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22:58:56

광운대학교/학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광운대학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별 학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학부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감리교신학대학교/학부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학부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학부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학부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학부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학부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학부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학부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학부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학부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학부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학부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학부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학부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학부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학부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학부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학부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학부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학부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학부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학부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학부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학부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학부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학부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학부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학부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학부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학부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학부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학부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학부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학부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학부 }}}}}}}}}

파일:광운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8a160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사 상징
대학원 캠퍼스 및 시설 학부
학생회 동아리 학생자치기구
교내 언론 출신 인물 중앙도서관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기타 정보
||
사건 사고 교통 광운대역
}}}}}}}}}}}} ||

1. 개요2. 학부
2.1. 전자정보공과대학
2.1.1. 전자공학과2.1.2. 전자통신공학과2.1.3. 전자융합공학과2.1.4. 전자재료공학과2.1.5. 전기공학과
2.2. 인공지능융합대학
2.2.1. 소프트웨어학부2.2.2. 컴퓨터정보공학부2.2.3. 정보융합학부2.2.4. 로봇학부
2.3. 공과대학
2.3.1. 화학공학과2.3.2. 환경공학과2.3.3. 건축공학과2.3.4. 건축학과
2.4. 자연과학대학
2.4.1. 수학과2.4.2. 화학과2.4.3. 전자바이오물리학과2.4.4. 스포츠융합과학과2.4.5. 게임콘텐츠학과(야)
2.5. 경영대학
2.5.1. 경영학부2.5.2. 국제통상학부
2.6. 인문사회과학대학
2.6.1. 국어국문학과2.6.2. 영어산업학과2.6.3. 산업심리학2.6.4.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2.6.5. 동북아문화산업학부
2.7. 정책법학대학
2.7.1. 행정학과2.7.2. 법학부2.7.3. 국제학부2.7.4. 금융부동산법무학과
2.8. 인제니움학부대학2.9. 폐지된 단과대학
2.9.1. 동북아대학
3. 연계전공4. 심화전공

1. 개요

다음은 광운대학교의 학과에 대한 문서입니다.

광운대는 대부분 실용적이고 돈이 되는 전공들만 남아있다. 왜냐하면 취업률이 낮고 돈이 안 되는 학과들을 대부분 통폐합시켜버렸기 때문이다. 이미 대부분의 과는 통폐합이 진행되었다.[1]

2. 학부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의 단과대학
전자정보공과대학 인공지능융합대학 공과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영대학 인문사회과학대학 정책법학대학
인제니움학부대학은 교양교육, 동북아대학은 2016년도 부터 신입생 신규모집 없음.

2.1. 전자정보공과대학

College of Electronics & Information Engineering

광운대학교전자정보공과대학전자공학과한국 최초 설립 및 최대 규모의 단과 대학[2]으로서 전자정보통신분야의 현장중심 공학교육 시스템을 바탕으로 21세기 지식기반 사회를 주도해 갈 수 있는 실용적이고 창의적이며 국제경쟁력을 갖춘 전문·고급 기술인을 양성하고 있다. 이름이 비슷비슷해서 혼란스럽다. 당연히 ABEEK(공학교육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광운대학교의 전자공학과 및 전자정보공과대학은 대한민국 최초이며, 수험생과 재학생들 사이에서 '광운전자'•'광전'•'팡대전자'•'팡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전자정보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전자융합공학과 전자재료공학과 전기공학과

2.1.1. 전자공학과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파일:광운전자1.jpg
FM: 최강전자[3]
광운대학교 대표 학과에 다녀왔습니다 🔌💡| 팡가이드 EP.2-1 전자공학과 | KWBC
전자처럼 빠르게 취업하는 학과, 전자공학과 | 팡가이드 EP.2-2 전자공학과 | KWBC

대한민국 최초의 전자공학과이다.[4][5] 전자공학과는 2004년에 공학교육인증(ABEEK)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전공수업 교육을 강화하였으며, 삼성전자 정보통신트랙과 LG전자 고용계약형 교육프로그램 등을 채결하여 실무형 공학인재 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본 학과 교수진은 Brain Korea(BK21) 2단계 사업, 국가지정연구실, 정보통신대학연구센터(ITRC), 교육특성화사업, 교육과학기술부 우수연구센터(ERC) 사업 등의 대형 국책사업 뿐만 아니라 기업체 및 정부지원의 수많은 연구사업에 참여하여, 탁월하고 국제적인 연구실적으로 세계적인 연구역량을 구축하고 있다.

2.1.2. 전자통신공학과

Department of Electronics & Communications
FM: ○○전통

전자통신공학과는 전자통신기술을 연구하고 정보통신 기반 구축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전문 기술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한때는 전자정보통신공학부의 학과중 한 곳으로 전자공학과, 전파공학과와 같이 신입생을 모집하였고 2학년때 전공을 선택하게 하였다. 그러나 12학번을 마지막으로 더이상 전자정보통신공학부로 모집하지 않고 각각 따로 신입생을 모집하게 되었다.

전자공학과와 전자융합공학과와의 차이점은 통신과 관련된 과목이 조금 더 많고 전자정보공과대의 타 학과에 비해 프로그래밍을 많이 하는 편이다.

2학년때 까지는 공학수학, 물리전자, 전자기학, 디지털공학, 회로이론 등을 배우며 전자공학의 기초적인 학문을 배우고 3학년때 부터 확률및불규칙신호론, 자료구조, 컴퓨터구조, 디지털통신, 데이타통신, 컴퓨터네트워크 와 같은 통신관련 과목들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한다.

전자통신공학과라 그런지 교수들도 대부분 컴퓨터 시스템, 차세대 인터넷, 컴퓨터 네트웍, 유무선 통신 시스템, 음성 및 영상 신호처리, 광통신 시스템, 집적회로 설계 등의 분야에 대해 연구를 한다.

2.1.3. 전자융합공학과

Department of Electronic Convergence Engineering
FM: ○○전융
그래서 뭘 융합하는 건데?📡 | K-신입생 전자융합공학과 | KWBC

전자융합공학과는 전자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무능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응용능력을 겸비한 전문 인력의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한다. 전자정보통신 기술 뿐 아니라, 방송통신, 국방, 에너지 환경, 바이오, 자동차 등 다양한 융복합 기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설계능력, 현장 실무능력, 현재의 기술수준과 미래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한 지식과 팀워크, 의사전달 능력 등 다면적 능력을 양성하는 방향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전자정보공과대의 타 학과에 비해 늦게 신설된 학과이다. 91년 정부가 전파 관련분야 고급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전국 6개의 대학에만 전파공학과를 신설했는데 이 전파공학과가 전자융합공학과의 전신이다. 허나 후에 취업분야의 다양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09년에 전파공학과에서 전자융합공학과로 학과를 개편하였다. -여담으로 원래 학과 이름을 융합통신공학과를 하려고 했는데 전자통신공학과 교수님들의 반대로 무산되고 전자융합공학과가 되었다카더라-학과를 전자융합공학과로 개편하면서 전공필수 였던 초고주파공학과 같은 전파 관련 전공이 전공선택으로 바뀌게 되었고 전자융합시스템실험, 의료전자공학, 자동차전자와 같은 과목들이 개설되었다.

전파공학과였던 흔적은 교수들의 연구분야와 대학원에서 볼 수 있다. 광운대 대학원은 전자융합공학과 석박사로 개설되어 있지 않고 전파공학과 석박사로 개설되어 있다. 교수들도 대부분 전파와 관련된, 안테나, 레이다, RFIC, RF설계와 같은 연구를 하시거나 IoT, 바이오 일렉트로닉, 자동차전자와 같은 연구를 하고 있다.

2.1.4. 전자재료공학과

Department of Electronic Materials Engineering
FM: ○○재료

전자재료공학과는 반도체를 포함하여 전기 전자분야와 관련된 전자재료 및 응용 소자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하는 학과이다.

교과과정은 전자기학, 물리전자, 회로이론 등 기초과목과 반도체소자공학, 반도체공정, 전자회로 등 전공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리콘 반도체와 화합물 반도체 및 이들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및 공정, 유전체, 집적회로설계 및 실험 등을 연구하고 있다.

2학년 때까지는 회로이론, 전자기학 등과 같은 전자공학 분야의 기초과목을 배우고 3학년때 부터 반도체소자공학, 고체물리, 진공공학, 광학, 열역학, 디스플레이공학과 같은 반도체, 전자재료 공학 분야의 과목을 배운다. 고체물리, 반도체소자공학, 반도체공정, 박막재료공학, 에너지소자공학과 같이 전자정보공과대의 타 학과보다 반도체 관련 과목이 많은 편이다.

학과 이름 때문에 오해가 많은데, 신소재 등에 관하여 학습하는 일반적인 재료공학과와는 달리 반도체 및 배터리 교과에 대한 비중이 높은 편이다. 특히 반도체 공정, 장비 분야로 진출하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ASML,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램 리서치 등 회사/업계에 진출한 졸업생이 많다.

2.1.5. 전기공학과

Department of Electric Engineering
FM: ○○전기

2.2. 인공지능융합대학

College of Ai and Convergence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인공지능융합대학
소프트웨어학부 컴퓨터정보공학부 정보융합학부 로봇학부

광운대학교의 소프트웨어융합대학으로 2017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SW중심대학 사업에 선정되어 100억원 규모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소프트웨어분야로서는 2017년부터 국내 최대 규모의 대학으로, 전통 있는 기존의 두 소프트웨어관련 학과를 전문성 있는 두 학부로 개편하고, 전도유망한 융합소프트웨어 분야로 국내 최대 규모인 정보융합학부를 신설하였다. 최고의 시스템과 역량으로, 현대 산업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소프트웨어융합 전문인을 양성하고 있다. 기존 (구)중앙도서관 건물을 '새빛관'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인테리어를 변경하여 주 건물로 사용한다.

2024년부로 대학 명칭이 소프트웨어융합대학에서 인공지능융합대학으로 변경되고, 로봇학부가 편입되었다.

2.2.1. 소프트웨어학부

School of Computer Science
FM: ○○소프트
AI한테 연애상담🫶 VS 금융상담💸 | 소프트웨어학부 | 학과탐팡 | 광운대학교 | KWBC

전자정보공과대학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의 후속된 신설 학부.

71년 전자계산학과로 개설된 학과로, 98년에 '컴퓨터과학과'로 개명했다. 2000년에 전자·정보·통신학부 컴퓨터과학전공으로 전환 뒤에, 2001년부터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로 전환되었다. 2008년에 컴퓨터공학군에서 컴퓨터공학과/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로 나뉘어 있었으나 2011년부터 학군/학부가 없어지고 학과제로 바뀌면서 분리되었다.

세부전공으로는 소프트웨어전공, 인공지능전공이 있다.

2.2.2. 컴퓨터정보공학부

School of Computer and Information Engineering
FM: ○○컴공
전자정보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의 후속된 신설 학부 63년 응용전자공학과에서 출발한 학과로,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과 SoC/네트워크/임베디드시스템(HW)/SW-HW co-design 등 컴퓨터공학(Computer Engineering)을 가르친다.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CSE)전공이라 보면되는데 소프트웨어학부가 Computer Science명칭을 사용하기에
Computer and Information Engineering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2.2.3. 정보융합학부

School of Information Convergence
FM: ○○정융

2017년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의 신설에 맞춰 신설된 학부로, 비주얼테크놀로지전공과 데이터사이언스전공으로 나뉜다.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의 타과들과 달리, 문이과 교차지원으로 학생을 선발한다는 특징이 있다.

2021년부터 1~3학년 때 배우는 AI 관련 전공 과목들이 생겼다.

2.2.4. 로봇학부

Division of Robotics
FM: ○○로봇
로봇강아지🐶🤖를 다루는 강형욱의 등장? | K-신입생 로봇학부 | KWBC

세부 전공은 아래와 같이 나뉜다.

(정보제어전공/지능시스템전공)
(Information Control, Intelligence System)

기계공학과 전자공학 그리고 컴퓨터과학(AI시스템)의 커리큘럼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6]

2024학년도부터는 전자정보융합대학에서 소프트웨어융합대학으로 이전되었다. 이전되면서 AI로봇전공, 정보제어ㆍ지능시스템전공으로 전공이 분리되었다.

2.3. 공과대학

College of Engineering

현장 적응성을 고려한 실용적인 교육과 창의력 강화교육으로 기초이론과 응용능력을 갖춘 전문인재, 개개인의 전문역량은 물론 국제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ABEEK(공학교육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환경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학과

2.3.1. 화학공학과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FM: ○○화공

2.3.2. 환경공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FM: ○○환경

2.3.3. 건축공학과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FM: ○○건공

2.3.4. 건축학과

파일: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Department of Architecture
FM: ○○건축
건축학과🏠가 5년제인 이유는? | K-신입생, 건축학과 | KWBC

2.4. 자연과학대학

College of Natural Sciences

‘신지식을 갖춘 자주자립인의 양성’, ‘실용성, 창의성, 현장성을 중시하는 교육’ 이라는 교육목표 아래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학문적 지식과 이의 응용 방법을 전문적으로 교육하고 연구함으로써 국가와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인적 전문인을 양성하고 있다.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화학과 전자바이오물리학과 스포츠융합과학과 정보컨텐츠학과(야)

2.4.1. 수학과

Department of Mathematics
FM: ○○수학

2.4.2. 화학과

Department of Chemistry
FM: 무적화학
화학과에 과CC가 많은 이유 | K-신입생 화학과 | KWBC

물질의 생성과 변화를 취급하는 화학은 인류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형성-발전하여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많은 공업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최근 세계는 경쟁적으로 기술혁신을 추구하여 왔으나, 신기술에 대한 이론적 및 학문적 규명 없이는 그 발전이 불가능함을 알게 되었으며, 이에 기초학문의 중요성을 새삼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고도산업사회의 산업기술개발 원동력으로서 화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증대되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화학과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산업사회의 주역으로 일할 창의적이고 논리적 사고를 가진 화학도를 양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광운대학교 화학과는 1988년 첫 신입생을 맞이한 이후, 교수와 학생이 혼연일체가 되어 부단히 노력한 결과 현재는 구내 여타 명문대학의 화학과와 비교하여도 전혀 손색이 없는 화학과로 발전하였다. 본 화학과는 여덟 분의 교수님과 150 여명의 학부 학생, 20여명의 대학원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실 있는 강의와 활발한 연구활동을 통해 대학 본연의 역할을 다하고자 끊임없이 정진하고 있다.
본 학과는 4년 교육 과정동안 수학, 물리 등 폭 넓은 기초과학의 지식을 바탕으로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 등 전문분야의 집중적 강론을 통하여 물질의 구조연구, 반응, 합성, 분석 등에 필요한 화학의 기본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NMR, FT-IR, HPLC, UV-Visble spectrometer, Infrared spectrometer, Atomic Absorption / Flame Emission Spectrophotometer, Elemental Analyzer, Gas chromatography 등의 현대적 실험장비를 같추어 배운 지식을 실체화 하도록 하였다. 또한, 교수와 학생간의 인격적 교류를 중요시하여 지식의 전수를 넘어서 보다 바람직한 대학생활의 지침이 되고 나아가 대학이 전인교육의 장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학부교과과정

파일:광운화학커리.jpg

- 물리화학 및 실험
화학물질의 물성 및 각종 측정법의 이론을 배우는 과학으로서, 열역학, 화학평형, 동력학, 전기화학, 양자현상 등의 기초를 배운다. 또한 화학 전반에 사용되는 각종 수학적 기초를 익히고 물리현상의 화학적 적용에 대하여 배운다. 실험에서는 수업의 내용을 확인하며, 화학적 측정법에 대한 실질적 경험을 쌓는다.

- 무기화학 및 실험
무기화학은 현대화학 공업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화학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과목이다. 각종 비금속 및 금속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합성법에 대하여 배우며, 실험을 통하여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확인한다.

- 유기화학 및 실험
유기화합물의 반응 및 구조결정, 분광학적 특성, 입체화학, 탄화수소, 탄수화물, 펩타이드, 헤테로싸이클화합물 등의 성질, 구조, 합성법 등을 다루고 여기에서 배운 현상 및 반응들을 실험을 통해 합성 분석하여 확인한다.

- 분석화학 및 실험
화학 물질의 여러 가지 물성을 측정하여 물질의 존재와 양을 분별하는 방법을 배운다. 여러 화학 분야 중 가장 실용적인 분야이며, 사회적 요구도 많은 분양이다. 따라서, 직접 시료를 분석하여 정확한 측정치를 읽는 기교와 그 결과를 해석하는 엄밀함이 요구된다. 실험에서는 이와 같은 엄밀한 측정의 기술들을 익힌다.

- 고분자 화학
각종 고분자 물질의 물성 및 합성법에 대하여 다루고, 기능성 고분자 물질들에 대한 기초를 배운다.

- 기기분석
분석화학에 이어서 각종 측정 장비에 대한 구조, 작동원리, 실제 분석적 응용 등에 대하여 배운다. OP-AMP를 이용한 기초적 전자회로, 광학기기의 구성 및 분광기로의 응용등에 대하여 익히고, 실습을 통하여 각종 기기의 조작법 및 취급법에 대하여 배운다.

- 생화학
단백질, 효소 등과 같은 생화학 물질들의 구조, 기능에 대하여 배우고, 각종 생체 대사작용에 대한 기초를 배운다. 또한 생체합성 및 응용에 대하여 배운다.

- 양자화학
양자역학의 기본개념 원자 분자에 대한 Schrödinger 방정식의 해법과 근사법 그리고 첨단 양자화학 프로그램들을 소개한다.

2.4.3. 전자바이오물리학과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Biological Physics
FM: ○○전바물
전자바이오물리학과는 물리학을 기본으로 하면서 바이오학의 지식을 첨단 전자 산업기술과 바이오 산업기술에 응용 및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전자바오물리학과 공식 홈페이지에서 발췌.
더욱 자세한 내용은 광운대학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공식 홈페이지에 방문하면 알 수 있다.

2015년부터 물리학과와 생명과학과가 합쳐져서 만들어졌다.주로 물리와 전자에 대한 내용을 배우면서 물리와 생물을 연결하여 플라즈마 의과학에 관한 내용도 배운다.

전자바이오물리학과는 물리학을 기본으로 하면서 바이오학의 지식을 첨단 전자 산업기술과 바이오 산업기술에 응용 및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교육내용은 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생물학과 같은 기초이론을 토대로 반도체, 플라즈마, 마이크로파 공학,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바이오 기술 등과 같은 응용물리학 및 바이오 분야를 포함합니다. 전자학, 전산물리 그리고 첨단기술과 관련한 고급주제에 대한 실험교육을 특별히 강화하고 있으며 대학원생들은 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LCD, OLED, PDP 등), 태양전지, 플라즈마 물리 및 바이오 플라즈마, 그리고 이온 접속빔을 이용한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역학
벡터의 해석, Newton의 운동법칙, 에너지와 일, Potential 이론 등 기초적인 물리 개념을 습득한다.

고전역학
Newton의 운동법칙으로부터, 질점 및 질점계의 역학, Vector 해석, 중력이론, 강체의 운동, Lagrange 방정식, Hamilton 방정식 등을 심도있게 강의하여 물리학의 이해 및 대학원 진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전자기학1,2
전자기학은 전자기현상에 대한 기본법칙과 이들의 물리학에서의 활용을 배우는 과목이다. 강의내용은 진공과 물질내에서의 전기장, 정전기 문제의 해법, 유전체, 전류와 전기회로, 전류의 자기적 작용과 자기장, 정자기 문제의 해법, 자성체 등이다. Faraday의 전자기유도법칙, 자기유도와 상호유도, Maxwell 방정식, 전자기장에서 전하의 운동, 초전도성, 전자기파 이론, 전자기파의 반사, 굴절, 간섭, 회절, 분산 및 복사 방출 등을 주로 공부한다.

양자역학1,2
Schrödinger 파동방정식에서의 파동함수의 물질적 의미와 해를 찾는다. 일차원 포텐셜에 대한 Schrödinger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강의한다. 수소원자 문제의 해를 구하고, 각운동량, 스핀, 섭동이론을 이용한 Zeeman 효과 및 Stark 효과, 전자기파와 물질의 상호작용 등을 논의한다.

전자학1,2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등 기초적인 회로소자 및 기초 전자회로를 이해하고, 아날로그 회로 이론 정립에 주력하여 이후 전공과목 수강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반도체의 원리와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아날로그 응용 회로의 이해에 주력하여 전공과목 수강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현대물리학1,2
양자 이론에 중점을 두고 원자, 분자의 전자 구조에 대한 응용까지 다루고, 현대 기술 문명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20세기 새로운 물리적 시각을 소개한다. 현대물리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전공과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숙달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하여 상대성이론, 파동학, 양자역학, 고체물리학 및 통계물리학 등에 관한 기본개념을 주로 다룬다.

물리수학1,2
역학, 광학, 전자기학 등의 물리학은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하고 설명한다. 이러한 수학적 해석을 위한 기초지식으로, 학부 과정의 물리학을 공부하는데 필요한 수준의 미분방정식, 벡터, 복소수 변수, 선형대수 등을 배운다.

전자학실험1,2
저항, 커패시터,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등 회로소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직접 여러 종류의 아날로그 회로에 적용하는 실험을 수행한다. B급 푸쉬-풀 증폭기, 차동 증폭기, OP-증폭기, RC 및 하틀리 발진기 등이 실제 회로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실험을 통하여 학습하고, 그 응용분야를 공부한다.

마이크로파물리학
전자기파를 주제로 한 전자기학의 3학기 과정에 해당된다. 전자기파를 토대로 마이크로파의 성질 및 발생 과정, 구속, 전송을 위한 제어 수단 등을 소개한다. 마이크로파의 도파관, 공명기 등의 기본원리 및 마이크로파의 진동수 및 출력 측정에 관한 기본원리를 다루고, 또한 공학적인 조작을 위한 기초개념을 공부한다.

물리전자학1,2
Silicon과 같은 Ⅳ족 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의 전기적, 광학적 성질과 반도체 소자에 대한 응용을 물리적 기초 개념을 통해 이해하고자 함이 본 교과과정의 주된 목적이다. 결정의 구조와 성장 방법 등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양자 역학적 기초 개념에 대한 설명이 주어진다. 이를 기초로 에너지 띠와 반도체 내부에서의 전하 운반자 즉 전자와 정공에 대한 공부를 할 것이며, drift 와 diffusion 에 대한 소개도 교과에 포함된다.

디지털회로설계
이진수, 16진수 등과 같은 수 체계로부터 시작하여 논리게이트, 진리표, 부울대수를 배워 논리회로를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덧셈 회로, Flip-flop 회로의 기초 및 응용을 강의하며, 카운터(Counter) 및 레지스터(Register)의 기초 이론 및 회로 응용 등을 강의한다.

정보디스플레이개론
LCD, PDP, OLED 등 정보 디스플레이 소자/장치의 원리와 특성을 고찰하여 정보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전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디지털회로실험
디지털회로설계 과목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직접 디지털 회로를 구성하고 동작 결과를 확인하며 이해의 폭을 넓인다. VHDL 등을 이용한 회로 설계 방법의 기초를 배운다.

광전자실험
전자소자, 광소자, 광전자소자의 여러 특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교과목이다.

열물리학
열역학의 기본 개념, 기체의 상태 방정식, 열역학 1, 2, 3 법칙, 열과 일, 엔트로피, 열역학적 포텐셜, 위상변이, 저온물리 및 열역학의 응용 등을 다룬다.

통계물리학
다체계(many body system)의 물리적 특성을 통계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이해하고 설명한다. 기체분자 운동론, 분자간 인력, 운반 현상, 전자기체, 분포함수 등을 다룬다.

고체물리학
결정구조, 회절, 결정결합, Phonon과 격자진동과 열적 성질, 전자기체와 금속, 에너지 띠, 초전도, 유전체, 자성체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고체 물질을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교과목이다.

반도체물리학
반도체 물질의 결정구조, 에너지 띠, 전자-홀의 이동, 불순물 도핑(doping) 등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이를 토대로 반도체 소자의 원리 및 특성을 이해하는 내용의 교과목이다.

광학
광학현상을 고전 파동론과 양자론적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교과목이다. 강의 내용은 파동의 중첩, 간섭과 회절, 빛의 전자기적 특성, 산란, 분산, 편광, 현대 파동광학이다. 또한 레이저와 Hologram를 만드는 방법과 그에 관한 연구도 언급된다.

플라즈마물리학
제 4의 물질상태인 플라스마의 기초적인 특성과 진단법 등을 공부하고, 반도체공정, 디스플레이, 핵융합 등 플라스마의 응용 방향에 대하여 배운다.

디스플레이반도체공정
PDP,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장치와 DRAM, Flash 등의 반도체 소자/장치를 형성하는 공정 방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응용물리학통론
응용물리학 통론에서는 기 개설된 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플라즈마 물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LCD BLU(Liquid-Crystal Display Back Light Unit) 또는 반도체 박막 및 표면 물성에 대한 연구 또는 유기 발광소자 및 유기 전자소자 등 여러 응용물리학 분야 중 한 분야의 지식을 공부한다.

특수주제과정1,2
급변하는 최첨단의 기술추세에 맞춰 최근의 물리학적, 공학적 이슈들을 주제로 다룬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황에 따라 매년 바뀔 수 있다.

반도체소자실험
물리전자학, 반도체공정, 고체물리학에서 배운 반도체 소자의 기본 이론을 실험을 통해서 이해한다.

디스플레이소자실험
정보디스플레이개론과 디스플레이공정 과목 등에서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LCD, PDP, OLED 등 실험적으로 접근함으로 전문지식 및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교과목이다.

2.4.4. 스포츠융합과학과

생활체육학과 → 스포츠융합과학과
Department of Sports of all →
Department of Convergence sports science
FM: ○○체육 → ○○스융
스포츠융합과학과는 3대 몇 치나요?🏋️ | 팡가이드 EP.1 스포츠융합과학과 | KWBC

학과명이 생활체육학과였지만, 2020년부터는 스포츠융합과학과로 변경된다. 이름만 바뀌었고, 커리큘럼은 여전히 같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여자 골프 1위를 차지한 박인비가 졸업한 학과이다. 박인비 선수는 꾸준하게 광운대 스융(생체)과 후배들을 금전적으로 아주 많이 지원해주고 있다.

2.4.5. 게임콘텐츠학과(야)

Department of Game Contents (evening program)
FM:

2.5. 경영대학

College of Business

경영대학은 21세기 국제화 및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고 치열한 경쟁시대에서 앞서 나갈 수 있는 전문경영인을 양성한다.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국제통상학부

2.5.1. 경영학부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파일:광운경영1.jpg
FM: ○○경영
너 졸업하고 창업🤵🏻‍♀할 거야? | K-신입생 경영학부 | KWBC

국내 대학 중 6번째로 한국경영학인증제도(KABEA)를 취득했다. 이 학부를 졸업하면, 경영학사학위를 수여받는다.

2.5.2. 국제통상학부

Division of International Trade
파일:광운통상1.jpg
FM: 자주통상

동북아대학 동북아통상학부의 후속된 신설 학부.
세부 전공은 아래와 같이 나뉘었다.

(한일통상전공/한중통상전공)
(Korea-Japan Trade Major, Korea-China Trade Major)

그러나 2019학년도 입학자부터 국제통상학부 국제통상전공으로 통합되었다.

무역학/물류학, 경제학/경영학, 정치학/국제관계학, 외국학에 대해서 배운다.

졸업할 때의 학사 학위 명은 무역학사(International trade)이다.[7]

2.6. 인문사회과학대학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인문사회과학 대학은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정보화 시대로의 변화에 걸맞은 새로운 미래 및 사회를 창조해내는 인재 그리고 사회 현상을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영어산업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산업심리학과 동북아문화산업학부

2.6.1. 국어국문학과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FM: 주체국문(主體國文)
국문과는 맞춤법 배우나요? | K-신입생 국어국문학과 | KWBC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의 후속된 신설 학과.

2.6.2. 영어산업학과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FM: ○○영산
광운대학교에만 존재하는 학과? 영문학과 실무의 융합🌿 | 팡가이드 Ep.3-1 영어산업학과 편 | KWBC
영산 전공 수업 꿀팁 다 알려드림✌️ | 팡가이드 Ep.3-2 영어산업학과 편 | KWBC
영어산업학과는 강의 시간에 영화를 봐요?!(positive)😎 | 팡가이드 Ep.3-3 영어산업학과 편 | KWBC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의 후속된 신설 학과이고, 2019년도 부터 영어영문학과에서 영어산업학과로 변경됐다.

2.6.3. 산업심리학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FM: ○○산심
광운대 부수기 4회 - 산업심리학과 편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국내 산업심리학 분야에서 최고권위를 자랑한다. 산업심리학은 산업학(경영학)과 심리학을 접목시켰으며 산업체나 조직 내에서 인사심리(인사업무)등의 수행을 연구 및 수학하는 학과이다. 특히, 인사심리학은 산업체나 조직에서 인사담당자로써 직원을 선발, 교육, 배치, 평가 및 관리, 구조조정, 조직개편, 직무배당, 직무개편 등의 경영방식을 심리학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방법론을 통넓게 연구 및 수학하는 학문이다.

산업심리학은 당연히 통계학을 기조로 하며 거의 모든 수업에서 통계, 그래프,공식, 산술 등이 이용되는 이과적 성향이 매우 강한학문 중 하나이다. 이 외에도 범죄심리학 등 여러 분야의 심리학을 수학한다.

미국에서는 산업심리학의 입지가 매우 좋다. 수험생이나 기업의 선호도도 높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미국만큼 각광받지는 못하는 사정이다. 하지만 갈수록 블라인드 채용 등이 늘어나는 추세에 인적성시험등 전문적인 산업심리학 전공자들이 요구되기에 직원 선발과 교육 및 배치를 담당하는 산업 및 조직심리학 전공자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앞으로 산업심리학이 국내 산업분야 내에서 역할과 비중이 커져갈 양상이다.

2.6.4.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School of Communications
FM: ○○미컴
슬레이트🎬 하이- 큐!🎥 | K-신입생,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KWBC

2019학년도부터 미디어영상학부에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로 변경됐다. 세부 전공은 아래와 같이 나뉜다.

(언론정보전공/디지털미디어전공/기업커뮤니케이션전공)
(Media and Information, Digital Media, Strategic Communication)

2.6.5. 동북아문화산업학부

Division of Northeast Asia Cultural Industries
파일:광운문산2.jpg
FM: ○○문산

학과명이 어려우나 커리큘럼상으로 문화콘텐츠학과이며, 졸업 학위도 문화산업 학사 학위[8]이다. 광운대학교에서 유일하게 예술 전공과 관계된 학과이다.

동북아대학 동북아문화산업학부의 후속된 신설 학부. 세부 전공은 아래와 같이 나뉜다.

(문화교류전공/문화콘텐츠개발전공)
(Cultural Exchange,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문화교류전공은 전통적 매체(영화•방송•출판•공연예술 등), 문화콘텐츠개발전공은 디지털 매체(게임•애니•캐릭터•모바일•인터넷 등)에 각각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동북아문화산업학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발췌.
이 학과의 커리큘럼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서 설명하자면, 문화콘텐츠학 커리큘럼이 3/4 정도이며 중국•일본의 언어문화학 커리큘럼이 1/4 정도이다고 말할 수 있다. 동북아문화산업학부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려면, 동북아문화산업학부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하자.

처음 학과명을 들은 사람은 '어...'하면서 몇 초간 벙찌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학과다.

실제로 학과에 입학한 고학번을 포함한 학생들도 '동북아문화산업학부가 뭐하는 곳이에요?'라고 물어보면 그 자리에서 대답하길 어려워한다.

전공과목들이 비전공자에게 설명하기 다소 추상적인 면도 있고, 특히 학년이 낮을수록 외국어 학습에 편중되어 있는 커리큘럼상 문화산업을 본격적으로 체감하는 것은 빨라야 2학년, 대체로 3학년때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문화산업은 또 크게 두 가지 갈래로 나뉘는데, '원형'을 위주로 학습하는 루트와 '실무체험' 위주로 학습하는 루트로 나뉜다.

'원형'은 그 문화가 형성된 언어적, 역사적 맥락을 당대의 작품과 함께 학습하는 과목이 주로 편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문화원형을 알기 위해 일본의 에도시대와 그 작품들을 학습하는 식이다.

'실무체험'은 실제로 문화산업기획서를 작성하는 몇몇 과목과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로 무언가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학습하는 몇몇 과목을 통째로 일컫는다. 'aaaa문화산업'으로 끝나는 과목은 대체로 기획서를 작성하며, 'bbbb연습'으로 끝나는 컴퓨터 과목은 포토샵과 일러스트레이터를 필연적으로 거쳐간다.

정리하자면, 동북아문화산업학부에서는 '영어' + '일본어/중국어' + '원형(이론위주)' + '실무체험(기획서 및 그래픽 프로그램 사용법 위주)' 과목으로 학습한다.

여담으로, 학과 전공 특성상 글쓰기와 팀플, 개인 및 전체 발표가 상당히 많다. 몇몇 과목은 한 학기 내내 레포트에 시달릴 수 있으니 주의.

만약 누군가가 "뭐하는 학과에요"라고 물어보았을 때 "영어와 일본어 능력을 기반으로 타문화권에 대한 폭넓은 학습을 하며 문화산업에의 적용방법론에 대해 배운다." 라고 대답하면, 문화산업에 연관성이 있는 직무의 사람과 대화한다면 무난하게 설명할 수 있다. 그것마저 어렵다면, "중국일본언어문화학과 문화콘텐츠학을 한 번에 배울 수 있는 학과"라고 설명해도 좋다.

학부 자체가 보기부터 애매한 이유는 조무성 비리재단 퇴출 이후 들어온 관선이사 시절 기획된 학부기 때문.

첫 학생을 받은 2000년도 후반기 시절 문화산업이라는 개념이 마치 요즘의 4차산업 처럼 유행했다. 당시 시절에 이 학부처럼 문화산업과 관련해 생겨난 학부, 과들이 많다.

학부 개편으로 동북아대학이 신설되고 과거에 있었던 국제통상 → 동북아 통상학부(일명 동통) 일본학과 → 동북아 국제협력(일명 국협), 그리고 중국학과 → 동북아 문화산업(동문산) 이렇게 3개 학부가 바뀌어 개편됐다.

08(1기), 09년도 신입생들은 국통, 중국, 일본어과 학생들을 선배로 학교를 다녔으며 해당 과에서 개편이 된 만큼 교수진들도 해당 과에서 넘어온 교수들이 많다. 결국 개편 전 학부의 성격을 개편된 학부가 많이 계승한 셈. 이는 교수진이나 학생들에게나 독이 된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동문산 한정)

어쨌든 문화산업 + 일본or중국어 + 영어를 포함해 동북아 문화산업학부라는 멋진 학부가 탄생했다.

동문산을 졸업한 학생들은 대체로 좋은 취업 성적(문과 계열 기준 광운대 취업률 1위)을 냈는데, 학부에서 배운 것들이 외국어 점수나 자격증을 제외하면 취업에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걸 2,3학년 쯤 깨닫기 시작하고 일찌감치 취업 전선에 뛰어든 결과라는 평. 학부에서 학생들의 졸업 기준 외국어 점수를 초반부터 높게 설정한 것도 도움이 됐다. 영어는 기본이고 일본어나 중국어를 선택해 상당히 높은 수준의 점수를 따야 졸업할 수 있었다.

2015~6년 즈음 해서 학생들의 졸업 기준에 대한 불만이 커지자 졸업 점수 기준을 완화했다. 하나를 집중하거나 두 개 언어의 커트라인을 낮추는 식으로.

동북아라는 이름은 중국어나 일본어 수업을 듣는 것 + 관련 문화 수업을 제외하면 의미가 이미 퇴색된 상태였다. 학생들도 학부 수업은 학점을 따기위한 것 이상으로 다가가지 않은지도 오래. 복수전공이나 타 과로 전과를 한 학생도 상당하다.

그렇게 생각하면 학부 체계가 다시금 개편되면서 동북아대학은 폐지되고 동문산은 인문과학계열로 편입되는 과정에서도 왜 동북아라는 이름은 버리지 못했는지 의문. 아마도 중국, 일본 관련 교수들의 자리 문제 였는 듯.

일본, 중국 관련 정교수들의 연차가 상당히 오래됐고, 이들의 학부 내 입김이 상당히 센 편이다. 문화산업으로 학부가 개편되면서 새로 들어온 교수들이 이들의 입김을 당해내는데 어려워했고, 중년 이상 교수들과 새로 온 교수들의 갈등이 학생들에게도 느껴질 만큼 커지기도 했다. 인문대학으로 편입된 후에 개선됐는지는 모름.

2.7. 정책법학대학

College of Law and Public Policy

국제사회를 리드하는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고, 법적 판단능력, 행정능력, 글로벌 역량을 모두 겸비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한다.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정책법학대학
행정학과 법학부 국제학부 자산관리학과(야)

2.7.1. 행정학과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FM: ○○행정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의 후속된 신설 학과.

2.7.2. 법학부

Division of Law
FM: ○○법학
사회 있는 곳에 법이 있다👩‍⚖ | K-신입생 법학부 | KWBC

세부 전공은 아래와 같이 나뉜다.

(일반법학전공/국제법무전공/과학기술법무전공)
(General Law, International Law, Science and Technology Law)

2.7.3. 국제학부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FM: ○○국제

2008년 동북아대학 국제협력학부로 출발한 광운대학교 국제학부는 급변하는 국내외 환경에 적합한 교육체제를 모색하려는 노력 끝에 2016년 정책법학대학 국제학부로 개편되었다.

세계화 시대가 요구하는 글로벌 인재, 특히 21세기를 선도할 전문성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춘 동북아지역전문가를 양성하고 국제관계학, 정치외교학, 역사학,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경영학 등을 망라하는 학제간 융합교육을 통해 통합적 안목을 가진 인재를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제기구, 공공기관과 NGO, 언론사, 국내외 기업체 등에서 협력적 리더십을 발휘할 인재를 양성한다. 우리는 국제관계학, 정치외교학, 역사학,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경영학 등 여러 학문분과의 이론과 방법론을 결합시킨 학제적 융합교육을 통해 글로벌 시대가 요구하는 국제관계 전문가와 동아시아 지역전문가를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중, 한일 국제 학술 교류제를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분쿄가쿠인대학, 신슈대학, 중국에서는 대련외국어대학, 대련민족대학과 자매결연을 맺어 학술 세미나를 방문 진행 중이다.

국제학부의 특성상 재학생들의 진로 희망과 졸업생들의 취업 결과를 보면 가능한 진출분야는 매우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기구, 공공기관, 민간단체, 국내외 기업, 언론기관, 금융기관, 청년창업, 그리고 대학원 진학 등, 각자의 희망과 적성, 여건에 따라 진로가 달라지기도 한다.

그렇기에 실제로 ​재학생들의 진로 희망과 졸업생들의 취업 결과를 보면 가능한 진출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국제기구, 공공기관, 민간단체, 국내외 기업, 언론기관, 금융기관, 청년창업, 그리고 대학원 진학 등, 각자의 희망과 적성, 여건에 따라 진로가 타 학과에 비해 자유롭게 정해지는 편.

광운대학교 문이과 통틀어서 취업률이 높은 편에 속하는 학부이다.
2016년 취업률은 73.2%로 광운대학교 학과별 1위를 차지했고, 2017년 취업률 71%로 광운대학교 문과계열 1위, 2018년 취업률은 68.2%로 광운대학교 문과계열 2위를 차지했다.

세부 전공은 아래와 같이 나뉜다.
(국제지역전공/글로벌코리아전공)
(International Area Studies, Global Korea)
다만, 글로벌코리아전공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국제지역전공을 학습하게 된다.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동아시아역사1 (East Asian History 1: Overview)
제2차 세계대전 종결 이전 20세기 전반의 한반도,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정치, 경제, 사회 분야 주요 사건에 대해 그 원인과 경과를 검토한다. 그를 통해 1945년 이후의 동북아 국제정세를 빚어낸 역사적 배경을 파악한다.

*동북아국제관계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의 동학을 구조적 시각에서 이해하도록 하는데 강의의 목적을 둔다. 미국, 중국, 일본, 그리고 러시아의 동북아정책을 학습하고, 동북아 국제관계의 현실 속에서 한국이 지향해야 할 대외정책 방향을 고민해 보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제화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혜를 함양하도록 한다.

*국제정치의이해 (Understanding International Politics)
글로벌화 시대의 국제정치의 주요 현안문제의 이해를 통해, 국제사회 및 국제정치를 분석하는 시야를 가지게 한다. 또한 국제정치의 작동원리, 주요 행위자, 국가 간 상호의존, 국제사회의 협력과 갈등 등을 통해 국제사회 속에서의 한국을 이해하게 한다.

*동아시아역사2 (East Asian History 2: Comprehensive Review)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종결 이후 1990년대 전반 냉전 붕괴까지 시기의 한반도,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정치, 경제, 사회 분야 주요 사건에 대해 그 원인과 경과를 검토한다. 그를 통해 동북아에 산재해 있는 주요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동 지역 국제정세에 관한 이해도를 높인다.

*전공진로탐색 (Exploration of Career Development in IR Major)
국제학부 학생들이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기관, 기업 등에 대해 스스로 조사하고 사회진출을 위해서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 파악하여 향후 대학생활의 방향을 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국제경제의이해 (International Economy)
이 과목은 세계경제의 흐름과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이론과 개념을 살펴보고, 실제 일어나고 있는 국제경제 이슈에 대한 분석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국제무역의 기본원리와 무역정책, 지역경제통합, 경제협력기구, 다국적기업, 국제금융환경 등에 관한 내용을 많은 사례와 함께 폭넓게 다루며,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의 세계경제에 대한 역할과 한국경제와의 관련성 등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외교정책론 (Theory & Practice of Foreign Policy Making)
외교정책 결정과정, 외교정책의 집행 등 외교정책의 일반이론을 학습한 후, 주요 국가의 외교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현대 국제관계를 이해하도록 한다.

*중국경제개론 (Introduction to Chinese Economy)
이 과목은 중국경제의 발전과정을 비롯하여 주요 현안 이슈와 문제점, 그리고 향후 발전전망 등을 다룬다. 중국이 짧은 시간 내에 급속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원인과 중국식 시장경제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 및 산업구조, 한국과의 경제관계도 함께 살펴본다.

*현대일본지역과사회 (Region and Society in Contemporary Japan)
본 강의에서는 일본의 지역과 사회구조의 특징을 파악하고 일본 사회에 지속되는 주요 문제를 동시대적 시각으로 검토함으로써, 현대 일본사회의 양상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동북아전쟁과평화 (War and Peace in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에 현실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역사문제 및 영토문제 등의 현황을 파악하고, 당해 지역의 국가들이 평화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고찰한다.

*한국정치론 (Korean Politics)
한국정치문화, 개화기 이후 한국정치사, 한국전쟁, 민주화운동, 민주화 이후의 한국정치 등을 위주로 강의를 진행하여,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정치적 위상을 이해하도록 하고 한국이 직면한 정치적 현실과 해결방안을 탐색해 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국제협상 (International Negotiation)
국제협상의 개념과 특징, 주요 협상이론, 협상구조와 협상자 딜레마, 국가간 문화적 차이와 의사소통, 성공적인 협상전략과 협상전술 등에 대해 학습하고, 협상시뮬레이션을 통한 협상실전연습으로 현대사회의 필수적인 생존기술인 협상을 이해한다.

*현대중국사회론 (The Structures and Changes of Chinese Society)
중국사회의 기본 구조가 전통시대로부터 사회주의시기를 거치면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고, 개혁시기에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사회구조적 변화들의 내용과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중국정치외교론 (Chinese Politics and Foreign Policy)
중국의 정치사, 주요 정치지도자, 정치제도, 정치 민주화 전망 및 중미관계, 중일관계 등을 논의하고 중국의 국력 증강이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전망해 봄으로써 중국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국제학특강(Contemporary Topics in International Studies)
국가들 간의 정치, 경제, 군사, 외교, 사회문화 등 국제관계와 관련된 제반사항을 논의한다.

*일본경제개론 (Introduction to Japanese Economy)
이 과목은 일본경제를 형성해 온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과정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대 일본경제의 구조와 특성을 파악한다.

*일본산업경제론 (Economic Theory of Japanese Industry)
이 과목은 경제이론 및 정부정책을 통해 일본산업의 구조 변화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과목에서는 일본산업과 관련하여 주로 기업의 투자 변화, 가계의 소비 변화, 정부 정책의 변화를 연계하여 공부한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역할 변화와 일본 기업의 특징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한일관계론 (Korean-Japanese Relations)
한·일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외교안보 및 경제 이슈들을 논의함으로써 한일관계 전문가로서의 시각을 갖추도록 한다.

*통일북한특강 (Preparation for the Age of Unification)
동북아의 중요한 행위자인 북한 문제를 국제체제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 북한이 심각한 국제고립과 경제난 속에서 김정은의 집권 기반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인지를 분석한다. 특히 북한과 미·일·중·러 사이의 관계 및 남북한관계 주요 쟁점 사안 및 북한 핵문제에 대한 논의를 통해 북한을 국제관계 맥락 속에서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동아시아환경과에너지정책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y in East Asia)
20세기 이후 국제정치의 주요 의제인 에너지와 환경문제를 둘러싼 국가 간의 갈등과 협력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및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디지털혁명과중국사회 (Digital Revolution and Chinese Society)
이 과목은 컴퓨터와 인터넷, 그리고 모바일 기술을 비롯한 첨단과학기술의 발달이 중국 사회에 미친 광범위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첨단과학기술 분야를 선도하는 대표적인 중국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디지털 혁명이 중국 산업의 지형과 기업 경영의 변화를 추동하는 방식과 그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일본시민운동론 (Studies on Civil Movement in Japan)
본 강의에서는 일본 시민운동의 역사, 지역적 특징, 국제연대 상황 등을 파악함으로써, 시민운동의 보편성에 대해 고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동북아도시와지역 (Urbanism and Locality in Northeast Asia)
동북아 주요 도시와 지역의 사회·역사·문화에 대해 학습하고 그 연관성과 차이를 이해한다. 한·중·일 각국의 주요 도시와 지역의 변천사에 대한 비교와 상호관계의 관점에서 동북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중국기업경영 (Business Management in China)
중국 시장환경의 특수성과 글로벌 기업경영 주요이슈(지배구조, 마케팅, 글로벌 경영전략) 등을 학습하고,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 및 중국 기업들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경영 이론과 실무지식을 함께 함양하여 국제적인 비즈니스 안목을 갖추도록 한다.

*일본정치외교론 (Japanese Politics and Foreign Policy)
일본의 정치사, 정치행위자, 정치제도, 정치문화 그리고 대외 행위에 대해 학습하고 토의함으로써 일본의 정치현실을 체계적으로 분석·전망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한중관계론 (Chinese-Korean Relations)
정치·경제·문화·안보 분야에서 한·중간에 일어나고 있는 교류의 내용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한·중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슈들을 분석한다.

*미국정치론 (U.S. Politics and Foreign Policy)
미국의 정책결정과정과 외교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국의 국가이익이 무엇인지 개괄하고, 미국의 대외정책이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와 한국에 미치는 정치, 경제, 사회, 안보적 영향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한다. 특히 세일가스혁명에 의해 미국의 에너지 자립이 시작된 2010년대를 기준으로 미국 세계전략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향후 미국의 외교정책이 국제관계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중미관계론 (US-China Relations and the Future of Northeast Asia)
동북아 정치 및 경제 환경의 구조 결정 요인 중의 핵심적 사안인 중미관계의 기본 틀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역사적으로 검토하여 동북아지역의 미래를 전망한다.

*Capstone Design Seminar : 국제관계 (Capstone Design Seminar : International Relations)
100% 영어로 진행되는 참여형 수업으로 안보, 환경, 경제, 빈곤과 인권 등 제반 국제사회의 문제에 대해 탐구한다.

*Capstone Design Seminar : 중국 (Capstone Design Seminar : China)
중국어 원어를 사용하여 세미나식 강의를 진행한다. 중국의 인민일보와 환구시보 그리고 중앙일보 중국어판 자료를 활용하여 동북아정세 현안을 토론한다.

*일본연구세미나 (Japan Studies Seminar)
본 강좌는 일본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등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룸으로써 심층적으로 일본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국제지역정책세미나 (Seminar on International Policy)
동아시아지역의 주요 정치·경제·사회 이슈에 대한 분석과 토론을 진행함으로써 국제지역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배양한다.

*일본인과일본문화 (Japanese and Japanese Culture)
고대부터 일본열도에서 생활해 온 일본인과 그들이 빚어낸 문화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개론 형태의 과목이다. 일본의 지리, 기후, 농경, 종교, 천황, 봉건제 역사, 언어, 과학의 발전 등을 감안하면서, 근대부터 현대까지 제기된 '일본인론'의 흐름과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를 통해 동아시아에 속하면서도 특이한 일본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것이다.

*신안보문제세미나 (Seminar on New Security Issues)
환경문제, 보건위생문제, 노동력 이동, 마약, 테러 등 동북아의 새로운 안보문제를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국제위기관리론 (Case Studies on Crisis Management)
위기관리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북핵 위기, 대만해협위기, 동아시아금융위기 및 아프간인질사태 등 위기관리 사례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함으로써 복잡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위기대처 능력을 향상시킨다.

*Capstone Design Seminar : 일본 (Capstone Design Seminar : Japan)
동북아시아 지역의 현황에 대해 이해력과 발표력을 높이기 위해 일본어로 발표하고 토론을 진행한다.

*중국마케팅전략 (China Marketing Strategy)
중국시장 환경과 소비자의 소비패턴 및 의식변화를 살펴보고 중국 시장의 특징, 유통채널과 마케팅 트렌드를 이해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이다. 중국시장에서 차이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이론적 프레임을 학습하고, 아울러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의 성공적인 마케팅 사례를 분석하고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디지털 마케팅 전략도 더불어 알아보고자 한다.

학위는 국제관계학사이다.

2.7.4. 금융부동산법무학과

Department of Asset Management (evening program)
FM:

2.8. 인제니움학부대학

Ingenium College

교양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교양학부가 승격한 것으로 학문에 대한 균형적 이해와 창의적인 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인제니움학부대학은 이를 위해 융합교육, 외국어교육, 동영상 강좌, 악기교육 등 다양한 교양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2.9. 폐지된 단과대학

2.9.1. 동북아대학

College of Northeast Asia

우리나라 최초로 동북아대학이라는 단과대학을 2008년에 신설했다. 하지만, 교육부의 지시로 인해 각 학부는 2016년부터 신입생을 받지 않게 되었다. 그래서 3개의 학부는 소속을 각각 경영대학, 인문사회과학대학, 정책법학대학으로 재배치 되었다.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동북아대학
동북아통상학부 동북아문화산업학부 국제학부

3. 연계전공

몇 가지의 연계 전공이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학교 공식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해보자.

4. 심화전공

몇 가지의 심화 전공이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학교 공식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해보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8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기계공학과의 일부 → 전기공학과 및 화학공학과(기계공학은 배우는 전공이 전기공학 및 화학공학과 겹친다.), 제어계측공학과 및 기계공학과의 일부 → 로봇학부(배우는 전공이 겹친다.), 중국학과와 일본학과의 일부 및 국제통상학과 → 동북아통상학부 → 국제통상학부, 중국학과와 일본학과의 일부 → 동북아문화산업학부. 이외 등등이 있다.[2] 정확히는 조선(한국)에 전자공학이라는 학문을 들여온 사람이 화도 조광운 박사이고, 한국(조선)에서 전자공학이라는 학문을 최초로 가르친 기관이 광운대학교의 전신인 조선무선강습소이다.[3] 최초전자와 최강전자 둘 중에 하나라는 의견이 있다.[4] 광운대학교의 전신인 조선무선강습소는 한국(조선)에서 전자공학을 최초로 가르친 기관이다.[5] Chosun Radio Training Center, the predecessor of Kwangwoon University, was the first institution to teach electronic engineering studies in Korea(Chosun).[6]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인지 학부에서 기계공학부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7] 국제통상학과 → 동북아통상학부 → 국제통상학부 순으로 통폐합 및 명칭 변경이 있었다. 처음에 국제통상학과였을 때는 경제학사학위를 수여했지만, 중국학과와 일본학과 그리고 국제통상학과가 통폐합되어 동북아통상학부가 된 이후부터는 무역학사학위를 수여하기 시작했다.[8] 보통 문화콘텐츠학과를 졸업하면, 문화콘텐츠학사, 융합콘텐츠학사, 문화산업학사 등을 취득한다.[9] 광운대학교는 전자공학도 유명하지만, 범죄학도 유명하다. 참고로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파일러가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마약범죄정보학과를 졸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