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립 | ㅅ | <colbgcolor=#fff,#191919> |
ㅇ | |||
ㅎ | |||
공립 | ㅅ | ||
사립 | |||
ㄱ | |||
ㄷ | |||
ㅁ | |||
ㅂ | |||
ㅅ | |||
ㅇ | |||
ㅈ | |||
ㅊ | |||
ㅎ | |||
OO대학교(AA캠퍼스): 각 대학의 제2캠퍼스 · 이원화캠퍼스 |
이원화 캠퍼스 목록 / 분교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
<colcolor=#fff> 한국체육대학교 韓國體育大學校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
| |||
<colbgcolor=#0e664f> 교훈 | 진리, 봉사, 창조 | ||
상징 | <colbgcolor=#0e664f><colcolor=#fff> 상징물 | 천마상 | |
교색 | KNSU Ultramarine Green | ||
국가 |
| ||
분류 | 국립대학 | ||
지역 | 서울특별시 | ||
개교 | 1976년 12월 30일 ([age(1976-12-30)]주년) 한국체육대학 | ||
총장 | 제8대 문원재 | ||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1239 (오륜동) | ||
재학생 | 학부생 | 3,031명(2022년) | |
대학원생 | 294명(2022년) | ||
교직원 | 175명(2022년) | ||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2024년) | |||
웹사이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개요
대한민국의 체육 특성화 국립대학으로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1239 (오륜동)에 위치한다. 약칭은 '한체대', 혹은 '한국체대'.체육특기생은 입학 후 올림픽 등 국제 대회를 준비하는 훈련을 받고 학교 수업을 병행하며 상당수의 국제 대회 메달리스트가 한체대 출신이다.
수시와 정시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은 다른 대학 체육 전공과 비슷한 생활을 보낸다.
국립대학 중 유일한 체육 특성화 대학으로 인지도가 존재한다.
2. 역사
대한민국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던 1976년 설립된 대학이다. 이는 1976년 8월 19일,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금메달을 딴 레슬링의 양정모를 포함한 올림픽 대표 선수단의 예방을 받았을 때, 양정모와 레슬링 코치가 "앞으로 올림픽 금메달을 꾸준히 얻으려면 전문 체육인을 양성하는 체육대학이 꼭 필요하다"고 건의했고, 동년 12월 14일 4년제 정규 체육대학 설립 계획이 마련되었다.##1976년 12월 30일 국립학교 설치령(대통령령 제 8322호)에 의거, '한국체육대학'이란 이름으로 설립되었고 이듬해인 1977년 3월 19일 개교, 학교 설립된 지 80일 만에 첫 입학생을 받아들였다. 한국체육대학 개교 당시의 위치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172번지(現 서울과학기술대학교)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캠퍼스 내의 건물을 빌려 개교했다.[1] 당시 개설학과는 체육학과 하나로 입학자 120명이었다.
1978년 8월 공릉동의 신축교사로 이전했으며,[2]1982년 11월 대학원을 인가받아 체육학과 석사 과정이 개설했으며 1983년에는 경기지도과가 신설되었다. 1985년 8월 서울특별시 도봉구[3] 공릉동 223-19번지에서 강동구[4] 오륜동 현 위치로 이전되었으며 1988년 3월 사회체육과가 신설되었다. 1993년 3월 국립학교 설치령(대통령령 제13854호)의 개정[5]으로 한국체육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3. 역대 로고
2003년부터 2021년까지 사용된 로고이다. 즉, 현 로고는 원상복귀된 일명 '원복 로고'이다. 적색 로고를 지지하는 파와 초록색 로고를 지지하는 파 사이에 갈등도 있었다고 한다. 학내 언론에서 취재한 기사도 있다.
3.1. 역대 총장
3.1.1. 학장
- 초대 류근석(1977.08~1980.09)
- 2대 박철빈(1980.09~1984.09)
- 3대 박철빈(1984.09~1988.12)
- 4대 정동구(1988.12~1992.12)
- 5대 송석영(1992.12~1995.01)
3.1.2. 총장
- 초대 송석영(1995.01~1996.12)
- 2대 이상철(1996.12~2000.12)
- 3대 이정무(2000.12~2004.12)
- 4대 이승국(2004.12~2008.12)
- 5대 김종욱(2009.03~2013.03)
- 정영희 대행(2013.03~2015.02)
- 6대 김성조(2015.02~2019.02)
- 7대 안용규(2019.03~2023. 03.)
- 8대 문원재(2023.04~ )
4. 현황
2018년 기준으로 전임 교원 122명, 비정규 교원 171명, 직원은 124명이다. 학생 규모는 재적 기준으로 학부생이 3,200명 수준이며 대학원생은 780명 정도이다. 체력을 많이 쓰는 관계상 남초 학교이다.5. 교통편
5.1. 버스
- 서울체육중고등학교 정류장 : 서울 버스 3220, 서울 버스 3319
- 보성중고등학교, 올림픽공원역 정류장 : 하남 버스 30-5, 하남 버스 35, 서울 버스 3214, 서울 버스 3323, 서울 버스 3412, 서울 버스 3413
- 둔촌종합상가 정류장 : 서울 버스 3316, 하남 버스 1, 하남 버스 감북-01, 하남 버스 8
5.2. 지하철
6. 학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6.1. 스포츠과학대학
6.2. 생활체육대학
- 사회체육학과
- 스포츠청소년지도학과
- 특수체육교육과
- 스포츠산업학과
- 운동건강관리학과
- 노인체육복지학과
6.3. 스포츠문화예술대학
- 공연예술학과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실용무용)
- 태권도학과
6.4. 교양교직과정부
교양 강의를 담당하는 교원이 소속된 곳으로 소속된 학생은 없다.7. 대학원
- (일반)대학원
- 특수대학원
- 사회체육대학원
- 최고경영자과정
8. 출신 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체육대학교/출신 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체육대학교/출신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논란 및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체육대학교/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체육대학교/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여담
- 학식이 상당히 유명하다. 하지만 온라인상에 돌아다니는 학식의 경우는 체육학과 학생들에게만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학과의 경우에는 다른 학교의 학식과 별반 차이가 없다. 체육학과 학식이 훨씬 더 고급인 이유는 국가에서 식비 지원금이 나오기 때문이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한체대 출신 선수[8]들이 총 금메달 4개[9], 은메달 6개[10], 동메달 3개[11]로, 대한민국 전체 메달 17개 중 13개가 한체대에서 나왔는데 이를 두고 "한체대가 단일 국가로 출전했다면 일본보다도 앞서는 세계 11위의 성적"이라는 드립[12]이 꽤 흥했다.
- 1988 서울 올림픽을 유치하고 현 올림픽공원을 조성하면서 국가주도로 한국체육대학교를 비롯해 서울체육중-고등학교가 동일부지로 1985년 이전했다. 이후 서울체육중고등학교는 지방자치제로 서울시교육청의 공립운영체제이며, 한국체대만 국립으로 직접 국가가 운영하고 있다. 참고로 대학의 부지면적은 11만 제곱미터 정도로 학생 규모에 비해 좁은 편은 아니다.
- 1박2일 시청자투어 1탄 당시 여자유도부 학생들이 출연했는데, 1박2일 멤버들은 물론이고 김대주작가, 한민관, 유호진PD, 이훈석 매니저한테 딱밤을 때려 딱밤태후로 유명한 윤영주 학생이 한때 유명했다는 썰이 있다.
- 서울체육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프로스포츠 종목은 특기생을 받지 않는다.
- 대한민국 5부 축구 리그인 K5리그 서울 리그에 해당 대학 재학생으로 구성한 서울 한국체육대학교 태풍 FC이 참가하고 있다.
- 학교의 행정 처리가 상당히 답답하다. 일방적인 통보 및 불통은 기본이며 매년 학교 커뮤니티에서는 학생들이 열불을 내는 모습을 볼수 있다. 이 모습이 바뀔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 경기력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과거에는 금혼 학칙이 있었다. 구 학칙 제35조에서는 기혼자의 입학을 배제하고 제49조에서는 재학 중 결혼한 자를 제적한다는 규정이 있었으나 개인의 인권을 침해한다는 의견에 따라 현재는 모두 삭제되었다.
11. 둘러보기
[1] 그 건물이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륙관이다. 당시에는 해당 캠퍼스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소유하고 있었고, 관악캠퍼스로의 이전 절차가 진행되는 중이었기에 대륙관이 빈 건물이었다.[2] 현 태릉선수촌 부지다.[3] 현 노원구[4] 현 송파구[5] 단과대학에서 종합대학으로 승격했다.[6] 국무총리를 역임한 군인 출신 정치인과는 동명이인이다.[7] 노무현 정권기인 2004년 건립이 확정되어 2017년 9월에 개촌했다.[8] 신입생, 재학생, 졸업생 모두 포함[9] 나머지 1개는 최민정[10] 나머지 2개는 봅슬레이 남자 4인승 대표팀과 컬링 여자 대표팀[11] 나머지 1개는 김민석[12] 학교 측이 직접 말한 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