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2:06:15

고려대학교/입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려대학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별 입시ㆍ입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입시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입학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입학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입학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입시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입학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입학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입학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입학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입시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입학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입시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입시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입학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입시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입학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입시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입학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입학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입학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입학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입학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입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입학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입학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입학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입학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입시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입학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입학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입학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입학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입학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입학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입시 }}}}}}}}}

파일:고려대학교 로고_웜그레이.svg
{{{#!wiki style=""
{{{#872434,#db788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캠퍼스
||<tablewidth=100%><width=33.33%><tablebgcolor=#fff,#1f2023> 인문·사회계캠퍼스 ||<width=33.33%> 자연계캠퍼스 ||<width=33.33%> 녹지캠퍼스 ||
학부 대학원 강의
총학생회 동아리 교우회
사건사고 (2010년대·2020년대)
시설 (안암학사·화정체육관) 주변 상권 교통 (셔틀버스)
입학 상징 출신 인물 기타 정보
세종캠퍼스
학부 대학원 강의 학사제도
총학생회 동아리 역사 사건사고
시설 주변 상권 교통 상징
운동부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fff,#1f2023> 야구부 ||<width=20%> 농구부 ||<width=20%> 럭비부 ||<width=20%> 빙구부 ||<width=20%> 축구부 ||
파일:고려대학교의료원 심볼.svg 의료원
||<tablewidth=100%><width=33.33%><tablebgcolor=#fff,#1f2023> 안암병원 ||<width=33.33%> 구로병원 ||<width=33.33%> 안산병원 ||

}}}}}}}}}}}}}}} ||
- 기재된 모집 정원 및 경쟁률은 공인된 자료가 아닌 참고용이며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공식 자료를 확인해야 합니다.
- 학과별 자세한 입시 정보는 고려대학교 입학관리본부(홈페이지)에 게시된 자료를 직접 참고해야 합니다.
- 아래 내용은 자료에 관한 보증이 되어 있지 않으니, 중요한 경우에는 공식 자료를 직접 찾아 활용해야 합니다.

고려대학교의 입시에 대해 안내하는 문서.

1. 신입학
1.1. 수시
1.1.1. 학생부교과전형
1.1.1.1. 학교추천
1.1.2. 학생부종합전형
1.1.2.1. 일반전형 - 학업우수1.1.2.2. 일반전형 - 계열적합1.1.2.3. 기회균등 - 고른기회1.1.2.4. 재직자
1.1.3. 특기자
1.2. 정시
2. 편입학
2.1. 서울캠퍼스2.2. 세종캠퍼스
3. 대학원 입학

1. 신입학

1.1. 수시

복수지원 가능 여부
학교추천 학업우수 계열적합 고른기회 재직자 특기자
2중 1택 O 2중 1택 O

1.1.1. 학생부교과전형

1.1.1.1. 학교추천
줄여서 학추. 각 고등학교에서 3학년 재적인원의 4%(올림)를 추천하여 교과성적 80%, 비교과 20%를 반영하여 선발한다. 과거에는 학교추천 1[1]/2[2]로 나누어져 있었다.

학생부교과전형을 시행하는 국내 대학 중에서 최고로 높은 최저학력기준인문계 3합 5등급 이내 +한국사 3등급 이내 / 자연계 3합 6등급[3] 이내 +한국사 4등급 이내 을 적용하고 있다.[4]

2023년 입시부터는 최저학력기준이 인문계 3합 6+한국사 3 이내/ 자연계 3합 7(미적분, 기하 필수)+한국사 4등급으로 작년보다 한 등급 완화되었다.

1.1.2. 학생부종합전형

1.1.2.1. 일반전형 - 학업우수
줄여서 학우. 서류 100%로 모집인원의 5배수를 1차 선발하며, 2단계에서 면접을 통해 최종 선발한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학생부종합전형에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것과 달리 최저학력기준이 존재하며,인문계와 자연계 모두 4합 8+한국사 4'''로 오히려 학교추천전형보다도 높다.
1.1.2.2. 일반전형 - 계열적합
줄여서 계적. 서류 100%로 모집인원의 5배수를 1차 선발하며, 2단계에서 면접을 통해 최종 선발한다. 면접의 난이도와 비율이 학업우수형보다 높다. 수능 최저는 없다.
1.1.2.3. 기회균등 - 고른기회
국가보훈대상자, 농어촌학생, 사회배려자, 특수교육대상자를 대상으로 선발한다. 서류 100%로 모집인원의 3배수를 1차 선발하며, 2단계에서 면접을 통해 최종 선발한다.
1.1.2.4. 재직자

직업교육훈련기관 중 직업교육훈련위탁기관으로 선정한 기관에서 1년 이상의 직업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고 해당 일반고등학교를 졸업한 자,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자,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중 특성화고등학교 등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평생교육시설에서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 중 하나로서 국내 소재 산업체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재직자가 지원할 수 있다.

1.1.3. 특기자

1.2. 정시

37.4%를 정시모집으로 선발한다. 2021학년도에는 20.1%에 불과했으나, 2022 대입 공정성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정시 선발 비중을 무려 17.3%p를 올렸다.

2. 편입학

외국인 전형 공통사항으로 공인영어시험 성적은 토플과 아이엘츠 성적만 반영하며, 토플 MyBest Scores는 인정되지 않으며 한국어 능력시험 성적은 토픽 성적 취득자 또는 고려대 한국어센터 정규 교육과정 수료자, 국내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인증대학 소속 한국어 교육기관 정규 교육과정 수료자, 세종어학당 한국어 중급 과정 수료자 또는 세종한국어평가(SKA) 중급 성적 소유자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하면 된다.

2.1. 서울캠퍼스

지원이 가능한 최소 이수학점은 4년제 학교 출신자 한정으로 67학점(사범대, 건축학과는 71학점, 의학과는 73학점) 이상이다.

대부분의 인서울 학교와 달리, 지거국처럼 공인영어시험 성적과 전공시험(이과계열 학과/학부), 논술시험(문과계열 학과/학부), 면접으로 선발한다.

공인영어시험 성적은 토익, 토플, 텝스, 토셀 어드벤스드 성적을 반영하며 2016학년도까지는 토플, 텝스 성적과 고려대 국제어학원 시행 영어능력평가고사(KUET) 성적중에 선택 제출이었으나 이후에는 토플과 텝스 성적만 반영하다가 2020학년도부터는 토셀 어드벤스드를 반영하기 시작했고, 2021학년도부터 공인영어시험 성적 제출은 선택사항으로 바뀌면서 토익 성적도 제출이 가능하게 됐다. 전형일로부터 역산해서 2년째 되는 해의 3월 1일 이후에 응시해서 취득한 성적을 요구하고, 해외 시험의 성적도 인정된다. 과거에 필수제출이었을때는 연세대처럼 점수에 상관없이 각 학과/학부별로 정해져있는 커트라인만 넘기면 지원 자격이 되었다. 서류평가가 진행되면서 평가하는 교수가 공인영어시험 성적의 원점수를 알게 된다. 실제로 면접에서 학생의 공인영어시험 성적이 커트라인을 넘겼어도 너무 낮다고 지적한 사례가 있다. 문과계열 학과/학부는 공인영어시험 성적을 고고익선으로 보는 듯하나, 이과계열 학과/학부는 적어도 공인영어시험 성적이 합불을 가릴 정도로 중요하지는 않다. 전공 시험과 면접을 잘 보는데 노력하면 된다. 물론 평가요소가 다양하므로, 낮은 공인영어시험 성적에도 불구하고 합격한 사례도 적지 않으니 굳이 공인영어시험 성적에 민감할 필요는 없다.

전공과 논술시험은 가정교육과는 사회논술과 화학, 생명과학중에서, 심리학부는 사회논술과 생명과학중에서 선택해서 응시하면 된다. 수학의 경우 시험 범위는 미적분학(일변수+다변수)만 해당된다. 각 학과/학부별 과목은 다음과 같다.

문과계열 학과/학부 : 학과/학부에 따라 일반논술 또는 사회논술을 본다. 신입학 입시논술 시험과 유형, 난이도, 요구역량 측면에서 매우 비슷하지만 정답이 있는 폐쇄형 논제이므로, 개방형 논제로 출제되던 2015~2017학년도 논술시험과는 많이 다르다. 틀이 확고히 잡혀있다기보다는 매년 문제수와 분량, 제한시간 등이 들쑥날쑥하다. 학과/학부별 과목은 다음과 같다. 경영대, 정경대, 국제대, 미디어학부, 생명과학대 식품자원경제학과, 보건과학대 보건정책관리학부, 심리학부, 사회학과, 사범대 지리교육과, 가정교육과는 사회논술, 사회학과를 제외한 문과대 나머지 학과/학부, 디자인조형학부, 사범대 나머지 학과는 일반논술이다.

이과계열 학과/학부 : 학과/학부에 따라 수학,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정보 등의 과목으로 시험을 본다. 1-2개의 킬러문제를 제외하면 그렇게 어렵지는 않으나, 그 때문에 단 하나만 틀려도 불합격 될 수 있다. 학과/학부별 과목은 다음과 같다. 생명과학대(식품자원경제학과 제외)는 생명과학, 화학, 화학과, 화공생명공학과는 수학, 화학, 지구환경과학과, 건축학과는 수학, 지구과학, 신소재공학부, 융합에너지공학과, 보건환경융합과학부는 물리, 화학, 기계공학부, 전기전자공학부, 물리학과, 바이오의공학부,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수학교육과는 수학, 물리, 수학과는 수학, 가정교육과, 의학과,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는 생명과학, 화학, 간호학과, 심리학부는 생명과학, 산업경영공학부, 정보대, 스마트보안학부는 수학, 정보이다.

면접의 경우 2024학년도까지는 일반편입은 간호학과, 의학과에 한해서만 면접을 봤지만, 2025학년도부터 나머지 학과/학부의 일반편입 면접평가가 부활했다.

2.2. 세종캠퍼스

지원이 가능한 최소 이수학점은 4년제 학교 출신자는 67학점(약학과는 73학점), 학은제 출신자는 80학점 이상이다.

여기는 대부분의 인서울 학교처럼 편입영어 시험을 보며, 40문제에 시간은 1시간을 준다. 편입영어 시험 점수 100%로 선발하며 약학과는 편입영어 시험 대신 공인영어시험 성적을 반영한다. 일반 학과/학부는 별다른 조건이 없지만, 약학과 한정으로 미생물학, 생화학, 유기화학, 분석화학을 포함해서 총 3개 과목에서 각각 3학점 이상 총 9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지원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문대 연계편입 전형도 있다.

면접평가는 약학과만 실시한다.

3. 대학원 입학

학사와는 다른 기준을 요구하며, 입학 난이도는 대입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수월한 편이나 그래도 쉽다고는 할 수 없다. 일반적인 석사 과정 및 박사 과정 외에 학석사 연계과정을 제공하며, 이는 자대생 학사과정과 석사과정을 연계하여 일정 기간 내에 석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면서도 빠른 학위 취득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학과/학부에 따라 편차가 클 수 있으나, 평균적으로 석사 및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자교 출신자의 비율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교과전형에 가까움[2] 종합전형에 가까움[3] 수학 영역은 미적분이나 기하를 필수적으로 선택해야 한다.[4] 의과대학은 4합 5+한국사 4며, 이는 다른 의과대학과 유사한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