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17:07:32

신해운대역

신해운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종착
동대구·포항 방면
기 장
9.7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광역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
역명 표기
동해선 신해운대
Sinhaeundae
新海雲臺 / 新海云台 / [ruby(新海雲台, ruby=シンヘウンデ)]
동해선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장산로 427 (좌동)[1]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127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부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동해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해선 1934년 7월 15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6년 12월 9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12월 18일
무궁화호 1986년 3월 21일
동해선 2016년 12월 30일 }}}}}}}}}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하 2층 승강장[2]
승강장 구조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동해선
신해운대
<colbgcolor=#c30e2f><colcolor=#ffffff> 파일:신해운대역.jpg
현 역사 (2013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
4.1. 광역전철4.2. 일반 열차
5. 연계 버스6. 기타

[clearfix]

1. 개요

해운대역을 계승한 바다로 떠나는 배
해운대역은 1934년 7월 15일 부산진과 해운대간 동해남부선이 개통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처음 해운대가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온천 때문이었으나, 해운대해수욕장으로 더 큰 주목을 받게 되면서 1987년 11월 팔각지붕의 역사가 세워졌다. 이후 2013년 동해남부선 복선전철 사업으로 해운대구 좌동에 반지하의 신해운대역이 신축되었다. 비록 해수욕장과의 거리는 다소 멀어졌지만 해운대 신시가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접근성이 높아졌으며, 옛 역사의 의미를 계승하는 의미로 배의 돛을 형상화한 유리궁전으로 지어졌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nopad> 파일:신해운대역 스탬프.jpg <nopad> 파일:신해운대역 스탬프_1.jpg
신해운대역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각각 해운대 해수욕장과 신해운대역사를 형상화했다.[3]

동해선 광역전철 K120번,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장산로 427 (좌동) 소재.

2. 역 정보

<colbgcolor=#c30e2f><colcolor=#ffffff> 파일:haeundae.jpg
초대 역사 (1934년 준공, 1987년 철거)
파일:attachment/Haeundae.jpg
2대 역사 (1987년 준공)
파일:attachment/NewHaeundae.jpg
역명 변경 전 3대 역사 (2013년 준공)
파일:20181015_133622.jpg
대합실
1934년 7월 15일 동해남부선의 부산진-해운대 구간이 개통하면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621(우동)번지에서 보통역등급으로 개업하였고 1956년 12월 20일 군 전용선이 부설되었다.

1987년 11월 4일 팔각지붕 역사가 준공되었고 1994년 7월 15일부터 서울-해운대간 새마을호가 운행을 개시하였다.[4]

2002년 12월 2일 동서통근열차가 폐지되었고 2005년 6월 27일 한자 표기가 海運臺에서 海雲臺로 변경되었다.[5]

2006년 5월 1일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같은 해 11월 15일에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2013년 12월 2일부로 동해남부선 복선 전철화 공사로 인해 수영 - 송정 구간이 이설되면서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2014년 1월 24일에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 제8조에 따라 운전취급 기능을 송정역에게 넘겨주고 운전간이역으로 전환되었었다.

2015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해운대역에서 철도이용객을 대상으로 역명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좌동역과 해운대역(국철), 장산자락역 등이 후보로 나왔으며[6] 신해운대로 역명이 확정되었다.[7]

2016년 12월 30일 신해운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됨과 동시에[8]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되었다.

이설 후 구 역사는 철거해 부지를 공원화 할 예정이었지만 희소성 있는 팔각지붕 역사를 허무는 것 때문에 해운대구 주민들이 한국철도공사에 항의하였고, 등록문화재로 지정해 달라고 애원했다.

결국 시민갤러리로 재활용이 결정돼 2014년 개관했지만, 2015년 1월 1일 운영이 종료돼 역사가 폐쇄됐다. 이후 한동안 폐선로와 승강장은 샛길로 이용되다가, 2021년 이후 '해운대 아틀리에 칙칙폭폭'이라는 이름의 문화시설로 새로 단장했다.[9]

2.1. 승강장

파일:신해운대역 동해선 승강장.jpg 파일:센텀신해운대기장.jpg
<rowcolor=#fff> 동해선 광역전철 승강장 역명판[10]
벡스코
1 2 3 4
송정
1 경부선 파일:ITX-새마을 BI.svg 밀양·동대구·대전·서울 방면
동해선·중앙선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센텀·부전 방면
2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동해선 광역전철 벡스코·교대·부전 방면
3 기장·남창·태화강 방면
4 경부선 파일:ITX-새마을 BI.svg 당역 종착
동해선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태화강·경주·동대구·포항·동해·강릉 방면
중앙선 파일:ITX-마음 BI.svg 경주·안동·제천·청량리 방면

2021년 12월 기준 동해선 전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참조[11]

2022년 4월 27일에 벡스코, 오시리아역과 동시에 스크린도어 가동이 시작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에는 상당초등학교, 상당중학교, 부산은행 좌동지점, 하나은행 해운대지점, 좌동우체국, 좌4동 주민센터가 있다.

이설되어 신축된 신해운대역은 해운대구 좌4동 부산상당초등학교 근처에 세워졌다. 역사가 해운대 신시가지 내에 있으며, 해운대역이나 신시가지 중심에 있는 장산역과도 인접해서 연결성이 뛰어나다. 해운대해수욕장으로 이동도 편리하고,[12] 동해선 전철 개통 후에는 장산역을 이용하는 수요와 해운대 송정, 일광의 수용까지 흡수하고 있어보인다. 해수욕장 앞 옛 해운대역은 시민들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해운대 그린시티를 완성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역이라고 보면 좋을듯 하다.

역 구내로 들어오는 버스 노선은 38번, 139번, 1006번이 있으며 장산역까지 이동시간은 약 15분이 소요된다. 그리고 둘 다 주변을 한 바퀴 돌고 나간다. 인근 동부아파트 정류장에서 40번, 63번, 100-1번, 115-1번, 181번, 1001번 등의 버스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바로 반대편에는 광안대교 북단으로부터 동해고속도로로 이어지는 장산로가 지나간다. 신해운대역 바로 옆이 동해고속도로(부산울산고속도로) 좌동기점(고속도로 출구번호 0번)[13]이다. 역에서 내려서 나오면 옆에 지나가는 도로에 '여기서부터 부산포항고속도로입니다'라고 써진 표지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정확히는 태화강 방면 승강장에서 동해고속도로 기점이 더 잘 보인다. 따라서 신시가지에서 이 역으로 오려면 세실로를 따라가서 장산로 밑 터널을 지나야 한다.

광명역처럼 승강장 양 끝에 터널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동해선 광역전철 운행을 위해 가운데 승강장에 고상홈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열차인 무궁화호ITX-새마을은 양 끄트머리 승강장에 정차한다.

동해선 광역전철이 완전히 개통하고 나서 좌동 해운대 신시가지 주민들은 많이 이용하는 듯 하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역은 신시가지 중심 상업지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거지구와 빌접해 있어 이용하기가 편리하다.[14]

부산교육대학교는 아예 동해선 전철을 타고 가면 교대역이 있고, 부산대학교에 통학하는 학생들도 교대역에서 환승하면 상당히 편리한 측면이 있어서인지 해운대 신시가지에 거주 중인 통학 대학생들이 여기서 승하차하는 것을 상당히 선호한다.[15] 그리고 거제역 바로 앞에 있는 대성학원이나 센텀시티 내 유수한 재수학원으로 통학하는 학생들이 장산역 부근의 학원가로 많이 유입되고 있다.

특이사항으로 바로 옆에 육군 제53보병사단 예비군훈련장, 위병소와 각종 예하부대가 있어서 단순히 답사, 사진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실수로 53사단 입구 위병소를 촬영해서 코렁탕을 먹지 않도록 주의하자. 군부대 정문이 광장 바로 옆에 있어 상당히 가까우니 조심해야 한다.[16]
입대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2월부터 매주 월요일화요일에는 입대 장병들로 인하여 인산인해를 이뤘으며,[17] 입영장정 뿐만 아니라 여기서 타 지역으로 휴가를 나가거나 복귀하는 현역병들도 많이 이용한다. 아침에 부산 도심 쪽으로 향하는 승강장에 가면 휴가나 외박, 외출 나온 장병들로 바글거린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이용해 장산역에서 올라오는것 보다는 확실히 빨라 신해운대역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시민도 적지않게 있는 편이다.

대구, 경북 등 근거리에서 해수욕장을 이용하기 위한 피서객이 이 역을 찾기도 한다. 해운대해수욕장, 송정해수욕장이 목적지인 경우 KTX를 40분 타고 부산역에 내려봤자 1시간 30분이 넘게 시내교통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해운대역은 대구에서 일반열차로 1시간 30분에서 2시간이 걸리지[18], 인근 해수욕장 까지는 택시로 10분 내외로 접근성이 좋다.물론 택시가 아닌 도보 5분이였던 구 해운대역에 비해서는 안좋지만

4. 일평균 이용객

4.1. 광역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4a6><bgcolor=#0054a6> 연도 ||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bgcolor=#0054a6> 비고 ||
2016년 1,952명 [19]
2017년 3,301명
2018년 3,799명
2019년 4,223명
2020년 3,173명
2021년 3,582명
2022년 4,644명
2023년 4,867명
2024년 4,851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4.2. 일반 열차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파일:ITX-마음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21]||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
2004년 373명 954명 1,327명
2005년 215명 1,046명 1,261명
2006년 218명 1,047명 1,265명
2007년 362명 1,317명 1,679명
2008년 672명 1,455명 2,127명
2009년 655명 1,443명 2,098명
2010년 655명 1,555명 2,210명
2011년 427명 2,243명 2,670명
2012년 463명 2,550명 3,013명
2013년 미운행 3,261명
2014년 2,309명
2015년 2,292명
2016년 39명 1,760명 1,799명
2017년 200명 1,154명 1,354명
2018년 187명 993명 1,180명
2019년 197명 962명 1,159명
2020년 105명 602명 707명
2021년 127명 665명 792명
2022년 199명 295명 494명
2023년 167명 205명 273명 645명 [22]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연계 버스

신해운대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노선
동해선신해운대역 (09344)
38번139번 이용시에 전광판이나 보조행선판을 확인하도록 하자.38번, 139번, 1006번을 제외하면 대동사거리 또는 동부아파트 정류장에서 다른 노선들을 이용할 수 있다.[24] 도보로는 5~10분 정도 걸린다.

6. 기타


==# 둘러보기 #==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동해선 광역전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동해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여객영업 X,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동해선 광역전철만 정차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일반철도 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탑승
<rowcolor=#fff> 행선지 등급 행선지
부산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서울
파일:Untitled-1.png 수서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서울
파일:누리로 백색 로고.png 동대구
무궁화호 서울
부전역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서울
무궁화호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 목포
구포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서울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파일:누리로 백색 로고.png 동대구
무궁화호 서울 · 목포
신해운대역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서울
무궁화호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사상역 무궁화호 서울 · 목포
화명역
센텀역 무궁화호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기장역 }}}}}}}}}

[1] 장산로를 통해 진입할 수 없고 좌동순환로와 세실로를 통해 진입해야 한다. 장산로는 자동차전용도로이며 그 옆에 지어졌기에 장산로에 있다고 정했을 뿐이다.[2] 반지하[3] 좌측의 舊해운대역의 도장은 분실 이후 철도동호인이 복원하여 현재 역무실 내부에 보관 중이고, 분실한 전적 때문인지 달라고 말해야 내어준다.[4] 부산시내 교통망이 좋지 않다보니 택시보다 요금이 저렴하고 빨라서 요금이 비쌌음에도 불구하고(2002년 당시 8,300원.) 구포-해운대간 고정승객도 상당수 있었다. 1999년 황령산 산사태로 인해 황령터널이 막혔을 때에는 새마을호 또한 동서통근열차만큼은 아니지만 승객이 많았을 정도.[5]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75호[6] 출처[7] 관련 기사[8]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4호[9] 참고로 폐선로 구간은 공원화돼 산책로 코스로 자주 활용됐으며, 일부 구간에는 해운대 해변열차가 개장했다.[10] 역명판 색이 수인·분당선처럼 노랗다.[11] 오시리아역에 이어 두번째다.[12] 장산역과 도보로 20분 정도 거리다.[13] 동해고속도로의 출구번호 1번은 해운대IC인데 좌동기점에서 해운대IC까지는 7km나 떨어져 있다. 결국 중간에 동부산IC(출구번호 1-1번)를 만들었지만 동부산IC 역시 신해운대역에 있는 동해고속도로 좌동기점으로부터 4.5km나 떨어져 있다.[14] 해운대 신시가지(그린시티) 주민들의 발이 되고 있다. 반면, 기존 해운대역은 그 기능이 상실된 이후, 공원이나 공용시설 유치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장산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도 많고 대부분의 노선들은 북좌동이나 남좌동을 경유하여 부산 2호선 해운대역송정을 잇는다.[15] 단 교대역 환승 동선이 상당히 좋지 않으며 동해선 배차간격은 평시 30분으로 상당히 길기 때문에 100-1번을 이용해서 한 번에 바로 가는 학생들도 여전히 많은 편이다.[16] 역으로 금정구, 남구, 수영구 소속 예비군은 전철에서 내리자마자 예비군 훈련장에 당도가 가능한 역세권 훈련장이기도 하다. 동래구, 연제구, 해운대구, 기장군 예비군은 장산 반대편 오시리아역에서 800m 가량 10분은 족히 걸어야 하니 차이가 있는 편이다. 2026년 부터는 본 예비군 훈련장이 부산의 모든 예비군을 받도록 통합될 예정이라 신해운대역은 더더욱 붐빌 예정이다.[17] 2022년 4월 마지막 기수를 배출한 뒤 해체되었다.[18] 무궁화호의 경우 영천 경주를 거치면서 빙빙 돌아서 2시간 정도 걸린다. ITX 새마을은 밀양 구포 부전을 거쳐 1시간 반 정도 걸리지만 하루 1~2회밖에 없다. 사실 대구에서 해운대로 기차를 타고 가장 빨리 가는 방법은 경주역까지 고속철도 타고 경주역에서 무궁화로 환승하는거다.[19] 개통일인 12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20] 일례로 훈련기간 중 8~9시, 16~18시 사이에는 오시리아,신해운대역에서 예비군 절반, 벡스코,센텀역에서 직장인 절반이 타고 내리며, 교대에서 1호선으로 싹 환승하는 모습이 눈에 띌 정도로 예비역들 천지이다.[21] 새마을호로 운행되던 시절까지 집계한다.[22] ITX-마음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23] 송정은 해운대구이긴 하지만 기장군과 붙어 있고 실질적 해운대 시가지와는 거리가 멀어서 해운대역, 신시가지 등 관습적인 해운대구와는 관계가 없다.[24] 부산 버스 31, 부산 버스 40, 부산 버스 63, 부산 버스 100-1, 부산 버스 115-1, 부산 버스 181, 부산 버스 1001[25] 현재 이 경우 2016년 11월 12일부로 ITX-새마을을 통해 정식 운행계통으로 자리잡았다.[26] 다만 현재 부산 2호선은 송정 방면으로 연장 구상안이 더 중요하게 보고 있어서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지선으로 따로 건설하는 거면 몰라도.[27] 보통 한국철도공사는 지하역에서 LCD 행선안내기를 사용한다. 반지하역이므로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정작 같은 반지하역인 초월역은 LCD 행선안내기를 사용한다. 이는 일반열차도 같이 정차하는가 아닌가의 여부인 것으로 추정된다. 여담으로 수도권 전철 수인선의 일부 역은 반지하역이 아닌 지하역임에도 불구하고 LED 행선안내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설치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렇게 오래되지는 않은 행선안내기이기 때문으로 보인다.[28] 그런데 역사가 군부대 바로 옆에 딱 붙어 있어서 역사도 같이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