘들다. 해당 일에 뜻이 있는 학생은 대학원에 진학하도록 하자. 신소재공학 전공이 메인이 되는 대기업은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의 제철사(社) 정도가 있다.

2.6. 전기전자공학부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전자공학부 소개영상
열혈전전. 열혈반.
전기전자공학부 홈페이지
연혁
1967년 이공대학 공학부 전기공학과 신설
1969년 이공대학 공학부 전자공학과 신설
1984년 공과대학 전파공학과 신설, 전자전산공학과를 전자공학과로 개칭
1996년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전파공학과가 전기전자전파공학과로 통합
2002년 전기전자전파공학부가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로 분리, 전파공학과는 정보통신대학 전파통신공학과로 분리
2005년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가 전기전자공학부로 통합
2006년 전기전자공학부를 전기전자전파공학과로 개칭
2014년 전기전자전파공학과를 전기전자공학부로 개칭

고려대학교 자연계 학부 가운데 가장 많은 학생 수를 자랑하며, 이에 따라 교수진 수도 가장 많다. 참고로 과거 FM이 반짝전기, 뿅뿅전자, 삐삐전파였는데 오래 전 전기, 전자, 전파공학과가 분리되어 있었던 시절의 이야기다.

1996년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전파공학과가 전기전자전파공학부로 통합되어 학부제로 운영되었지만[5] 2002년 전파공학과가 정보통신대학으로 이전하여 전기공학과 및 전자공학과로 변경되었다. 2005년 전파공학과가 다시 공과대학으로 복귀하여 전자전기공학부가 되었다가 2006년 3월에 다시 전기전자전파공학부로 변경되었고, 2014년 3월에 전기전자공학부로 개칭하였다.

2023년 교육부에서 전격적으로 첨단학과 신설 및 증원을 허가했는데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가 그 대상이 되어 56명이 증원되었다.# 여기에 편입 여석을 이용해 10명을 추가로 증원하면서, 2024학년도부터 전기전자공학부 정원은 기존 164명에서 66명이 증가한 230명이 되었다.

반도체 및 나노, 신호 및 멀티미디어, 제어, 로봇, 시스템, 전기에너지, 컴퓨터 공학, 통신 및 네트워크, 집적회로의 7개 하위분야가 있으며 재학생들은 4년 동안 관심 있는 분야의 전공과목을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다.

2.7. 산업경영공학부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경영공학부 소개영상
알럽최적. 최적반. 과거에는 최적산공.[6]
산업경영공학부 홈페이지
연혁
1968년 이공대학 공학부 공업경영학과 신설
1973년 산업공학과로 개칭
1999년 공과대학 단위로 신입생 선발, 시스템정보공학과로 개칭
2002년 산업시스템정보공학과로 개칭
2002년 정보경영공학부로 개칭
2011년 산업경영공학부로 개칭

1990년대에 산업공학과(현 산업경영공학부) 한민홍 교수 연구팀이 자율주행차를 선보인바 있다.[7] 1993년 세계최초 도심 자율주행 시연: 고대 출발 올림픽대로와 내부순환도로를 정속으로 자율주행한 후 고대 귀환. 1995년 경부고속도로 서울-부산 구간 정속 자율주행 시연.

2.8. 반도체공학과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반도체공학과 소개영상
혁신반공. 혁신반.

반도체공학과 홈페이지

2021학년도부터 SK 하이닉스와의 계약 체결로 신설된 학과로, 정원 30명에 정시 5명[8]으로 선발하며, 일반전형의 학업우수형과 계열적합형에서 각각 10명과 15명을 선발한다. 주요 학과 혜택으로는 졸업 후 SK 하이닉스 취업 보장, 인턴십 참여 기회 제공, 국내외 연수 지원, 강의 외 프로그램 지원, 대학원 연계 진학, 학업장려금 등 인센티브 제공이 있다. 합격 직후에는 반도체공학과 학장의 자필 편지와 SK 하이닉스 사장의 자필편지가 동시에 배달되며 합격을 축하하는 꽃다발과 와인까지 집으로 배달된다.

2.9. 융합에너지공학과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융합에너지공학과 소개영상
하늘에공. 하늘반.

융합에너지공학과 홈페이지

2021학년도 공과대학에 신설된 학과. NT-IT-BT 융합 기술의 활용에 초점을 둔 것으로 알려졌다. 신입생은 30명 정원으로 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2021학년도 입시 세부 사항은 대교협 최종 승인 절차를 거친 후 입시 요강 수정본을 통해 공지할 예정이라고 한다.

자세한 학과 소개는 인재발굴처 전공 소개를 참조할 것. 보도자료

2.10. 차세대통신학과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차세대통신학과 소개영상
정예통신. 정예반.

차세대통신학과 홈페이지

2023년부터 삼성전자계약 체결로 신설된 학과로, 매년 30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6세대(6G) 기술을 비롯한 차세대 미래 통신 기술을 다룬다고 한다. 학생들은 통신 분야의 이론과 실습이 연계된 실무 맞춤형 교육을 통해 창의적인 통신 인재로 성장하게 된다. 입학한 학생들에게는 졸업 후 삼성전자 입사가 보장된다. 재학 기간 동안 등록금 전액과 학비보조금이 산학장학금으로 지원된다. 또 삼성전자 인턴십 프로그램 참가, 해외 저명 학회 참관 등 다양한 체험 기회도 제공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9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9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고려대학교 단과대학의 상징이 처음 제작된 것은 개교 111주년인 2016년이었다. 이 때에는 반도체공학과, 융합에너지공학과, 차세대통신학부가 아직 설립되기 전이었으며, 공과대학 소속 학과 및 학부는 화공생명공학과, 신소재공학부,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건축학과, 기계공학부, 산업경영공학부, 전기전자공학부로 7개였다.[2] 공대 내 인기학과들의 정원이 대부분 65명의 150%인 98명을 초과하는 것을 고려하면 사실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무조건 학과별 정원의 150%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150% 이내로 제한을 둘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실제로는 인기 학과들이 150%보다 더 적은 TO만 진입을 허용할 가능성도 있다.[3] 공과대학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학부로, FM은 선봉화공이다.[4] 해당 학부를 졸업한 학생이면 모두 알겠지만, 재료공학도는 '구조/물성/공정 세가지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5] 이때 있었던 일이 그 유명한 도란스 내려.[6] 알콜러브를 줄여서 알럽이라는 소문이 있다.[7] 한민홍 교수 연구팀의 자율주행차 영상[8] 이것 때문에 정시러들의 원성이 만만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