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법에 따른 도로 분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고속국도 | 일반국도 (국도대체우회도로)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 |
구도 | 군도 |
국가지원지방도 | |
횡축 | 22 여수 - 순천 · 28 영주 - 동해 · 30 사천 - 대구 · 32 대전 - 문경 · 56 김포 - 인제 · 58 나주 - 부산 · 60 무안 - 기장 · 68 서천 - 경주 · 70 청양 - 춘천 · 78 김포 - 포천 · 82 평택 - 평창 · 84 강화 - 원주 · 86 남양주 - 춘천 · 88 하남 - 영양 · 96 태안 - 청주 |
종축 | 13 신지 - 완도 · 15 고흥 - 영광 · 20 포항 - 영덕 · 23 천안 - 서울 · 37 남원 - 거창 · 39 양주 - 동두천 · 49 해남 - 원주 · 55 해남 - 금산 · 57 대전 - 안양 · 67 통영 - 칠곡 · 69 부산 - 울진 · 79 창녕 - 안동 · 97 서귀포 - 제주 · 99 서귀포 - 제주 |
순환 | 90 울릉 · 98 수도권 |
고속국도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
국가지원지방도 國家支援地方道 | State-funded Local Highway |
2020년 12월 기준 국가지원지방도 현황 |
국도 지도 위에 겹친 모습[1] |
[clearfix]
1. 개요
도로법 제1장 제2조(정의)의 1항에서 국가지원지방도는 지방도 중 중요 도시, 공항, 항만, 산업단지, 주요 도서, 관광지 등 주요 교통유발시설 지역을 연결하며 고속도로와 국도로 이루어진 국가 기간도로망을 보조하는 도로로서 대통령령으로 그 노선이 지정된 것을 말한다. 국도와 지방도의 중간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2. 상세
원래 국가지원지방도는 도로 확충을 위해 1993년에 정부에서 구상하여 1994년에 위와 같이 국도로 새로 지정하기로 결정한 도로였다. 그러나 상단의 첨부된 이미지의 목록상에 존재한 노선들을 전부 국도로 승격시키기에는 재정이 부족하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역할을 분담한다는 개념으로 1995년에 도로 건설은 국가에서 총괄하지만 관리와 유지보수는 각 광역자치단체가 담당하는 '국도준용도'라고 하는 새로운 개념의 도로를 도입했고, '국가지원지방도'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 1996년 7월 19일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이 제정되어 총 29개의 국가지원지방도가 지정되었다.
국가지원지방도가 국도로 승격되는 일도 있다. 도로 관리 문제상 국가지원지방도에서 국도로 일부 구간만 승격된 경우가 있는데, 67, 82, 88번 국도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런 이유로 국도와 국가지원지방도는 같은 노선번호끼리 직결되는 경우가 많다. 미심쩍으면 지도를 펴고 확인해 보자. 다만 국도와 국가지원지방도로 분류가 갈린 뒤 둘 중 하나가 구간이 확장되거나[2] 아예 신설되는 등의 이유로[3] 동 번호상의 일반국도와 직결되지 않는 구간도 존재한다. 또한 예전 국도 번호 부여방식과 상관없이 국지도 번호에 딱히 규칙성이 없다.번호별 위치표시 지도(24.08 기준)
다음은 1996년 국가지원지방도의 최초 지정 이래 국지도 노선 지정 변천사를 서술한 항목이다.
- 2001년 8월 25일에는 20, 37, 55, 78, 79, 96, 98번 지방도가 신설되었고, 49, 56, 60, 69, 82, 86번 지방도의 기종점이 변경되었다. 또한 19, 27, 33, 59, 95번 지방도가 같은 노선번호의 국도로 승격되며 폐지되었고, 88번 지방도의 영양 ~ 울진 구간이 88번 국도로 승격되었으며, 40, 44번 지방도가 당시 신설된 96, 98번 지방도에 통폐합되었다.
- 2006년 12월 21일에는 고군산로의 수월한 건설을 위해 68번 지방도의 기점이 서천군 장항읍에서 군산시 옥도면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옥도 ~ 장항 구간은 2008년 1월 3일 4번 국도로 승격되었다.
- 2008년 11월 17일에는 28번 지방도가 신설되었고, 926번 지방도가 90번 지방도로 승격되었으며, 15, 23, 30, 70, 78, 82, 96번 지방도의 기종점이 변경되었다, 31번 지방도는 폐지.
- 2012년 1월 26일에는 22, 28, 37, 39번 지방도의 기종점이 변경되었다.
- 2014년 7월 14일에 도로법이 전면 개편되며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이 폐지되었다. 이후 2015년 3월 27일에 국토교통부 고시로 국가지원지방도들을 정의하면서 이후 국가지원지방도는 일반국도와 동일하게 국토교통부 고시를 통해 노선지정 변경안이 공포된다.
- 2016년 7월 13일에는 96번 지방도의 기점이 변경되었고 49, 55, 67번 지방도의 중간 경유지가 변경되었다.
- 2017년 7월 11일에는 민간인 출입통제선 내부를 넘나들던 78번 지방도의 중간 경유지가 변경되었다.
- 2021년 6월 22일에는 1118번 지방도가 99번 지방도로 승격되었고, 79, 96번 지방도의 기종점이 변경되었으며, 70, 98번 지방도의 중간 경유지가 일부 변경되었다.
도, 특별자치도 관내에만 설치할 수 있는 일반지방도와는 다르게 도, 광역시, 특별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등 대한민국의 모든 행정구역에 설치 가능하다.
국도와는 달리[4]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사정에 따라 완공되지 못하고 끊겨 있거나 비포장 임도인 구간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모두 드라이브해 보는 데 애로사항이 불가피하다. 상당수 국가지원지방도의 일부 구간이 아직 미개통 상태이다.
3. 노선 목록
국가지원지방도의 각 단독 문서는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법령문서의 별표 '국가지원지방도 노선'에 근거하여 작성하였다.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 | ||||
표지 | 노선번호 | 시점 | 종점 | 비고 |
[[13번 지방도| 13 ]] | 13번 지방도 |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 신지로 13번 국도와 직결 |
[[15번 지방도| 15 ]] | 15번 지방도 | 전라남도 고흥군 | 전라남도 영광군 | |
[[20번 지방도| 20 ]] | 20번 지방도 | 경상북도 포항시 | 경상북도 영덕군 | 20번 국도와 직결 |
[[22번 지방도| 22 ]] | 22번 지방도 | 전라남도 여수시 | 전라남도 순천시 | |
[[23번 지방도| 23 ]] | 23번 지방도 | 충청남도 천안시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3번 국도와 직결 |
[[28번 지방도| 28 ]] | 28번 지방도 | 경상북도 영주시 | 강원도 동해시 | |
[[30번 지방도| 30 ]] | 30번 지방도 | 경상남도 사천시 | 대구광역시 서구 | 30번 국도와 직결 |
[[32번 지방도| 32 ]] | 32번 지방도 | 대전광역시 유성구 | 경상북도 문경시 | |
[[37번 지방도| 37 ]] | 37번 지방도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경상남도 거창군 | |
[[39번 지방도| 39 ]] | 39번 지방도 | 경기도 양주시 | 경기도 동두천시 | |
[[49번 지방도| 49 ]] | 49번 지방도 | 전라남도 해남군 | 강원도 원주시 | |
[[55번 지방도| 55 ]] | 55번 지방도 | 전라남도 해남군 | 충청남도 금산군 | |
[[56번 지방도| 56 ]] | 56번 지방도 | 경기도 김포시 | 강원도 인제군 | |
[[57번 지방도| 57 ]] | 57번 지방도 | 대전광역시 서구 | 경기도 안양시 | |
[[58번 지방도| 58 ]] | 58번 지방도 | 전라남도 나주시 | 부산광역시 강서구 | |
[[60번 지방도| 60 ]] | 60번 지방도 | 전라남도 무안군 | 부산광역시 기장군 | |
[[67번 지방도| 67 ]] | 67번 지방도 | 경상남도 통영시 | 경상북도 칠곡군 | 67번 국도와 직결 |
[[68번 지방도| 68 ]] | 68번 지방도 | 충청남도 서천군 | 경상북도 경주시 | |
[[69번 지방도| 69 ]] | 69번 지방도 | 부산광역시 강서구 | 경상북도 울진군 | |
[[70번 지방도| 70 ]] | 70번 지방도 | 충청남도 청양군 | 강원도 춘천시 | |
[[78번 지방도| 78 ]] | 78번 지방도 | 경기도 김포시 | 경기도 포천시 | |
[[79번 지방도| 79 ]] | 79번 지방도 | 경상남도 창녕군 | 경상북도 안동시 | 79번 국도와 직결 |
[[82번 지방도| 82 ]] | 82번 지방도 | 경기도 평택시 | 강원도 평창군 | |
[[84번 지방도| 84 ]] | 84번 지방도 | 인천광역시 강화군 | 강원도 원주시 | |
[[86번 지방도| 86 ]] | 86번 지방도 | 경기도 남양주시 | 강원도 춘천시 | |
[[88번 지방도| 88 ]] | 88번 지방도 | 경기도 하남시 | 경상북도 영양군 | 88번 국도와 직결 |
[[90번 지방도| 90 ]] | 90번 지방도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도 순환선) | 울릉순환로 | |
[[96번 지방도| 96 ]] | 96번 지방도 | 충청남도 태안군 | 충청북도 청주시 | |
[[97번 지방도| 97 ]] | 97번 지방도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
[[98번 지방도| 98 ]] | 98번 지방도 | 경기도 수원시 (수도권 순환선) | ||
[[99번 지방도| 99 ]] | 99번 지방도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남조로 |
3.1. 해제
표지 | 노선번호 | 시점 | 종점 | 비고 |
19 | 19번 지방도 | 강원도 원주시 | 강원도 홍천군 | 19번 국도로 승격 |
27 | 27번 지방도 |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 27번 국도로 승격 |
31 | 31번 지방도 | 부산광역시 동래구 | 부산광역시 기장군 | 폐지, 대부분 구간 40번 부산광역시도로 지정 |
33 | 33번 지방도 | 경상북도 구미시 | 강원도 평창군 | 59번 국도로 승격 |
40 | 40번 지방도 | 충청남도 태안군 | 충청북도 청원군 | 폐지, 이후 중간 경유지를 변경한 96번 지방도 신설 |
44 | 44번 지방도 | 경기도 용인시 | 경기도 양평군 | 98번 지방도에 편입 |
59 | 59번 지방도 | 경상남도 하동군 | 경상북도 성주군 | 59번 국도로 승격 |
95 | 95번 지방도 | 제주도 제주시 | 제주도 서귀포시 | 95번 국도로 승격, 이후 1135번 지방도로 격하 |
4. 국가지원지방도가 없는 시군구
- 아예 없는 지역
인천광역시: 부평구, 옹진군
경기도: 부천시, 광명시, 과천시, 의정부시, 구리시, 동두천시, 군포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태백시, 양구군, 횡성군
충청북도: 증평군, 보은군, 옥천군
대전광역시: 동구, 중구
세종특별자치시: 없음
충청남도: 계룡시, 보령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김제시, 전주시, 부안군, 장수군
광주광역시: 서구
전라남도: 목포시, 신안군, 진도군, 구례군
대구광역시: 동구, 북구
경상북도: 김천시, 예천군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제외한 모든 시가지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강서구를 제외한 전 지역
경상남도: 남해군
- 사실상 없는 지역이라고 봐도 무방한 지역[6]
인천광역시: 서구를 제외한 나머지(상술한 지역 제외)
경기도: 수원시, 평택시, 시흥시, 하남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양양군, 화천군
충청북도: 진천군, 단양군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광주광역시: 동구, 남구, 북구
전라남도: 고흥군, 장흥군, 완도군, 함평군
대구광역시: 서구, 달서구
경상북도: 성주군, 영양군
경상남도: 하동군
[1] 얇은 하늘색 선이 국가지원지방도이며 붉은색 선은 미개통 구간이다.[2] 15번 국도는 15번 지방도와 아예 다른 구간으로 연장되고, 이후 15번 국도 역시 15번 지방도와 아예 다른 구간으로 연장되어 두 15번 도로들을 합치면 工의 모습이 되었다.[3] 58번 지방도가 먼저 신설된 이후 58번 국도가 나중에 아예 별개의 노선으로 지정되었다.[4] 물론, 국도라고 해서 단절 구간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5] 다만 광진구와 영등포구 땅(여의도동 일부가 강변북로까지 간다)은 잠깐이라도 지나간다.[6] 아주 잠깐 스쳐가거나, 국도 중첩 등의 이유로 국지도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지역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