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5:09:52

이문차량사업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이문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신이문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철도공사의 차량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고속철도
파일:KTX BI_White, Red.svg 파일:SRT BI_White.svg
강릉 | 광명[주박] | 부발 | 부산단 고속단 | 수도단 본단[중] | 울산[중][타] | 이문 | 호남단[중] | 송산 부산단 고속단
호남단[중]
지제
간선열차 · 관광열차
누리로·동해산타열차 ITX-새마을 ITX-마음 ITX-청춘
강릉
이문[중]
부산
서울
부산
이문[중]
서울
대구
부산
대전단 본단[중]
제천
평내[중]
광역전철
1호선 3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구로[폐]
병점[폐]
이문
시흥[중][타][폐]
성북[주박]
인천[주박]
구로[배속]
지축[실무][폐]
시흥[중][폐]
안산[주박]
창동[주박]
용문
문산[중]
수인·분당선 경춘선 경강선 동해선
분당
시흥[중][폐]
평내[중][타][폐]
평내[중] 부발 울산[중]
서해선 대경선 충청권 광역철도
시흥[중][타]
송산
대구
울산[중][타]
대전
대전단 본단[중]
기관차
가야 | 광주 | 동해 | 대전 | 대전단 전기차량정비부[중] | 마산 | 목포 | 부곡 | 부산단 일반단[중] | 부산신항 | 수색 | 순천 | 여수 | 영주 | 익산 | 제천 | 천안 | 청량리 | 포항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기울임체: 폐업하였거나 폐업이 확정된 기지
}}}}}}}}}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군자[중][폐] 군자[중][폐]
신정[중]
지축[중][폐]
수서
창동
지축[중][타][폐]
시흥[주박]
진접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고덕[중]
방화[폐]
신내
도봉[중][타][폐]
도봉[중][폐]
천왕
모란
고덕[중][타]
방화[타][폐]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김포[중]
왕숙(가칭)
우이[중] 보라매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1호선 3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구로[폐]
병점[폐]
이문
시흥[중][타][폐]
성북[주박]
인천[주박]
구로[배속]
지축[실무][폐]
시흥[중][폐]
안산[주박]
창동[주박]
용문
문산[중]
수인·분당선 경춘선 경강선 서해선
분당
시흥[중][폐]
평내[중][타][폐]
평내[중] 부발 시흥[중][타]
송산
인천 도시철도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귤현[중] 운연[중]
오류[주박]
용유[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운정[중]
기타 일반철도 노선
신분당선 공항철도
광교[중]
판교[주박]
용유[중]
기타 도시철도 노선
용인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김포 도시철도
용인[중] 의정부[중] 김포한강[중]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기울임체: 폐업하였거나 폐업이 확정된 기지
}}}}}}}}}
이문차량사업소
다국어 표기
영어 Imun Train Depot
한자 里門車輛事業所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이문동)[A]
운영기관
망우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1964년 1월 11일(구 이문역)
2005년 7월 5일(차량사업소)
관리부처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광역차량운영처(2020.09.~2023.12.)
수도권동부본부 차량처(2023.12.~)
철도거리표
망우선
이문기지

1. 개요2. 역사3. 배속 차량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이문차량사업소.jpg
이문차량사업소 전경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사업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이문동)[A] 소재.

2. 역사

망우선이 부설되면서 영업을 시작한 이문역(里門驛)[3]의 후신이다.[4] 화물 전용역이라 그때도 여객열차가 정차하지는 않았다.

서울 시민의 월동을 책임지던 무연탄 저탄장을 가지고 있던 역으로 주로 영동선, 태백선을 통해 서울로 올라오는 무연탄을 취급하는 화물 전용역이었다. 전성기에는 1년에 3백만톤 이상의 석탄을 취급한 적도 있었다. 그 흔적으로 차량사업소 바로 동쪽에 서울에 유일하게 남은 연탄 공장인 삼천리이앤이가 자리하고 있다. 또 한때는 여름 한정으로 옛 성북역에서 옛 중앙선 선로를 통해 동해안 쪽으로 가기 위해 이 역에서 여객영업을 하기도 했다.

석탄산업이 사양길로 들어서자 2004년 이문역을 폐역하고 그 부지에 차량사업소를 건설, 2005년에 완공했다. 차량사업소가 들어서기 전에 그 자리에 한때 운전학원이 있었다. 그런데 이미 그 주변으로 전부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차량사업소를 건설하려 하자 당시 주민들의 반발이 상당했다. 당시 철도청은 이러한 반대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건설 당시부터 주민들을 위한 각종 시설(주차장, 체육관) 등을 설치하고, 사업소 담장을 따라 녹지를 조성한다고 하여 간신히 지역 주민의 반발을 무마했지만 현재까지도 진척이 없다. 사업소 옆에 공원이 있고 철도부지 내에 체육센터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옥상주차장의 경우 현재까지도 개방되지 않고 있다.[5] 신이문역 3번 출구가 사업소 옥상을 따라 나 있기 때문에 주차장이 있기는 하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다.

원래 이 차량기지가 생기기 이전에는 성북역 구내에 구로차량기지 성북분소가 있었다. 여기 성북분소는 VVVF 차량 8편성과 저항차 12편성을 관할하며 일상정비 등을 맡으며, 구로기지의 역할을 분담했다.[6] 의정부북부 - 성북 구간의 배차관리는 이 차량기지가 있어서 가능했고, 용산 ~ 성북(현 광운대) 국철도 이쪽 노선의 차량이 주로 다녔다. 그러나 2005년에 이문기지가 생기면서 이문차량기지로 통합되다시피 했다. 이후 성북분소는 단순 주박만 맡게 되었다가, 2024년 1월 광운대역세권개발사업으로 인해 철거되면서 결국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본래 신이문역과 함께 수도권북부지사 소속이었다가 북부지사와 동부지사가 2009년에 수도권동부본부로 합병되면서 동부본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1997년 외환 위기의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지난 1996년에 착공해서 2005년에 완공되었기 때문이다.[7] 참고로 공사 당시 명칭은 동부전동차사업소였다. 한국철도공사 역시 이전에 동부전동차사무소라고 불렸다가 나중에 이문기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3년 현재는 조직개편으로 중정비는 간선형 전기동차(ITX-새마을, 누리로 등)만 담당하며 광역철도차량은 경정비만 수행하고 있다. 광역철도차량의 중정비는 시흥, 문산, 평내에서 수행한다.

3. 배속 차량


연천 연장분 6량 3개 편성(319F08~319F10편성)도 들어와 있었으나 1호선 연천 연장 개통이 지연되는 바람에 현재는 임시로 수인선에 차출되어 시흥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운행 중에 있다.

고속열차의 경우, 2024년 현재, 5개 편성만 배속된 상태이다.[11] 나머지 편성은 강릉차량사업소부발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이문기지에서는 청량리역을 출발 및 도착하는 KTX 열차에 한해서 일상정비 및 경정비를 시행하고 있다.[12] 중정비를 받기 위해서는 경의선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고양기지)에 입고를 하거나 장거리를 이동하여[13] 동해선울산차량사업소(덕하기지)[14]로 이동한다.

2022년, 해당기지 소속의 311B03~311B06편성이 휴차되면서 341B31~341B32편성이 이문기지 소속으로 임시로 배정되었다. 또한, 기존 구로 소속이었던 312B14~312B15편성도 위와 같은 이유로 이문기지로 소속을 변경하였다. 2022년 10월 28일에는 341B41편성도 추가로 이문기지로 임시 배정되었고, 311B07, 311B08편성이 내구연한 만료로 인한 운행 종료되면서 341B34, 341B36편성이 이문기지 소속으로 임시 배정되어 1호선에서 운행하였다. 2023년 3월에는 341B45, 341B48, 341B49편성이, 4월에는 341B50, 341B51, 341B52편성이, 8월에는 341B55편성이 추가 임시배정되었다. 현재 341000호대 임차 차량들은 모두 4호선으로 환원되었다.

사업소 개설 초기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의 전동차와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전동차를 동시에 주박시켜 검수/정비를 담당하였으나, 이후 중앙선이 용문역까지 수도권 전철로 개통되자 중앙선용문차량사업소를 새로 지어서 옮겨갔다.

원래 2009년에 용문차량사업소를 완공하려 했는데 티스푼 공사로 인해 2012년 4월에야 완공시켰다. 그러나 용문차량사업소가 유치 및 경정비만 담당하기 때문에 이후에도 중앙선 차량의 중정비는 이곳에서 담당했는데 경의·중앙선 직결 이후에는 문산차량사업소, 심지어는 시흥차량사업소에서도 중정비를 담당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하는 경춘선 열차가 주박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주박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저항제어 1X67~1X77편성이 소속되었다.

4. 기타



[A] 이문동 7번지[A] 이문동 7번지[3] 1995년 이문역사 흔적 파일:95년 이문역.jpg[4] 현역시절 모습 - 네이버 블로그[5] 「“철도공사, 주차장 개방한다더니 10년 미뤄”」, 한국일보, 2019-05-20[6] 2004년 이전 기준으로 당시 소속된 차량은 저항차 1X49~1X53, 1X67~1X75편성이었고 VVVF 차량은 5X01~5X06, 5X10~5X11편성이었다.[7] (페이지 삭제됨)[8] 1C6002~1C6005[9] 2C1001~2C1002, 2C1004~2C1008[10] 2B1001~2B1023[11] 중앙선 KTX 운행을 위해 배속되었다. 물론 강릉기지 배속차량 일부도 중앙선에서 운행하기도 한다.[12] 청량리차량사업소에는 전동차에 대한 정비시설이 없으며, 단순히 주박만 가능한 상태다.[13] TVM 신호 취거 이후로는 주로 기관차의 견인을 받아 갑종회송된다.[14] 경전선과 동해선의 고속 KTX 개통을 대비하여 중정비 시설을 건축했다.[15] 「이문차량사업소, 日월간지 우수사례 호평」, 머니투데이, 2007-11-07[16] 「이문 차량기지 20만㎡ 복합개발 첫발」, 한국경제, 2023-02-23[17] 천안,서동탄발의 상당수가 광운대역 종착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5. 둘러보기

망우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